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산역은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사의 신축 및 개편을 거쳤다. 현재는 4면 6선의 지상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경부선이 운행하며,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경부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와 ITX-새마을호가 정차하며, 오산시 중심 시가지와 인접해 오산시청, 오산대학교, 오산시외버스터미널 등 주요 시설이 역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산시의 전철역 - 서동탄역
서동탄역은 2010년 개통된 수도권 전철 1호선 지상역으로,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위해 건설되었고, 병점역에서 분기되는 지선에 위치한다. - 오산시의 전철역 - 오산대역
오산대역은 경기도 오산시 갈곶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세교신도시 개발로 추가 건설되었으며, 역명은 오산대학교에서 유래되었지만 오산역이 더 가깝고,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상역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군포역
오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번호 | P160 |
한국어 역명 | 오산역 |
한자 역명 | 山 |
로마자 역명 | Osan-yeok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역광장로 59 (오산동 603-1)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97834&cid=55631&categoryId=55631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83198&cid=40942&categoryId=32190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철도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경부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4면 6선 |
철로 | 6선 |
역사 |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5년 1월 20일 |
역 등급 및 관리 | |
역 등급 | 3급 |
관리역 | 평택관리역 |
승객 정보 | |
2012년 일일 평균 승객 수 (일반철도) | 1,276명http://www.ktdb.go.kr/en/web/guest/419 |
2012년 일일 평균 승객 수 (수도권 전철 1호선) | 19,656명http://www.ktdb.go.kr/en/web/guest/418 |
영업 정보 | |
서울역 기점 거리 | 56.5 km |
전철 노선 기점 거리 | 107.2 km |
이전 역 | 오산대 (P159) |
이전 역 간 거리 | 2.7 km |
다음 역 | 진위 (P161) |
다음 역 간 거리 | 4.0 km |
경부선 열차 정보 | |
노선 | 경부선 |
종별 | M |
이전 역 | 수원 |
이전 방향 | 서울 |
이전 역 거리 | 15.0 km |
다음 역 | 서정리 |
다음 방향 | 부산 |
다음 역 거리 | 10.0 km |
호남선 열차 정보 | |
노선 | 호남선 |
종별 | M |
이전 역 | 수원 |
이전 방향 | 용산 |
이전 역 거리 | 15.0 km |
다음 역 | 평택 |
다음 방향 | 광주 |
다음 역 거리 | 18.5 km |
수도권 전철 1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이전 역 | 오산대 (P159) |
이전 방향 | 광운대 |
이전 역 거리 | 2.7 km |
다음 역 | 진위 (P161) |
다음 방향 | 신창 |
다음 역 거리 | 4.0 km |
종별 (급행 A) | 급행A |
이전 역 (급행 A) | 병점 (P157) |
이전 방향 (급행 A) | 청량리 |
이전 역 거리 (급행 A) | 7.8 km |
다음 역 (급행 A) | 서정리 (P163) |
다음 방향 (급행 A) | 신창 |
다음 역 거리 (급행 A) | 10.0 km |
종별 (급행 B) | 급행B |
이전 역 (급행 B) | 병점 (P157) |
이전 방향 (급행 B) | 서울 |
이전 역 거리 (급행 B) | 7.8 km |
다음 역 (급행 B) | 서정리 (P163) |
다음 방향 (급행 B) | 신창 |
다음 역 거리 (급행 B) | 10.0 km |
2. 역사
오산역은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기존 역사는 1956년에 세워졌으나, 2002년 현재의 모습으로 신축되었다. 2005년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점역과 천안역 사이 구간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후 2009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8], 2017년에는 오산역 복합환승센터가 문을 열어 교통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2. 1. 연혁
-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56년 12월 12일: 구 역사 준공
- 1994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02년 11월 28일: 현 역사 신축 준공
-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개시 (병점역-천안역 간 47.9km 개통)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역-신창간) 복선 전철화 개통
- 2009년 6월 1일: 누리로 운행 개시 (서울-신창간)
- 2009년 10월 31일: 화물 취급 중지[8]
- 2013년 10월 1일: 오산역 복합환승센터 착공
- 2017년 11월 1일: 오산역 복합환승센터 개통
- 2019년 12월 30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 2020년 1월 13일: 누리로 재운행 개시 (서울-신창)
- 2020년 3월 2일: 호남선 누리로 운행 중지
- 2020년 5월 23일: 누리로 운행 중지 (서울-신창)
3. 역 구조
4면 6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으로,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가 있다.
3. 1. 구조
4면 6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승강장은 바깥쪽 두 개(1, 2번과 7, 8번)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사용하고, 안쪽 두 개(3, 4번과 5, 6번)를 경부선 일반열차가 사용한다. 2번선과 3번선, 6번선과 7번선은 경부전철선과 경부선이 선로를 공용한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출구는 1번(역 서측)과 2번(역 동측)의 2개가 있다.
번호 | 노선 | 행선지 |
---|---|---|
1~2 |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정리 · 평택 · 천안 · 신창 방면 |
3 | 경부선 | 대전 · 동대구 · 부산 · 익산 · 목포 · 순천 · 여수엑스포 방면 (비상대피로) |
4 | 경부선 (무궁화호) | 대전 · 동대구 · 부산 · 익산 · 목포 · 순천 · 여수엑스포 방면 |
5 | 경부선 (무궁화호)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
6 | 경부선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비상대피로) |
7~8 | 수도권 전철 1호선 | 병점 · 수원 · 구로 · 용산 · 광운대 방면 |
3. 2. 승강장
경주 · 울산 · 포항 (대구선·중앙선 직통)마산 · 진주 (경전선 직통)
제천 · 영주 · 안동 (충북선·중앙선 직통)
서대전 · 익산 · 광주송정 · 목포 · 광주 (호남선·광주선 직통)
전주 · 순천 · 여수엑스포 (전라선 직통)
온양온천 · 장항 (장항선 직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