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신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신버스는 1990년 과천여객에서 사명을 변경하여 설립된 버스 운송 업체이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 1개 노선과 간선버스 4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본사는 경기도 군포시에 위치해 있다. 과거에는 2층 버스를 시범 운행하기도 했으며, 2008년에는 저상버스를 도입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군포시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1971년 설립된 기업 - 롯데관광개발
롯데관광개발은 1971년에 설립되어 2005년 롯데그룹에서 분리되었으며, 제주 드림타워 호텔 및 카지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2020년에 일반에 공개했다. - 1971년 설립된 기업 - 페덱스
페덱스는 1971년 프레더릭 W. 스미스가 설립한 미국의 운송 회사로, 특급 배송 서비스를 시작하여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성장해왔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서울 서초구의 교통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우신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우신버스 |
원어 | Woosin Trs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1년 1월 16일 |
국가 | 대한민국 |
장소 |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179-46 (군포동) |
사업 지역 | 의왕영업소 경기도 의왕시 왕소나무길 29-15 (월암동) |
인물 | 조희삼, 조혜전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811,000,000원 (2020.12) |
매출액 | 31,847,860,520원 (2020) |
영업 이익 | 191,594,801원 (2020) |
순이익 | 79,834,329원 (2020) |
자산 총액 | 21,710,182,769원 (2020.12) |
주주 | 조혜진 : 33.20% 조희삼 : 15.32% 기타주주 : 51.48% |
종업원 | 356명 (2020.12) |
계열사 | 우신운수 |
2. 회사 연혁
- 1971년 1월 16일: '''동원여객''' 설립. 90번 버스(남성동 - 성북동) 운행 시작.[1]
- 1971년 7월 27일: 91번 버스(남성동 - 성북동) 신설.[1]
- 1972년: 16번 버스(장위동 - 남성동) 신설.[1]
- 1974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노선 조정으로 16번 버스가 91번 버스에 통합.[1]
- 1976년 8월 1일: 90번 버스 노선 조정(반포대교, 잠수교, 고속터미널 경유).[1]
- 1978년 5월 1일: 16번, 90번 버스 노선 조정(남산3호터널 경유).[1]
- 1979년 4월 1일: 16번 버스 노선 변경(종로5가, 창경궁, 혜화동, 미아리고개 경유).[1]
- 1980년 3월: 90번 버스 노선 단축(성북동 - 광화문) 및 연장(사당동 - 안양시 호계동).[1]
- 1981년: 좌석버스 90번 신설(도시형버스와 동일 노선).[1]
- 1982년: 16번 버스 노선 연장(남성동 - 호계동), 동원여객에서 한성운수로 매각, '''과천여객'''으로 사명 변경.[1]
- 1986년 4월: 도시형버스 90-1번 신설(삼원여객, 과천여객 공동 운행) (고천 - 신세계백화점, 구 97번, 현 간선버스 502번).[1]
- 1987년: 도시형버스 90-1번 폐지.[1]
- 1989년: 도시형버스 90-1번 재신설 (뉴코아 - 호계동, 현 간선버스 541번).[1]
- 1990년 1월: 군포교통으로부터 좌석버스 798번 인수. 798번 종점을 군포시 당리에서 안양시 호계동으로 이전, 빨간색 798번(비산동 경유)과 파란색 798번(기존 경유)으로 분리 신설.[1]
- 1990년 2월: 과천여객에서 우신버스로 사명 변경.[1]
- 1990년 12월: 좌석버스 90-1번 (뉴코아 - 고속터미널역 - 비산동 - 안양시 호계동) 신설.[1]
- 1991년: 좌석버스 798번 폐지.[1]
- 1991년 여름: 좌석버스 90-1번 광화문까지 연장.[1]
- 1991년 10월 1일: 과천시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 2층 버스 시범 운행 (12월 초 중단).[1]
- 1992년: 도시형버스 90번 호계동 ~ 이수역 구간 단축.[1]
- 1992년 9월 1일: 좌석버스 90번, 90-1번 고속터미널역까지 단축, 호계동에서 산본신도시까지 연장. 좌석버스 90-2번 (산본신도시 - 호계동 - 고속터미널역) 신설.[1]
- 1992년 12월: 심야 좌석버스 908번 (90-1번과 동일) 신설.[1]
- 1993년 9월 14일: 최순정 대표이사 취임.[1]
- 1993년 11월 3일: 본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 이전.[1]
- 1994년 4월: 과천선 개통으로 도시형버스 90번 폐지.[1]
- 1994년 12월: 좌석버스 90번 심야 좌석버스 918번으로 변경, 908번 90-1번에 통합.[1]
- 1995년 1월: 좌석버스 90-2번 노선 산본신도시 - 과천시 - 양재역 - 강남역 변경 후 폐선.[1]
- 1996년 9월 16일: 조희삼 대표이사 취임, 최순정, 조희삼 각자대표이사 체제.[1]
- 1998년 3월 6일: 경영난에 빠진 유진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104-1번 인수.[1]
- 2000년 1월 1일: 서울특별시 명령으로 퇴출된 삼원여객으로부터 도시형버스 97-2번, 좌석버스 797번 인수, 고천영업소 개설.[1]
- 2000년 4월 1일: 좌석버스 908-1번 (산본신도시 - 당동 - 군포시청 - 비산동 - 고속터미널역) 신설.[1]
- 2000년 11월 17일: 본점 관악구 남현동 1058-10번지에서 관악구 봉천동 213-19번지로 이전. 조희삼, 최순정 대표이사 사임, 박복규 대표이사 취임.[1]
- 2001년 8월 27일: 본점 서초구 방배동 2922번지 이전. 박복규 대표이사 사임, 조희삼, 조상현, 조혜전 대표이사 취임.[1]
- 2003년 6월: 심야 좌석버스 908번 도시형버스로 전환.[1]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지선버스 3개 노선, 광역버스 2개 노선 운행 시작.
- 2004년 말 ~ 2005년경: 산본신도시(군포시 산본동 1156-26 일대) 본사 및 군포 차고지 군포공영차고지 이전.
- 2005년 7월 9일: 광역버스 9504번 간선버스 540번으로 형간 전환.
- 2008년 5월 19일: 지선버스 5530번 저상버스 투입, 우신버스 사내 저상버스 1호 운행 시작.
- 2008년 8월 1일: 광역버스 9502번 종점 신세계백화점 본점, 회현역, 광화문역 연장.
- 2008년 11월 24일: 지선버스 4424번 노선 간선버스 441번으로 형간 전환.
-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4212번 노선 군자역 단축, 지선버스 4319번 노선 신설 (우신운수 공동 배차), 남태령영업소 신설.
- 2009년 6월 24일: 광역버스 9502번 간선버스 502번으로 형간 전환.
- 2009년 7월 25일: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통, 간선버스 502번 정차.
- 2010년 1월 8일: 간선버스 502번 종점 한국은행, 신세계백화점 본점 단축.
- 2011년 8월 25일: 지선버스 4425번 종점 사당역 단축, 지선버스 5530번 종점 남태령역 연장, 지선버스 4212번 종점 중곡역 연장.
- 2011년 9월 9일: 지선버스 5530번 노선 사당역 단축.
- 2012년 8월 28일: 지선버스 4425번 노선 강남역(우면산터널 경유) 연장, 간선버스 541번으로 형간 전환.
- 2015년 7월 1일: 의왕고천영업소 월암공영차고지 이전, 간선버스 441번, 502번 기점 의왕시 월암동 연장.
- 2015년 12월 8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50, 2층 (서초동, 스타갤러리브릿지) 지점 설치.
- 2016년 3월 1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가람로 379 (풍납동) 지점 설치.
2. 1. 1970년대 ~ 1980년대
- 1971년 1월 16일: '''동원여객''' 설립. 90번 버스(남성동 - 성북동) 운행 시작.[1]
- 1971년 7월 27일: 91번 버스(남성동 - 성북동) 신설.[1]
- 1972년: 16번 버스(장위동 - 남성동) 신설.[1]
- 1974년 3월 15일: 서울특별시 노선 조정으로 16번 버스가 91번 버스에 통합.[1]
- 1976년 8월 1일: 90번 버스 노선 조정(반포대교, 잠수교, 고속터미널 경유).[1]
- 1978년 5월 1일: 16번, 90번 버스 노선 조정(남산3호터널 경유).[1]
- 1979년 4월 1일: 16번 버스 노선 변경(종로5가, 창경궁, 혜화동, 미아리고개 경유).[1]
- 1980년 3월: 90번 버스 노선 단축(성북동 - 광화문) 및 연장(사당동 - 안양시 호계동).[1]
- 1981년: 좌석버스 90번 신설(도시형버스와 동일 노선).[1]
- 1982년: 16번 버스 노선 연장(남성동 - 호계동), 동원여객에서 한성운수로 매각, '''과천여객'''으로 사명 변경.[1]
- 1986년 4월: 도시형버스 90-1번 신설(삼원여객, 과천여객 공동 운행) (고천 - 신세계백화점, 구 97번, 현 간선버스 502번).[1]
- 1987년: 도시형버스 90-1번 폐지.[1]
- 1989년: 도시형버스 90-1번 재신설 (뉴코아 - 호계동, 현 간선버스 541번).[1]
2. 2. 1990년대 ~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전
- 1990년 1월: 군포교통으로부터 좌석버스 798번을 인수하였다. 798번 종점을 군포시 당리에서 안양시 호계동으로 이전하고, 빨간색 798번(비산동 경유)과 파란색 798번(기존 경유)으로 분리 신설하였다.[1]
- 1990년 2월: 과천여객에서 우신버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1]
- 1990년 12월: 좌석버스 90-1번 (뉴코아 - 고속터미널역 - 비산동 - 안양시 호계동)을 신설하였다.[1]
- 1991년: 좌석버스 798번을 폐지하였다.[1]
- 1991년 여름: 좌석버스 90-1번이 광화문까지 연장되었다.[1]
- 1991년 10월 1일: 과천시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 2층 버스를 시범 운행하였으나, 12월 초에 중단되었다.[1]
- 1992년: 도시형버스 90번이 호계동 ~ 이수역 구간으로 단축되었다.[1]
- 1992년 9월 1일: 좌석버스 90번, 90-1번을 고속터미널역까지 단축하고, 호계동에서 산본신도시까지 연장하였다. 좌석버스 90-2번 (산본신도시 - 호계동 - 고속터미널역)을 신설하였다.[1]
- 1992년 12월: 심야 좌석버스 908번 (90-1번과 동일)을 신설하였다.[1]
- 1993년 9월 14일: 최순정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1993년 11월 3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으로 이전하였다.[1]
- 1994년 4월: 과천선 개통으로 도시형버스 90번을 폐지하였다.[1]
- 1994년 12월: 좌석버스 90번을 심야 좌석버스 918번으로 변경하고, 908번은 90-1번에 통합하였다.[1]
- 1995년 1월: 좌석버스 90-2번 노선을 산본신도시 - 과천시 - 양재역 - 강남역으로 변경 후 폐선하였다.[1]
- 1996년 9월 16일: 조희삼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최순정, 조희삼 각자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1]
- 1998년 3월 6일: 경영난에 빠진 유진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104-1번을 인수하였다.[1]
- 2000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의 명령으로 퇴출된 삼원여객으로부터 도시형버스 97-2번과 좌석버스 797번을 인수하여 운행을 시작하였고, 고천영업소를 개설하였다.[1]
- 2000년 4월 1일: 좌석버스 908-1번 (산본신도시 - 당동 - 군포시청 - 비산동 - 고속터미널역)을 신설하였다.[1]
- 2000년 11월 17일: 본점을 관악구 남현동 1058-10번지에서 관악구 봉천동 213-19번지로 이전하였다. 조희삼, 최순정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박복규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2001년 8월 27일: 본점을 서초구 방배동 2922번지로 이전하였다. 박복규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조희삼, 조상현, 조혜전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 2003년 6월: 심야 좌석버스 908번을 도시형버스로 전환하였다.[1]
2. 3.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지선버스 3개 노선과 광역버스 2개 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4년 말 ~ 2005년경: 산본신도시(군포시 산본동 1156-26 일대)에 있던 본사 및 군포 차고지가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 2005년 7월 9일: 광역버스 9504번을 간선버스 540번으로 형간 전환하였다.
- 2008년 8월 1일: 광역버스 9502번 종점이 신세계백화점 본점, 회현역, 광화문역으로 연장되었다.
- 2008년 5월 19일: 지선버스 5530번에 저상버스를 투입하여 우신버스 사내 저상버스 1호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8년 11월 24일: 지선버스 4424번 노선을 간선버스 441번으로 형간 전환하여 운행을 시작하였다.
- 2009년 6월 20일: 지선버스 4212번 노선을 군자역으로 단축하고, 지선버스 4319번 노선을 신설하여 우신운수와 공동 배차로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남태령영업소를 신설하였다.
- 2009년 6월 24일: 광역버스 9502번을 간선버스 502번으로 형간 전환하였다.
- 2009년 7월 25일: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개통과 함께 간선버스 502번이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 2010년 1월 8일: 간선버스 502번 종점을 한국은행, 신세계백화점 본점으로 단축하였다.
- 2011년 8월 25일: 지선버스 4425번 종점을 사당역으로 단축하고, 지선버스 5530번 종점을 남태령역으로 연장하였으며, 지선버스 4212번 종점을 중곡역으로 연장하였다.
- 2011년 9월 9일: 지선버스 5530번 노선을 사당역까지 단축하였다.
- 2012년 8월 28일: 지선버스 4425번 노선을 강남역(우면산터널 경유)까지 연장하고 간선버스 541번으로 형간 전환하였다.
- 2015년 7월 1일: 의왕고천영업소를 월암공영차고지로 이전하고 간선버스 441번, 502번의 기점을 의왕시 월암동으로 연장하였다.
- 2015년 12월 8일: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50, 2층 (서초동, 스타갤러리브릿지)에 지점을 설치하였다.
- 2016년 3월 1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한가람로 379 (풍납동)에 지점을 설치하였다.
3. 운행 노선
우신버스에서 현재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441번 | 월암공영차고지 ↔ 신사역 | 4~15 | 27 | 구 97-2, 4424번 |
502번 | 월암공영차고지 ↔ 한국은행.신세계앞 | 6~15 | 24 | 구 797, 9502번 |
540번 | 군포공영차고지 ↔ 서울성모병원 | 4~15 | 28 | 구 918, 9504번 |
541번 | 군포공영차고지 ↔ 강남역 | 9~17 | 22 | 구 908, 4425번 변경 |
5530번 | 군포공영차고지 ↔ 사당역 | 4~14 | 29 | 구 104-1번 변경·연장 |
3. 1. 간선버스
노선번호 | 운행구간 | 배차 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441번 | 월암공영차고지 ↔ 신사역 | 4~15 | 27 | 구 97-2, 4424번 |
502번 | 월암공영차고지 ↔ 한국은행.신세계앞 | 6~15 | 24 | 구 797, 9502번 |
540번 | 군포공영차고지 ↔ 서울성모병원 | 4~15 | 28 | 구 918, 9504번 |
541번 | 군포공영차고지 ↔ 강남역 | 9~17 | 22 | 구 908, 4425번 변경 |
3. 2. 지선버스
5530번한국어은 군포공영차고지와 사당역을 잇는 지선버스 노선이다. 과거 104-1번 버스가 변경 및 연장된 노선이다. 배차 간격은 4~14분이며, 인가 대수는 29대이다.[1]노선번호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5530번 | 군포공영차고지 ↔ 사당역 | 4~14 | 29 | 구 104-1번 변경·연장 |
4. 이전 보유 노선
운행구간 | 운행노선 | 비고 | ||
---|---|---|---|---|
4319번 | 사당동 ↔ 잠실역 | 2019년 9월 1일부로 차량 2대를 우신운수에 양도하면서 공동배차 철수 | ||
4424번 | 의왕시 고천동 ↔ 신사역 | 간선버스 441번으로 전환 | ||
4425번 | 군포공영차고지 ↔ 사당역 | 강남역으로 노선 변경과 함께 간선버스 541번으로 전환/현재 동성교통에서 운행하는 4425번과는 무관 | ||
9502번 | 의왕시 고천동 ↔ 서울역 | 간선버스 502번으로 전환 | ||
9504번 | 군포공영차고지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간선버스 540번으로 전환 |
5. 사업장 현황
6. 보유 차량
우신버스는 다음과 같은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KGM커머셜: KGM 스마트 110
-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 NEW BS106
- 현대자동차: 현대 뉴 슈퍼에어로시티, 현대 저상 뉴 슈퍼에어로시티
참조
[1]
문서
당시 우신버스는 기존의 유진운수 (서울)면허를 사용하지 않고 구 동부운수로부터 도시형버스 67번 폐선으로 인한 잉여면허를 양수받아 운행을 개시하였다.
[2]
문서
2015년 6월 30일까지 경기도 의왕시 경수대로 201 (고천동)<구 삼원여객 차고지>에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