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역은 1905년 1월 1일 영업을 시작한 경기도 평택시의 철도역이다. 경부선, 장항선, 평택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며, 민자역사로 운영된다. 1953년 현재 위치로 역사를 신축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연혁을 거쳐 현재는 ITX-새마을, 무궁화호, ITX-마음, 수도권 전철 1호선 등이 운행된다. 역 주변에는 평택고속버스터미널, 평택시외버스터미널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택시의 전철역 - 서정리역
서정리역은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신역사 준공 등 시설 현대화를 거쳐 현재는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는 평택시의 중요한 교통 거점이다. - 평택시의 전철역 - 평택지제역
평택지제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서평택고속선이 지나가는 경기도 평택시의 철도역으로, SRT 정차 이후 수도권 남부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며 고덕국제신도시 개발과 함께 발전하고 있다. - 경기도의 철도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경기도의 철도역 - 지평역
지평역은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경의·중앙선 철도역으로, 1940년 보통역으로 시작해 한국 전쟁 이후 재건 및 현대화를 거쳐 2017년 전철역이 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에서 경의·중앙선 전철, 무궁화호, 누리로, ITX-새마을호 등이 정차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평택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평택역 |
한자 표기 | 澤 |
로마자 표기 | Pyeongtaek-yeok |
주소 | 경기도 평택시 평택동 185-1, 평택로 51 |
역 번호 | P165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5년 1월 20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경부선 평택선 |
승강장 | 4면 6선 |
구조 | 지상역 |
관리역 | 관리역 |
역 등급 | 3급 |
서울역 기점 거리 | 75.0 km |
逍遥山역 기점 거리 | 125.7km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1일 평균 승객수 (2012년 기준) | KR: 12,360명 1호선: 27,187명 |
사진 | |
![]() | |
![]() | |
![]() | |
인접역 정보 | |
경부선 (일반 철도) | 이전 역: 평택지제역 다음 역: 성환역 |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 이전 역: 평택지제역 다음 역: 성환역 |
평택선 | 이전 역: 창내역 다음 역: 성환역 |
평택직결선 | 이전 역: 신대신호소 다음 역: 성환역 |
역간 거리 | 평택지제역까지: 3.7 km 성환역까지: 9.4 km |
서정리역까지 | 8.5km |
오산역까지 | 18.5km |
수원역까지 | 33.5 km |
운행 계통 | |
경부선 | 서울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부산역/신해운대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서울역 방면 (무궁화호): 서정리역 출발 부산역 방면 (무궁화호): 성환역 경유 |
경전선 | 서울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진주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
호남선 | 용산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목포역/광주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용산역 방면 (무궁화호): 서정리역 출발 목포역 방면 (무궁화호): 천안역 경유 용산역 방면 (무궁화호): 오산역 출발 광주역 방면 (무궁화호): 성환역 경유 |
전라선 | 용산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여수엑스포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용산역 방면 (무궁화호): 서정리역 출발 여수엑스포역 방면 (무궁화호): 성환역 경유 |
장항선 | 용산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익산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
충북선 | 서울역 방면 (일반 열차): 수원역 출발 제천역 방면 (일반 열차): 천안역 경유 |
수도권 전철 1호선 | 광운대역 방면: 평택지제역 출발 신창역 방면: 성환역 경유 청량리역 방면 (급행A): 서정리역 출발 신창역 방면 (급행A): 성환역 경유 서울역 방면 (급행B): 서정리역 출발 신창역 방면 (급행B): 성환역 경유 |
기타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비치 |
2. 연혁
평택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통복리에서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10]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으나, 1953년 10월 5일 평택동에 역사를 신축하여 운영을 재개하였다.[10]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으로 지정되었고,[10] 1988년 1월 4일에는 새로운 역사를 준공하였다.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전철역의 역할도 추가되었으며,[10] 2009년 4월 24일 민자역사가 준공되어 현재의 역사가 완성되었다.[10]
2. 1. 주요 연혁
- 1905년 1월 1일 : 진위군 병남면 (지금의 통복리)에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0]
- 1950년 : 역사 소실
- 1953년 10월 5일 : 평택동에 역사 신축 준공[10]
- 1971년 9월 10일 :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10]
- 1985년 4월 1일 : 안성역의 여객 및 소화물 취급 중지
- 1985년 4월 8일 : 안성역을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88년 1월 4일 : 안성역을 중지시키고 평택역 역사 신축 준공
- 1999년 6월 2일 : 열차 시각 개편에 따라 경부선 무궁화호 전 열차 정차
-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 중지, 장항선 통일호 전산화
- 2004년 4월 1일 : 새마을호 정차
- 2005년 1월 20일 : 전철 연장 개통 및 운행 개시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10]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신창간) 복선 전철화 개통
- 2009년 6월 1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09년 4월 24일 : 민자역사 추진 당시 타당성 부족으로 나왔지만 안성시, 오산시 주민들이 이용한다는 논리로 타당성을 높이고 민자역사 유치 및 준공[10]
- 2014년 5월 12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5년 3월 2일 : 평택선 및 평택직결선 사용 개시 고시[10]
- 2017년 5월 1일 : ITX-청춘 (용산-천안) 급행 및 (수원~천안~신창) 완행 승강장 정차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11]
- 2018년 4월 1일 : 경부선 ITX-청춘 운행 중지
- 2020년 1월 1일 :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중지
- 2020년 1월 20일 : 누리로 재운행 (서울~신창)
- 2020년 3월 2일 :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 중지
- 2020년 6월 1일 : 누리로 운행 중지(서울~신창)
-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11월 2일: 평택선(순환) 개통
2. 2. 세부 연혁
- 1905년 1월 1일: 진위군 병남면(지금의 통복리(지금의 원평동))에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0]
- 1950년: 역사 소실
- 1953년 10월 5일: 평택동에 역사 신축 준공[10]
-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 지정[10]
- 1985년 4월 1일: 안성역의 여객 및 소화물 취급 중지
- 1985년 4월 8일: 안성역을 배치간이역으로 격하
- 1988년 1월 4일: 안성역을 중지시키고 평택역 역사 신축 준공[10]
- 1999년 6월 2일: 열차 시각 개편에 따라 경부선 무궁화호 전 열차 정차 개시
- 2001년 6월 1일: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 중지, 장항선 통일호 전산화
- 2004년 4월 1일: 새마을호 정차 개시
- 2005년 1월 20일: 전철 연장 개통, 운행 개시[10]
-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10]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신창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09년 4월 24일: 민자역사 추진 당시 타당성 부족으로 나왔지만 안성시, 오산시 주민들이 이용한다는 논리로 타당성을 높이고 민자역사 유치 및 준공[10]
-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5년 3월 2일: 평택선 및 평택직결선 사용 개시 고시[10]
- 2017년 5월 1일: ITX-청춘 (용산-천안) 급행 승강장 정차와 (수원~천안~신창) 완행 승강장 정차
- 2017년 12월 18일: 화물 취급 중지[11]
- 2018년 4월 1일: 경부선 ITX-청춘 운행 중지
- 2020년 1월 1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다시 운행 중지
- 2020년 1월 20일: 누리로 재운행 개시(서울~신창)
- 2020년 3월 2일: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 중지
- 2020년 6월 1일: 누리로 운행 중지(서울~신창)
-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년 11월 2일: 평택선(순환) 개통
3. 역 구조
평택역은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민자역사로, 지상에 역사가 있는 교상역이다. 출구는 1번(역 동측)과 2번(역 서측) 두 곳이 있다.
3. 1. 승강장
4면 6선의 승강장 구조이다. 출구는 2개(역 동측, 역 서측)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승강장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구조'''이다. 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평택선 열차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본선이자 일반열차 부본선인 3번, 6번 승강장으로 취급된다. 일반열차 본선은 평택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1]1 · 2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 · 일반 | 성환 · 천안 · 아산 · 신창 방면 |
---|---|---|---|
3 · 4 | 경부선 · 동해선 · 충북선 | ITX-새마을 새마을호 ITX-마음 무궁화호 | 부산 · 진주 · 신해운대 · 제천 방면 |
호남선 · 전라선 · 장항선 | 목포 · 광주 · 여수엑스포 · 익산 방면 | ||
3 | 평택선 | 천안 · 아산 · 홍성 방면 | |
5 · 6 | 경부선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 |
6 | 평택선 | 안중 · 인주 · 홍성 방면 | |
7 · 8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 · 일반 | 서정리 · 수원 · 구로 · 광운대 방면 |
3. 2. 승강장 (세부)
4면 6선의 승강장이다.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이 정차하는 선로로 수원 경유 KTX와 관광열차가 통과하기도 한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전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평택선 열차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본선이자 일반열차 부본선인 3번, 6번 승강장으로 취급된다. 일반열차 본선은 평택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플랫폼은 섬식 4면 6선을 갖추고 있으며, 바깥쪽 두 개의 플랫폼은 경부고속선이, 안쪽 두 개의 플랫폼은 경부선이 각각 사용하고 있다. 2번선과 3번선, 6번선과 7번선은 경부고속선과 경부선이 선로를 공용하고 있다.
1·2 | ●경부전철선(하행) | 성환·천안·아산·신창 방면 | |
---|---|---|---|
3·4 | 경부선(하행) | 동해선 직통(부전 경유) | 동대구·부산·부전·신해운대 방면 |
대구선·중앙선·동해남부선 직통 | 동대구·경주·태화강·포항 방면 | ||
경전선 직통(밀양 경유) | 대전·동대구·마산·진주 방면 | ||
충북선·중앙선 직통 | 조치원·제천·영주·안동 방면 | ||
호남선·광주선 직통 | 서대전·광주송정·목포·광주 방면 | ||
전라선·경전선 직통(순천 경유) | 서대전·순천·여수·진주 방면 | ||
장항선 직통 | 천안·온양온천·홍성·장항 방면 | ||
5·6 | 경부선(상행) | 수원·영등포·용산·서울 방면 | |
7·8 | ●경부전철선(상행) | 수원·구로·서울역 지하·청량리 방면 |
4. 역 주변
공공기관 및 행정 | |
---|---|
교육 시설 | |
교통 | |
상업 시설 | |
의료 시설 | |
기타 |
5. 승차량 변동
평택역의 승차량 변동은 다음과 같다.
구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수도권 전철 | - | - | - | 8,673 | 9,559 |
새마을호 | 4,715,823 | 4,727,449 | 4,732,459 | 186,144 | 170,909 |
무궁화호 | 16,867 | 18,748 | 18,175 | 4,992,645 | 2,737,711 |
통일호 | 89,486 | 101,718 | 98,040 | 23,941 | 폐지 |
[5] [6]
2005년 통일호 폐지로 인해 승차량 변동이 크게 발생하였다. 수도권 전철의 경우, 2005년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8,673명 이었으며, 2006년에는 9,559명으로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