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평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평대군은 조선 세종의 아들로, 1418년에 태어나 1453년 계유정난으로 수양대군에게 실권을 잃고 강화도로 유배된 후 사사되었다. 그는 문종 때부터 정치에 관여했으며, 수양대군과 대립했다. 시문과 그림에 능하여 안견 등과 교류하며 서화합벽을 제작했고, 대표작으로 몽유도원도가 있다. 계유정난 이후 그의 재산은 몰수되고, 작품들은 소실되었다. 숙종 때 복권되었으며, 현재 영릉 신도비, 심온 묘표 등에 그의 글씨가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종영 - 화의군
화의군 이영은 세종의 아들로 태어나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문란한 사생활과 단종 복위 운동 가담으로 고초를 겪었지만, 단종에 대한 충절을 인정받아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육종영 - 금성대군
금성대군은 조선 세종의 여섯째 아들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 실패하여 세조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사후 신원되고 관작이 복구되었다. - 1418년 출생 - 정희왕후
정희왕후는 조선 세조의 왕비로서, 계유정난을 통해 남편의 왕위 등극을 도왔으며, 성종 대에 수렴청정을 실시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룩했다. - 1418년 출생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 1453년 사망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1453년 사망 - 김종서 (1383년)
김종서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 학자로, 육진을 개척하고 국경을 확정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문신으로서도 활약했으나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되었다.
안평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안평대군 이 용 |
한글 | 안평대군 |
한자 | 安平大君 |
가타카나 | 안피ョン데군 |
히라가나 | 안헤이다이쿤 |
휘 | 이 용 |
작위 | 조선 세종의 왕자 |
출생일 | 1418년 10월 27일 (양력)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교동군 |
사망일 | 1453년 11월 27일 (양력) |
배우자 | 부부인 연일 정씨 |
별칭 | 자: 청지(淸之) 호: 비해당(匪懈堂), 낭우거사(琅玗居士) : 낭간거사(琅玕居士), 매죽헌(梅竹軒) |
자녀 | 2남 |
부왕 | 세종 |
모후 | 소헌왕후 심씨 |
시호 | 장소(章昭) |
묘호 | 장소 |
생애 | |
자 | 청지(淸之) |
호 | 비해당(匪懈堂), 낭우거사(琅玗居士), 낭간거사(琅玕居士), 매죽헌(梅竹軒) |
출생 | 영락 16년 9월 19일 (1418년 10월 18일) |
사망 | 경태 4년 10월 18일 (1453년 11월 18일) |
사망 장소 | 교동도 |
사인 | 형사 (사사) |
가족 관계 | |
실아버지 | 세종 |
실어머니 | 소헌왕후 |
배우자 | 영일정씨 |
자녀 | 이우직, 이우량 |
기타 정보 | |
![]() |
2. 생애
안평대군은 서예와 시문, 그림, 가야금에 능하였으며 한석봉과 함께 조선 전기 4대 서예가로 손꼽힌다. 그는 호탕한 기질로 무사들을 이끌고 매 사냥을 나서기도 했으나, 주로 문인들과 교류하였다. 문종 때부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조정의 정치에도 간섭하였다.
1453년 1월 28일(1452년 음력 12월 19일) 아들 이우량이 병사하였고, 1453년 5월 31일(음력 4월 23일)에는 부인 연일 정씨가 사망하였으나, 그는 아내의 장례식에 불참하였다. 평소 부인 정씨와 사이가 좋지 않아 서로 보지 않은 지 7, 8년이 되었고, 장례 절차에도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아들 의춘군 이우직도 아내의 장례에 참석하지 않아, 평민의 죽음과 다를 바 없었다는 기록이 있다.[13] 그는 불사(佛事)에 정성을 다했으나 세종과 소헌왕후, 문종이 연이어 사망하고 아들 이우량마저 죽자, 불교에 대한 믿음을 잃고 공덕을 드리는 것을 중단하였다.
수양대군의 무신 세력에 눌려 실권을 박탈당하였다. 평소 하연(河演), 안견(安堅), 박팽년(朴彭年) 등 당대의 서화가들과 교류하며 시문에 뛰어났고, 서화 또한 매우 뛰어났다. 그의 글씨는 조맹부체를 따랐으며, 활달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힘이 있었다. 그의 풍류와 문화를 사랑하는 인품이 글씨에 그대로 반영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현존하는 그의 글씨로는 경기도 여주의 영릉신도비(英陵神道碑), 용인시의 청천부원군심온묘표(靑川府院君沈溫墓表), 과천시의 임영대군구묘표 등이 있다. 1450년(문종 1년)에는 그의 주도로 구리 활자인 경오자(庚午字)를 주조하였는데, 그의 글씨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나, 그가 사사된 뒤 바로 녹여 을해자(乙亥字)를 만들었기 때문에 전해지는 것이 매우 드물다.
-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태종 (1367 ~ 1422) |
조모 | 원경왕후 민씨 (1365 ~ 1420) |
아버지 | 세종 (1397 ~ 1450) |
외조부 | 심온 (1375 ~ 1418)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 ~ 1444)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1395 ~ 1446) |
누나 | 정소공주 (1412 ~ 1424) |
형 | 문종 (1414 ~ 1452) |
누나 | 정의공주 (1415 ~ 1477) |
형 | 세조 (1417 ~ 1468) |
동생 | 임영대군 (1420 ~ 1469) |
동생 | 광평대군 (1425 ~ 1444) |
동생 | 금성대군 (1426 ~ 1457) |
동생 | 평원대군 (1427 ~ 1445) |
동생 | 영응대군 (1434 ~ 1467) |
정부인 | 부부인 연일 정씨 (? ~ 1453) - 좌의정 정연(鄭淵, 1389 ~ 1444)의 딸 |
장남 | 의춘군 이우직(宜春君 李友直, 1439 ~ 1454) |
자부 | 군부인 의령 남씨 - 좌의정 남지의 딸, 동생 임영대군의 처제, 영의정 남재(南在)의 손녀 |
자부 | 오대(五臺) |
손녀 | 무심(無心) |
차남 | 덕양군 우량(德陽君 友諒, ? ~ 1452) |
자부 | 미상 |
2. 1. 출생과 왕자 시절
이름은 '''이용'''(李瑢), 본관은 전주, 자는 청지(淸之), 호는 비해당(匪懈堂), 낭간거사(琅玕居士), 매죽헌(梅竹軒)이며, 세종과 소헌왕후의 셋째 아들이다. 문종과 세조의 동생이자 금성대군의 형이기도 하다.1418년(세종 즉위년)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세종이고,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세 살 때, 자식 없이 3년 전에 사망한 성녕대군의 양자가 되었다.[1] 1428년에 안평대군에 봉해졌고,[2] 1429년에 좌부대언 정연의 딸과 결혼하였다. 1430년에는 임영대군 등과 함께 성균관에 입학하여 학문을 닦았다. 1431년(세종 13년) 숙부 성녕대군의 봉사손이 되었다.[12]
이 무렵, 야심이 있음을 간파한 아버지 세종에 의해, 형인 수양대군과 함께 왕궁에서 멀리 떨어져 지냈다.
1438년에 육진이 설치되자 다른 왕자들과 함께 여진 토벌에 참여하여 김종서 등과 관계를 맺었다.
2. 2. 수양대군과의 경쟁
1438년 육진이 설치되자 다른 왕자들과 함께 여진 토벌에 참여하여 김종서 등과 관계를 맺었다.[1] 그는 무관들을 거느리고 사냥을 즐기기도 했지만, 주로 문인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형 문종의 치세에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조정의 정치에도 참여하게 되었다. 문종의 아들 단종이 즉위하자, 황표정사를 장악하고 인사권을 쥐고 있던 대신들과 손을 잡고 수양대군 일파와 대립하게 되었다.2. 3. 계유정난과 죽음
1453년(단종 1년), 둘째 형 수양대군(세조)에 의해 김종서, 황보인 등과 함께 정변을 기도했다는 이유로 사사되었다. 숙종 때 복권되었다.음력 10월 10일 강화도로 유배되었고, 교동도로 옮겨진 후, 8일 뒤인 10월 18일 같은 섬에서 사사(賜死)되었다.[13] 장남인 이우직도 강화도로 유배되었고, 1454년 진도에서 사사되었다.[3]
안평대군의 아내는 관비가 되었으며, 며느리인 오대와, 딸 무심은 권람의 집 노비가 되었다.
안평대군의 재산은 모두 몰수되었다. 양부인 성녕대군의 유족 재산도 몰수되었고, 계모 삼한국대부인 성씨는 그 지위를 잃고[4] 유배되었다. 그의 형제인 성득식·성중식도 탄핵을 받았다.[5] 삼한국대부인 성씨는 1456년(세조 2년)에 사면되어 친정으로 돌아가 그곳에서 죽었다.
2. 4. 사후
1453년 (계유정난) 단종 1년에, 둘째 형 수양대군(세조)에 의해 김종서, 황보인 등과 함께 정변을 기도했다는 이유로 사사되었다. 이후 숙종 때 복권되었다. 시호는 장소(章昭)이다.[3]아들 이우직은 강화도에서 진도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당했다. 그의 재산은 모두 몰수되었고 양아버지인 성녕대군 사가의 재산 역시 몰수되었다. 10월 19일 안평대군 일가가 화를 입어 몰살되자 양어머니인 성녕대군 부인 창녕성씨 또한 그해 10월 22일 경주로 귀양가 폐출(廢黜)되고, 오라비 성득식(成得識) 역시 거듭된 탄핵을 당했다. 그의 첩과 이우직의 처 역시 관비가 되었다. 양어머니 성씨는 1457년(세조 2)에 귀양에서 풀려나 친가에 있다가 사망한다.[3]
이후 선원계보에서도 삭제되어 서인(庶人)으로 강등되었다가, 숙종 때 복권되고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에 실렸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조부 | 태종 |
조모 | 원경왕후 민씨 |
아버지 | 세종 |
외조부 | 심온 |
외조모 |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
누나 | 정소공주 |
형 | 문종 |
누나 | 정의공주 |
형 | 세조 |
동생 | 임영대군 |
동생 | 광평대군 |
동생 | 금성대군 |
동생 | 평원대군 |
동생 | 영응대군 |
정부인 | 부부인 연일 정씨 - 좌의정 정연의 딸 |
장남 | 의춘군 이우직(宜春君 李友直) |
자부 | 군부인 의령 남씨 - 좌의정 남지의 딸, 동생 임영대군의 처제, 영의정 남재의 손녀 |
자부 | 오대(五臺) |
손녀 | 무심(無心) |
차남 | 덕양군 우량(德陽君 友諒) |
자부 | 미상 |
안평대군은 1429년 좌의정을 지낸 정연의 딸 영일정씨와 혼인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1452년에 차남 이우량(李友諒)이 병으로 죽고, 1453년 4월 23일(음력)에 영일정씨가 사망하였다.[11]
4. 평가 및 기타
서예와 시문, 그림, 가야금에 능하였으며 한석봉과 함께 명필로 여겨진다.[14] 시문과 그림에 관심이 많아 안견, 박팽년, 김수온, 이현로 등과 교류하였다. 안평대군의 주도로 글과 그림이 어울려 이루어지는 서화합벽(書畵合璧)이 권축(卷軸) 형태로 다수 제작되었다. 이는 세종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종합예술 형식이다.[14] 대표적인 작품으로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들 수 있다.
계유정난 이후 세조는 안평대군과 이현로(李賢老)의 집에 있던 글과 작품들을 보지도 않고 '괴상한 글과 작품'이라는 이유로 모두 불태워 버렸다.[15] 안견(安堅)과 박팽년(朴彭年) 등 서화가들과 교류가 있었으며, 스스로도 시와 글씨, 그림을 남겼으나, 처형 후 그의 형인 세조가 많은 작품을 파괴했다.[6] 파괴된 작품들 중에는 1450년 이융(李瑢)이 주도하여 제작된 경오자(庚午字)도 포함되어 있다.
현존하는 작품은 대부분 석비에 사용된 것이며, 유일한 직필 작품이자 대한민국 국보 제238호로 지정된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은 2001년 1월 도난당해 행방불명이다.[7]
이미지 | 작품명 | 제작년도 | 소장처 |
---|---|---|---|
![]() | 영릉(英陵) 신도비[8] | 1452년 | 경기도 여주시 |
청천부원군 심온(沈溫) 묘표[9] | 미상 | 경기도 용인시 | |
임영대군 구묘표 | 미상 | 경기도 과천시 | |
집고첩발(集古帖跋)[7] | 1443년 | 개인 소장 | |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 미상 | 미상 |
5. 관련 작품
안평대군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드라마
- 설중매 (MBC, 1984년, 배우: 전인택)
- 파천무 (KBS2, 1990년, 배우: 차두옥)
- 한명회 (KBS2, 1994년, 배우: 노영국)
- 왕과 비 (KBS1, 1998년, 배우: 정성모)
- 대왕 세종 (KBS, 2008년, 배우: 한시훈, 강한별)
- 공주의 남자 (KBS2, 2011년, 배우: 이주석)
- 인수대비 (JTBC, 2011년~2012년, 배우: 이광기)[16]
- 기타
- 왕녀의 남자 (KBS, 2011년)
- 대군-사랑을 그리다 (TV조선, 2018년, 주연: 윤시윤)
5. 1. 드라마
6. 현존하는 작품
현존하는 작품은 대부분 석비에 사용된 것이며, 유일한 직필 작품이자 대한민국 국보 제238호로 지정된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은 2001년 1월 도난당해 행방불명이다.[7]
이미지 | 작품명 | 제작년도 | 소장처 |
---|---|---|---|
영릉(英陵) 신도비[8] | 1452년 | 경기도 여주시 | |
청천부원군 심온(沈溫) 묘표[9] | 미상 | 경기도 용인시 | |
임영대군 구묘표 | 미상 | 경기도 과천시 | |
집고첩발(集古帖跋)[7] | 1443년 | 개인 소장 | |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 미상 | 미상 |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 12권, 3년(1421) 7월 7일
조선왕조실록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 40권, 10년(1428) 6월 16일
조선왕조실록
[3]
서적
조선왕조실록 단종 8권, 1년(1453) 10월 18일
조선왕조실록
[4]
서적
조선왕조실록 단종 8권, 1년(1453) 10월 18일
조선왕조실록
[5]
서적
조선왕조실록 단종 8권, 1년(1453) 10월 22일
조선왕조실록
[6]
뉴스
[씨줄날줄] 소원화개첩(小苑花開帖)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0-09-08
[7]
뉴스
[서예가 열전](8) 조선 초기- 안평대군(下)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9-08
[8]
웹사이트
세종대왕영릉신도비
http://gsm.nricp.go.[...]
2012-08-11
[9]
웹사이트
심온묘갈
http://gsm.nricp.go.[...]
2012-08-11
[10]
웹사이트
안평대군
http://people.aks.ac[...]
2012-08-11
[11]
서적
조선왕조실록 단종 6권, 1년(1453) 4월 23일
조선왕조실록
[12]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종 12권, 3년(1421) 7월 7일 2번째 기사
조선왕조실록
[13]
서적
단종실록 6권, 단종 1년(1453) 4월 23일 3번째 기사
단종실록
[14]
웹사이트
〈몽유도원도〉 권축과 세종대 서화합벽 연구
http://www.riss.kr/s[...]
[15]
서적
단종실록 8권, 단종 1년(1453) 10월 25일 7번째 기사
단종실록
[16]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악과 창극, 다른 시선으로 풀어낸 ‘보허자’
버릴 수 없던 안평의 꿈…몽유도원도로 풀어낸 수양대군 쿠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