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은 오사카부의 모리구치시 다이니치역에서 야오시 야오미나미역까지 운행하는 오사카 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이다. 1967년 히가시우메다역과 다니마치 4초메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 공사를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었다. 덴로쿠 가스 폭발 사고로 공사가 지연되기도 했다. 현재 22계와 30000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며, 모든 역에 정차하는 운행 형태를 갖추고 있다. 2003년부터 여성 전용 차량을 운영하고 있으며, 난카이 히라노선의 노면전차 구간을 계승한 구간도 포함되어 있다. 과거 다이니치역에서 북쪽, 야오미나미역에서 남쪽으로의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현재는 실현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
    오사카 메트로 요쓰바시선은 니시우메다역에서 스미노에코엔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미도스지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건설되어 1942년 일부 구간 개통 후 1972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현재 23계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의 철도 노선 -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은 오사카시를 운행하는 오사카 메트로의 지하철 노선으로, 1969년 개통을 시작해 1981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5계 전동차가 14개 역을 거쳐 노다한신역과 미나미타쓰미역을 잇는다.
  • 196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6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큐 센리선
    한큐 센리선은 일본 오사카부에 위치한 한큐 전철의 철도 노선으로, 덴진바시스지 6초메역에서 기타센리역까지 11개의 역을 운영하며 사카이스지선 등과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산요 신칸센
    산요 신칸센은 신오사카역에서 하카타역까지를 잇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노선으로, 1972년 개통되어 1987년 JR 서일본에 계승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과 여러 등급의 열차가 운행된다.
  • 오사카부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이름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원래 이름다니마치선
원래 이름 (언어)ja
로마자 표기Tanimachi-sen
다른 이름고속 전기 궤도 제2호선, 오사카 시 고속 철도 제2호선, 2호선 (다니마치선)
2015년 4월 다니마치선 30000계 전동차
2015년 4월 다니마치선 30000계 전동차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망오사카 메트로
상태운영 중
지역오사카
기점다이니치 역
종점야오미나미 역
역 수26개 역
개통일1967년 3월 24일
전체 개통1983년 2월 8일
소유자오사카 시 고속 전기궤도 (2018년~현재), 오사카 시 교통국 (1967년~2018년)
운영자오사카 시 고속 전기궤도
차량기지다이니치, 야오
사용 차량22계, 30000계
노선 길이28.1 km
영업 거리28.3 km
선로 수복선
전기화 방식직류 750 V 제3궤조 방식
신호 방식자동 폐색식
안전 장치WS-ATC
최고 속도70 km/h
웹사이트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 웹사이트
노선도
다니마치선 노선도
다니마치선 노선도
다니마치선 노선도
다니마치선 노선도
연결 노선 (우메다 주변)
오사카 메트로
1: 요쓰바시선 (계획된 연장)
오사카 메트로
2: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오사카 메트로
3: 한큐: 고베/다카라즈카/교토 본선
오사카 메트로
4: JR-W: 도카이도 본선 (JR 교토선)
색상 정보
색상교무라사키 (진한 자주색, 로열 퍼플) (#522886)
문자

2. 역사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은 공식적으로 "2호선"으로 불리지만, 실제 개통 순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2년에 최초 구간이 개통된 3호선 요츠바시선과 1961년에 최초 구간이 개통된 4호선 주오선보다 늦은 네 번째였다. 다니마치선은 1967년부터 1983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개통되었다.

오사카시 주오구 동부의 관청가와 덴노지구, 아베노구의 문교 지구를 지나기 때문에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약 50만 명으로, 오사카 메트로에서는 미도스지선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서일본 지하철 중에서도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에 이어 세 번째로 이용객이 많다.[7]

히가시우메다역과 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을 동일 역으로 간주하면(30분 이내 환승 시), 오사카 메트로의 모든 지하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다른 지하 노선과의 교차 부분을 살펴보면, 덴마바시역게이한 본선, 게이한 나카노시마선, 미나미모리마치역덴진바시스지 6초메역사카이스지선, 다니마치 4초메역주오선, 덴노지역미도스지선을 제외하고는 다니마치선이 위를 지나간다.

다니마치선은 오사카 메트로에서 가장 긴 영업 거리를 가진 노선이다. 일본 전체 지하철 노선 중에서도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에 이어 네 번째로 길다. 다이니치역에서 야오미나미역 직전까지 터널이 연속되어 있어, 야오미나미역 개통 이후 오랫동안 일본에서 가장 긴 지하철 터널이었다 (개통 당시에는 세계적으로도 긴 편에 속했다).[8] 지금은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 (우라와미소노역히가시카와구치역 사이 - 메구로역후도마에역 사이),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메이코선 (전 구간)의 개통으로 일본에서 네 번째이다.

세키메타카도노역, 시텐노지마에 유히가오카역, 코마가와나카노역, 기레우리와리역 등 다른 노선에 비해 복합 역명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쇼와 50년대에 주거 표시가 대폭 변경되면서 노선이 대자의 경계선과 일치하게 되었기 때문이며, 그 이후에 개통한 다이니치역 - 미야코지마역 구간과 덴노지역 - 야오미나미역 구간에서 두드러진다. 특히 시텐노지마에 유히가오카역의 경우 역명 결정 과정에서 관광 명소를 우선할지, 지명을 우선할지를 두고 심각한 대립이 있기도 했다.

다니마치선은 미도스지선과 마찬가지로 오사카 시외의 역을 기점과 종점으로 하고 있다.

다니마치선은 역사적 경위로 인해, 거리를 나타내는 킬로미터 포스트의 매기는 방식이 다음과 같이 두 구간으로 나뉜다.


  • 다이니치역 → 모리구치역: 다이니치 검차장으로의 인입선으로 개통한 구간을 다이니치 기점으로 킬로미터 포스트를 매기고 있다.
  • 모리구치역 → 야오미나미역: 모리구치 기점으로 킬로미터 포스트를 매기고 있다.


1967년 9월에는 자동 열차 운전 장치(ATO)의 기초 시험이 시작되었다. 7000·8000형 (7007 + 8007호 → 30계로 개칭)에 ATO를 탑재하여, 1968년 3월까지 다니마치욘초메 - 히가시우메다 간 북행선에서 심야 막차 이후에 시험을 실시했다.[19]

1976년에는 6량 편성 운행이 시작되었고,[21] 1982년에는 미도스지선 30계의 일부가 다니마치선으로 전입되기 시작했다.

1989년에는 20계 전동차 (2대째)가 투입되었고, 1990년에는 22계 전동차 운행이 개시되면서 50계 전동차가 퇴역했다.

1994년에는 섣달 그믐의 심야 운행이 시작되었고, 2003년에는 평일 첫차부터 9시까지 여성 전용 차량이 도입되었다.[15]

2004년에는 운전 지령 기능을 수송 지령소로 이전하고 (오사카 시영 지하철에서는 이것이 첫 번째 노선이었다), 구내 방송을 갱신했으며, 모든 역에 발차 멜로디를 채용했다.

2009년에는 30000계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2013년에는 30계 전동차의 여객 운전이 종료되고 고별 운전을 끝으로 퇴역했다.

2017년에는 낮 시간대 운행 계통을 다이니치역 - 야오미나미역 간으로 하여 7분 30초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11]

2018년 4월 1일, 오사카 시영 지하철의 민영화로 오사카 시 고속 전기 궤도 (Osaka Metro)의 노선이 되었다.

2020년에는 히가시우메다역에서 다니마치선 최초의 가동식 스크린도어 운용이 시작되었고,[23] 낮 시간대 운행 간격이 6분으로 단축되었다.[12]

2. 1. 초기 개통

1967년 3월 24일, 오사카 메트로 2호선 히가시우메다 ~ 다니마치욘초메 구간이 개통되었고, 2량 편성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1968년 12월 17일에는 다니마치욘초메 ~ 덴노지 구간이 연장 개통되면서 4량 편성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69년 12월 6일에는 노선 애칭이 '''다니마치선'''으로 공식 채택되었다.

1970년 4월 8일에는 덴진바시로쿠초메역 건설 중 덴로쿠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79명이 사망하고 420명이 부상당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하여 공사가 지연되기도 하였다.[4]

1974년 5월 29일에는 히가시우메다 ~ 미야코지마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77년 4월 6일에는 모리구치역 ~ 미야코지마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1980년 11월 27일에는 덴노지 ~ 야오미나미역 구간이, 1983년 2월 8일에는 다이니치역 ~ 모리구치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2. 2. 덴로쿠 가스 폭발 사고

1970년 덴진바시스지 6초메에서 다니마치선 지하철 공사 중 대규모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공사가 크게 지연되었다.[1] 이 사고로 79명이 사망하고 420명이 부상당했으며, 495개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1]

2. 3. 연장 개통

2. 4. 역명 변경 및 시설 개선

1997년 8월 29일 다음 두 역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개칭 전에도 자동 방송에서는 부역명이었던 "타카도노", "유히가오카"를 포함하여 안내되었다.[8]

3. 운행 형태

낮에는 다이니치 - 야오미나미 구간을 운행한다.[3] 평일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미야코지마 - 후미노사토, 기레우리와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후미노사토행, 기레우리와리행은 다이니치 발 외에 모리구치 발, 미야코지마행은 나가하라 발 열차가 있다. 이는 차량 기지의 배선 관계상 차량 기지 소재역의 다음 역부터 영업을 시작하는 것으로, 미도스지선신카나오카 시발 열차와 유사하다. 단, 미도스지선에는 신카나오카행 열차가 있지만, 다니마치선에는 모리구치역, 나가하라역 종착 열차는 없다 (차량의 방향막에는 모리구치, 나가하라 행선지 표시가 있음). 미야코지마 발 야오미나미행, 기레우리와리·후미노사토 발 다이니치행도 일부 설정되어 있다. 휴일에는 종일 다이니치역 - 야오미나미역 구간을 운행하지만, 아침에 다이니치 발 기레우리와리행, 밤에 야오미나미 발 미야코지마행이 각각 1편씩 있다.[11]

오랫동안 주간에는 다이니치역 - 야오미나미역 전 구간 운행과 미야코지마역 - 후미노사토역 구간 운행 2개 계통이 있었다. 다이니치역 - 미야코지마역 구간과 후미노사토역 - 야오미나미역 구간은 매시 6편, 미야코지마역 - 후미노사토역 구간은 매시 12편이었다. 2017년 3월 25일 다이어 개정으로 주간 구간 운행이 폐지되고 전 구간 매시 8편으로 변경되었으나,[11] 혼잡으로 인해 2020년 3월 14일 다이어 개정으로 전 구간 매시 10편으로 증편되었다.[12] 개정 전 미야코지마역 - 후미노사토역 구간의 주간 매시 12편 운행은 당시 오사카 시영 지하철 중 미도스지선 다음으로 많았으며, 사카이스지선과 같았다. 다이니치역 - 미야코지마역 구간과 후미노사토역 - 야오미나미역 구간의 주간 매시 6편 운행은 이마자토스지선과 함께 오사카 시영 지하철 중 가장 적었다.

도심을 관통하고 거리가 길어 급행 운전이 검토되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13][14]

2020년 3월 14일 개정 시점의 운전 간격
시간대다이니치미야코지마후미노사토기레우리와리야오미나미

colspan="12" | 10분
아침 러시5분 - 6분2분 30초 - 3분5분 - 6분
주간6분
저녁 러시6분 - 7분3분 - 3분30초3분 - 7분6분 - 7분
야간6분
심야10분


colspan="12" | 10분
아침 러시5분 - 6분
주간부터 야간6분
심야10분


4. 차량

현재 22계30000계가 운행되고 있다. 1990년대에는 혼잡률이 180%에 육박했지만, 운행 횟수 증가와 수송 능력 감소로 인해 2000년도 이후에는 130% 아래로 떨어졌다. 2023년도 아침 혼잡 시간대 최다 혼잡 구간은 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 구간이며, 피크 시간대 (7시 50분 ~ 8시 50분)의 혼잡률은 108%이다.[17]

2015년도 결산 기준 경상수지는 약 58억, 영업수익은 약 67억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이익은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약 361억)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2014년도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501,598명으로,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1,135,322명) 다음으로 많다.

연도별 수송 실적
연도하루 평균
수송 인원 (명)
최다 혼잡 구간[17][18]혼잡률 (%)
2014년501,598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08
2015년508,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10
2016년517,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11
2017년527,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23
2018년528,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23
2019년510,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24
2020년393,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03
2021년415,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00
2022년463,000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02
2023년다니마치큐초메 → 다니마치로쿠초메108


4. 1. 현재 운행 차량

22계 6량 편성 전동차(1990년 이후)와 30000계 6량 편성 전동차(2009년 이후)가 운행되고 있다.

총 40개 편성 240량이 재적되어 있으며, 2011년부터 22계의 리프레시 개조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2]

열차 유지 보수 및 검사는 주오선 열차를 담당하는 그룹이 모리노미야 차량사업소에서 담당한다.[2] 이 차량사업소는 다니마치로쿠초메역 전과 주오선의 다니마치욘초메역 후에 위치한 지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2] 2006년, 킨테츠 게이한나선(당시 히가시오사카선)의 주오선 연장 개통을 대비하여 다니마치선의 20계 9개 편성 열차가 주오선에서 22계 9개 편성(24계 열차에서 개조)으로 교체되었다.[2] 2016년부터 정기 검사는 요츠바시선의 미도리키 검차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8년에는 22계 1개 편성이 리프레시 개조 시 23계로 변경되어 요츠바시선으로 전속되었다.[2]

4. 2. 과거 운행 차량


  • 30000계 (2009년 ~ 2013년)
  • 20계 (1989년 ~ 2006년, 주오선으로 이적)
  • 10계 (1974년 ~ 1976년, 이후 미도스지선으로 이적)
  • 30계 (1967년 ~ 2013년)[19][20][21][22]
  • 50계 (1969년 ~ 1991년)
  • * 5700계 (1980년 ~ 1991년)
  • * 5800계 (1978년 ~ 1991년)
  • * 5900계 (1978년 ~ 1991년)

5. 역 목록

한큐 전철 센리선 (K11)T19나카자키초中崎町|나카자키초일본어0.89.3기타구T20히가시우메다東梅田|히가시우메다일본어1.010.3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미도스지선 우메다역 (M16), 요츠바시선 니시우메다역 (Y11)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 (JR 교토선·JR 고베선 (JR-A47)), JR 다카라즈카선 (JR-G47), 오사카히가시선 (JR-F01), 오사카 순환선 (JR-O11) 오사카역, JR 도자이선 기타신치역 (JR-H44)
한신 전기철도 본선 오사카 우메다역 (HS 01)
한큐 전철 고베 본선·다카라즈카 본선·교토 본선 오사카 우메다역 (HK-01)T21미나미모리마치南森町|미나미모리마치일본어1.211.5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사카이스지선 (K13)
서일본 여객철도 JR 도자이선 오사카 덴만구역 (JR-H43)T22덴마바시天満橋|덴마바시일본어1.813.3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나카노시마선 (KH03)T23다니마치 4초메谷町四丁目|다니마치욘초메일본어0.914.2주오구T24다니마치 6초메谷町六丁目|다니마치로쿠초메일본어1.015.2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나가호리쓰루미료쿠치선 (N18)T25다니마치 9초메谷町九丁目|다니마치큐초메일본어0.916.1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센니치마에선 (S18)
긴키 일본 철도 오사카선 (D03)·난바선·나라선 (A03) 오사카 우에혼마치역T26시텐노지마에 유히가오카四天王寺前夕陽ヶ丘|시텐노지마에 유히가오카일본어0.816.9덴노지구T27덴노지天王寺|덴노지일본어0.917.8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미도스지선 (M23)
서일본 여객철도 오사카 순환선 (JR-O01)·간사이 본선 (야마토지선 (JR-Q20))·한와선 (JR-R20)
긴키 일본 철도 미나미오사카선 오사카 아베노바시역 (F01)
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선 덴노지 역 앞역 (HN01)T28아베노阿倍野|아베노일본어0.618.4한카이 전기 궤도 우에마치선 (HN02)T29후미노사토文の里|후미노사토일본어1.119.5아베노구T30다나베田辺|다나베일본어1.020.5T31고마가와나카노駒川中野|고마가와나카노일본어1.021.5히가시스미요시구T32히라노平野|히라노일본어1.723.2T33기레우리와리喜連瓜破|기레우리와리일본어1.424.6히라노구T34데토出戸|데토일본어1.325.9T35나가하라長原|나가하라일본어1.227.1T36야오미나미八尾南|야오미나미일본어1.228.3야오시


6. 노선 데이터

항목내용
노선 거리 (실제 거리)28.1 km
노선 거리 (영업 거리)28.3 km
궤간1435mm
역 수26개 역 (기점, 종점역 포함)
복선 구간전 구간
전화 구간전 구간 (직류 750V·제3궤조 방식)
지상 구간야오미나미역 부근 (약 200m)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WS-ATC
최고 속도70 km/h[6]
편성 차량 수6량 (1976년~)
홈 최대 편성 가능 차량 수8량



운임 계산 상으로는 히가시우메다역덴노지역 구간은 미도스지선우메다역덴노지역 구간과 동일한 길이로 간주된다.[10]

7. 특징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은 1967년부터 1983년에 걸쳐 개통되었으며, 미도스지선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 수를 기록하고 있다.[1] 2009년 기준 하루 평균 약 50만 명이 이용하였으며, 이는 서일본 지하철 중에서도 세 번째로 많은 수치이다.[7]

다니마치선은 오사카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특히 주오구 동부의 관청가와 덴노지구, 아베노구의 학교 밀집 지역을 지나간다. 히가시우메다역과 우메다역, 니시우메다역을 동일 역으로 간주하면 오사카 메트로의 모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다니마치선은 오사카 메트로에서 가장 긴 영업 거리를 가진 노선이며, 일본 전체 지하철 노선 중에서도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에 이어 네 번째로 길다. 다이니치역에서 야오미나미역까지 이어지는 터널은 한때 일본에서 가장 긴 지하철 터널이었으나,[2] 현재는 도에이 지하철 오에도선, 사이타마 고속철도선·도쿄 메트로 난보쿠선·도큐 메구로선(우라와미소노역히가시카와구치역 사이 - 메구로역후도마에역 사이),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메이코선에 이어 네 번째이다.

덴마바시역게이한 본선, 게이한 나카노시마선, 미나미모리마치역덴진바시스지 6초메역의 사카이스지선, 다니마치 4초메역의 주오선, 덴노지역의 미도스지선을 제외하고는 다니마치선이 다른 지하 노선 위를 지나간다.

다니마치선 건설 과정에서 덴진바시로쿠초메역 가스 폭발 사고가 발생하여 79명이 사망하고 420명이 부상당하는 큰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다니마치선의 수송량 및 수익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연도하루 평균 수송 인원 (명)경상 수지 (백만 엔)영업 수지 (백만 엔)영업 계수
2007년476,9844,6615,22881.3
2008년478,1546,9515,89878.9
2009년482,3457,3486,83075.8
2010년479,8516,1326,31577.5
2011년478,3723,6054,67183.3
2012년483,4544,2686,14878.1
2013년494,0414,7356,58477.3
2014년501,5984,4045,49780.8
2015년508,0005,8056,67276.9
2016년517,0006,3257,15575.8
2017년527,0007,4868,01173.1
2018년528,000
2019년510,000
2020년393,000
2021년415,000
2022년463,000



2015년도 결산 기준 경상이익은 약 58억 엔으로, Osaka Metro 미도스지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흑자를 기록했다.[16]

2023년 기준 아침 출근 시간대 최다 혼잡 구간은 다니마치큐초메에서 다니마치로쿠초메 구간이며, 오전 7시 50분부터 8시 50분 사이의 혼잡률은 108%이다.[17] 1990년대에는 혼잡률이 180%에 육박하기도 했으나, 운행 횟수 증가 등으로 인해 2000년대 이후에는 130% 미만으로 감소했다.

연도운행 횟수 (회)수송 능력 (명)수송량 (명)혼잡률 (%)
1990년2015,24026,680175
1991년2015,24027,016177
1992년2015,24027,060178
1993년2015,24026,790176
1995년2015,240156
1999년2418,28824,308133
2000년2418,28823,646129
2001년2418,288129
2002년2418,288127
2003년2418,28823,185127
2004년125
2005년123
2006년123
2007년2419,72823,636120
2008년2419,72823,207118
2009년2419,72822,428114
2010년2419,72821,854111
2011년2419,72821,441109
2012년2419,72821,224108
2013년2419,72821,168107
2014년2419,72821,389108
2015년2419,72821,632110
2016년2419,72821,965111
2017년2218,08422,284123
2018년2218,08422,221123
2019년2218,08422,409124
2020년2218,08418,581103
2021년2318,90618,864100
2022년2318,90619,235102
2023년2318,90620,404108


7. 1. 복합 역명

세키메타카도노 역, 시텐노지 앞 유히가오카 역, 고마가와나카노 역, 기레우리와리 역 등과 같이 다른 노선 구역에 비해 복합 역명이 많다. 1975년대의 주거 표시의 대폭 변경으로 노선이 모두 대자의 경계선과 일치하게 되었기 때문이며, 그 이후에 개통한 다이니치 역 - 미야코지마 역 간과 덴노지 역 - 야오미나미 역 간에서 현저하다. 시텐노지 앞 유히가오카 역에서는 관광 명소를 우선할지 지명을 취할지를 두고 심각한 대립도 일어났다.[8] 또한 전자의 2개의 역에 관해서는 1997년에 세키메 역, 시텐노지 앞 역에서 각각 세키메타카도노 역, 시텐노지 앞 유히가오카 역으로 개칭되었지만, 개칭되기 전에도 자동 방송에서는 부역명이었던 "타카도노", "유히가오카"를 포함하여 안내되었다.

7. 2. 난카이 히라노선 계승 구간

1927년, 다니마치선 초기 계획은 다니마치스지 서쪽의 마쓰야마치스지를 따라 건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건설 중 붕괴 사고 등으로 인해 현재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다니마치선 일부 구간은 주거 지역 근처의 좁은 도로 아래를 지나가는데, 이는 아베노-히라노 구간이 난카이 히라노선(노면전차)의 여객 수송을 계승하기 위해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다니마치선의 이 구간은 노면전차 노선을 지하 급행 수송 서비스로 전환한 것이다.

이 구간 내 역들의 이름은 히라노선의 역 이름을 반영한다.

대체된 역비고
이마이케한카이 궤도 한카이선에 역이 여전히 존재한다. 히라노선은 역 바로 남쪽에서 분기되었다.
토비타도비타 신치 남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옛 유흥가의 담벼락 옆에 있다.
아베노 (사이조-마에)아베노우에마치선 아베노역과 수직으로 위치하며, 역 동쪽의 지선은 텐노지-에키마에와 히라노 간의 직통 운전을 가능하게 했다.
나와시로다
후미노사토후미노사토지하철역은 나와시로다 방향으로 북서쪽으로 이동했으며, 히라노선 역은 후미노사토 상점가 입구에 위치했다.
모모가이케JR 한와선이 다니마치선을 가로지르는 모모가이케 공원 옆에 위치해 있다.
타나베타나베지하철역은 모모가이케 방향으로 200m 북서쪽으로 이동했다.
코마가와-쵸코마가와-나카노코마가와-에키마에 상점가 근처에 위치해 있다.
나카노이마자토-스지가 다니마치선을 가로지르는 곳과 대략 같은 위치에 있었다.
니시-히라노히라노히라노 구청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전 역 부지는 "세토구치 공원"으로 조경 및 유지 관리되고 있다.
히라노오사카 내 루프 도로 동쪽에 위치하며, 역사적인 히라노 마을의 남서쪽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한다. 이전 위치에는 작은 공원과 기념비가 있다.


8. 연장 계획 (미실현)

1989년(헤이세이 원년)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0호에서 제시된 이후,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선의 연장 계획은 전혀 건설될 가망이 없는 상태이다.

과거에는 다이니치역에서 북쪽으로 부도 13호 교토모리구치선 지하를 지나 요도가와를 건너 셋쓰시 토리카이 나카에서 부도 16호선을 따라 JR 교토선다카츠키역, 한큐 교토 본선다카츠키시역 부근까지, 또한 야오미나미역에서 남쪽으로 후지이데라시·토미타린시 방면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었다.

이 계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시외 구간이 길어져 오사카부와 현지 각 자치단체의 협력이 필요하며, 미도스지선 에사카역 이북의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의 사례처럼, 새롭게 제3섹터 철도 회사를 설립해야 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는 막대한 비용이 발생한다는 등의 이유로 현재 연장 계획은 완전히 백지화된 상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saka Municipal Transportation Bureau: Current Account Balance by Line http://www.city.osak[...]
[2] 문서 The 1979 to 1981 Japanese editions of the [[Guinness Book of World Records]] (published by [[Kodansha]]) listed as the "World's Longest Subway Tunnel" [[Morden tube station|Morden]] – [[East Finchley tube station|East Finchley]] via [[Bank and Monument stations|Bank]] (27.8km) on the [[Northern line]] of the [[London Underground]], while the 1982 edition honored [[Belyayevo (Moscow Metro)|Belyayevo]] – [[Medvedkovo (Moscow Metro)|Medvedkovo]] (30.km, opened 1978) on the [[Kaluzhsko-Rizhskaya Line]] of the [[Moscow Metro]].
[3] 웹사이트 谷町線 http://kensaku.kotsu[...] 2014-08-05
[4] 간행물 公営地下鉄在籍車数ビッグ3 大阪市交通局 2009-04
[5]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6-08-14
[6]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7] 문서 Osaka Metro、[[名古屋市営地下鉄]]、[[京都市営地下鉄]]、[[神戸市営地下鉄]]、[[福岡市営地下鉄]]
[8] 문서 [[ギネス世界記録|ギネスブック]]の「最長の地下鉄トンネル」の項目は、当時の邦訳版([[講談社]]刊)では1979年版(1978年刊)から1981年版(1981年刊)までは[[ロンドン地下鉄]][[ノーザン線]]の「[[モーデン駅|モーデン]]から[[バンク駅・モニュメント駅|バンク]]を経てイースト・フィンチリー (East Finchley) までの 27.8 km」、1982年版(1982年刊)では[[モスクワ地下鉄]][[カルーシュスコ=リーシュスカヤ線]](6号線)の「ベリャーエボ (Belyayevo) からメドベトコボ (Medvedkovo) までの約 30.8 km」(該当区間は1978年に全通)と記されていた。
[9] 문서 "[http://www.mlit.go.jp/common/001245932.pdf#page=3 混雑率データ 平成29年度]" 国土交通省 2018-09-14
[10] 문서 扇町経由で定期券を購入することは可能で、東梅田経由より定期運賃が安くなることがある。この場合も経路外の東梅田経由で乗り通すことは認められるが、中崎町駅と東梅田駅では[[途中下車]]できなくなる。
[11] 웹사이트 大阪市交通局|市営地下鉄谷町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 www.kotsu.city.osaka[...] 2018-02-10
[12] 간행물 2020年3月14日(土曜日)初発から谷町線の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昼間・夜間時間帯の運行本数を増やし運行間隔を1分30秒短縮~ https://subway.osaka[...] 大阪市高速電気軌道 2020-02-06
[13] 서적 大阪市交通局 (私鉄の車両16) 保育社
[14] 서적 大阪市交通局 (私鉄の車両16) 復刻版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5] 간행물 地下鉄谷町線に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 http://www.kotsu.cit[...] 大阪市交通局 2003-11-26
[16] 웹사이트 大阪市交通局|地下鉄 路線別収支 www.kotsu.city.osaka[...] 2018-02-10
[17] 웹사이트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18] 문서 「都市交通年報」各年度版
[19] 논문 最新の車上自動列車運転装置 三菱電機 1971-04
[20] 논문 大阪市地下鉄のATO試験 鉄道図書刊行会 1968-04
[21] 뉴스 きょうから6両運転 交通協力会 1976-10-31
[22] 뉴스 大阪市営地下鉄谷町線 天王寺-八尾南間の営業を開始 交通協力会 1980-11-28
[23] 웹사이트 谷町線東梅田駅で可動式ホーム柵の運用を開始します!!|Osaka Metro https://subway.osaka[...] 2020-07-09
[24] 문서 太子橋今市駅の所在地は大阪市旭区とされているが、駅施設の大部分(今里筋線部分については全体)が隣接する[[守口市]]内に設けられている。
[25] 웹사이트 旅客連絡運輸規則 https://www.jr-odeka[...] 西日本旅客鉄道 2021
[26] 문서 運転系統としての「京都本線」。同線の正式な起点は「[[十三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