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2011년 대한민국 구제역 확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1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구제역 확산은 안동시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번졌다. 2010년 11월 안동에서 돼지와 소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했고, 12월에는 경상북도 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2011년 1월에는 전국적으로 구제역이 퍼져나가면서 살처분 규모가 급증하고,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 이 기간 동안 구제역은 4개 도, 1개 광역시, 32개 시·군으로 확산되었으며, 58만 마리 이상의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한 것과 유전적으로 유사했으며, 오염국 여행과 축산 관계 차량의 이동이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초기 대응 실패, 살처분 방식에 대한 논란, 매몰지 관리 부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고, 정부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제역 발생 - 2010년 일본 구제역 확산
2010년 일본 구제역 확산은 미야자키현에서 시작되어 일본 전역으로 퍼진 구제역 유행으로, 초기 대응 미흡과 늦장 대처로 쇠고기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질병 발생 -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2015년 대한민국 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은 중동 지역 방문 후 첫 확진 환자 발생 이후 병원 내 감염 확산으로 총 186명의 감염자와 38명의 사망자를 낸 사건으로, 정부 대응 미흡과 정보 공개 지연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회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2011년 질병 발생 - 2010년대 아이티 콜레라 유행
2010년대 아이티 콜레라 유행은 2010년 아이티 지진 이후 발생하여 수많은 사망자를 냈으며, 네팔 평화유지군 기지의 위생 문제와 유엔의 초기 대응 미흡 등으로 논란이 되었고, 현재 백신 접종 캠페인과 새로운 접근 방식을 통해 콜레라 퇴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2011년 질병 발생 - 2011년 독일 슈퍼박테리아 확산
2011년 독일 슈퍼박테리아 확산은 장 출혈성 대장균 O104:H4로 인해 독일을 중심으로 수천 명이 감염되고 50명 이상이 사망한 집단 발병 사태로, 이집트산 호로파 씨앗이 유력한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항생제 내성으로 치료에 어려움을 겪어 각국이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했다.
2010~2011년 대한민국 구제역 확산 | |
---|---|
개요 | |
질병 | 구제역 |
발생 시기 | 2010년 ~ 2011년 |
발생 지역 | 대한민국 |
주요 발생 지역 | 경상북도안동시 |
피해 상황 | |
살처분된 동물 수 (추정) | 100만 마리 이상 |
살처분된 동물 종류 | 돼지, 소, 사슴 등 |
경제적 손실 (추정) | 수조 원 |
대응 | |
정부 대응 | 백신 접종, 이동 통제, 살처분 |
문제점 | 살처분 방식의 윤리적 문제 매몰지 환경 오염 문제 백신 효과 논란 |
추가 정보 | |
관련 기사 | 월 스트리트 저널 허핑턴 포스트 스카이 뉴스 타임 연합뉴스 국제 감염병 학회 YTN |
2. 구제역 발생 일지
2010년 11월 23일, 24일, 26일에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의 양돈 단지에서 구제역 의심 돼지가 발견되었으나, 세 번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항체 형성에 약 1주일이 걸리기 때문에 음성이라도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매뉴얼에 어긋나는 것이었다.[9]
11월 26일, 서현 양돈 단지의 새끼 돼지가 갑자기 죽어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 신고했지만, 간이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와 소독 중독으로 간주되어 이동 제한이 해제되었다. 하지만 농장 측은 28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했다.[10] 농장 경영자가 구제역 발생국인 베트남 여행을 통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1] 확인 검사를 하지 않는 동안 한우 15두가 전국으로 이동했고, 분뇨 처리 차량이 경기도까지 운행되었다.[12]
11월 28일,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했다.[87] 다음 날인 11월 29일에는 안동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했다. 11월 30일에는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한우 구제역 의심신고가 있었으나 음성 판정되었다. 같은 날,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의 한우 농가에서 소 5두가 감염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안동시에서 소와 돼지를 합쳐 총 6건, 9,368두가 발생했다. 예방적 살처분이 실시되었는데, 1, 2번째 발생에 대해서는 발생 농가에서 반경 3km 이내, 3, 4번째 발생에 대해서는 발생 농가에서 반경 500m 이내의 감수성 가축을 살처분했다.
2010년 12월에는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날짜 | 지역 | 내용 |
---|---|---|
12월 1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구제역 3건 발생. 전국 가축 시장 82개소(제주도 제외) 폐쇄 |
12월 2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및 돼지 구제역 총 12건 발생. 청송군 구제역 의심신고 (음성 판정). 국내 가축 시장 전체 84개소 폐쇄. 살처분 두수 54,000마리로 증가.[13] |
12월 3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구제역 10건 발생. 안동시 총 17개소 확인. 살처분 두수 62,000마리, 살처분 대기 13,000마리. |
12월 4일 | 예천군 | 구제역 추가 발생. 영주시 구제역 의심신고 (음성 판정). 안동시 20개소 확인. |
12월 5일 | 경상북도 안동시 | 총 27개소 확인 |
12월 6일 | 경상북도 영양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0일 | 경상북도 영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4일 | 경기도, 영양군 | 돼지 구제역 확인,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5일 | 파주시 | 구제역 위기경보 경계 격상, 젖소 구제역 확인 |
12월 18일 | 파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9일 | 고양시 | 구제역 발생 |
12월 20일 | 가평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1일 | 경기도 연천군, 김포시, 포천시, 강원도 화천군, 평창군 | 돼지 구제역,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2일 | 강원도 | 한우 구제역 4건 발생 |
12월 23일 | 강원도 횡성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 돼지 구제역 대량 발생, 한우 구제역 발생, 돼지 구제역 확인 |
12월 24일 | 강원도 철원군 | 구제역 발생 |
12월 25일 | 경기도 여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6일 |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 돼지 구제역 발생 |
12월 27일 | 경상북도 영주시,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횡성군 | 돼지 구제역 대량 발생, 한우 구제역 대량 발생 (발생농가 및 반경 500m 이내 구제역 감염 가축 모두 살처분) |
12월 29일 | 강원도 홍천군 | 구제역 위기경보 심각 격상, 구제역 발생 |
12월 30일 | 경상북도 영천시, 경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강원도 횡성군 | 한우 구제역 발생 (발생농가 및 반경 500m 이내 구제역 감염 가축 모두 살처분), 돼지 구제역 발생 |
12월 31일 | 경상북도 포항시, 강원도 양구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2011년에도 구제역 확산은 계속되었다.
- 2011년 1월 1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젖소,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상북도 영천시에서도 구제역 3건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광명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강원도에서 한우, 돼지 구제역이 대량으로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일 - 강원도 춘천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젖소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3일 - 강원도 철원, 홍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4일 - 강원도 춘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날 발생한 구제역 대부분은 돼지였는데, 강원도 양양, 횡성과 경기도 용인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1만 마리 이상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5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한우 10두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및 경기도 안성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대량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6일 - 강원도 강릉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젖소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안성시, 화성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여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내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 2011년 1월 7일 -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평택시, 용인시, 안성시, 이천시, 강원도 철원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여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내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살처분 규모가 100만 마리를 돌파하였다.
- 2011년 1월 8일 - 강원도 대화군, 경상북도 봉화군, 충청북도 청원군 등에서 대량으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9일 -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경주시, 봉화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날 봉화군에서 돼지 구제역도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0일 - 강원도 화천군, 횡성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봉화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1일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1월 12일에도 한우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1월 12일 ~ 15일 -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14일에는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15일에는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는 등 잇따라 확인되었다.
- 2011년 1월 17일 -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대구광역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8일 - 강원도 삼척시, 영월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살처분 규모가 200만 마리를 돌파하였다.
- 2011년 1월 19일 - 강원도 횡성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때부터 소는 발생농가 감염 한우만 살처분하고, 예방접종 후 14일이 지난 소는 감염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송아지만 매몰 처분, 반경 500m 내 미접종 가축만 매몰 처분하였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0일 - 충청남도 공주시, 아산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1일 - 충청남도 아산시, 홍성,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돼지 구제역은 예방접종 후 14일이 지난 모돈 중 감염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자돈을 전부 매몰하고, 비육돈은 농장 전체 돼지를 매몰, 반경 내 백신 미접종 돼지는 살처분하였다.
- 2011년 1월 23일 -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4일 - 김해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9일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돼지, 염소 총 251마리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발생농가 가축 및 예방접종하지 않은 가축을 살처분하였다.
- 2011년 1월 31일 -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1일 -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2일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한우,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4일 -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5일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돼지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2월 6일 - 부산광역시에서 돼지, 염소 등 568마리에서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2월 14일 - 대전광역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발생농가 모돈, 비육돈 모두 매몰처리)
- 2011년 2월 18일 - 경상북도 청도군,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25일 -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16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19일과 21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26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여 비상사태가 되었다.[78]
2. 1. 2010년 11월
2010년 11월 23일, 24일, 26일에 대한민국경상북도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의 양돈 단지에서 구제역 의심 돼지가 발견되어 농가가 안동시 가축위생시험소에 신고했지만 음성으로 판정되어 3번 모두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처리되었다. 이는 항체 형성에 약 1주일이 걸리기 때문에 음성이라도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매뉴얼에 위배되었다.[9]11월 26일, 서현 양돈 단지의 새끼 돼지가 갑자기 죽었다.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 신고했지만, 간이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기 때문에 23일에 실시한 물탱크의 염소계 소독 중독으로 간주하여 이동 제한을 해제했다. 다른 농장에서 잇따른 새끼 돼지 사망에 납득하지 못한 농장 측이 28일 오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했다.[10] 농장 경영자가 구제역 발생국인 베트남 여행을 가서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1] 확인 검사를 하지 않는 동안 한우 15두가 전국으로 이동했고, 분뇨 처리 차량이 경기도까지 운행되었다고 한다.[12]
11월 28일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했다.[87]
11월 29일 -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했다.
11월 30일
-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한우 구제역 의심신고가 들어왔으나 음성 판정되었다.
- 서현리에서 8km 떨어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의 한우 농가 소 5두가 감염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안동시에서 소와 돼지를 합쳐 총 6건, 9,368두가 발생했다.
- 예방적 살처분이 실시되었다. 1, 2번째 발생에 대해서는 가축위생협의회의 결정에 따라 발생 농가에서 반경 3km 이내의 132농가, 23000number를 살처분했다. 3, 4번째 발생에 대해서는 발생 농가에서 반경 500m 이내의 농가에서 감수성 가축을 살처분했다.
2. 2. 2010년 12월
2010년 12월에는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날짜 | 지역 | 내용 |
---|---|---|
12월 1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구제역 3건 발생. 전국 가축 시장 82개소(제주도 제외) 폐쇄 |
12월 2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및 돼지 구제역 총 12건 발생. 청송군 구제역 의심신고 (음성 판정). 국내 가축 시장 전체 84개소 폐쇄. 살처분 두수 54,000마리로 증가.[13] |
12월 3일 | 경상북도 안동시 | 한우 구제역 10건 발생. 안동시 총 17개소 확인. 살처분 두수 62,000마리, 살처분 대기 13,000마리. |
12월 4일 | 예천군 | 구제역 추가 발생. 영주시 구제역 의심신고 (음성 판정). 안동시 20개소 확인. |
12월 5일 | 경상북도 안동시 | 총 27개소 확인 |
12월 6일 | 경상북도 영양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0일 | 경상북도 영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4일 | 경기도, 영양군 | 돼지 구제역 확인,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5일 | 파주시 | 구제역 위기경보 경계 격상, 젖소 구제역 확인 |
12월 18일 | 파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19일 | 고양시 | 구제역 발생 |
12월 20일 | 가평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1일 | 경기도 연천군, 김포시, 포천시, 강원도 화천군, 평창군 | 돼지 구제역,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2일 | 강원도 | 한우 구제역 4건 발생 |
12월 23일 | 강원도 횡성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 돼지 구제역 대량 발생, 한우 구제역 발생, 돼지 구제역 확인 |
12월 24일 | 강원도 철원군 | 구제역 발생 |
12월 25일 | 경기도 여주시 | 한우 구제역 발생 |
12월 26일 |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 돼지 구제역 발생 |
12월 27일 | 경상북도 영주시, 강원도 춘천시, 홍천군, 횡성군 | 돼지 구제역 대량 발생, 한우 구제역 대량 발생 (발생농가 및 반경 500m 이내 구제역 감염 가축 모두 살처분) |
12월 29일 | 강원도 홍천군 | 구제역 위기경보 심각 격상, 구제역 발생 |
12월 30일 | 경상북도 영천시, 경주시, 경기도 남양주시, 강원도 횡성군 | 한우 구제역 발생 (발생농가 및 반경 500m 이내 구제역 감염 가축 모두 살처분), 돼지 구제역 발생 |
12월 31일 | 경상북도 포항시, 강원도 양구군 | 한우 구제역 발생 |
2. 3. 2011년 1월
- 2011년 1월 1일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젖소,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상북도 영천시에서도 구제역 3건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광명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강원도에서 한우, 돼지 구제역이 대량으로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일 - 강원도 춘천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고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젖소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3일 - 강원도 철원, 홍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4일 - 강원도 춘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날 발생한 구제역 대부분은 돼지였는데, 강원도 양양, 횡성과 경기도 용인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1만 마리 이상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5일 -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한우 10두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및 경기도 안성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대량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6일 - 강원도 강릉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젖소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안성시, 화성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여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내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 2011년 1월 7일 -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경기도 평택시, 용인시, 안성시, 이천시, 강원도 철원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여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내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살처분 규모가 100만 마리를 돌파하였다.
- 2011년 1월 8일 - 강원도 대화군, 경상북도 봉화군, 충청북도 청원군 등에서 대량으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9일 - 강원도 춘천시, 경상북도 경주시, 봉화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날 봉화군에서 돼지 구제역도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0일 - 강원도 화천군, 횡성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봉화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1일 - 충청북도 충주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1월 12일에도 한우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1월 12일 ~ 15일 -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14일에는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15일에는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는 등 잇따라 확인되었다.
- 2011년 1월 17일 -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대구광역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18일 - 강원도 삼척시, 영월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살처분 규모가 200만 마리를 돌파하였다.
- 2011년 1월 19일 - 강원도 횡성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이때부터 소는 반경 500m 내 모든 가축을 살처분하는 대신 발생농가 감염 한우만 살처분하고, 예방접종 후 14일이 지난 소는 감염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송아지만 매몰 처분, 반경 500m 내 미접종 가축만 매몰 처분하였다.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한우 구제역이,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0일 - 충청남도 공주시, 아산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1일 - 충청남도 아산시, 홍성,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돼지 구제역은 예방접종 후 14일이 지난 모돈 중 감염 개체 및 예방접종 후 태어난 자돈을 전부 매몰하고, 비육돈은 농장 전체 돼지를 매몰, 반경 내 백신 미접종 돼지는 살처분하였다.
- 2011년 1월 23일 -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한우 구제역이,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4일 - 1월 23일에 이어 김해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1월 29일 - 경상남도 양산시에서 돼지, 염소 총 251마리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발생농가 가축 및 예방접종하지 않은 가축을 살처분하였다.
- 2011년 1월 31일 - 충청남도 연기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2. 4. 2011년 2월 ~ 4월
- 2011년 2월 1일 -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2일 -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한우,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4일 -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5일 -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돼지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2월 6일 - 부산광역시에서 돼지, 염소 등 568마리에서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 2011년 2월 14일 - 대전광역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발생농가 모돈, 비육돈 모두 매몰처리)
- 2011년 2월 18일 - 경상북도 청도군,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2월 25일 - 울산광역시 울주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16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19일과 21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
- 2011년 4월 26일 -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구제역이 다시 발생하여 비상사태가 되었다.[78]
3. 역학적 특징 및 원인 분석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는 2010년 4월~7월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했던 구제역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99% 이상 동일하다.[88]
2010-2011년 대한민국 구제역 확산 사태는 일반적인 구제역 확산 패턴과 다른 특징을 보였다. 초기에는 감염되어도 구제역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항체 검사에서도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7] 또한, 시간적, 지리적으로 순차적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방역선을 뛰어넘어 20~200km 이상 비약적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7]
감염과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오염국 여행'과 '축산 관계 차량의 왕래'가 꼽혔다.[8]
3. 1. 역학적 특징
2010년에서 2011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일반적인 구제역과 다른 역학적 특징을 보였다. 감염 초기에는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항체 검사에서도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7] 또한, 시간적, 지리적으로 순차적인 확산뿐만 아니라 방역선을 넘어 20~200km 이상 떨어진 지역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7] 감염 및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오염국 여행'과 '축산 관계 차량의 왕래'가 지목되었다.[8]- 11월 23일, 24일, 26일: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의 양돈 단지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있었으나, 세 번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는 항체 형성에 약 1주일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여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침에 어긋나는 것이었다.[9]
- 11월 26일: 서현 양돈 단지에서 새끼 돼지가 갑자기 죽어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 신고했지만, 간이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와 염소계 소독 중독으로 판단하고 이동 제한을 해제했다. 그러나 농장 측은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했고,[10] 농장 경영자의 베트남 여행으로 인한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1] 확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한우 15마리가 전국으로 이동했고, 분뇨 처리 차량이 경기도까지 운행되었다.[12]
- 11월 30일: 서현리에서 8km 떨어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의 한우 농가에서 구제역 감염이 확인되었다.
- 12월 6일: 첫 발생 지점에서 21km 떨어진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의 한우 농장에서 구제역이 확진되어 20km 방역선이 뚫렸다.[14]
- 12월 7일: 첫 발생 지점에서 32km 떨어진 영양군 청기면의 한우 농가에서도 감염이 확인되었다.[16]
- 12월 8일:
- 봉화군에서 한우 양성이 확인되었고, 도축된 소 3마리의 고기 898kg 중 228kg이 이미 소비자에게 판매된 사실이 밝혀졌다.[22]
- 영주시에서 한우 양성이 확인되었다.[23]
- 12월 9일: 영덕군에서 한우 양성 2건이 확인되었다.[24]
- 12월 11일: 영주시 적서동의 한우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25]
- 12월 13일:
- 의성군 안사면의 한우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는데,[26] 이 농가는 안동시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900m 떨어진 농기계 수리센터를 방문한 적이 있어 확산 원인으로 추정된다.[22]
- 예천군의 돼지에서도 감염이 확인되었다.[29]
- 12월 15일:
- 대한민국 최대 축산 지대인 경기도 양주시 남면과 연천군 백학면의 양돈장에서 감염이 확인되어, 경상북도 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은 감염 지역에서 100km~200km 떨어져 있었다.[7]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의 한우에서 양성 반응이 나왔다.[7]
- 12월 16일:
- 대한민국 최북부 경기도 파주시의 젖소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35]
- 파주시 구제역 감염 농장을 방문한 식육 처리 차량이 고양시의 한우 농장을 방문한 후, 해당 농장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했다.[36]
-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한우 양성 사례가 확인되었다.[37]
- 경상북도와 경기도 바이러스의 유전자 검사 결과, 639개 유전자 중 5~6개의 유전자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도 바이러스는 양주와 연천 모두 항원에만 반응하고 항체 반응이 없어 최근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7]
- 12월 19일:
-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에서 한우 2마리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39]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의 젖소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41]
- 12월 21일: 경기도 가평군 하면의 한우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43]
- 12월 22일:
- 강원도 평창군 대화면과 화천군 사내면의 한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50]
-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의 한우 농가, 경기도 연천군과 김포시 월곶면의 양돈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51][52]
- 12월 23일:
-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과 춘천시 남면의 한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54][55]
-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서 한우 감염이 확인되었다.[56]
- 12월 24일:
-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의 양돈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58]
- 경기도 김포시의 양돈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59]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의 대규모 양돈장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는데, 바이러스 보유 돼지고기가 전국에 출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60]
- 강원도 횡성군의 2개소에서 한우 감염이 확인되었다.[64]
- 12월 25일: 강원도 철원군에서 발생.
- 12월 26일:
- 경기도 동남부 여주군 가남면의 양돈장과 북내면의 소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66]
- 경기도 동남부 이천시 대월면의 양돈장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67]
- 12월 27일:
- 인천광역시 서구와 계양구의 양돈 농가, 경상북도 청송군의 한우 농가, 경기도 양평군의 한우 농가, 강원도 철원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70]
- 경기도 남부 바이러스는 모두 항체 양성 반응을 보여 감염 후 1~2주가 지났음을 시사했다.
- 전문가들은 "최초 발생지를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대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강원도는 관련 없는 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서로 수십 km씩 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확산 패턴은 방역에 어려움을 더했으며, 2010~2011년 구제역 사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었다.
3. 2. 주요 원인
이번 구제역 바이러스는 2010년 4월~7월 일본 미야자키현에서 발생했던 구제역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99% 이상 동일하다.[88] 감염되어도 전형적인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초기 항체 검사에서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었다.[7] 또한, 시간적·지리적으로 순차적인 확산뿐만 아니라 방역선을 넘어 20-200km 이상 비약적으로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7] 감염과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오염국 여행"과 "축산 관계 차량의 왕래"가 꼽혔다.[8]- 11월 23일, 24일, 26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의 양돈 단지에서 구제역 의심 돼지가 발견되어 농가가 안동시 가축위생시험소에 신고했지만, 3번 모두 음성으로 판정되어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처리되었다. 이는 항체 형성에 약 1주일이 걸리기 때문에 음성이라도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매뉴얼에 위배된 것이었다.[9]
- 11월 26일 서현 양돈 단지의 새끼 돼지가 갑자기 죽어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 신고했지만, 간이 검사에서 음성이 나왔기 때문에 23일에 실시한 물탱크의 염소계 소독 중독으로 간주하여 이동 제한을 해제했다. 다른 농장에서 잇따른 새끼 돼지 사망에 납득하지 못한 농장 측이 28일 오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했다.[10] 농장 경영자가 구제역 발생국인 베트남 여행을 가서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11] 확인 검사를 하지 않는 동안 한우 15두가 전국으로 이동했고, 분뇨 처리 차량이 경기도까지 운행되었다고 한다.[12]
- 12월 6일 첫 번째 발생 지점에서 21km(다른 보도에서는 26.8km) 떨어진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의 한우 농장에서 구제역이 확진되어 20km 방역선이 뚫렸다.[14]
- 12월 7일 첫 번째 발생 지점에서 32km 떨어진 영양군 청기면의 한우 농가 감염이 확인되었다.[16]
- 12월 8일 봉화군에서 한우 양성(이미 살처분 예정) 판정이 나왔다. 봉화군의 구제역 의심 소 도축된 3마리의 고기 898kg 중 228kg이 이미 소비자에게 판매되었다.[22] 영주시에서 한우 양성(이미 살처분 예정) 판정이 나왔다.[23]
- 12월 9일 영덕군에서 한우 양성 2건(이미 살처분 예정)이 확인되었다.[24]
- 12월 11일 영주시 적서동의 한우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25]
- 12월 13일 의성군 안사면의 한우 농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26] 의성군 농가가 안동시 구제역 발생 농가에서 900m 떨어진 농기계 수리센터를 12월 6일에 차로 방문했기 때문에 확산된 것으로 여겨진다.[22] 예천군의 돼지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이미 살처분 예정).[29]
4. 피해 규모 및 영향
2010년 구제역 유행은 대한민국에서 1934년, 2000년, 2002년, 그리고 2010년에 세 차례 발생한 이후 6번째 유행이었다.
구제역은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등 4도 1광역시에 걸쳐 확산되었으며, 이들 지역에서만 58만 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되었다. 특히, 2010년 11월 29일에 최초 확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진단이 늦어지면서, 12월 2일에는 모든 가축 시장이 폐쇄되는 상황에 이르렀다.[76]
12월 6일에는 첫 발생 지점에서 21km 떨어진 경상북도 예천군의 한우 농가에서 구제역이 확진되면서 20km 방역선이 뚫렸다.[14] 이후 영양군(12월 7일)[16], 영주시와 봉화군(12월 8일)[17][18][19], 영덕군(12월 9일)[24], 의성군(12월 13일)[26] 등 경상북도 내 여러 지역에서 구제역이 연이어 발생했다.
12월 28일에는 충청북도 충주시, 강원도 홍천군, 춘천시, 횡성군, 경상북도 성주군, 영주시 등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확인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71][72] 12월 29일, 정부는 경계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격상하고 국가적 차원의 대응에 나섰다.[73][74]
2011년에 들어서도 구제역 확산은 계속되었다. 2월 1일 충청남도 홍성군[89], 2월 2일 경상북도 울진군, 2월 4일 경상북도 경산시, 2월 5일 충청남도 천안시, 2월 6일 부산광역시, 2월 14일 대전광역시, 2월 18일 경상북도 청도군과 충청남도 태안군, 2월 25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그리고 4월 16일부터 4월 21일까지 경상북도 영천시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했다.
4. 1. 살처분 및 백신 접종
2010년 11월 28일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의 돼지 농가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후,[87]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2011년 1월 9일 기준으로 매몰 대상 가축은 약 120만 마리로 증가했고, 백신 접종 대상은 소 217만 3천 마리, 돼지 61만 1천 마리 등 총 278만 4천 마리에 달했다.[89]구제역 확산 초기에는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이내의 가축을 살처분했다. 2010년 12월 30일, 경상북도 영천시, 경주시 및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발생했을 때는 발생 농가 및 반경 500m 이내의 구제역 감염 가축을 모두 살처분했다. 2011년 1월 7일 경기도 평택시, 용인시, 안성시, 이천시 및 강원도 철원군에서 돼지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도 같은 조치가 취해졌다.
2011년 1월 19일부터는 살처분 범위가 조정되었다. 강원도 횡성군의 축산기술연구센터에서 한우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부터는 소의 경우 발생 농가의 감염 한우만 살처분하고, 예방 접종 후 14일이 경과된 소는 감염 개체 및 예방 접종 후 태어난 송아지만 매몰 처분했다. 반경 500m 이내 미접종 가축들만 매몰 처분했다. 돼지의 경우 2011년 1월 21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발생했을 때 예방 접종 후 14일이 경과된 어미 돼지(모돈) 중 감염 개체 및 예방 접종 후 태어난 새끼 돼지(자돈)를 전부 매몰하고, 비육돈은 농장 전체 돼지를 매몰했다. 반경 내 백신 미접종 돼지는 살처분했다.
백신 접종은 2010년 12월 22일 긴급 가축 방역 협의회에서 링 백신 접종 시작을 공식 결정하면서 시작되었다.[45] 처음에는 소규모 지역에 한정하여 실시되었으며, 2010년 12월 25일부터 한우에 대한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다. 2010년 12월 27일부터는 경기도 여주시, 이천시, 양평군에서도 추가 백신 접종이 실시되었다.
4. 2. 경제적 피해
2010년부터 시작된 구제역 유행으로 경상북도, 경기도, 강원도,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등 4도 1광역시에서 가축 58만 마리가 살처분되었다.[76] 12월 29일부터는 국가 전체를 동원하여 봉쇄에 나섰고, 경계·대책 체제를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73][74]12월 31일 오전 기준으로, 총 4도 1광역시, 32개 시·군, 71개소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으며, 총 2,385호에서 58만 456마리가 살처분되었다. 12,600호에서는 34만 마리에 대한 백신 접종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한 손해액은 370억엔에 달했으며, 12월 29일에는 피해액이 400억엔였다.[76][73][74]
정부는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에도 재난 자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재난 및 안전 관리 기본법」 개정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71][72] 2,794억 원을 예비비에서 지출하기로 결정했다.[71][72]
4. 3. 환경 문제
2011년 1월 9일 오전 8시 기준으로 매몰 대상 가축은 약 120만 마리로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생매장된 가축의 피로 지하수가 오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89][91] 죽은 가축을 땅에 무더기로 묻는 과정에서 지하수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악취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92]그러나 구제역 가축 매몰지 인근 학교의 지하수 수질 조사 결과, 침출수로 인한 오염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93] 경기도 내 구제역 매몰지 주변 지하수 수질 조사 결과에서도 오염된 지하수는 발견되지 않아, 침출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94]
5. 정부 대응 및 논란
구제역이 확산되면서 정부의 대응과 여러 논란이 발생했다. 우선, 정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2010년 11월 경북 안동시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처음 접수되었지만, 방역 당국은 며칠 뒤에야 이를 확인했다. 또한 정부는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백신 접종을 미루면서 구제역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는 지적도 나왔다.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한 인력이 부족하여 공무원이 과로사하거나 안전사고로 숨지는 일도 발생했다.[99] 매몰 지역의 관리가 허술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방치한다는 지적과[101] 매몰 과정에서 발생한 침출수로 인한 2차 오염 문제도 발생했다.[102] 김포에서는 식수가 오염되는 사례까지 발생했다.[103]
이에 이명박 정부는 2011년 2월 15일 '가축 매몰지 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고,[104] 이명박 대통령은 2011년 3월 말까지 매몰지 정비 문제를 완료하도록 지시했다.[105]
대한민국은 2006년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에 따라 "국가 전염병 재난 단계" 제도를 도입했다.[79] 2010년 12월 15일에 "경계", 12월 29일에는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되었다. 가축 전염병에 대한 "심각" 단계는 처음이었다.
"심각" 단계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강화된다.[80][81]
- 정부 전체(대통령, 국무총리)가 대응한다.
- 실무 책임자는 행정안전부 장관, 부책임자는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다.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설치하고 국가 차원의 대책을 시행한다.
- 행정안전부 공무원과 경찰을 방역에 동원한다.
-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각 자치단체도 지역 재난 안전 대책 본부를 설치한다.
- 가축 및 관련 업체 차량 이동을 각 도 내로 제한한다.
- 농가 및 간선도로에서의 소독을 강화한다.
- 농가의 해외 여행객에 대한 검역을 강화하고, 예방 접종 지역을 확대한다.
2010년 12월 16일 기준, 국가 수준의 방역 담당 인원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33명, 농림수산식품부 7명 등 총 40명이었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확진 진단 및 추적 조사를 수행하며, 24시간 검사 체제를 운영했다.
5. 1. 초기 대응 실패
구제역 확산에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밀집사육과 함께 정부의 방역 활동에 허점이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95] 2010년 11월 23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의 양돈 단지에서 구제역 의심 돼지가 처음 신고되었지만, 방역 당국은 이를 11월 29일에야 확인하여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정부는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구제역 발생 후 1개월가량 백신 접종을 미루면서 구제역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이로 인해 2011년 1월까지 1.2조원 이상의 예산이 구제역 방역에 투입되었다.[96]안동시 가축위생시험소는 11월 23일, 24일, 26일에 접수된 구제역 의심 신고를 모두 음성으로 처리했다. 이는 항체 형성에 약 1주일이 걸리므로 음성 판정이 나오더라도 정밀 검사를 의뢰해야 한다는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침에 어긋나는 것이었다.[9] 11월 26일, 서현 양돈 단지에서 새끼 돼지가 갑자기 죽자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북부지소에 신고했지만, 간이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왔다는 이유로 11월 23일에 실시한 물탱크 염소계 소독 중독으로 판단하여 이동 제한을 해제했다. 잇따른 새끼 돼지 사망에 의문을 품은 농장 측은 11월 28일 오후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했다.[10] 농장 경영자가 구제역 발생국인 베트남을 방문한 적이 있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11] 확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 한우 15두가 전국으로 이동했고, 분뇨 처리 차량이 경기도까지 운행되었다.[12]
11월 30일, 서현리에서 8km 떨어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리의 한우 농가 소 5두가 감염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안동시에서 소와 돼지를 합쳐 총 6건, 9,368두가 발생했다.
5. 2. 살처분 방식 논란
구제역은 치료를 통해 회복될 수 있는 질병이지만, 국제적으로 청정국 지위를 얻기 위해 살처분을 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97] 그러나 매몰 처분은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을 가장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며, 일본, 영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도 구제역 발생 초기에는 매몰 처분 정책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8]살처분 과정에서 지침상 안락사 후 매몰하도록 되어 있었으나,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산 채로 매몰하는 경우가 많아 비판이 제기되었다. 민주당 이미경 의원은 돼지들이 생매장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개하며 이러한 문제를 지적했다.[100]
5. 3. 기타 문제점
구제역 확산에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밀집사육과 정부의 방역 활동에 허점이 있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95] 2010년 11월 23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신고되었지만, 방역 당국은 이를 29일에야 확인하여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정부가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유지하려고 구제역 발생 후 1개월 가량 백신 접종을 미루면서 구제역이 더욱 확산되었다. 구제역 확산으로 2011년 1월 현재 1.2조원 이상의 예산이 구제역 방역에 투입되고 있다.[96]구제역은 치료를 통해 나을 수 있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국제적으로 청정국 지위를 얻기 위해 무조건 살처분을 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97] 그러나 매몰 처분이 가장 빠르게 구제역 바이러스 확산을 차단할 수 있으며, 구제역 발생 초기에는 일본, 영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서도 매몰 처분 정책을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8]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한 인력이 부족하여 공무원이 과로사하거나 안전사고로 숨지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99] 살처분 시 지침상으로는 안락사 후 매몰하도록 되어 있지만,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산 채로 묻는 경우가 많아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민주당 이미경 의원은 돼지들이 생매장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폭로하면서 논란에 불을 지폈다.[100] 또한 매몰 지역 관리가 허술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방치한다는 지적도 제기되었다.[101] 매몰 시 비닐에 싸서 매몰한 후 비닐을 뚫고 나온 침출수가 2차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102] 김포에서는 사람이 먹는 식수가 오염되는 사례도 발생했다.[103] 이처럼 매몰 지역에 대한 2차 오염 우려가 커지자, 정부는 2011년 2월 15일 첨단 오염 감지기를 활용한 매몰지 24시간 점검 체계 도입을 골자로 하는 '가축 매몰지 관리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104] 이명박 대통령은 2011년 3월 말까지 매몰지 정비 문제를 완료하도록 지시하는 등 매몰지 사후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105]
6. 후속 조치 및 제도 개선
2011년 1월 28일,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구제역 파동에 대한 책임을 지고 구제역이 종식된 후 물러나겠다는 사퇴 의사를 밝혔다.[106]
7. 관련 자료
- 농림수산성 동물 위생과 "한국의 구제역에 관한 정보 (2016년 3월 31일 현재)"
- 히라이시 야스히사, 후지이 마이코, 호시노 카즈히사 (조사 정보부) "한국에서의 구제역 발생과 이에 따른 수급 변화 및 정부의 대책", 독립 행정법인 농축산업 진흥 기구 <조사·보고 (해외)>, 2011년 11월
7. 1. 방송 프로그램
- SBS 《뉴스추적》 소의 눈물, 구제역의 진실 (2011년 1월 19일)
- KBS 《추적60분》 구제역 확산, 예고된 재앙이었나 (2011년 1월 19일)
- MBC 《PD수첩》 구제역 대재앙 (2011년 1월 25일)
- MBC 《PD수첩》 구제역 대재앙, 그 후 (2011년 3월 1일)
- EBS 《지식채널e》 젖소의 탈출 (2011년 1월 11일)
참조
[1]
뉴스
Foot-and-Mouth Disease Roils Korean Farms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1-01-11
[2]
뉴스
South Korea Reportedly Buries 1.4 Million Pigs Alive To Combat Foot And Mouth Disease
http://www.huffingto[...]
2011-01-12
[3]
뉴스
South Korea Buries One Million Pigs Alive
http://news.sky.com/[...]
Sky News
2011-01-07
[4]
뉴스
S. Korea Foot-and-Mouth: Over a Million Animals Culled
http://www.time.com/[...]
TIME
2011-01-18
[5]
뉴스
"생수공장 주변에 구제역 매몰지 조성"
http://www.yonhapnew[...]
2011-05-07
[6]
웹사이트
FOOT & MOUTH DISEASE - SOUTH KOREA (23): SPREAD, VACCINATION
http://www.promedmai[...]
International Society for Infectious Diseases
2010-12-27
[7]
뉴스
東亜日報:京畿道でも口蹄疫、全国へ拡大する兆し
http://japanese.dong[...]
2010-12-16
[8]
뉴스
「口蹄疫南下、忠清圏も飲み込むか」
東亜日報
2010-12-28
[9]
뉴스
中央日報:対応規則守らず口蹄疫が拡散
https://web.archive.[...]
2010-12-13
[10]
뉴스
'朝鮮日報:11月30日06:04 :「7ヵ月ぶり、今度は内陸地方」 安東で口蹄疫発生、防疫非常体制'
http://japanese.dong[...]
2010-11-30
[11]
뉴스
口蹄疫発生国の外国人労働者は農場雇用禁止?…強い反発
https://japanese.joi[...]
[12]
뉴스
中央日報【社説】口蹄疫の初期対応に失敗、責任を問うべき 2010年12月24日
https://japanese.joi[...]
2010-12-24
[13]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2日)
http://www.maff.go.j[...]
[14]
뉴스
朝鮮日報:口蹄疫:慶尚北道醴泉郡でも発生
http://www.chosunonl[...]
[15]
뉴스
The Korea Times:More foot-and-mouth cases detected 12-06-2010 19:10
http://www.koreatime[...]
2010-12-06
[16]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感染31件に、慶尚北道醴泉・英陽でも発生
http://japanese.yonh[...]
[17]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8日)
http://www.maff.go.j[...]
[18]
뉴스
120 thousand animals slaughtered amid foot-and-mouth disease outbreak Dec.9,2010 14:33 KST
http://english.hani.[...]
2010-12-09
[19]
뉴스
韓国で強毒性鳥インフル 口蹄疫も
https://web.archive.[...]
2010-12-08
[20]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による殺処分家畜17万頭、過去最大に
http://japanese.yonh[...]
2010-12-08
[21]
뉴스
FMD virus spreading outside of Andong area December 08, 2010
https://web.archive.[...]
2010-12-08
[22]
뉴스
義城の口蹄疫、防疫ラインを潜り抜けた「第2次感染」だった
http://japan.donga.c[...]
2010-12-14
[23]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9日)
http://www.maff.go.j[...]
[24]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9日)
http://www.maff.go.j[...]
[25]
뉴스
The Korea Times:Additional FMD-affected livestock reported
http://www.koreatime[...]
2010-12-12
[26]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13日)
http://www.maff.go.j[...]
[27]
뉴스
Xinhua:S Korea reports additional foot-and-mouth case
http://news.xinhuane[...]
2010-12-13
[28]
뉴스
Korea Herald:S. Korea confirms additional FMD case 2010-12-13 13:28
http://www.koreahera[...]
2010-12-13
[29]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14日)
http://www.maff.go.j[...]
[30]
뉴스
聯合ニュース:京畿道でも口蹄疫発生、警報レベル引き上げ
http://japanese.yonh[...]
2010-12-15
[31]
뉴스
韓国で口蹄疫が拡大 ソウル近郊・京畿道でも
http://www.asahi.com[...]
2010-12-15
[32]
뉴스
韓国、京畿道でも口蹄疫発生 感染拡大
http://www.47news.jp[...]
2010-12-15
[33]
뉴스
韓国で再び口蹄疫の感染拡大 警戒レベル引き上げ(12/15 22:59)
http://news.tv-asahi[...]
2010-12-15
[34]
웹사이트
農林水産省/口蹄疫に関する情報
https://www.maff.go.[...]
[35]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京畿道北部に広がる、坡州でも感染確認
http://japanese.yonh[...]
2010-12-16
[36]
뉴스
朝鮮日報:口蹄疫:同じ過ちを繰り返す政府 今年初めと同様、農場主が海外旅行後に発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12-23
[37]
간행물
農水省: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16日)
http://www.maff.go.j[...]
農水省
2010-12-16
[38]
뉴스
京畿北部で口蹄疫、「週末の防疫」に主力
http://contents.inno[...]
Innolife & Digital YTN & Joynews24 & inews24
2010-12-18
[39]
뉴스
Arirang:Additional Case of Foot-and-Mouth Reported in Gyeonggi Province
http://www.arirang.c[...]
Arirang
2010-12-19
[40]
뉴스
聯合ニュース:京畿道北部で口蹄疫広がる、坡州でさらに感染確認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19
[41]
뉴스
聯合ニュース:首都圏に広がる口蹄疫、京畿道・高陽でも感染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0
[42]
간행물
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21日)
http://www.maff.go.j[...]
農水省
2010-12-21
[43]
뉴스
聯合ニュース:京畿道・加平で口蹄疫、韓牛産地への拡散阻止に総力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1
[44]
뉴스
Xinhua:Foot-and-mouth disease inches toward Seoul
http://news.xinhuane[...]
Xinhua
2010-12-21
[45]
뉴스
東亜日報:清浄地域の江原道まで拡大、政府は口蹄疫のワクチン接種へ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10-12-23
[46]
뉴스
口蹄疫:被害規模は史上最大、必死の防疫作業(上):朝鮮日報
朝鮮日報
2010-12-25
[47]
뉴스
中央日報:急速に広がる口蹄疫に“最後の手段”予防ワクチン接種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0-12-23
[48]
뉴스
朝鮮日報:口蹄疫:韓国政府、ワクチン接種を決定(下)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12-23
[49]
뉴스
朝鮮日報:口蹄疫:21万頭を殺処分、補償金2200億ウォン超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12-22
[50]
뉴스
共同:韓国、口蹄疫感染が急拡大 勢い止まらず「非常事態」
http://www.47news.jp[...]
共同
2010-12-22
[51]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感染江原道でも確認、ブランド韓牛産地に危機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2
[52]
간행물
韓国における口蹄疫(O型・11月発生事例)の概要(平成22年12月22日)
http://www.maff.go.j[...]
農水省
2010-12-22
[53]
뉴스
Gov’t mulls vaccine after FMD gets to Gangwon
https://web.archive.[...]
Korea Jongang Daily
2010-12-23
[54]
뉴스
聯合ニュース:江原道・原州で口蹄疫発生、道内で感染の疑い相次ぐ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3
[55]
뉴스
東亜日報:牛13万頭に口蹄疫ワクチン接種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0-12-24
[56]
뉴스
江原道・横城でも口蹄疫発生、感染拡大続く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3
[57]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ワクチン接種、安東など5地域で実施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3
[58]
뉴스
聯合ニュース:仁川・江華郡でも口蹄疫、全国拡散の懸念高まる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4
[59]
뉴스
京畿道では養豚農家2戸感染確認、口蹄疫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4
[60]
뉴스
Yonhap news:S. Korea reports additional FMD outbreak at pig production farm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0-12-24
[61]
뉴스
東亜日報:衝撃の永川…「豚の種すらなくなりそう」
http://japan.donga.c[...]
東亜日報
2010-12-25
[62]
뉴스
朝鮮日報:口蹄疫:京畿道南部に拡大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0-12-27
[63]
간행물
発生場所地図の報道情報
http://www.maff.go.j[...]
農水省
[64]
뉴스
広がる口蹄疫「種牛50頭を守れ」(2)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65]
뉴스
The Korea herald Korea goes all out to halt foot-and-mouth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0-12-24
[66]
뉴스
Yonhap News:S. Korea reports two additional FMD outbreaks
http://english.yonha[...]
Yonhap News
2010-12-26
[67]
뉴스
Korea Jongang Daily:Foot-and-mouth spreads far, fast
https://web.archive.[...]
Korea Jongang Daily
2010-12-27
[68]
뉴스
聯合ニュース:仁川・西区などでも口蹄疫、ワクチン接種地域拡大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0-12-27
[69]
뉴스
東亜日報:遠い地域でいきなり…江原道口蹄疫の「ミステリ」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010-12-27
[70]
뉴스
仁川(インチョン)口蹄疫…拡散防止に
http://contents.inno[...]
innolife
2010-12-28
[71]
뉴스
Bernama:South Korea Reports 4 Additional FMD Outbreaks December 28, 2010 16:26 PM
http://www.bernama.c[...]
2010-12-28
[72]
뉴스
東亞日報:忠清道でも口蹄疫、事実上全国に拡散:DECEMBER 29, 2010 05:52
http://japanese.dong[...]
2010-12-29
[73]
뉴스
JoongAng daily:Gov’t pools agencies to better combat FMD :December 30, 2010
https://web.archive.[...]
2010-12-30
[74]
뉴스
Korea Times: Highest alert level issued for foot-and-mouth disease: 12-29-2010 20:17
http://www.koreatime[...]
2010-12-29
[75]
뉴스
New FMD case reported at pig farm in Gangwon: 12-30-2010 19:55
http://www.koreatime[...]
2010-12-30
[76]
뉴스
S. Korea reports 3 additional FMD outbreaks:2010/12/31 10:27 KST
http://english.yonha[...]
2010-12-31
[77]
뉴스
聯合ニュース:口蹄疫・鳥インフルエンザ、全国拡大の勢い:2010/12/31 12:41 KST
http://japanese.yonh[...]
2010-12-31
[78]
웹사이트
https://japanese.joi[...]
[79]
뉴스
韓国、口蹄疫警戒を最高水準に 対策本部設置へ 2010/12/29 13:05
https://web.archive.[...]
2010-12-29
[80]
뉴스
中央日報:口蹄疫警報が最高レベルに:2010年12月29日
https://japanese.joi[...]
2010-12-29
[81]
뉴스
日本侵入水際で防げ 韓国口蹄疫各地に拡大 警報、最高レベルに:2010年12月30日 00:20
http://www.nishinipp[...]
2010-12-30
[82]
뉴스
広がる口蹄疫「種牛50頭を守れ」:2010.12.26 09:40:48
https://japanese.joi[...]
2010-12-26
[83]
뉴스
口蹄疫が拡散、種雄牛の精液を守れ:2010.01.21 09:24:34
https://japanese.joi[...]
2010-01-21
[84]
뉴스
口蹄疫感染江原道でも確認、ブランド韓牛産地に危機 2010/12/22 11:12 KST
http://japanese.yonh[...]
2010-12-22
[85]
뉴스
구제역 재앙 확산..살처분 피해액만 3조원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1-03-06
[86]
웹인용
2010-2011년 최악 구제역...역대 발생 현황은?
http://www.ytn.co.kr[...]
[87]
웹사이트
http://web.maf.go.kr[...]
[88]
뉴스
"한국 구제역, 미야자키 구제역과 일치"
http://www.ytn.co.kr[...]
YTN
2011-02-14
[89]
뉴스
확산일로 구제역… 끝모를 재난, 전국이 떤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1-10
[90]
뉴스
구제역 마지막 청정지역은 ‘제주도
http://www.jejunews.[...]
제주일보
2011-01-25
[91]
뉴스
구제역 침출수 공포…광역상수도 공급 시급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1-02-14
[92]
뉴스
암갈색 침출수 뽑아내자 사체 썩는 악취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3-11
[93]
뉴스
매몰지 인근 학교 지하수, 침출수 오염없어
http://www.ytn.co.kr[...]
YTN
2011-03-11
[94]
뉴스
경기 구제역매몰지 주변 지하수 침출수 오염 없어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3-27
[95]
뉴스
밀집사육·느슨한 방역…한국식 축산 한계…예고된 ‘가축 재앙’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2-14
[96]
뉴스
한번의 오판’ 1조2000억 날렸다
http://news.nate.com[...]
서울신문
2011-01-18
[97]
뉴스
나을 수 있는 구제역, 왜 무조건 살처분?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1-01-26
[98]
뉴스
농식품부 "예방적 살처분은 적법한 조치"
http://www.mdtoday.c[...]
메디컬투데이
2011-01-27
[99]
뉴스
우린 시체다"...손가락 잘리고, 과로사 사상자 126명, 구제역이 공무원 잡는다
http://news.nate.com[...]
오마이뉴스
2011-02-11
[100]
뉴스
이미경 '돼지 4천두 생매장 현장' 폭로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1-03
[101]
뉴스
내다버린 돼지들 땅위 나뒹굴어…바이러스 확산 방치
http://news.nate.com[...]
한겨레
2011-02-11
[102]
뉴스
비닐 뚫고 나온 누런 침출수 수박만 한 덩어리로 엉겨붙어
http://news.nate.com[...]
조선일보
2011-02-17
[103]
뉴스
김포서 침출수 유출 ‘먹는 물’ 첫 오염
http://news.nate.com[...]
동아일보
2011-02-17
[104]
뉴스
"첨단 IT센서 설치 24시간 침출수 유출 감시 토양·지하수 오염땐 경보 발령"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1-02-16
[105]
뉴스
MB “구제역 매몰지 새달 말까지 정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2-19
[106]
뉴스
유정복 사의, 개각으로 이어질까
http://news.nate.com[...]
연합뉴스
2011-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