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허봉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동인에 속했으며, 이황, 이언적 등의 문인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1568년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1572년 친시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섰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하곡조천기》를 저술했으며, 이이 등 서인과 대립하다가 함경도 종성에 유배되었다. 이후 유성룡의 도움으로 석방되었으나 정계 복귀를 거부하고 전국을 유랑하다 38세에 사망했다. 저서로는 《하곡집》 등이 있다. 또한 창빈 안씨를 첩으로 칭하며 선조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배된 사람 - 교황 에우세비오
제공된 텍스트가 없어 교황 에우세비오에 대한 요약문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유배된 사람 - 임박
임박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홍건적 격퇴에 공을 세우고 원나라 사신으로 활동하며 공민왕에 대한 충절을 지켰으나, 신돈과의 관계로 비판을 받고 우왕 옹립에 반대하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 1588년 사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88년 사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허균 - 홍길동전
《홍길동전》은 조선 시대 사회 문제 속에서 서얼 출신 홍길동이 활빈당을 이끌고 의적 활동을 펼치다 율도국을 건설하는 이야기를 그린 한글 소설로, 사회 비판과 민중 영웅 제시를 통해 문학적,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한국 문화의 주요 상징이 되었다. - 허균 - 이복남
이복남은 1555년 강원도 명주 출신으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하여 활약하다 남원성 전투에서 전사한 조선 중기의 무관이다.
허봉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양천(陽川) |
자 | 건중(建仲) |
호 | 하곡(荷谷) |
다른 이름 | 이름: 허엽(許曄) 아명: 허준(許 준) |
생애 | |
출생 | 1551년 |
사망 | 1588년 |
묘소 |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축현리 |
가족 | |
아버지 | 허자(許磁) |
어머니 | 문화 유씨(文化柳氏) |
부인 | 해주 오씨(海州吳氏) 남양 홍씨(南陽洪氏) |
형제 | 형: 허강(許 橿) 아우: 허성(許惺) 아우: 허난설헌(許蘭雪軒) |
자녀 | 아들: 허통(許通) 서녀: 이름 미상 |
학력 | |
수학 | 남명 조식(曺植)의 문인 |
관력 | |
관직 | 사헌부 지평(持平) 홍문관 수찬(修撰) 전라도 도사(都事) |
저서 | |
저서 | 《하곡집(荷谷集)》 《성옹식소(醒翁識小)》 |
기타 | |
신앙 | 불교 |
2. 생애
서경덕의 문인들과 이황, 이언적, 조식의 문인들이 모여 동인을 형성하면서, 아버지 허엽을 따라 동인이 되었다. 1583년(선조 16) 홍문관 전한, 같은 해 9월 창원 부사를 역임했으며, 최종 관직은 통훈대부 사헌부 장령, 성균관 전한이었다. 술을 지나치게 좋아하여 병을 얻었고, 냉담증이 생겨 의사에게 치료를 받기 위해 동교(東郊)로 가던 중 1588년(선조 21) 금강산 근처 김화군 생창역(生昌驛)에서 황달 증세로 38세에 갑자기 사망했다. 저서로는 《하곡집》 등이 있다.[1]
2. 1. 초기 생애와 수학
허엽의 아들이며, 당색은 동인이었다. 허성은 그의 이복 형이었고, 허균과 허난설헌은 그의 친동생들이었다.미암 유희춘(柳希春)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으며, 1568년(선조 1) 생원시에 1등으로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72년 친시문과(親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으며, 1574년에는 명나라에 파견되는 수행사신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자청하여 명나라에 다녀왔다. 뒤에 명나라를 다녀온 기행문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썼다.[1]
2. 2. 관직 생활과 명나라 방문
이듬해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으며, 1574년에는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자청하여 명나라에 다녀왔다.[1] 귀국 후 명나라 기행문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썼다.[1] 1575년 이조좌랑(吏曹佐郞)으로서 김효원(金孝元) 등과 동인의 선봉이 되어 이이(李珥), 박순(朴淳), 성혼(成渾) 등 서인을 공격하고 이들과 대립하였다.[1]2. 3. 어사 활동과 붕당 갈등
1577년(선조) 교리를 거쳐 1578년 함경도 순무어사로 파견되었다.[1] 1583년에는 순무어사로 경기도에 파견되어 수원의 군기가 허술하다고 보고 부사 한옹을 탄핵하였다.[1] 같은 해 9월 창원부사로 부임하였다.[1]조선 조정의 당론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면서, 그는 부친 허엽을 따라 동인이 되었으며, 김효원 등과 함께 동인의 선봉에서 서인과 대립하였다.[1]
2. 4. 이이 탄핵과 유배
1584년 병조판서 율곡 이이(李珥)의 직무상 과실을 탄핵하였다가 함경도 종성으로 유배되었고, 갑산으로 이배되었다.[1] 송응개, 박근원 등 이이를 비판하던 3명의 신하들이 동시에 유배되었는데, 이 사건을 두고 계미삼찬이라고 부른다.[1]호당(湖堂)에서 같이 독서한 유성룡의 도움으로 이듬해 석방되었다.[1] 풀려난 뒤 정치에 뜻을 버리고 1585년 의정부영의정 노수신(盧守愼)의 건의로 다시 조정에 재기용되나 거절하고 전국을 유랑하며 백운산(白雲山), 인천, 춘천 등을 방문하였다.[1] 이후 금강산에 들어가 은거하였다.[1]
2. 5. 방랑과 죽음
1585년 의정부영의정 노수신(盧守愼)의 건의로 다시 조정에 재기용되었으나 거절하고 전국을 유랑했다.[1] 백운산(白雲山)을 유람하기도 했고, 인천과 춘천 등을 방문했다.[1] 방랑생활을 하다가 금강산에 들어가 은거하였다.[1] 그는 술을 너무 많이 마셔 병을 앓다가 냉담(冷痰)증이 되었다.[1] 의사에게 보이려고 동교(東郊)로 향하던 중 1588년(선조 21) 금강산 근처 김화군 생창역(生昌驛)에서 황달증상으로 38세의 나이에 갑자기 죽었다.[1]3. 사후
4. 저서 및 편저
'''저서'''
- 하곡집
- 하곡수어
'''편저'''
- 《해동야언》
- 《이산잡술》
- 《의례산주》
- 《독역관견》
'''기행문'''
- 《하곡조천기》
- 《북변기사》
4. 1. 저서
- 하곡집
- 하곡수어
4. 2. 편저
- 《해동야언》
- 《이산잡술》
- 《의례산주》
- 《독역관견》
4. 3. 기행문
《하곡조천기》《북변기사》
5. 창빈 안씨 첩 논란
선조는 서얼 및 방계승통 콤플렉스 때문에 아버지 덕흥대원군을 왕으로 추존하려 여러 번 시도했다. 그러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봉은 선조의 면전에서 창빈 안씨를 첩이라고 칭하는 사건을 일으켰다.[1]
1878년(선조 11) 5월 11일, 덕흥대원군 사당의 이름을 정하는 논의 중 경연관 허봉이 창빈 안씨를 첩이라 칭하자 선조는 크게 분노하였다.[1] 허봉은 "명분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순하지 않습니다. ... 안빈은 바로 첩모이기 때문에 시조의 사당에 들어 갈 수가 없고 다만 사실(私室)에서 제사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1] 이에 선조는 "허봉이 감히 이런 허다한 이야기를 하는가"라며 분노했다.[1]
홍섬은 "나이 젊은 사람이라 옛글만을 읽었을 뿐, 실지로 일을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너무 지나친 논의를 만들어 낸 것"이라며 허봉을 변호하고 선조를 설득했다.[1]
그러나 이후로도 허봉은 창빈 안씨를 첩, 첩부인이라 칭했고, 선조는 노기를 드러냈지만 허봉을 처벌하지는 않았다.[1] 이는 허봉의 강직함과 소신을 보여주는 일화로, 훗날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진영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선조는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차례 덕흥대원군 추존을 시도했으나, 사림파의 반대로 결국 실패했다.[1]
6. 가족 관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