영동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동역은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1956년 복구되었다. 1996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2014년 충북종단열차 운행 및 ITX-새마을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ITX-새마을과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지상역이다. 영동군청, 법원, 검찰청, 버스터미널 등이 주변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 영동IC와 육군종합행정학교가 가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동군의 건축물 - 추풍령역
추풍령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종단열차 운행과 무궁화호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사무관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영동군의 건축물 - 황간역
황간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복구되었고,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경부선 열차가 운행하며, 인근에 황간면, 황간버스터미널 등이 위치한다. - 영동군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영동군의 교통 - 추풍령역
추풍령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경부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급수탑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충북종단열차 운행과 무궁화호 정차 등의 변화를 거쳐 현재 사무관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충주역
충주역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경부선과 중부내륙선이 교차하는 철도역으로, 1928년 개업 후 한국 전쟁으로 소실되어 이전, 2005년 전철화와 2021년, 2024년 중부내륙선 개통을 거치며 교통 요충지로 발전할 예정이며, 무궁화호와 KTX-이음이 정차하고 주변에 터미널, 축구장,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 충청북도의 철도역 - 음성역
음성역은 1928년 영업을 시작한 충북선 소재의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추고 증평역과 주덕역 사이에 위치하며, 누리로 운행 중단 후 현재는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역 주변에 학교와 우체국 등이 위치하며 고속도로 접근성은 높지만 소음 문제가 있고, 충북선 여객 운행 중단으로 주민 불편이 지속되어 운행 재개 및 시설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영동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영동역 |
한자 표기 | 永同驛 |
로마자 표기 | Yeongdongyeok |
위치 | 대한민국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계산로 87 (계산리 205)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종류 | 보통역 |
역 등급 | 2급 (그룹대표역) |
관리역 | 대전역 |
소속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 경부선 |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전보 약호 | (미확인) |
서울역 기점 거리 | 211.6km |
사진 정보 | |
![]() | |
![]() | |
철도 노선 정보 | |
이전 역 | 각계역 |
이전 역 간 거리 | 7.0km |
다음 역 | 황간역 |
다음 역 간 거리 | 14.6km |
기타 정보 | |
승차 인원 (2010년) | 1,664명 |
승하차 인원 (2010년) | 3,381명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2. 역사
1905년 1월 1일, 영동역은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0년 6월 30일에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역사가 소실되었다. 1951년 8월 15일 임시 역사를 신축하여 운영하다가, 1956년 12월 28일에 역사가 복구되었다.
1일 8회의 ITX-새마을[4] 열차와, 모든 무궁화호[5] 열차가 정차한다. 역에서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날인해 갈 수 있다.
1973년 8월 12일에는 영동역 유조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하였다. 1974년 1월 1일 사무관역(5급)으로 승격되었으며, 1976년 1월 1일에는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2]
1996년 6월 1일 현 역사가 준공되면서 새마을호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1997년 10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3] 1999년 6월 4일 역사 신축이 완공되었다.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4년 5월 12일부터 ITX-새마을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2024년 5월 1일 ITX-마음이 운행을 개시하였다.
3. 역 정보
=== 역 구조 ===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사와 각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 승강장 ===
영동역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경부선 상행 열차는 대전역, 수원역, 서울역, 영주역 방면으로 운행하고, 하행 열차는 김천역, 동대구역, 부산역, 진주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3. 1. 역 구조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사와 각 승강장은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3. 2. 승강장
영동역 승강장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경부선 상행 열차는 대전역, 수원역, 서울역, 영주역 방면으로 운행하고, 하행 열차는 김천역, 동대구역, 부산역, 진주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4. 이용 현황
5. 역 주변
영동군청, 청주지방법원 영동지원, 청주지방검찰청 영동지청이 있다. 영동공용버스터미널을 통해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동공설운동장, 용두공원과 영동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영동인터넷고등학교 등의 교육시설이 근처에 있다. 경부고속도로 영동IC가 근처에 있으며, 육군종합행정학교또한 위치하고있다.
6. 사진
7. 인접한 역
충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