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석현은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언론인, 기업인이다. 1994년부터 중앙일보 사장, 회장을 역임하며 언론 혁신을 주도했고, 세계신문협회 회장과 한국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2005년 주미 한국대사를 지냈으나, 삼성 X파일 사건 연루로 사퇴했으며, 이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했다. 한국기원 총재, 국제바둑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2017년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특사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가 - 김신석
김신석은 일제강점기 기업인이자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로, 부산상업고등학교와 와세다 대학 졸업 후 조선은행에서 근무했으며 중추원 참의와 대화동맹 가담 등 친일 행적을 보여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지목되었다. - 중앙가 - 홍석조
홍석조는 서울대학교 법학과와 하버드 대학교 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활동하다 BGF리테일 대표이사 회장으로 변신한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법조인이다.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남양 홍씨 (당홍) - 홍남기
홍남기는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으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을 주도했고, 국무총리 권한대행을 역임했다. - 남양 홍씨 (당홍) - 홍준표
홍준표는 1954년 경상남도 창녕군에서 태어나 '모래시계 검사'로 이름을 알린 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경상남도지사, 자유한국당 대표 등을 역임하고 대선 후보로도 출마했으며, 현재는 대구광역시장으로 재임 중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홍석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홍석현 |
한자 | 洪錫炫 |
로마자 표기 | Hong Seokhyeon |
출생일 | 1949년 10월 20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서울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
직업 | 언론 재벌, 외교관 |
배우자 | 윤경 S. 홍 |
자녀 | 홍정도 |
부모 | 홍진기 김윤남 |
친척 | 남양 홍씨 당홍계 |
관직 | |
직책 | 주미 대한민국 대사 |
임기 시작 | 2005년 2월 22일 |
임기 종료 | 2005년 9월 23일 |
대통령 | 노무현 |
전임자 | 한승주 |
후임자 | 이태식 |
가족 관계 | |
부모 | 홍진기(부), 김윤남(모) |
배우자 | 신연균 |
자녀 | 홍정도(장남) 홍정현 (장녀) 홍정인(차남) |
형제 | 홍라희(누나) 홍석조(남동생) 홍석준(남동생) 홍석규(남동생) 홍라영(여동생) |
친인척 | 이건희(자형) 신직수(장인) |
본관 | 남양 홍씨 당홍계 |
정당 | |
정당 | 무소속 |
경력 | |
경력 | 삼성코닝 부사장 인하대학교 겸임교수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중앙일보 회장 JTBC 회장 세계신문협회(WAN) 회장 대통령 미국특사 한국기원 총재 재단법인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중앙홀딩스 회장 |
기타 정보 | |
참고 웹사이트 | Seok-Hyun Hong | HuffPost |
종친회 관련 정보 | 홍준표 “홍석현, 종친회 멤버…연락은 서로 전혀 안해” |
2. 생애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산업공학 석사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세계은행(IBRD) 이코노미스트, 1985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으로 일했다. 1986년부터 삼성코닝 상무, 전무, 부사장을 역임하고, 1994년 중앙일보 사장으로 취임해 1999년 회장직에 올랐다. 중앙일보 한글 제호 변경, 가로쓰기 시행, 섹션신문 발행 등 한국 일간지의 혁신을 주도했으며, 세계신문협회 회장(2002~2005년), 한국신문협회 회장(2003~2005년)을 역임했다. 아시아 출신으로 세계신문협회 회장을 맡은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2005년 주미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으나 삼성 X파일 사건과 관련된 논란으로 중도 사퇴했다. 2006년 중앙일보 회장 복귀 후 2011년부터 JTBC 회장을 겸임했다. 2017년 3월, 중앙일보와 JTBC 회장직을 사임했다.
2014년부터 한국기원 총재를 맡고 있다. 세계문화오픈(WCO) 조직위원회 위원장, 삼극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 아시아 태평양 그룹 부회장, 아시아재단 이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이사, 채텀하우스(Chatham House) 고문 등으로 활동했다. 2016년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을 주관하기도 했다.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은 미국 특사로 홍석현 당시 한반도포럼 이사장을 선임했다.[18] 홍 특사는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친서를 전달했다.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경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산업공학 석사 및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5]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세계은행(IBRD)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했다.[5]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1985년부터 1986년까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으로 일했다.[5] 1986년부터는 삼성코닝에서 상무, 전무, 부사장 등을 역임했다.[5]2. 2. 삼성 및 중앙일보 경력
1986년 삼성코닝 상무, 전무, 부사장을 역임한 후 1994년 중앙일보 사장으로 취임해 1999년 회장직에 올랐다. 중앙일보 한글 제호 변경, 가로쓰기 시행, 섹션신문 발행 등 한국 일간지의 혁신을 주도했다.[7]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신문협회 회장을, 2003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신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아시아 지역 출신이 세계신문협회장을 맡은 것은 당시 그가 처음이었다.2005년 주미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으나, 삼성 X파일 사건과 관련된 논란으로 사퇴했다.[7] 2006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했고,[7] 2011년부터 JTBC 회장을 겸임했다. 2017년 3월, 중앙일보와 JTBC 회장직을 사임했다.
1994년 중앙일보 사장 겸 발행인에 취임한 이후, 전문 기자 영입, 지면 분할 신문 발행, 아시아 최초 온라인 뉴스 서비스 개시(1995), 고급 일요 신문 발행(2007) 등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한국 언론 역사상 처음이었으며, 곧 업계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2009년 중앙일보는 한국 신문사 중 최초로 활판(broadsheet)에서 베를리너(Berliner) 판형으로 전환하였다.
2000년대에 중앙일보는 JMnet(중앙미디어네트워크)이라는 미디어 그룹으로 확장되어 신문, 방송 채널, 출판, 잡지, 엔터테인먼트 부문 등을 운영하게 되었다. JMnet은 한국에서 이처럼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유일한 미디어 그룹이었으며, 2,5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었다.[2]
JMnet은 2015년 멀티플렉스 메가박스를 인수하였고, 이듬해에는 복광(Bokwang)을 인수하였다. 복광은 인수 이후 폭스호텔앤리조트(Phoenix Hotel and Resorts)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8년 JMnet은 새로운 시작을 알리며 중앙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94년부터 중앙일보 사장을 역임하며 중앙일보와 삼성그룹의 관계를 긴밀하게 만들었다. 2010년대부터 점차 일선에서 물러나기 시작했으며, 2020년대에 들어서는 아들 홍정도가 사실상 그룹 경영을 담당하고 있다.
홍석현의 삼성 및 중앙일보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직책 |
---|---|
1986년 9월 ~ 1994년 3월 | 삼성코닝 상무, 전무, 부사장 |
1994년 3월 ~ 1999년 10월 | 중앙일보 사장, 발행인 |
1999년 10월 ~ 2005년 2월 | 중앙일보 회장, 발행인, 인쇄인 |
2006년 12월 ~ 2017년 3월 | 중앙일보 회장 |
2011년 2월 ~ 2017년 3월 | JTBC 회장 |
2011년 4월 ~ 2017년 12월 | 중앙미디어네트워크 회장 |
2018년 1월 ~ | 중앙홀딩스 회장 |
2. 3. 국제 활동 및 언론 단체 활동
1994년 중앙일보 사장으로 취임한 후, 1999년 회장직에 오르며 언론인의 길을 걸었다. 세계신문협회 회장(2002~2005년), 한국신문협회 회장(2003~2005년)을 역임했다. 특히 아시아 지역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세계신문협회 회장을 맡았다.[7]2005년 주미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으나, 삼성 X파일 사건과 관련된 논란으로 중도 사퇴했다.[7] 2006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했고, 2011년부터 JTBC 회장을 겸임했다. 2017년 3월, 중앙일보와 JTBC 회장직에서 사임했다.
삼극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 아시아 태평양 그룹 부회장, 아시아재단 이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이사, 채텀하우스(Chatham House) 고문 등으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한국기원 총재를 맡고 있다. 이 밖에도 세계문화오픈(WCO) 조직위원회 위원장으로도 활동했다. 2016년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을 주관하기도 했다.
다음은 홍석현의 주요 국제 활동 및 언론 단체 활동 경력이다.
기간 | 직함 |
---|---|
2002년 5월 ~ 2005년 2월 | 세계신문협회(WAN) 회장 |
2003년 3월 ~ 2005년 2월 | 제35대 한국신문협회 회장 |
2003년 6월 ~ | 세계문화오픈(World Culture Open) 조직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2월 ~ 2019년 6월 | 삼극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 아시아태평양위원회 부회장 |
2013년 1월 ~ 2017년 5월 |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 이사 |
2013년 12월 ~ 2017년 1월 | 전략국제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이사 |
2014년 1월 ~ 2018년 10월 | 한국기원 총재 |
2014년 7월 ~ 2016년 6월 | 국제바둑연맹(International Go Federation) 회장 |
2014년 8월 ~ 2017년 5월 | 채텀하우스(Chatham House) 고문 |
2. 4. 주미대사 재직 및 사퇴
2005년 2월 주미 대한민국 대사에 임명되었으나, 삼성 X파일 사건에 연루되어 같은 해 9월 사임하였다.[7] 2004년 12월 주미대사에 취임했으나, 2005년 7월 대통령 선거 당시 이회창 후보와 김대중 후보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하고 삼성그룹에 대한 이익을 유도했다는 뇌물수수 의혹이 제기되었다. 홍석현은 2005년 7월 26일 대사직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3]2. 5. 문재인 정부 대미 특사
2017년 5월 '5월 대선'에서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주요 4대국 외교 채널 정상화를 위해 특사를 파견하면서 미국 특사로 홍석현 당시 한반도포럼 이사장을 선임했다.[18] 홍 특사는 워싱턴 D.C.에 있는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친서를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홍 특사에게 "지금은 압박과 제재 단계에 있지만, 어떤 조건이 되면 관여(engagement)로 평화를 만들 의향이 있다"며 북핵 문제와 관련해 처음으로 '평화'를 언급하기도 했다.[19][20] 또한 미국 상·하원 군사위원장을 만나 새 정부의 대미(對美) 외교의 물꼬를 텄다.[21]3. 중앙일보 혁신 및 미디어 그룹 경영
1994년 중앙일보 사장 취임 이후, 홍석현은 중앙일보를 혁신하고 미디어 그룹으로 성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중앙일보는 한국 일간지 중 최초로 섹션 분리, 전문기자 제도 도입, 온라인 뉴스 서비스 시작, 베를리너판 판형 변경 등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언론 업계의 표준을 제시했다.[8]
2000년대에 중앙일보는 중앙미디어네트워크라는 종합 미디어 그룹으로 발전했다. 신문, 방송, 출판,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의 계열사를 갖추며 한국에서 유일하게 다채로운 미디어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9] 2015년에는 메가박스를, 이듬해에는 ㈜보광(이후 휘닉스호텔앤드리조트로 변경)을 인수하며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10] 중앙미디어네트워크는 2018년 중앙그룹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3. 1. 중앙일보 혁신
1994년 중앙일보 사장으로 취임한 홍석현은 한국 신문 업계에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1994년 한국 일간지 최초로 섹션 분리 신문 발행 및 전문기자 제도를 도입했고,[8] 1995년에는 '조인스'라는 온라인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2007년에는 중앙SUNDAY 일요신문을 창간했다.[8] 2009년에는 한국 일간지 최초로 판형을 대판에서 베를리너판으로 변경했다.[8]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한국 언론 역사상 처음이었으며, 곧 업계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3. 2. 글로벌 미디어 그룹 경영
2000년대 들어 중앙일보는 종합미디어그룹 중앙미디어네트워크를 일궈냈다.신문군(중앙일보ㆍ중앙SUNDAYㆍ일간스포츠ㆍ코리아중앙데일리), 방송군(JTBCㆍJTBC2ㆍJTBC3폭스스포츠ㆍJTBC GOLF), 출판, 매거진, 엔터테인먼트(메가박스) 등 미디어 계열사를 두루 갖추며 중앙미디어네트워크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다채로운 미디어 포트폴리오를 갖춘 종합미디어그룹이 됐다.[9]
중앙미디어네트워크는 2015년 멀티플렉스 메가박스를 인수한 데 이어 이듬해 ㈜'''보광'''을 인수했다.[10] (주)보광은 이후 휘닉스호텔앤드리조트로 바뀌었다.
1994년 중앙일보 사장 겸 발행인에 취임한 이후, 그는 한국 신문 업계에 주요 혁신과 발전을 이끌었다. 전문 기자 영입(1994), 지면 분할 신문 발행(1994), 아시아 최초 온라인 뉴스 서비스 개시(1995), 고급 일요 신문 발행(2007) 등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도들은 모두 한국 언론 역사상 처음이었으며, 곧 업계의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2009년 중앙일보는 한국 신문사 중 최초로 활판(broadsheet)에서 베를리너(Berliner) 판형으로 전환하였다.
2000년대에 중앙일보는 JMnet(중앙미디어네트워크)이라는 미디어 그룹으로 확장되어 신문(중앙일보, 중앙일보 일요판, IS 일간스포츠, 코리아중앙데일리, 코리아데일리), 방송 채널(JTBC, JTBC2, JTBC3 Fox Sports, JTBC 골프), 출판, 잡지, 엔터테인먼트 부문(메가박스) 등을 운영하게 되었다. JMnet은 한국에서 이처럼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운영하는 유일한 미디어 그룹이 되었으며, 2,500명 이상의 직원을 보유하고 있다.[2]
JMnet은 2015년 멀티플렉스 메가박스를 인수하였고, 이듬해에는 복광(Bokwang)을 인수하였다. 복광은 인수 이후 폭스호텔앤리조트(Phoenix Hotel and Resorts)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JMnet은 2018년 새로운 시작을 알리며 중앙그룹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18년 중앙그룹으로 새롭게 출범했다.
4. 국내외 활동
홍석현은 다양한 국내외 활동을 펼쳐왔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세계은행(IBRD)에서 이코노미스트로 근무했으며,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재무장관 비서관, 대통령 비서실장 보좌관,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1994년부터 중앙일보 사장, 회장을 역임하며 언론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세계신문협회(WAN) 회장을 지냈고,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제35대 한국신문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2005년에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로 임명되었으나, 뇌물수수 의혹으로 인해 사퇴했다.[5] 2006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했으며,[6] JTBC 회장직도 겸임했다.
2010년대 이후로는 중앙홀딩스 회장,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사회 공헌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세계문화오픈(WCO) 조직위원장, 삼극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 아시아태평양위원회 부회장,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 이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이사 등 국제기구 및 단체에서도 활동했다.
한국기원 총재, 국제바둑연맹(International Go Federation) 회장을 역임하며 바둑계에도 기여했다.
4. 1. 알파고 명예 9단증 수여
한국기원 총재로서 2016년 3월 인공지능(AI) 알파고에게 명예 9단증을 수여했다. 알파고는 이세돌 9단과의 5번기에서 4:1로 승리했다.[11] 홍석현은 "세계 최강의 실력을 보여준 딥마인드 알파고 개발팀에 경의를 표하고 이에 맞서 초인적인 정신력과 창의성을 보여준 이세돌 9단에 박수를 보낸다"면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인공지능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이번 대회가 단지 인간과 컴퓨터의 바둑 대결이 아니라 인공지능이 인류에 기여할 무한한 가능성을 꿈꾸는 계기가 됐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4. 2. PCI 빌딩 브릿지스 어워드 수상
2016년 2월, 홍석현은 한국인 최초로 태평양세기연구소(PCI)로부터 'PCI 빌딩 브릿지스 어워드' 개인 부문 상을 받았다.[12] PCI는 1990년 미국과 아시아·태평양 연안 국가 간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재단이다.[12] 2000년부터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가교 역할을 하고 미래 비전을 제시한 개인과 단체에게 이 상을 수여하고 있다.[12] 역대 수상자로는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 해럴드 브라운 전 미국 국방장관, 크리스토퍼 힐 전 미국 국무부 차관보, 로버트 스칼라피노 전 UC 버클리 교수,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 대사 등이 있다.[12]4. 3. 미원렉처
2015년 5월 28일 ‘새로운 한·중·일 시대와 대한민국의 꿈’ 특강에서 홍석현은 "현재 한국은 아시아 최고 수준의 개방을 통해 세계의 인재와 자본을 끌어들이는 제3의 개국이 필요하다"며 "한국은 ‘매력국가’, ‘향기가 나는 국가’라는 비전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1] 경희대학교 설립자 조영식 박사의 호 ‘미원(美源)’을 따서 이름 지은 미원렉처는 경희의 대표적인 특별강연 시리즈 중 하나이다. ‘학문과 평화’의 전통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미원렉처는 국내외 석학과 거장, 실천인을 연사로 초빙해 강연을 진행한다.4. 4. 기타 활동
홍석현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기간 | 활동 내용 |
---|---|
1977년 3월 ~ 1983년 3월 | 세계은행(IBRD) 이코노미스트 |
1983년 3월 ~ 1983년 10월 | 재무장관 비서관 |
1983년 10월 ~ 1985년 1월 | 대통령 비서실장 보좌관 |
1985년 4월 ~ 1986년 9월 |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 |
2003년 6월 ~ | 세계문화오픈(WCO) 조직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2월 ~ 2019년 6월 | 삼극위원회(Trilateral Commission) 아시아태평양위원회 부회장 |
2013년 1월 ~ 2017년 5월 | 아시아재단(Asia Foundation) 이사 |
2014년 3월 ~ | 서예진흥재단 이사장 |
2013년 12월 ~ 2017년 1월 | 전략국제문제연구소(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이사 |
2014년 1월 ~ 2018년 10월 | 한국기원 총재 |
2014년 2월 ~ 2016년 8월 | 대한바둑협회 회장 |
2014년 4월 ~ | 베르그루엔 거버넌스 연구소 21세기 위원회 멤버 |
2014년 7월 ~ 2016년 6월 | 국제바둑연맹(International Go Federation) 회장 |
2014년 8월 ~ 2017년 5월 | 채텀하우스 고문 |
2016년 1월 ~ 2018년 1월 | 경기고등학교 동창회장 |
2017년 4월 ~ 2017년 11월 | 한반도포럼 이사장 |
2017년 11월 ~ | 재단법인 한반도평화만들기 이사장 |
한-미 의회외교포럼 자문위원 |
J글로벌포럼과 삼극위원회를 주최하며 학자와 언론인들 간의 유대를 끈끈히 하는 데 기여했다. 그가 조직위원장으로 재직 중인 세계문화오픈(WCO)은 세계인의 평화와 친선, 화합, 축제의 장을 마련하고,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며, 나눔과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여 건강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드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생명운동과 상생운동을 전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세계적인 문화행사이다.
한국 전통문화를 보전하기 위해 2007년 화동문화재단을 설립했다. 화동문화재단은 광화문 복원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아치 오브 인라이튼먼트(The Arch of Enlightenment)' 제작을 후원하기도 했다.[13]
또한 흩어져 있는 서예 관련 단체들을 통합해 서예진흥위원회를 만들고 예술의 전당에 세계에서 유일한 서예박물관을 개관했다.[14]
2016년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에 직접 참여하여 대회를 주관했다.
5. 논란
홍석현은 1999년 보광그룹 탈세 사건과 2005년 X파일 사건에 연루되어 논란이 되었다. 보광그룹 탈세 사건으로 구속되었다가 2000년 8월 15일 광복절 특사로 사면 복권된 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하였고, 삼성 X파일 사건으로 주미 대사직에서 사임하였다. 당시 언론계에서는 보광그룹 탈세 사건에 대해 언론 탄압 및 정치 보복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15][16][17][3]
5. 1. 탈세 사건
1999년 6월 29일 보광그룹에 대한 세무조사가 있었고, 1999년 10월 2일 홍석현은 특가법상 조세포탈 혐의 등으로 구속되었다.[15] 1심에서는 징역 3년, 집행유예 5년 및 벌금 38억원을 선고받았고, 2000년 5월 26일 대법원에서 징역 3년, 집행유예 4년 및 벌금 30억원 판결을 받았다.[16] 2000년 8월 15일 광복절 특사로 사면복권되었으며, 보름 후 중앙일보 회장으로 복귀한다.[17] 당시 이 사건을 두고 언론계 안팎에서는 언론 탄압, 정치 보복이라는 반발이 강하게 제기되었다.5. 2. 삼성 X파일 사건
2005년 2월 X파일 사건에 연루되어 같은 해 9월 주미 대사직에서 사임하였다.[3]6. 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홍진기 | 1917년 3월 17일 | 1986년 7월 13일 | 중앙일보 대표이사 회장, 법무부 장관 역임 |
어머니 | 김윤남 | 1924년 6월 25일 | 2013년 6월 5일 | |
누나 | 홍라희 | 1945년 7월 15일 | 前 삼성미술관 리움 관장 | |
매형 | 이건희 | 1942년 1월 9일 | 2020년 10월 25일 | 삼성전자 회장 |
아내 | 신연균(申硯均) | 신직수의 딸, (재)아름지기 이사장 | ||
장남 | 홍정도 | 1977년 11월 11일 | 중앙홀딩스 중앙일보 JTBC 대표이사 겸 사장 | |
남동생 | 홍석조 | 1953년 1월 8일 | BGF리테일 회장, 홍진기법률연구재단 이사장 | |
남동생 | 홍석준 | 1954년 9월 17일 | 보광창업투자㈜ 회장, 前 삼성SDI 부사장 | |
남동생 | 홍석규 | 1956년 1월 15일 | 휘닉스소재 회장, 보광그룹 회장 | |
여동생 | 홍라영 | 1960년 1월 10일 | 삼성미술관 리움 총괄부관장, 삼성문화재단 상무 | |
매제 | 노철수(盧哲秀) | 1956년 7월 27일 | 애미커스 회장 |
홍석현의 아버지는 전 법무부 장관이자 중앙방송 사장 겸 중앙일보 사장을 지낸 홍진기이다.
홍석현은 삼성그룹 회장인 이건희의 처남이다. 이건희는 홍석현의 누이 홍라희와 결혼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eok-Hyun Hong | HuffPost
https://www.huffingt[...]
[2]
웹사이트
Seok-Hyun Hong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s://web.archive.[...]
[3]
뉴스
In Seoul, scandal over spy agency wiretapping spread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7-03
[4]
뉴스
홍준표 “홍석현, 종친회 멤버…연락은 서로 전혀 안해”
https://www.seoul.co[...]
2022-07-18
[5]
뉴스
[특집] 중앙일보 사태의 진상 - '귀족' 홍석현의 야망과 좌절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7-11-27
[6]
뉴스
홍석현 전 주미대사, 중앙일보 회장에 선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11-27
[7]
뉴스인용
홍석현 전 주미대사, 중앙일보 회장에 선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11-27
[8]
웹인용
Seok-Hyun Hong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csis.org/expe[...]
2016-07-22
[9]
웹인용
JoongAng Media Network
https://web.archive.[...]
2016-07-22
[10]
웹인용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 “디지털 혁신의 출발점”
http://www.journalis[...]
2016-07-22
[11]
웹인용
홍석현 총재 “세기의 바둑대결, 무한한 가능성의 시작”
http://isplus.live.j[...]
2016-07-22
[12]
웹인용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 韓 최초 ‘PCI빌딩 브릿지스 어워드' 수상
http://www.news1.kr/[...]
2016-07-22
[13]
뉴스인용
https://news.naver.c[...]
[14]
웹인용
예술의전당 - 공간이용안내 - 공간별소개 - 서울서예박물관
https://web.archive.[...]
2016-07-22
[15]
뉴스인용
[특집] 중앙일보 사태의 진상 - 대선편파보도 시비에서 보광탈세 파동까지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7-11-27
[16]
뉴스인용
[중앙일보] 홍석현 회장 원심 확정 벌금 30억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1-27
[17]
뉴스인용
[미디어] '신문개혁' 시민운동 성큼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1-27
[18]
뉴스인용
[단독]文대통령 4强특사…美 홍석현·中 박병석·러 송영길·日 문희상(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2-14
[19]
뉴스인용
트럼프 "조건되면 관여로 평화만들 의향"…홍석현 방미첫날 접견(종합3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2-14
[20]
뉴스인용
홍석현 대미 특사가 전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면담 전문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02-14
[21]
뉴스인용
홍석현 특사, 상ㆍ하원 군사위원장에 새 정부 안보 철학 알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02-14
[22]
뉴스인용
홍석현 "진보·보수…국민합의 통해 하나의 대북정책 만들어야"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02-14
[23]
뉴스인용
홍석현 전 회장 "통일담론 말하지 않는 대선후보들 직무유기"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8-02-14
[24]
문서
2011년 8월 20일에 사망한 홍석준 기자와는 별개의 인물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