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택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시의 시내버스는 평택시와 인접 도시들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평택시에는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운송업체가 있으며, 이들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여 시민들의 이동을 지원한다. 또한, 수원, 안성, 화성, 아산, 천안 등 인접 도시의 운송업체들도 평택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영한다. 평택시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요금 체계를 따르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노선은 도시형, 좌석, 직행좌석, 광역급행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노선은 운행 구간, 경유지, 배차 간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평택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평택시의 시내버스
버스 교통 정보
지역평택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평택시청 교통행정과
차적지경기도 평택시
운행 지역경기도 평택시
오산시
안성시
용인시
수원시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서울특별시
노선 수112
인가 대수264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사이트평택시청 교통정보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2. 주요 운수업체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은 평택시 내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제공하는 시내버스 운수업체이다.[1]

2. 1. 평택시 관내 운수업체

서울고속,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은 평택시 내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제공하는 시내버스 운수업체이다.[1] 2021년 1월 기준 각 운수업체별 보유 노선 수 및 등록 대수는 다음과 같다.

운행업체노선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대수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
서울고속38---3878---78
평택여객54--15388--583
협진여객26---26118---118


2. 2. 타 지역 운수업체

평택시는 지리적 특성상 수원, 안성, 화성, 아산, 천안 등 인접한 여러 도시들과 대중교통망을 공유한다. 이들 도시의 운수업체들이 평택시를 경유하는 노선을 운영하여 지역 간 이동을 돕고 있다.


3. 요금

평택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요금 체계를 따르며,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된다.

3. 1. 요금 체계

평택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요금 체계를 따르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조조할인은 새벽 첫차부터 오전 6시 30분까지 적용된다.

3. 2. 환승 할인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4. 평택시 차적의 운행 노선

평택시 차적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1. 도시형버스

평택시의 도시형버스는 시내 주요 지역과 외곽 지역을 연결하며, 다양한 노선 번호를 통해 구분된다.[1] 각 노선은 배차 간격, 주요 경유지, 운행 시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노선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대수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
서울고속38---3878---78
평택여객54--15388--583
협진여객26---26118---118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 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비고
8000
일반좌석
평택여객안중터미널평택역
(AK프라자)
안중오거리, 오성면 행정복지센터, 태평아파트, 평택지제역15~55분


4. 2. 좌석버스

직행좌석대원고속평택지제역강남역삼성전자, 대광로제비앙, 호반써밋에듀파크, 파라곤에듀포레, 서정리역, 고덕파라곤, 고덕자연앤자이,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10~40분경부고속도로 경유
2023년 7월 17일 신설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6600
직행좌석대원고속평택비전푸르지오강남역배다리생태공원, 평택호반베르디움, 이곡마을, 평택법원, 평택센트럴자이, 동삭동, 진위역,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30~50분경부고속도로 경유
2020년 8월 6일 신설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6800
직행좌석평택버스안중터미널 ↔ 아주대학교
(창현초교)현화중학교, 동환아파트, 안중출장소, 부영1차, 청북고교, 청북읍 행정복지센터, 광교중앙역, 아주대학교병원20~60분6801
직행좌석대원고속성남터미널
(야탑역) ↔ 평택지제역판교역, 스타필드안성, 평택대학교, 배다리생태공원, 우미린센트럴파크, 서재자이아파트, 센트럴자이1단지40~70분평택시 면허6802
직행좌석평택버스고덕동(삼성전자) ↔ 야탑동(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고덕자연앤자이, 송탄출장소, 진위역, 판교역,낙생육교, 현대백화점30~180분평택시 면허M5438
광역급행대원고속평택지제역강남역광동제약, 송탄출장소,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20~60분평택시 면허
국토교통부의 광역급행버스


5.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평택시는 다른 지역의 시내버스 노선이 많이 운행되는 곳이다. 타 지역 차적의 버스 노선은 평택시의 각 지역을 연결하며, 인접한 도시와의 교통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수원시 시내버스

일반좌석삼경운수하북리(견산리) ↔ 범계역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터미널, 동수원4, 한일타운, 파장동, 의왕(고천), 호계46~8수원시 면허301성우운수하북리(견산리) ↔ 동안구청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세류역, 수원역, 장안문, 노송마을, 의왕(고천), 호계4, 범계역, 안양시청5~7수원시 면허8471
직행좌석경진여객수원역 ↔ 안중터미널봉담, 발안, 제약공단, 청북읍 행정복지센터4회수원시 면허8472
직행좌석경진여객수원역 ↔ 안중터미널봉담, 발안, 제약공단, 청북읍 행정복지센터, 청북신도시40~60수원시 면허


5. 2. 안성시 시내버스

백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안성시 시내버스는 평택시안성시를 연결하며, 주로 평택시 동부 지역을 경유한다. 안성터미널평택터미널을 잇는 70번, 일죽터미널과 평택터미널을 연결하는 370, 380번 등이 있다.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7-11백성운수웅교리 ↔ 중복리불당리, 공도시외버스정류장, 주은·풍림아파트, 스타필드·용이동·삼천리가스, 진사리입구·푸르지오2차후문, 주은청설아파트앞, 건천리, 중복리10회
70백성운수안성터미널평택터미널한경국립대학교, 중앙대학교, 대림동산, 공도터미널, 진사리입구, 평택대학교, 평택공설운동장10안성시 면허
370, 380백성운수일죽터미널 ↔ 평택터미널죽산터미널, 안성터미널, 한경국립대학교, 중앙대학교, 공도터미널, 진사리입구, 평택대학교, 평택공설운동장25안성시 면허


5. 3. 화성시 시내버스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는 화성시 시내버스는 평택시화성시를 연결하며, 주로 평택시 서부 지역을 경유한다.

노선 번호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4-1조암터미널 ↔ 안중(구)터미널이화1리, 원정초교, 도곡리2회화성시 면허
H104향남터미널 ↔ 송탄역향남주공1.2단지, 향남제약공단앞, 양감초등학교, 양감중학교, 용소리, 황구지리, 한국관광고등학교45~55화성시 면허
H123향남터미널 ↔ 평택지제역하길중학교, 구문천리, 평택시립추모공원, 고덕119안전센터25화성시 면허


5. 4. 아산시 시내버스

온양교통, 아산여객이 운행하는 아산시의 시내버스는 주로 평택시 남부 지역을 경유한다.

노선 번호운행 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500온양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동신초등학교, 온양온천역, 온양민속박물관, 엑스포아파트, 충무휴게소, 방현리, 충무유원지, 동천리, 신수리, 음봉초등학교, 음봉농협, 원남리, 신정리, 봉재리, 산전리, 관대리, 송용리, 둔포, 둔포농협, 석근리, 대사리입구, 팽성초등학교, 청담정보통신고등학교, 객사리, 공군아파트, 평궁리, 신궁리, 평택초등학교, 삼성아파트, 통복시장, 평택역35~85[2]평택 방면 19회, 아산 방면 20회 운행
501온양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동신초등학교, 온양온천역, 온양민속박물관, 엑스포아파트, 충무휴게소, 방현리, 충무유원지, 동천리, 신수리, 음봉초등학교, 음봉농협, 원남리, 신정리, 봉재리, 신양리, 산전리, 관대리, 송용리, 백남아파트, 둔포초등학교, 둔포농협, 석근리, 대사리입구, 팽성초등학교, 청담정보통신고등학교, 객사리, 공군아파트, 평궁리, 신궁리, 평택초등학교, 삼성아파트, 통복시장, 평택역240~280신양리 경유, 평택 방면 4회, 아산 방면 3회 운행
510온양터미널 ↔ 평택시외버스터미널동신초등학교, 온양온천초등학교, 온양온천역, 온양1동, 향군회관앞, 석정4리, 곡교리, 염치농협, 염치읍 행정복지센터, 서원리, 서원삼거리, 영인농협, 영인면 행정복지센터, 아산리, 신운리, 백석포, 백석포초등학교, 와우리, 구성리, 창용리, 남창초등학교, 신남리, 신법리, 시포리, 둔포, 둔포농협, 석근리, 대사리입구, 팽성초등학교, 청담정보통신고등학교, 객사리, 공군아파트, 평궁리, 신궁리, 평택초등학교, 삼성아파트, 통복시장, 평택역30~600백석포 경유, 10회 왕복 운행
2000
직행좌석
순천향대학교평택지제역배방역, 천안시청 · 공주대학교, 안궁4리40~60아산시 면허


5. 5. 천안시 시내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130남서울대학교평택터미널문예회관, 성환리, 안궁4리, 안성천교, 유천3동, 평택역(편도), 박애병원, 평택터미널20~190132성환터미널 ↔ 평택터미널대홍리, 신가리, 안궁리, 노와리, 추팔리, 객사리, 평택역, 평택터미널, 박애병원10순환 형태로 운행


참조

[1]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