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4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64는 여러 의미로 사용되는 숫자이다. 수학에서는 합성수, 하샤드 수, 과잉수이며, 16개의 약수를 가지고 진약수의 합은 456이다. 교통 관련해서는 유럽 고속도로 264호선, 일본 국도 264번, 과거 존재했던 여러 도도부현도 264호선이 있다. 문화재로는 대한민국의 국보 제264호 포항 냉수리 신라비, 보물 제264호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사적 제264호 단양 온달산성이 있다. 통신 분야에서는 지니 TV와 B tv 채널 번호, H.264 동영상 코덱, 나미비아 국제전화 국가번호, 앵귈라 지역번호로 사용된다. 또한, 일제강점기 저항 시인 이육사의 수인 번호, 역대 로마 교황 중 264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잠을 자지 않고 가장 오래 버틴 시간, NGC 264 렌즈형 은하, 264년과 기원전 264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64 | |
---|---|
숫자 정보 | |
수 | 264 |
약수 | 1, 2, 3, 4, 6, 8, 11, 12, 22, 24, 33, 44, 66, 88, 132, 264 |
수학적 속성 | |
소인수분해 | 23 × 3 × 11 |
오일러 피 함수 | 80 |
약수 개수 | 16 |
약수 합 | 720 |
뫼비우스 함수 | 0 |
메르텐스 함수 | 6 |
2. 수학
264는 합성수로, 16개의 약수(1, 2, 3, 4, 6, 8, 11, 12, 22, 24, 33, 44, 66, 88, 132, 264)를 가진다.[1][2] 진약수의 합은 456이므로 과잉수이다. 61번째 과잉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60이고, 다음 수는 270이다.
264는 10진법에서 하샤드 수이며,[3] 각 자리 숫자로 나누어진다. 78번째 하샤드 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61이고, 다음 수는 266이다. 또한 12를 밑으로 한 6번째 하샤드 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28이고, 다음 수는 336이다.
264는 두 과잉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짝수 합성수 중 하나이다.[4] 두 과잉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유일한 다른 짝수는 2이다.
제곱수가 회문수가 되는 비회문수 중 하나이다. (2642 = 69696) 제곱수가 회문수가 되는 12번째 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12이고, 다음 수는 307이다.
약수의 합이 264가 되는 수는 2개(215, 263)이다. 약수의 합 2개로 나타낼 수 있는 22번째 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10이고, 다음 수는 272이다.
각 자리 숫자의 합이 12가 되는 21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55이고, 다음 수는 273이다. 각 자리 숫자의 곱이 각 자리 숫자의 합의 4배가 되는 5번째 수이며, 바로 앞의 수는 246이고, 다음 수는 426이다.
2642 + 1 = 69697이며, ''n''2 + 1 형태의 소수를 만드는 45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60이고, 다음 수는 270이다.
264 = 22 + 22 + 162 = 22 + 82 + 142 = 82 + 102 + 102이며,3개의 제곱수의 합 3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는 34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58이고, 다음 수는 274이다. 또한 264 = 22 + 82 + 142이며, 서로 다른 3개의 제곱수의 합 1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는 79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62이고, 다음 수는 265이다.
3자리 이상의 수에서 최대 자리수와 최소 자리수로 만든 수가 원래의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32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60이고, 다음 수는 275이다. 예를 들어 264 ÷ 24 = 11이다. 26…64 형태의 수는 모두 24의 배수이다. (예. 26…64 = 11…11 × 24)
264 = 28 + 8이며, ''n'' = 8일 때의 2''n'' + ''n''의 값으로 볼 때 바로 앞의 수는 135이고, 다음 수는 521이다.
264의 각 자릿수를 조합하여 2자리의 수를 만들면 24, 26, 42, 46, 62, 64가 되는데, 이 모든 수를 더하면 264가 된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두 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132이고, 다음 수는 396이다.
''n'' = 264일 때, ''n''과 ''n'' − 1을 나란히 나열하여 만든 수가 소수가 된다. ''n''과 ''n'' − 1을 나란히 나열한 수가 소수인 31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262이고, 다음 수는 268이다.
264 = 23 × 3 × 11이며, 3개의 서로 다른 소인수의 곱으로 ''p''3 × ''q'' × ''r''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3번째 수이다. 바로 앞의 수는 168이고, 다음 수는 270이다.
264 = 172 − 25이며, ''n'' = 17일 때의 ''n''2 − 25의 값으로 볼 때 바로 앞의 수는 231이고, 다음 수는 299이다.
3. 교통
3. 1. 도로
3. 2. 기타
4. 문화
4. 1. 문화재
264는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보물, 대한민국의 사적에 지정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264호: 포항 냉수리 신라비
- 대한민국의 보물 제264호: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대한민국의 사적 제264호: 단양 온달산성
264년과 기원전 264년이 있다. 잠을 자지 않고 가장 오래 버틴 기록은 264시간이다.[8] NGC 264는 렌즈형 은하이다.[9]
4. 2. 인물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 이육사는 본명이 '''이원록''' 또는 '''이원삼'''이지만, 대구형무소 수감 당시 수인 번호 264번을 필명으로 하였다. 이는 조국 독립에 대한 그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숫자이다. 제264대 로마 교황은 요한 바오로 2세 (재위: 1978년10월 16일 ~ 2005년4월 2일)이다.5. 통신
5. 1. 방송
지니 TV의 디스토리 채널 번호이자, B tv의 디마TV 채널 번호이다. H.264는 동영상 코덱의 한 종류이다.[5]5. 2. 전화
264는 나미비아의 국제전화 국가번호이다.[6][7] 또한 북아메리카 번호 체계(NANP)에서 앵귈라의 지역번호이기도 하다.6. 기타
- 264년과 기원전 264년
-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 이육사는 본명이 '''이원록''' 또는 '''이원삼'''이지만, 교도소 수감 생활 당시에 배정받은 수인 번호 264번을 필명으로 하였다.
- 나미비아의 국제전화 국가번호이다.
- 북아메리카 번호 체계(NANP)에서 앵귈라의 지역번호이다.
- 잠을 자지 않고 가장 오래 버틴 기록은 264시간이다.[8]
- NGC 264는 렌즈형 은하이다.[9]
- 새해부터 264일째는 9월 21일이다.
- H.264는 동영상코덱이다.
-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은 타워 팰리스 3동으로, 높이는 263.7미터이다.
- 제264대 로마 교황은 요한 바오로 2세 (재위: 1978년10월 16일 ~ 2005년4월 2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omposite Number
https://mathworld.wo[...]
[2]
웹사이트
Number 264 - Facts about the integer
https://numbermatics[...]
[3]
웹사이트
About The Number 264
https://numeraly.com[...]
2023-06-12
[4]
OEIS
Numbers that are not the sum of two abundant numbers (not necessarily distinct).
2024-07-26
[5]
웹사이트
What is H.264? | Advanced Video Coding (AVC) | Cloudflare
https://www.cloudfla[...]
[6]
웹사이트
Phone Codes for Namibia - Full list of Namibia dialling codes
https://www.rebtel.c[...]
[7]
웹사이트
Number 264
https://number.acade[...]
[8]
웹사이트
A Man Stayed Awake for 264 Hours and Set a Sleep Deprivation Record
https://www.mensheal[...]
2021-03-27
[9]
웹사이트
NGC 264 Galaxy (NGC 264) Facts - Universe Guide
https://www.univer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