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올라라 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올라라 검은 히지카타 도시조의 일대기를 그린 소설, 영화, 드라마, 만화 작품이다. 소설은 다마 시대부터 하코다테 전쟁에서 히지카타의 죽음까지를 다루며, 신선조 결성, 전투,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죽음을 묘사한다. 영화는 1966년과 2021년에 제작되었으며, 드라마는 1966년, 1970년, 1990년에 방영되었다. 만화는 2021년부터 연재되었으며, 한국어판은 2024년에 출판되었다. 작품들은 히지카타 도시조를 중심으로 신선조의 활약과 몰락을 다양한 형태로 재현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센구미를 소재로 한 영화 - 고하토
오시마 나기사 감독의 유작 《고하토》는 19세기 말 신선조를 배경으로, 미소년 가노 소자부로의 입단으로 인해 신선조 내부 질서가 흔들리며 동성애적 코드와 억압된 욕망이 드러나는 이야기와 주요 인물들의 갈등, 복잡한 인간관계, 사카모토 류이치의 음악을 통해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과 인간의 본성을 탐구하는 영화이다. - 신센구미를 소재로 한 영화 - 바람의 검심 (영화)
와츠키 노부히로의 만화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담-》을 원작으로 오오토모 케이시 감독이 연출하고 사토 타케루가 주연한 일본 영화 시리즈 《바람의 검심》은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총 5편이 제작 및 개봉되었으며, 켄신이 과거를 청산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면서 겪는 갈등과 모험을 그린 액션과 감동적인 스토리로 인기를 얻었다. - 신센구미를 소재로 한 작품 - 신센구미!
신센구미!는 2004년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막부 말기 신센구미를 소재로 카토리 싱고가 곤도 이사미 역을 맡고 미타니 코키가 각본을 맡아 존왕양이 운동 시대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재치있게 그려낸다. - 신센구미를 소재로 한 작품 - 붓치기레!
2022년 방영된 일본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붓치기레!는 막부 말기 신센구미가 가면귀신 조직에 의해 전멸당한 후 사형수들이 신센구미 대원을 대신하여 스스로를 구원하려는 이야기로, 히라카와 테츠오가 감독과 각본을, Geno Studio가 제작을 맡았으며, 니시카와 타카노리와 Jizō Sonzai name-less가 각각 오프닝과 엔딩 테마를 담당했다. - 1964년 소설 - 찰리와 초콜릿 공장
로알드 달의 아동 문학 "찰리와 초콜릿 공장"은 가난한 소년 찰리가 윌리 웡카의 초콜릿 공장 견학 티켓을 얻어 겪는 이야기로, 웡카의 후계자를 찾는 과정과 어린이들의 욕심을 통해 교훈을 주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으나 일부 비판도 존재하는 작품이다. - 1964년 소설 - 화성의 타임슬립
필립 K. 딕이 1964년에 발표한 과학 소설인 화성의 타임슬립은 1994년 화성을 배경으로 인구 증가와 환경 오염으로 황폐화된 지구를 벗어나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조현증을 앓는 수리공 잭 볼렌이 화성의 원주민 블릭맨과 관련된 사건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다루며 식민주의, 정신 질환, 기후 변화 등 사회 문제를 다룬다는 평을 받으며 영화 및 오디오북으로 각색되었다.
타올라라 검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타올라라 검 |
원제 | 燃えよ剣 |
저자 | 시바 료타로 |
출판사 | 문예춘추신사 |
출판일 | 1964년 3월 |
장르 | 역사 소설 |
언어 | 일본어 |
페이지 수 | 326 |
관련 정보 | |
영화 | 타올라라 검 |
드라마 | 타올라라 검 (1970년 드라마) 타올라라 검 (2021년 드라마) |
만화 | 타올라라 검 (만화) |
애니메이션 | 타올라라 검 (애니메이션) |
기타 | |
포털 | 문학 |
2. 소설
시바 료타로의 소설 《타올라라 검》은 신선조 부장 히지카타 도시조의 일대기를 다룬다. 무사시국다마군에서 "바라가키"(난폭자)라 불렸던 젊은 시절부터 경에서 신선조를 결성하고 유신 지사들과 싸우며, 에도 막부 붕괴 후에도 보신 전쟁을 거쳐 하코다테 전쟁에서 전사할 때까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7]
시바 료타로는 히지카타를 “예술가가 예술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것처럼, 싸움 그 자체가 목표"였다고 평가하며, 그의 삶을 “싸움꾼”이라고 묘사했다.[7]
신선조는 유신 체제하에서 역적으로 여겨져 주목받지 못하고 살인 집단으로 폄하되기도 했다. 그러나 시모자와 간의 『신선조 종말기』, 『신선조 비가』 등의 영화와 시바 료타로의 『타올라라 검』, 『신선조 혈풍록』의 등장으로 재평가되어 오늘날까지 인기를 얻게 되었다. 이후 신선조 관련 창작물들은 이들 작품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8]
2. 1. 줄거리
소설 《타올라라 검》의 줄거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다마 지역에서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이르기까지 히지카타 도시조가 전사하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진다. 소설 초반, 히지카타는 여자를 밝히는 인물로 묘사되며 여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그러나 신선조 부장이 된 후에는 국장 곤도 이사미를 보좌하며 조직을 이끄는 재능을 발휘, 엄격한 규율을 갖춘 신선조를 만들어낸다.[7]
소설 하권에서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당하고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며, 나가쿠라 신파치와 사이토 하지메 등 주요 대원들이 이탈하는 등 신선조가 붕괴되는 과정이 나타난다. 히지카타는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 등지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 소속으로 전투에 참여한다.[7]
무사시국 다마군에서 "바라가키"(난폭자)로 불리던 시절부터 교토에서 신선조를 결성하여 유신 지사들과 맞서 싸우고, 에도 막부 붕괴 이후 보신 전쟁을 거쳐 하코다테 전쟁에서 전사하기까지의 일대기를 다룬다. 작가 시바 료타로는 교토에서 급진파 지사들을 추격하고 보신 전쟁에서 막부 잔당의 장수로 싸웠던 히지카타를 "예술가가 예술 그 자체를 목표로 하는 것처럼 싸움 자체가 목표"였다고 평가하며, 그의 삶을 "싸움꾼"이라 칭한다.[7]
2. 1. 1. 1부: 유년 시절과 신선조 결성 이전
무사시국 다마군에서 "바라가키"(난폭자)라 불렸던 히지카타 도시조는 젊은 시절 싸움과 여자에 빠져 살았다. 천연리심류(天然理心流) 도장 시에이칸(試衛館)에서 검술 실력을 인정받았고, 수려한 외모로 여러 여성들과 관계를 맺었다.막말의 혼란기에 막부는 낭사대(浪士組)를 모집했고, 도시조는 곤도 이사미 등 시에이칸 동료들과 함께 교토로 상경했다.
2. 1. 2. 2부: 신선조 결성과 교토에서의 활약
낭사대(浪士組)가 분열된 후, 히지카타는 곤도 이사미와 함께 신선조를 결성하고 부장으로서 조직을 이끌었다. 신선조는 교토의 치안 유지를 담당하며 불량 낭인들을 처단했다.[7] 이케다야 사건, 함거문의 변 등에서 활약하며 명성을 떨쳤다.[7] 히지카타는 신선조를 최강의 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엄격한 규율을 제정하고, 이를 어기는 자는 가차 없이 처단했다.[7] 세리자와 가모, 야마나미 케이스케, 이토 가시타로 등 내부 갈등을 겪으며 신선조는 점차 콘도와 히지카타 중심으로 재편되었다.2. 1. 3. 3부: 보신 전쟁과 하코다테에서의 최후
대정봉환 이후, 신선조는 막부와 운명을 함께하며 보신 전쟁에 참전한다. 도바-후시미 전투, 고슈 가쓰누마 전투 등에서 패배하고, 곤도 이사미는 처형당한다.[7] 히지카타 도시조는 에노모토 다케아키 등과 함께 홋카이도로 건너가 에조 공화국을 수립하고 육군 봉행으로 취임한다.[7] 하코다테 전쟁에서 고료카쿠를 방어하던 중, 히지카타는 전사한다.[7]콘도가 관군에 항복하려 하자, 히지카타는 끝까지 항전할 것을 주장하며 만류했지만, 콘도는 출두 후 돌아오지 못했다. 에도성이 무혈 개방되자(에도 개성), 히지카타는 오토리 게이스케 등 막부 육군 잔당과 함께 각지를 전전했다. 아이즈에서는 오슈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오슈 동맹을 굳게 만들었다.[7] 에도를 탈출한 막부 해군 부총재 에노모토 다케아키의 함대와 합류했으나, 동맹은 붕괴되었다.[7] 히지카타는 함대와 함께 홋카이도로 향했다.[7]
홋카이도에 상륙한 일행은 하코다테를 점령하고, 고료카쿠에 본영을 구축했다.[7] 마쓰마에성을 탈취하여 홋카이도 전역을 지배하고, 에노모토를 총재로 하는 에조 공화국을 수립했다.[7] 신정부의 공격(하코다테 전쟁)에 맞서 전투 준비를 했지만, 구 막부 함대의 주력함을 잃어 해군력이 크게 감소했다.[7] 관군은 최신식 철갑선을 구입하여 전력이 크게 증가했고, 하코다테 정부군은 함선 탈취를 위한 접현 공격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미야코만 해전).[7] 히지카타는 뛰어난 지휘로 소수 병력으로 관군의 진격을 막아(니마타구치 전투) 하코다테 정부군 유일의 승리 장군으로 이름을 날렸지만, 관군의 증원으로 전선은 축소되었고, 하코다테와 고료카쿠 주변 방어에 전념하게 되었다.[7] 히지카타도 고료카쿠로 물러났지만, 패배를 직감하고 최후를 생각하기 시작했다.[7]
마침내 관군이 하코다테를 점령하자, 군사 회의에서는 고료카쿠 항전을 주장했지만, 히지카타는 끝까지 공세를 주장했다.[7] 그는 이 전투에서 죽은 동료들 곁으로 갈 것을 결심하고, 무모하다는 소리를 무시하고 소부대를 이끌고 출격했다.[7] 항전 계획은 항복을 전제로 한 것이었고, 며칠 더 살아남으면 항복자가 될 것이기에, 숨진 동료들을 볼 낯이 없다고 생각했다.[7] 적의 포탄이 쏟아지는 가운데, 히지카타는 신선조 잔당과 함께 공격했지만, 역부족이었다.[7] 히지카타는 단신으로 적진에 돌격하여 관군의 일제 사격을 받고 전사했다.[7]
2. 2. 주요 등장인물
-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
본 작품의 주인공. 무사시국 다마군(多摩郡) 이시다무라(石田村)의 유력한 농가 출신으로, "토오가타(土方)"라는 숨겨진 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름은 "요시토요(義豊)"이다. 미남이며, 검술 실력은 천연리심류(天然理心流) 도장인 시에이칸(試衛館)에서 면허를 받을 정도였다. 소년 시절에는 "바라가키(バラガキ, 장미가시)"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사나웠다. 막부의 낭사 모집에 응하여 시에이칸(試衛館) 동료들과 교토로 상경, 여러 우여곡절 끝에 교토 수호직(京都守護職) 아이즈번(会津藩) 휘하의 무장 경찰인 신선조를 결성한다. 신선조를 막말 최강의 무장 집단으로 키워내고, "귀신 부장"으로서 막부 반대 세력들을 떨게 만들었다.[1]
정규 무사 출신이 아니었기에 무사에 대한 강렬한 이상을 가지고 있었고, 고향 다마군(多摩郡)이 천령이며 헤이안 시대에 용맹함으로 이름을 떨쳤던 반도 무사(坂東武者)의 발상지이기도 했기에, 그 이상을 앞에 두고 쉽게 목숨을 버리는 것을 자신의 신조로 삼았다. 검처럼 무사는 작은 논리 따위를 가지지 않고 엄숙하게 절의에만 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때문에 부대 규율을 어기면 즉시 사형이라는 가혹한 규칙으로 부대원들을 통솔했다.[1]
군략에도 천부적인 재능을 가지고 있어, 보신 전쟁을 통해 관군을 몹시 괴롭혔다. 도바·후시미 전투 무렵부터 서양 군사학을 배우고, 그 이해력은 프랑스 군사 고문단조차 감탄하게 만들 정도였다. 한편, "호우타마(豊玉)"라는 필명으로 하이쿠(俳句)를 짓는 것을 은밀한 취미로 삼았지만, 평범한 단어들이 서툴게 이어져 결코 훌륭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1]
막부 붕괴 후에도 항복을 깨끗하게 여기지 않고, 보신 전쟁에서 북방 여러 지역을 전전하며 관군을 농락했다. 에조 공화국 수립 후에는 육군봉행에 취임하여 하코다테 정부 유일의 상승 장군으로 이름을 떨쳤지만, 고료카쿠 전투에서 전사한다.[1]
- '''곤도 이사미(近藤勇)'''
신선조 국장. 다마군(多摩郡) 카미이시하라무라(上石原村)의 부유한 농가에서 태어나, 소년 시절부터 천연리심류 종가인 곤도가(近藤家)의 도장에서 검을 배웠다. 장성하여 그 실력을 인정받아 도장주인 곤도 슈스케(近藤周助)의 양자가 되었다. 의형의 인연으로 도장에 드나들게 된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만나 절친한 친구가 되었다.[1]
정략·군략 모두 특별히 뛰어난 것은 아니지만, 소박한 성격이 신비로운 인덕을 지녀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이 있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곤도 이사미(近藤勇)의 이러한 인품을 총수에 적합하다고 판단, 신선조 조직의 근간을 만들면서도 항상 곤도 이사미(近藤勇)를 떠받들고, 자신은 부장으로 머물러 미움받는 역할을 맡았다.[1]
원래 농민 출신의 시골 검객이었기에 교양인을 불필요할 정도로 존중하고, 권위에 현혹되는 나쁜 버릇이 있었다. 고슈 카쓰누마 전투에서는 행군하는 도중에 놀러 다니며 전투 기회를 놓치고, 관군에게 성을 쉽게 내주는 어리석은 실수를 저질렀다. 고슈의 참패 후에는 풀이 죽어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가 만류하는 것도 듣지 않고 관군에 투항하여 그대로 참수되었다.[1]
- '''오키타 소지(沖田総司)'''
신선조 제1대 대장. 무쓰국 시라카와번(白河藩)의 에도 주재 번사의 아들이다. 천진난만한 성격으로 항상 웃는 모습을 보이며, 부대 내에서 동생처럼 사랑받고 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도 그 긍정적인 밝음에 이끌려 말이 많아지고, 곤도 이사미(近藤勇)에게도 말하지 않는 비밀을 털어놓기도 한다. 검술 실력은 천재적이며,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곤도 이사미(近藤勇) 모두를 훨씬 능가하는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1]
이케다야 사건 무렵부터 폐결핵을 앓아, 자주 토혈을 반복하게 된다. 보신 전쟁 개막 무렵에는 병상에 눕게 되고, 신선조가 에도로 이동할 때 함께 에도로 돌아가 언니인 오키타 미쓰(沖田みつ)의 간호를 받았다. 막부의 호의로 마츠모토 료준(松本良順)의 치료를 받지만 회복하지 못하고, 오키타 미쓰(沖田みつ)가 쇼나번 사무라이인 남편의 사정으로 쇼나번으로 향한 후, 누구에게도 간호받지 못한 채 병사한다. 곤도 이사미(近藤勇)가 참수되었지만 그 죽음을 알지 못하고, 숨을 거둘 때까지 곤도 이사미(近藤勇)가 건재하다고 믿고 있었다.[1]
- '''키요카와 하치로(清河八郎)'''
데와국 쇼나번(庄内藩) 출신의 향사(鄕士)이다. 호쿠신 일도류 겐부칸(玄武館)에서 면허를 받고, 쇼헤이자카 학문소(昌平黌)에서 학문을 수학한 후 신다 오타마가이케에서 서당을 열어, 문무·변재·방략 모두에 뛰어난 희대의 재능으로 널리 알려졌다. 장군 도쿠가와 이에모치(徳川家茂)의 상락(上洛)에 즈음하여 급진적인 지사(志士)의 횡행을 우려했던 막부에 낭사(浪士)에 의한 장군 호위 부대의 창설을 건의하여, 자신이 수장이 되는 낭사대(浪士組)를 결성한다.
그러나 본심은 막부 타도를 꾀하는 근왕(勤王) 활동가였고, 교토에 들어가자마자 장군 호위 병력을 조막(攘幕)의 선봉대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시에이칸(試衛館) 일행은 공의(公儀)를 속이는 행위에 반발하여 탈퇴했지만, 이것이 나중에 신선조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막부도 키요카와 하치로(清河八郎)의 변절에 격분하여 소환 명령을 내리고 에도로 돌아온 그를 암살자에게 암살시켰다.
- '''세리자와 가모(芹沢鴨)'''
신선조 초대 필두 국장. 히타치국 미토번(水戸藩) 탈번 낭사(浪士)이다. 키요카와 하치로와 손을 끊은 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친형이 미토 도쿠가와가(水戸徳川家)의 교토 주재였던 이 남자에게 눈을 돌리고, 그 연줄을 통해 교토 수호직인 아이즈 마쓰다이라가에 힘써 신선조의 창설에 성공했다. 텐구토(天狗党)에 소속되어 있었다는 이력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었던 만큼 필두 국장의 자리에 취임하게 된다.[1]
역사처럼 뚱뚱한 거구로 5명의 힘을 가지고 있으며, 검술 실력도 확실하여 신도 무넨류(神道無念流) 면허를 받았다. 그러나 성격이 매우 난폭하여, 자주 무례하게 살해를 반복하고, 여성을 겁탈하고, 심지어 시내에서 대포를 쏘는 등 상식을 벗어난 행동을 반복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곤도 이사미(近藤勇)는 그 난폭한 행위를 씁쓸하게 생각하면서도 신선조 창설에 공헌했기에 체면을 세워주고 있었지만, 이윽고 그 불량한 행위들을 듣게 된 아이즈번으로부터 살해 명령이 내려옴에 따라, 신미 니시키(新見錦) 등 부하인 부대원들과 함께 숙청했다. 세리자와파의 소멸로 신선조는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곤도 이사미(近藤勇)가 완전히 장악하게 된다.[1]
- '''야마나미 케이스케(山南敬助)'''
신선조 부장, 후에 총장. 무쓰국 센다이번(仙台藩)의 탈번 낭사로 문무 모두 뛰어난 수재이며, 특히 검술은 지바 도장(千葉道場)에서 면허를 받을 정도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식한 자가 많은 부대원들 중에서 드물게 일류의 교양을 갖추고 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교양을 내세워 교활하게 행동하는 현명함에 짜증을 느껴, 세리자와파의 숙청 후에 국장 다음 가는 총장의 직책을 신설하여 곤도 이사미(近藤勇) 다음 가는 지위에 앉혔지만, 부대원들의 지휘권은 부장인 자신이 장악하여 교묘하게 뒷전으로 밀어냈다. 야마나미 케이스케(山南敬助)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싸움만 있고 국사는 없다"고 평가하며 좋아하지 않았고, 두 사람은 항상 미묘한 거리를 두었다.[1]
지바 도장(千葉道場)에 있었기에 시세(時勢)에 정통했고, 키요카와 하치로에 의한 낭사대 결성의 소문을 듣고 곤도 이사미(近藤勇)에게 참가를 권유했던 남자. 원래 열렬한 존황양이론자였으나, 신선조가 조막(攘幕) 지사들을 베어 죽이는 것에 불만을 가지고, 이케다야 사건·금문의 변을 거쳐 고뇌 끝에 부대를 탈주한다. 그러나 이미 세상에 절망하고 있어, 어떠한 저항도 하지 않고 잡히고, 부대 규칙 위반으로 할복을 침착하게 받아들였다.[1]
- '''이토 가시타로(伊東甲子太郎)'''
신선조 참모. 조슈번(長州藩) 시즈쿠번(志筑藩) 낭사의 아들로, 어릴 적에 미토에서 무예와 학문을 배우고, 그 후 에도에 나가 호쿠신 일도류를 수련하여 후카가와(深川)에서 도장을 열고, "문무 교수" 간판을 내걸어 명성을 얻었다. 금문의 변 후, 부대원 부족으로 고심하던 신선조에 많은 문하생을 이끌고 참가를 제의한다. 곤도 이사미(近藤勇)는 에도에서도 손꼽히는 학식에 반하여 국장 다음 가는 참모 직책을 신설하여 맞이하지만,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근왕(勤王)가가 많은 호쿠신 일도류 사용자였기에 의심의 눈초리를 계속 보냈다.[1]
미토가쿠(水戸学)의 존황(尊皇) 사상의 세례를 받은 막부 타도론자였고, 은밀히 신선조를 빼앗으려고 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방해꾼으로 보고, 암살자를 보내 암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이윽고 신선조에서 이탈을 선언하고, 원래 문하생들과 새로 생긴 존경자들을 이끌고 부대를 나누어, 붕어한 지 얼마 안 된 고메이 천황(孝明天皇)의 능묘를 경호한다는 명목으로 "고료에시(御陵衛士)"를 결성한다. 부대를 나누는 행동에 호의적이었던 곤도 이사미(近藤勇)도 격분하여, 연회에 초대하여 만취시킨 귀가길, 밤 그림자에 섞여 암살했다. 시체는 길에 버려졌고, 분노하며 달려온 동지들도 매복하고 있던 신선조에게 습격당하고, 고료에시는 괴멸되었다(아부라코지 사건(油小路事件)).[1]
- '''오토리 케이스케(大鳥圭介)'''
막신(幕臣). 원래는 하리마국 아카호군(赤穂郡)의 마을 의사의 아들이었지만, 오사카의 데키주쿠(適塾)에서 란학(蘭學)을 수학했다. 병서 번역으로 유명해져 막부에 등용, 막부 육군의 서양식 부대 "덴슈타이"(伝習隊) 대장에 임명된다. 그러나 도바·후시미 전투 이후 막부의 공순(恭順) 자세에 반발, 에도 개성 직전에 부대를 이끌고 탈주하여, 히지카타 도시조 등 구 막군 잔당과 합류, 양식 병학 지식을 인정받아 지도자로 추대된다. 도호쿠 각지를 전전한 후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의 구 막부 함대와 합류하고, 홋카이도 평정 후에는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를 수괴로 하는 에조 공화국의 육군 봉행이 된다.
대단한 수재이지만, 학식을 실전에서 활용할 재능은 부족하다. 군략의 재능을 천부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오토리 케이스케(大鳥圭介)를 경멸, "겁쟁이"라고 험담했다. 오토리 케이스케(大鳥圭介)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의 무뚝뚝함을 좋아하지 않아, 둘은 자주 사이가 좋지 않았다.
-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
막신(幕臣). 쇼헤이자카 학문소,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에서 학문을 배운 후, 막부 명령으로 네덜란드에 유학했다. 서양을 현지에서 본 경험으로 귀국 후 중용되어, 막부군 에도 철수 후 해군 부총재에 임명된다. 오토리 케이스케(大鳥圭介)처럼 막부의 공순 자세에 반발, 철저 항전을 주장하며 에도 개성 후 관군을 능가하는 함대를 이끌고 탈주, 센다이에 있던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 등과 합류했다. 오슈 연합(奥羽越列藩同盟) 붕괴 후 홋카이도에 들어가, 국제법에 정통했기에 도쿠가와가의 측족을 원수로 하는 제2 도쿠가와 왕조를 구상, 에조 공화국을 수립하여 총재가 된다.
정규 막신들의 나약함에 실망, 신선조 부대원들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고, 자신도 아버지 대에 막신이 된 출세자였기에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에게 호의적이었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도 정치·군사 모두 신중한 배려를 보이는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의 서양식 재능에 감탄, 죽은 곤도 이사미를 연상시키는 호걸 같은 인품에 호감을 가졌다.
- '''나나리 켄노스케(七里研之助)'''
본 작품의 창작 인물. 우에노국에서 바테이넨류(馬庭念流)를 수련 후 무사시로 흘러가, 하치오지의 코겐 일도류(甲源一刀流) 히루마 도장에서 식객이 된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가 도장 사범대를 죽인 것을 계기로,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집요하게 쫓아다니며 숙적이 되어 여러 번 마주하게 된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의 다툼으로 도장에서 쫓겨나, 친척이 조슈번(長州藩)의 무사(徒士)였기에 교토로 흘러가지만, 우연히 신선조를 결성한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재회한다. 이아이(居合)의 달인으로, 신선조와 미마와리구미(見廻組) 부대원을 많이 살해, "인살자 켄노스케"(人斬り研之助)로 두려워했다.
조슈번(長州藩) 몰락 후에도 조막(徂幕) 지사에게 숨겨져 교토에 남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집요하게 노렸다. 이토 가시타로와 친분이 있어, 신선조를 빼앗으려는 이토 가시타로의 의뢰를 받고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암살하려 하지만, 역으로 죽임을 당한다.
- '''사루와타 사에(猿渡佐絵)'''
본 작품의 창작 인물. 후추 로쿠샤 묘진 신사의 딸, 사루와타 사도모리(猿渡佐渡守)의 여동생. 다마 시대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쿠라야미 마쓰리(くらやみ祭)에서 정을 통했고, 이후 여러 번 만났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에게 처음으로 연모를 품게 했던 여성.
이후 전 관백(구조 나가타다(九条尚忠))에게 봉직하기 위해 교토로 가 근왕(勤王) 사상에 눈뜨고, 지사들과 교류하며 궁정 활동에 힘써 여걸로 알려진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교토에서 신선조 창설 후 재회하지만 변화에 놀라고, 존황(尊皇) 지사를 단속하는 입장이 된 자신의 변화와 함께 실연과 비슷한 감정을 맛본다.
- '''오유키(お雪)'''
본 작품의 창작 인물. 미노국 오가키번(大垣藩) 무사의 아내로, 번병으로 교토에 온 남편을 따라 교토로 올라갔다. 남편 병사 후 마치야에서 혼자 살다 나나리 켄노스케에게 습격당한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숨겨 간호하며 친분을 얻는다.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어릴 때 죽은 어머니를 떠올려 오유키에게 호감을 갖고, 연인이 된다.
도바·후시미 전투 직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무사답게 만나지 않고 전장에 가고 싶다"는 편지로 작별 인사했다. 그러나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를 따라 막부군 본영 오사카를 방문, 에도 출발 전 이틀간 부부로 지냈다. 에조 공화국 수립 후, 오사카 부호 고노이케 고토미(鴻池幸富)의 호의로 홋카이도로 보내져 죽음을 결심했던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와 마지막 시간을 보냈다. 관군 상륙 직후, 히지카타 도시조(土方歳三)는 종자 이치무라 테츠노스케(市村鉄之助)에게 오유키를 맡겨 전장에서 빠져나가게 했다.
2. 2. 1. 신선조
도쿠가와 막부 말기, 교토의 치안 유지를 위해 곤도 이사미를 국장으로, 히지카타 도시조를 부장으로 하여 신선조가 결성되었다.- '''히지카타 도시조''': 본 작품의 주인공. '귀신 부장'이라 불릴 정도로 냉철하고 엄격했다. 신선조의 규율을 엄격히 적용해 조직을 강화했다.[1]
- '''곤도 이사미''': 신선조 국장. 히지카타와는 의형제 사이로, 소박하고 호방한 성격으로 신선조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다.[1]
- '''오키타 소지''': 신선조 1번대 대장. 천재적인 검술 실력을 가진 미소년이었으나, 폐결핵으로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1]
- '''나가쿠라 신파치''': 신선조 2번대 대장이다.[1]
- '''사이토 하지메''': 신선조 3번대 대장이다.[1]
- '''하라다 사노스케''': 신선조 10번대 대장이다.[1]
- '''이노우에 겐자부로''': 신선조 6번대 대장이다.[1]
- '''야마나미 케이스케''': 신선조 총장. 지략과 학식을 겸비했지만, 히지카타와의 갈등으로 탈주 후 할복했다.[1]
- '''이토 가시타로''': 신선조 참모였으나, 고료에시를 결성하고 신선조를 이탈했다가 암살당했다.[1]
- '''세리자와 가모''': 신선조 초대 국장이었으나, 난폭한 성격으로 인해 숙청당했다.[1]
2. 2. 2. 그 외 인물
- '''키요카와 하치로(清河八郎)'''
데와국 쇼나이번 출신의 향사이다. 호쿠신 일도류 겐부칸(玄武館)에서 면허를 받고, 쇼헤이자카 학문소(昌平黌)에서 학문을 수학한 후 신다 오타마가이케에서 서당을 열었다. 문무, 변재, 방략 모두에 뛰어난 희대의 재능으로 널리 알려졌다. 장군 이에모치(家茂)의 상락에 즈음하여 급진적인 지사의 횡행을 우려했던 막부에 낭사에 의한 장군 호위 부대의 창설을 건의하여, 자신이 수장이 되는 낭사대(浪士組)를 결성한다.
그러나 본심은 막부 타도를 꾀하는 킨노우(勤王) 활동가였고, 교토에 들어가자마자 장군 호위 병력을 조막(攘幕)의 선봉대로 바꾸겠다고 선언했다. 시에이칸(試衛館) 일행은 공의(公儀)를 속이는 행위에 반발하여 탈퇴했지만, 이것이 나중에 신선조 탄생의 계기가 되었다. 막부도 키요카와의 변절에 격분하여 소환 명령을 내리고 에도로 돌아온 그를 암살자에게 암살시켰다.
- '''오토리 케이스케(大鳥圭介)'''
막신. 원래는 하리마국 아카호군(赤穂郡)의 마을 의사의 아들이었지만, 오사카의 테키주쿠(適塾)에서 란학(蘭學)을 수학했다. 병서 번역으로 유명해져 막부에 등용, 막부 육군의 서양식 부대 "덴슈타이"(伝習隊) 대장에 임명된다. 그러나 도바·후시미 이후 막부의 공순(恭順) 자세에 반발, 에도 개성 직전에 부대를 이끌고 탈주하여, 히지카타 도시조 등 구 막군 잔당과 합류, 양식 병학 지식을 인정받아 지도자로 추대된다. 도호쿠 각지를 전전한 후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의 구 막부 함대와 합류하고, 홋카이도 평정 후에는 에노모토를 수괴로 하는 에조 공화국의 육군 봉행이 된다.
대단한 수재이지만, 학식을 실전에서 활용할 재능은 부족하다. 군략의 재능을 천부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히지카타는 오토리를 경멸, "겁쟁이"라고 험담했다. 오토리도 히지카타의 무뚝뚝함을 좋아하지 않아, 둘은 자주 사이가 좋지 않았다.
-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
막신. 쇼헤이자카 학문소,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에서 학문을 배운 후, 막부 명령으로 네덜란드에 유학했다. 서양을 현지에서 본 경험으로 귀국 후 중용되어, 막부군 에도 철수 후 해군 부총재에 임명된다. 오토리처럼 막부의 공순 자세에 반발, 철저 항전을 주장하며 에도 개성 후 관군을 능가하는 함대를 이끌고 탈주, 센다이에 있던 히지카타 등과 합류했다. 오슈 연합(奥羽越列藩同盟) 붕괴 후 홋카이도에 들어가, 국제법에 정통했기에 도쿠가와가의 측족을 원수로 하는 제2 도쿠가와 왕조를 구상, 에조 공화국을 수립하여 총재가 된다.
정규 막신들의 나약함에 실망, 신선조 부대원들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고, 자신도 아버지 대에 막신이 된 출세자였기에 히지카타에게 호의적이었다. 히지카타도 정치·군사 모두 신중한 배려를 보이는 에노모토의 서양식 재능에 감탄, 죽은 곤도 이사미를 연상시키는 호걸 같은 인품에 호감을 가졌다.
- '''나나리 켄노스케(七里研之助)'''
본 작품의 창작 인물. 우에노국에서 바테이넨류(馬庭念流)를 수련 후 무사시로 흘러가, 하치오지의 코겐 일도류(甲源一刀流) 히루마 도장에서 식객이 된다. 히지카타가 도장 사범대를 죽인 것을 계기로, 히지카타를 집요하게 쫓아다니며 숙적이 되어 여러 번 마주하게 된다.
히지카타와의 다툼으로 도장에서 쫓겨나, 친척이 장주(長州)의 무사(徒士)였기에 교토로 흘러가지만, 우연히 신선조를 결성한 히지카타와 재회한다. 이아이(居合)의 달인으로, 신선조와 미마와리구미(見廻組) 부대원을 많이 살해, "인살자 켄노스케"(人斬り研之助)로 두려워했다.
장주 몰락 후에도 조막 지사에게 숨겨져 교토에 남아, 히지카타를 집요하게 노렸다. 이토 카즈타로와 친분이 있어, 신선조를 빼앗으려는 이토의 의뢰를 받고 히지카타를 암살하려 하지만, 역으로 죽임을 당한다.
- '''사루와타 사에(猿渡佐絵)'''
본 작품의 창작 인물. 후추 로쿠샤 묘진 신사의 딸, 사루와타 사도모리(猿渡佐渡守)의 여동생. 다마 시대 히지카타와 쿠라야미 마쓰리(くらやみ祭)에서 정을 통했고, 이후 여러 번 만났다. 히지카타에게 처음으로 연모를 품게 했던 여성.
이후 전 관백(쿠죠 나가타다(九条尚忠))에게 봉직하기 위해 교토로 가 킨노우 사상에 눈뜨고, 지사들과 교류하며 궁정 활동에 힘써 여걸로 알려진다. 히지카타는 교토에서 신선조 창설 후 재회하지만 변화에 놀라고, 존왕 지사를 단속하는 입장이 된 자신의 변화와 함께 실연과 비슷한 감정을 맛본다.
- '''오유키(お雪)'''
본 작품의 창작 인물. 미노국 오가키번(大垣藩) 무사의 아내로, 번병으로 교토에 온 남편을 따라 교토로 올라갔다. 남편 병사 후 마치야에서 혼자 살다 나나리 켄노스케에게 습격당한 히지카타를 숨겨 간호하며 친분을 얻는다. 히지카타는 어릴 때 죽은 어머니를 떠올려 오유키에게 호감을 갖고, 연인이 된다.
도바·후시미 전투 직전, 히지카타는 "무사답게 만나지 않고 전장에 가고 싶다"는 편지로 작별 인사했다. 그러나 히지카타를 따라 막부군 본영 오사카를 방문, 에도 출발 전 이틀간 부부로 지냈다. 에조 공화국 수립 후, 오사카 부호 코노이케 코토미(鴻池幸富)의 호의로 홋카이도로 보내져 죽음을 결심했던 히지카타와 마지막 시간을 보냈다. 관군 상륙 직후, 히지카타는 종자 이치무라 테츠노스케(市村鉄之助)에게 오유키를 맡겨 전장에서 빠져나가게 했다.
3. 영화
시바 료타로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 《타올라라 검》은 1966년과 2021년에 각각 제작되었다.
1966년 영화쇼치쿠에서 제작, 배급하였으며, 감독은 이치무라 히로카즈, 각본은 가토 다이, 음악은 와타나베 다케오가 담당했다.[14]
2021년 영화하라다 마토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츠치야 레이코가 음악을 담당했다. 주요 배역은 다음과 같다.
이 영화는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이시하라 유지로 상과 제45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미술상을 수상했다.
두 영화 모두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걸쳐 히지카타 도시조가 전사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룬다. 영화 초반부에 히지카타는 여자를 좋아하는 인물로 묘사되지만, 신센구미 부장이 된 후에는 조직을 이끄는 능력을 발휘한다. 이후 곤도 이사미의 부상, 오키타 소지의 병, 주요 멤버들의 탈퇴 등으로 신선조가 붕괴되고, 히지카타가 각지를 전전하며 전투에 참가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3. 1. 1966년판
1966년 11월 12일, 쇼치쿠에서 제작, 배급한 영화이다. 감독은 이치무라 히로카즈, 각본은 가토 다이, 음악은 와타나베 다케오가 담당했다.[14]3. 1. 1. 개요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걸쳐 히지카타 도시조의 전사까지가 그려져 있다.초반에는 히지카타가 매우 여자를 좋아하는 사람으로 묘사되어, 여자가 원인이 되어 사람을 죽이고 만다. 하지만 신센구미의 부장이 되고 나서부터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하여 단단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었다.
하권부터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을 당해 동작에 지장이 생기는 상태가 된다. 게다가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고, 나가쿠라 신파치나 사이토 하지메 등의 주요 멤버가 탈퇴, 곤도가 붙잡혀 실질상의 신선조는 붕괴되고 만다. 히지카타가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의 전투에 참가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11월 12일, 쇼치쿠 계열에서 공개되었다.
3. 1. 2. 출연진
배우 | 역할 |
---|---|
쿠리츠카 아사히 | 히지카타 도시조 역 [4] |
와자키 슌야 | 곤도 이사미 역 [4] |
이시쿠라 히데히코 | 오키타 소지 역 [4] |
우치다 료헤이 | 시치리 겐노스케 역 [4] |
고바야시 테츠코 | 사에 역 |
타카미야 케이지 | 니이미 니시키 역 |
오카다 준이치 | 토시야마 히코사부로 역[14] |
시바사키 코우 | 오유키 역 |
스즈키 료헤이 | 콘도 이사미 역 |
야마다 료스케 | 오키타 소지 역 |
이토 히데아키 | 세리자와 가모 역 |
츠키후네 사라라 | 오우메 역 |
오노에 우콘 | 마츠다이라 요시야스 역[15] |
야마다 유키 | 도쿠가와 요시노부 역 |
타카오 타카 | 이노우에 겐자부로 역 |
반도 미노스케 | 코메이 덴노 역 |
야나이 준페이 | 야마나미 케이스케 역 |
야타다 아유미 | 나가쿠라 신파치 역 |
키타다 테츠 | 후지도우 헤이스케 역 |
마츠시타 코우헤이 | 사이토 하지메 역 |
무라모토 다이스케 | 야마자키 쇼 역 |
요시다 켄고 | 하라다 사노스케 역 |
무라카미 니지로 | 오카다 이조 역[16] |
이이지마 준코 | 오토라 역 |
아베 준코 | 이토리 역 |
조나 브로케 | 쥘 브뤼네 역 |
오바 타이세이 | 나나리 켄노스케 역 |
사카이 마키 | 사토 노부 역 |
야마지 카즈히로 | 사토 히코고로 역 |
사카무케 요시 | 호토리마 키헤이 역 |
마츠카쿠 요헤이 | 신미 니시키 역 |
이시다 요오 | 쿠사카 겐스이 역 |
후치가미 야스시 | 카츠라 코고로 역 |
시부카와 키요히코 | 나카지마 노보루 역 |
마기 | 오사와 이츠헤이 역 |
미우라 세이키 | 미야베 테이조 역 |
요시하라 미츠오 | 이토 코시타로 역 |
모리모토 신타로 | 이치무라 테츠노스케 역 |
타카시마 마사히로 | 키요카와 하치로 역 |
카라모토 아키라 | 마루쥬점 주인 역 |
이치무라 마사치카 | 혼다 가쿠안 역 |
3. 1. 3. 스태프
역할 | 배우 |
---|---|
감독 | 이치무라 히로카즈 |
각본 | 가토 다이 |
음악 | 와타나베 다케오 |
3. 2. 2021년판
2021년판 영화는 하라다 마사토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으며, 츠치야 레이코가 음악을 담당했다. 주요 배역으로는 히지카타 도시조 역에 오카다 준이치, 오유키 역에 시바사키 코우, 곤도 이사미 역에 스즈키 료헤이, 오키타 소지 역에 야마다 료스케, 세리자와 카모 역에 이토 히데아키가 출연했다.이 영화는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이시하라 유지로 상과 제45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미술상을 수상했다.
3. 2. 1. 개요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걸쳐 히지카타 도시조가 전사할 때까지의 이야기가 그려진다.영화 초반부에는 히지카타가 여자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으로 묘사되어, 여자 문제로 사람을 죽이게 된다. 그러나 신센구미의 부장이 된 후부터는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하여 엄격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어 나간다.
영화의 후반부에서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으로 동작에 지장이 생기고,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며, 나가쿠라 신파치나 사이토 하지메 등 주요 멤버가 탈퇴하고, 곤도가 붙잡히면서 신선조가 사실상 붕괴되는 상황이 그려진다. 히지카타가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 전투에 참가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2021년 10월 15일에 영화가 공개되었다. 당초 2020년 5월 22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연기되었다.[14]
닛칸 스포츠 영화 대상 이시하라 유지로 상, 제45회 일본 아카데미상 최우수 미술상을 수상하였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히지카타 도시조 | 오카다 준이치[14] |
오유키 | 시바사키 코우 |
곤도 이사미 | 스즈키 료헤이 |
오키타 소지 | 야마다 료스케 |
세리자와 가모 | 이토 히데아키 |
마츠다이라 요시야스 | 오노에 우콘[15] |
도쿠가와 요시노부 | 야마다 유키 |
이노우에 겐자부로 | 타카오 타카 |
코메이 덴노 | 반도 미노스케 |
야마나미 케이스케 | 야나이 준페이 |
나가쿠라 신파치 | 야타다 아유미 |
후지도우 헤이스케 | 키타다 테츠 |
사이토 하지메 | 마츠시타 코우헤이 |
야마자키 쇼 | 무라모토 다이스케 |
하라다 사노스케 | 요시다 켄고 |
오카다 이조 | 무라카미 니지로[16] |
오토라 | 이이지마 준코 |
이토리 | 아베 준코 |
쥘 브뤼네 | 조나 브로케 |
나나리 켄노스케 | 오바 타이세이 |
사토 노부 | 사카이 마키 |
사토 히코고로 | 야마지 카즈히로 |
호토리마 키헤이 | 사카무케 요시 |
신미 니시키 | 마츠카쿠 요헤이 |
쿠사카 겐스이 | 이시다 요오 |
카츠라 코고로 | 후치가미 야스시 |
나카지마 노보루 | 시부카와 키요히코 |
오사와 이츠헤이 | 마기 |
미야베 테이조 | 미우라 세이키 |
이토 코시타로 | 요시하라 미츠오 |
이치무라 테츠노스케 | 모리모토 신타로 |
키요카와 하치로 | 타카시마 마사히로 |
마루쥬점 주인 | 카라모토 아키라 |
혼다 가쿠안 | 이치무라 마사치카 |
3. 2. 2. 출연진
배역 | 배우 |
---|---|
히지카타 도시조 | 오카다 준이치 |
오유키 | 시바사키 코우 |
곤도 이사미 | 스즈키 료헤이 |
오키타 소지 | 야마다 료스케 |
세리자와 가모 | 이토 히데아키 |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 오노에 우콘 |
도쿠가와 요시노부 | 야마다 유키 |
이노우에 겐자부로 | 타카오 타카 |
야마나미 케이스케 | 야스이 준페이 |
나가쿠라 신파치 | 타니다 아유미 |
토도 헤이스케 | 가네다 사토시 |
사이토 하지메 | 마츠시타 코헤이 |
야마자키 스스무 | 무라모토 다이스케 |
하라다 사노스케 | 요시다 켄고 |
오카다 이조 | 무라카미 니지로 |
아케사토 | 아베 준코 |
3. 2. 3. 스태프
역할 | 배우 |
---|---|
감독, 각본 | 하라다 마사토 |
음악 | 쓰치야 레이코[14] |
히지카타 도시조 | 오카다 준이치[14] |
오유키 | 시바사키 코우 |
곤도 이사미 | 스즈키 료헤이 |
오키타 소지 | 야마다 료스케 |
세리자와 가모 | 이토 히데아키 |
마츠다이라 요시야스 | 오노에 우콘[15] |
도쿠가와 요시노부 | 야마다 유키 |
이노우에 겐자부로 | 타카오 타카 |
코메이 덴노 | 반도 미노스케 |
야마나미 케이스케 | 야나이 준페이 |
나가쿠라 신파치 | 야타다 아유미 |
후지도우 헤이스케 | 키타다 테츠 |
사이토 하지메 | 마츠시타 코우헤이 |
야마자키 쇼 | 무라모토 다이스케 |
하라다 사노스케 | 요시다 켄고 |
오카다 이조 | 무라카미 니지로[16] |
이토리 | 아베 준코 |
쥘 브뤼네 | 조나 브로케 |
나나리 켄노스케 | 오바 타이세이 |
사토 노부 | 사카이 마키 |
사토 히코고로 | 야마지 카즈히로 |
호토리마 키헤이 | 사카무케 요시 |
카츠라 코고로 | 후치가미 야스시 |
나카지마 노보루 | 시부카와 키요히코 |
오사와 이츠헤이 | 마기 |
미야베 테이조 | 미우라 세이키 |
이토 코시타로 | 요시하라 미츠오 |
이치무라 테츠노스케 | 모리모토 신타로 |
키요카와 하치로 | 타카시마 마사히로 |
혼다 가쿠안 | 이치무라 마사치카 |
4. 드라마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걸쳐 히지카타 도시조의 일대기를 그린 드라마이다.
초반에는 히지카타가 여자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으로 묘사되어, 여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하지만 신센구미 부장이 된 후부터는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하여 엄격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었다.
하권부터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을 당해 동작에 지장이 생기는 상태가 된다. 게다가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고, 나가쿠라 신파치나 사이토 하지메 등의 주요 멤버가 탈퇴, 곤도가 붙잡혀 실질적으로 신선조는 붕괴되고 만다. 히지카타가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 전투에 참가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4]
- 방송 계열: NET (현재 테레비 아사히)
- 방송 기간: 1970년 4월 1일 ~ 9월 23일 (총 26회)
-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밤 9시 00분 ~ 9시 56분
4. 1. 1966년판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걸쳐 히지카타 도시조의 전사까지가 그려져 있다.[4]초반에는 히지카타가 여자를 매우 좋아하는 사람으로 묘사되어, 여자가 원인이 되어 사람을 죽이고 만다. 하지만 신센구미의 부장이 되고 나서부터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하여 단단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었다.[4]
하권부터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을 당해 동작에 지장이 생기는 상태가 된다. 게다가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고, 나가쿠라 신파치나 사이토 하지메 등의 주요 멤버가 탈퇴, 곤도가 붙잡혀 실질상의 신선조는 붕괴되고 만다. 히지카타가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의 전투에 참가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4]
- 방송 계열: 도쿄 12채널 (현재 TV 도쿄)[4]
- 방송 기간: 1996년 1월 14일 ~ 4월 2일, 매주 금요일 9시 30분~10시.[4]
4. 1. 1. 출연진
- 우치다 료헤이 - 히지카타 도시조 역[4]
- 코이케 아사오 - 콘도 이사미 역[4]
- 스기 료타로 - 오키타 소지 역[4]
- 무쓰미 고로 - 시치리 겐노스케 역[4]
- 쿠리즈카 아사히 - 히지카타 도시조 역
- 와자키 슌야 - 콘도 이사미 역
- 이시쿠라 히데히코 - 오키타 소지 역
- 고바야시 테츠코 - 사에 역
- 타카미야 케이지 - 니이미 니시키 역
- 히토미 레이코 - 오사에 역
4. 2. 1970년판
1970년에 방영된 《타올라라 검》은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서 히지카타 도시조가 전사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초반부에는 히지카타가 여색을 밝히는 인물로 묘사되어 여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그러나 신센구미 부장이 된 후에는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 엄격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어 나간다.
하권에서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으로 동작에 지장을 받게 되고,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며, 나가쿠라 신파치, 사이토 하지메 등 주요 인물들이 탈퇴하는 등 신선조가 실질적으로 붕괴되는 상황이 그려진다. 히지카타는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 전투에 참가한다.
- 방송 계열: NET (현재 테레비 아사히)
- 방송 기간: 1970년 4월 1일 ~ 9월 23일 (총 26회)
- 방송 시간: 매주 수요일 밤 9시 00분 ~ 9시 56분
방송일 | 회차 | 부제 | 감독 |
---|---|---|---|
1970년 4월 1일 | 제1화 | 신선조 전야 | 河野寿一 |
1970년 4월 8일 | 제2화 | 봄의 달그림자 | 松尾正武 |
1970년 4월 15일 | 제3화 | 삼조기야초 홍옥 | 河野寿一 |
1970년 4월 22일 | 제4화 | 사토미보의 여인 | 松尾正武 |
1970년 4월 29일 | 제5화 | 기온 시마바라 | 河野寿一 |
1970년 5월 6일 | 제6화 | 잔양 나라가도 | |
1970년 5월 13일 | 제7화 | 귀가 지나가는 마을 | 松尾正武 |
1970년 5월 20일 | 제8화 | 달빛 무명골목 | 河野寿一 |
1970년 5월 27일 | 제9화 | 교 삼조 이케다야 | 松尾正武 |
1970년 6월 3일 | 제10화 | 호리가와의 밤비 | 河野寿一 |
1970년 6월 10일 | 제11화 | 진갓스가하라의 아침안개 | |
1970년 6월 17일 | 제12화 | 책사 | 松尾正武 |
1970년 6월 24일 | 제13화 | 오미의 숙소 | 河野寿一 |
1970년 7월 1일 | 제14화 | 미부 별빛 | 松尾正武 |
1970년 7월 8일 | 제15화 | 이별 구름 | 河野寿一 |
1970년 7월 15일 | 제16화 | 잔월 유소로 | 松尾正武 |
1970년 7월 22일 | 제17화 | 낙일의 마을 | 河野寿一 |
1970년 7월 29일 | 제18화 | 교토 마을의 밤 | 松尾正武 |
1970년 8월 5일 | 제19화 | 포성 | 河野寿一 |
1970년 8월 12일 | 제20화 | 화염의 전진 | 松尾正武 |
1970년 8월 19일 | 제21화 | 파도의 저녁놀 | |
1970년 8월 26일 | 제22화 | 유랑의 날 | 佐々木康 |
1970년 9월 2일 | 제23화 | 오키타 소지 | 松尾正武 |
1970년 9월 9일 | 제24화 | 북쪽으로 | |
1970년 9월 16일 | 제25화 | 시노비리카 | |
1970년 9월 23일 | 제26화 | 신선조 부장 토가미 히고사부로 |
4. 2. 1. 출연진
배우 | 배역 |
---|---|
구리즈카 아사히 | 히지카타 도시조 |
후나바시 겐 | 곤도 이사미 |
시마다 슌시 | 오키타 소지 |
가메이시 세이치로 | 시치리 겐노스케[4] |
와자키 슌야 | 곤도 이사미 |
이시쿠라 히데히코 | 오키타 소지 |
고바야시 테츠코 | 사에 |
다카미야 케이지 | 니이미 니시키 |
후지오카 주케이 | 엔도 |
구로베 스스무 | 나가쿠라 신파치 |
니시다 료 | 하라다 사노스케 |
나카노 세이야 | 야마자키 스스무 |
기타무라 에이조 | 이노우에 겐자부로 |
4. 3. 1990년판
1990년 1월 5일부터 1월 6일까지 TV 도쿄에서 방송된 타올라라 검은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이르기까지 히지카타 도시조의 일생을 다룬다.초반부 히지카타는 여색을 밝히는 인물로 묘사되어 여자 문제로 살인을 저지르기도 한다. 그러나 신센구미 부장이 된 후에는 국장 곤도 이사미의 조력자로 조직을 이끄는 능력을 발휘, 엄격한 규율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어낸다.
후반부에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으로 지장을 겪고,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며, 나가쿠라 신파치, 사이토 하지메 등 주요 인물들이 탈퇴하는 등 신선조가 붕괴되는 과정이 그려진다. 히지카타는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 전투에 참여한다.
4. 3. 1. 출연진
5. 만화
코마츠 에메루가 원작을, 카나타 요시키가 그림을 맡아 코믹 번치 카이에서 2021년부터 연재하고 있는 만화이다.[5][6] 다마 시대부터 신선조 결성, 각지에서의 전투, 그리고 하코다테 전쟁에 이르기까지 히지카타 도시조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다.
초반부에는 히지카타가 여자를 매우 좋아하는 인물로 묘사되어, 여자 문제로 사람을 죽이기도 한다. 하지만 신센구미의 부장이 된 후에는 국장 곤도 이사미의 그림자로서 조직을 만드는 재능을 발휘하여 엄격한 규칙을 가진 신센구미를 만들어 나간다.
하권에서는 곤도 이사미가 부상으로 동작에 지장이 생기고, 오키타 소지는 병에 걸리며, 나가쿠라 신파치, 사이토 하지메 등 주요 멤버가 탈퇴하는 등 신선조가 실질적으로 붕괴되는 상황에 이른다. 히지카타는 우쓰노미야, 아이즈, 하코다테를 전전하며 구 막부군으로서 전투에 참가한다.
6. 한국어판 출판 정보
燃えよ剣|타올라라 검일본어 한국어판은 권일영이 번역하고, 아투(Ato) 출판사에서 2024년 5월 10일에 출판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燃えよ剣とは
https://kotobank.jp/[...]
kotobank
2020-01-02
[2]
웹사이트
ミスター土方歳三役 俳優・栗塚旭は記念館設立目指す 82歳、今も映画出演
https://www.daily.co[...]
www.daily
2020-12-17
[3]
웹사이트
燃えよ剣
http://www.tvdrama-d[...]
ドラマデータ
2020-01-02
[4]
웹사이트
燃えよ剣
http://www.kinenote.[...]
Kinema Junpo
2020-01-02
[5]
웹사이트
ja:誰よりも武士に憧れた男・土方歳三の青春譚「燃えよ剣」コミカライズがバンチで始動
https://natalie.mu/c[...]
Natasha, Inc.
2021-10-21
[6]
웹사이트
ja:第二十三話 新選組① 2024年05月10日
https://kuragebunch.[...]
신초사
2024-05-10
[7]
서적
신초문고신판하권P448-449
[8]
서적
문춘문고『시마 료타로 전작업』P59
문춘문고
[9]
웹사이트
2022年記者発表資料(2021年度統計)
https://www.eiren.or[...]
일본영화제작자연맹
2022-01-26
[10]
뉴스
岡田准一、「燃えよ剣」主演!司馬遼太郎の名作54年ぶり映画化
https://www.sanspo.c[...]
産経デジタル
2019-02-11
[11]
뉴스
岡田准一主演「燃えよ剣」コロナ拡大で公開延期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0-04-07
[12]
뉴스
岡田准一主演『燃えよ剣』10・15公開決定 一触即発の決闘シーンなど盛り込んだ新予告映像解禁
https://www.oricon.c[...]
oricon ME
2021-05-10
[13]
뉴스
『燃えよ剣』新公開日が10月15日に決定 岡田准一らによる剣のアクション捉えた新予告も
https://realsound.jp[...]
blueprint
2021-05-10
[14]
웹사이트
燃えよ剣
https://www.asmik-ac[...]
アスミック・エース
2020-04-07
[15]
뉴스
岡田准一主演『燃えよ剣』 追加キャスト12人発表 尾上右近、山田裕貴ら
https://www.oricon.c[...]
oricon ME
2019-11-28
[16]
뉴스
『燃えよ剣』岡田准一や山田涼介ら“新選組”の新カット公開 村上虹郎ら13名の追加キャストも
https://realsound.jp[...]
株式会社blueprint
2020-02-07
[17]
뉴스
誰よりも武士に憧れた男・土方歳三の青春譚「燃えよ剣」コミカライズがバンチで始動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1-10-21
[18]
간행물
CONTENTS
新潮社
2024-03-21
[19]
뉴스
月刊コミックバンチがWeb雑誌・コミックバンチKaiにリニューアル、4月26日オープン
https://natalie.mu/c[...]
ナターシャ
2024-03-21
[20]
웹사이트
燃えよ剣 第二十三話 新選組①
https://kuragebunch.[...]
新潮社
2024-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