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남시의 시내버스는 하남시 관내 운수업체인 경기상운과 타 지역 운수업체들이 운행하며, 2021년 1월 기준 경기상운은 시내일반버스 13개 노선, 직행좌석버스 6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하남시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요금은 일반시내, 일반좌석, 직행좌석, 경기순환, 광역급행(M버스) 등으로 구분된다. 서울특별시, 광주시, 남양주시, 양평군의 시내버스 노선도 하남시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 교통에 관한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교통에 관한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하남시의 시내버스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관리 기관 | 하남시청 대중교통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하남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성남시 남양주시 |
노선 수 | 16 |
인가 대수 | 223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사이트 | 하남시 버스현황 |
![]() |
2. 운수업체
하남시는 경기상운을 비롯한 여러 운수업체가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경기상운 외에도 광주, 남양주시, 서울의 운수업체들이 하남시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2. 1. 하남시 관내 운수업체
경기상운(KD)은 2021년 1월 기준으로 19개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6개는 직행좌석 노선, 13개는 시내일반 노선이다.[1] 등록된 차량은 총 244대로, 직행좌석 버스 62대, 시내일반 버스 182대로 구성되어 있다.
2. 2. 타 지역 운수업체
하남시의 시내버스는 다른 경기도 지역의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고 있다. 따라서 하남시의 시내버스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을 이용할 때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 마을버스 요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3. 요금 체계
3. 1. 요금표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하남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4. 운행 노선
경기상운은 하남시 시내버스 회사 중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직행좌석버스 6개 노선과 시내일반버스 13개 노선을 운행하며, 총 244대의 차량을 등록하여 운행하고 있다.[1]
대원고속에서 9301번(하남공영차고지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출근시간대에는 급행버스로도 운행한다. 이 외에도 서울시 면허인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노선도 일부 운행하며, 하남시에는 서울특별시, 남양주시, 양평군 차적의 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4. 1. 하남시 차적의 운행 노선
경기상운은 하남시 시내버스 회사 중 가장 많은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경기상운은 직행좌석버스 6개 노선과 시내일반버스 13개 노선을 운행하며, 총 244대의 차량을 등록하여 운행하고 있다.[1]
KD운송그룹 산하 경기상운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000 | 경기상운 | 하남종합운동장 | ↔ | 판교테크노밸리 | 미사고, 미사강변고, 미사강변푸르지오, 미사강변부영, 황산사거리, 가천대역, 야탑역, 탑마을대우 | 12~20 | 2층버스 운행 |
9202 | 경기상운 | 하남공영차고지 | ↔ | 학동역 | 위례고등학교, 위례롯데캐슬, 위례센트럴푸르지오, 위례힐스테이트, 세곡동, 시민의숲, 양재역, 강남역, 논현역, 신사역 | 8~15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9302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잠실광역환승센터 | 스타필드하남, 풍산지구, 미사강변파밀리에, 미사강변7단지, 올림픽대로 | 10~20 | 2층버스 운행 |
9303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강남역 | 스타필드하남, 풍산지구, 황산, 하남고, 미사강변7단지, 올림픽대로, 잠실역, 잠실종합운동장, 삼성역, 선릉역 | 17~2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9303-1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잠실역 | 스타필드하남, 풍산지구, 황산, 하남고, 미사강변7단지, 올림픽대로 | 6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9304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강변역 | 하남시청, 온천마을, 하남종합운동장, 미사강변도시, 올림픽대로, 천호대교, 광나루역 | 20~4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이 외에도 대원고속에서 9301번(하남공영차고지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출근시간대에는 급행버스로도 운행한다.
4. 1. 1. 도시형버스
경기상운에서 운행하는 하남시 시내일반 노선은 2021년 1월 기준으로 13개 노선, 182대가 등록되어 있다.[1]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0 | 경기상운 | 하남공영차고지 | ↔ | 남한산성입구 | 상산곡동, 천현동행정복지센터, 하남시청, 덕풍시장, 황산, 상일초교, 한영고, 명일역, 구천면로, 천호역, 몽촌토성역, 백제고분, 송파역, 복정역, 모란역, 단대오거리역 | 5~10 | |
30-3 | 경기상운 | 하남공영차고지 | ↔ | 잠실역 | 상산곡동, 천현동 행정복지센터, 하남시청, 덕풍시장, 황산, 상일초교, 강동역, 천호역 | 8~10 | |
30-5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잠실역 | 하남시청, 신장시장, 춘궁동, 감북동, 올림픽공원역, 몽촌토성역 | 5~8 | |
31 | 경기상운 | 위례신도시 | ↔ | 잠실광역환승센터 | 하남 위례동주민센터, 위례센트럴푸르지오, 엠코타운플로리체, 장지역, 가락시장역 | 15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33 | 경기상운 | 감이동(감일교차로) | ↔ | 학암동(위례호반써밋.힐스테이트센트럴위례) | 감일한라비발디, 감일동행정복지센터, 단샘초교, 거여역, 한서교통종점, 위례포엘리움 → 힐스테이트센트럴위례 → 위례포레자이 → 한서교통종점 → 이후 역순 | 15~20 | |
35 | 경기상운 | 감일스윗시티 | ↔ | 올림픽공원역 | 포웰시티, 둔촌오륜역 | 25~45 | |
38 | 경기상운 | 하남공영차고지 | ↔ | 복정역환승주차장 | 상산곡동, 천현동행정복지센터, 하남소방서, 천현사거리, 신장사거리, 덕풍파출소, 황산, 상일초교, 중앙보훈병원역, 위례신도시, 복정역 | 20~40 | 구 30-1번 |
81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강동경희대병원 | 하남스타필드, 하남시청, 신장시장, 덕풍지구대, 청아초교, 미사2동행정복지센터, 미사강변17단지, 상일동역 | 15~20 | |
87 | 경기상운 | 하남BRT환승센터 | ↔ | 수서역 | 스타필드하남, 풍산지구, 미사강변파밀리에, 미사강변8단지, 하남고, 상일초교, 보훈병원, 방이역, 가락시장역 | 20~30 | |
89 | 경기상운 | 미사강변도시 | ↔ | 오금역 | 하남종합운동장, 미사단독주택단지, 미사2동, 미사역, 황산사거리, 중앙보훈병원역 | 25~55 | |
112-5 | 경기상운 | 미사경정공원관람동 | ↔ | 서울아산병원 | 신장사거리, 덕풍파출소, 황산, 상일초교, 강동역, 천호역 | 5~10 | |
배알미-01 | 경기상운 | 하남시청역 | ↔ | 윗배알미 | 신장시장, 천현사거리, 하남시, 하남검단산역, 팔당댐 | 140~205 | |
초이-01 | 경기상운 | 초광산단로 | ↔ | 상일동역 | 사래기교차로, 초이동행정복지센터, 강동첨단업무단지, 강명초교, 서울고현초 | 30~40 |
서울시 면허인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노선도 일부 운행한다.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42 간선버스 | 서울승합 | 강동공영차고지 미사지구 | ↔ | 압구정로데오역 | 미사강변도시베라체, 강일초등학교, 상일동역, 중앙보훈병원역, 강동역, 천호역, 잠실역, 잠실종합운동장, 봉은사, 강남구청역 | 10~15 | 서울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
3318 지선버스 | 서울승합 송파상운 | 강동공영차고지 미사지구 | ↔ | 마천동 (파크데일) | 미사강변도시베라체, 강일초등학교, 상일동역, 강동경희대병원, 명일여고, 명일역, 선사고등학교, 암사역, 천호역, 강동구청역, 잠실파크리오, 잠실역, 석촌역, 백제고분, 오금역, 개롱역, 거여역, 마천시장 | 11~20 | 서울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
3413 지선버스 | 서울승합 | 강동공영차고지 미사지구 | ↔ | 수서경찰서 (대청역) | 하남고교, 상일동역, 고덕주공2단지, 명일역, 굽은다리역, 길동역, 둔촌동역, 올림픽공원역, 잠실역, 가락시장역, 수서역, 일원역, 삼성서울병원 | 5~12 | 서울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
3323 지선버스 | 대원여객 | 강동공영차고지 미사지구 | ↔ | 둔촌동(보훈회관) | 강일초등학교, 미사강변동원로얄듀크, 강동리엔파크13.14단지, 강일역, 상일동역, 둔촌도서관, 중앙보훈병원역 | 15~20 | 서울시 면허 저상버스 운행 |
4. 1. 2. 직행좌석버스
번호간격
(분)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버스 환승센터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
직행좌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