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식 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96식 전차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력 전차 중 하나로, 85식 전차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90년대에 개발이 시작되어 1997년 인민해방군에 배치되었으며, 125mm 활강포를 주 무장으로 갖추고 있다. 96식 전차는 96A, 96B 등 여러 파생형이 존재하며, 중국 육군의 기갑 전력의 핵심을 담당한다. 2016년까지 2,077대의 96식/96A형이 실전 배치되었으며, 성능과 가격을 고려하여 중국군의 주력 전차로 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59식 전차
59식 전차는 1950년대 후반 소련의 T-54A 전차를 기반으로 중국에서 개발 및 생산되었으며, 100mm 강선포를 주포로 사용하고, 야간 투시 시스템과 수직 안정화 장치가 추가된 개량형도 존재하며, 69식, 79식, 80식 전차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 85식 전차
85식 전차는 1980년대 파키스탄군의 노후 전력 현대화를 위해 중국과 협력 개발되었으며, 파키스탄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105mm 강선포 장착 초기형과 125mm 활강포 탑재 파생형이 개발, 수출되었고, 방어력 및 사격 통제 시스템 개선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었다. - 주력전차 - M48 패튼
M48 패튼은 M46 패튼의 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미국의 주력 전차로, 90mm 주포에서 105mm 주포로 개량되었고, 디젤 엔진을 탑재하여 항속거리와 연비 효율성을 높였으며, 여러 파생형과 다양한 국가에서 운용 및 개량되어 여러 전쟁에서 실전 경험을 쌓은 전차이다. - 주력전차 - 레오파르트 1
레오파르트 1은 서독에서 개발되어 높은 기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105mm 주포를 장착한 주력전차로, NATO 회원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고, 현재는 일부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투입되었다.
96식 전차 | |
---|---|
개요 | |
![]() | |
종류 | 주력전차 |
원산지 | 중국 |
제원 | |
제조사 | 제1 내몽골 기계 공장 |
승무원 | 3명 |
운용 | 1997년–현재 |
생산 대수 | 2,500대 이상 |
길이 | 6.33m (차체) / 10.65m (전체) |
폭 | 3.45m (차체) / 3.30m (전체) |
높이 | 2.30m |
중량 | 96식: 41톤 96A식: 42.8톤 96B식: 43톤 |
무장 | |
주무장 | 88C식/ZPT-98 125mm 활강포 (대전차 미사일 발사 가능, 열화우라늄탄 사용 가능) / 2A46 48구경 125mm 활강포 (거의 복제품) |
부무장 | 86식 7.62mm 동축 기관총 / 80식 7.62mm 기관총, QJC-88 12.7mm 대공 기관총 / 59식 12.7mm 기관총, 59식 9.62mm 기관총 |
탑재 탄약 | 41발 |
장전 방식 | 자동 장전 (카세트 타입) |
기동 | |
엔진 | 디젤 엔진 / 150형 V형 12기통수냉디젤 |
엔진 출력 | 96식: 12V150ZLC - 730마력 (582kW) 96A식: 12V150ZLD - 865마력 (636kW) 96B식: 8V150HB - 1000마력 (735kW) / 1,000마력 |
마력당 중량비 | 96식: (17.8 hp/톤) 96A식: (18.7 hp/톤) 96B식: (23 hp/톤) |
현가 장치 | 토션 바 |
속도 | 65km/h / 74km/h (96B식) |
항속 거리 | 400km |
방호 | |
장갑 | 96식: 복합 장갑 (강철 및 세라믹 알루미늄 티탄산염, 섬유 유리 천) 96A식: 포탑에 모듈식 추가 장갑, 차체 전면에 FY-4 반응 장갑 플레이트 |
사용 국가 | |
사용 국가 | 중국 |
2. 역사
걸프 전쟁 이후 기존 59식 전차, 69/79식 전차, 88식 전차 등 구형 전차의 한계를 인식한 중화인민공화국은 새로운 주력 전차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차세대 99식 전차의 개발이 지연되고 높은 비용 문제가 예상되자, 인민해방군은 기존 85식 전차를 기반으로 성능을 개량하는 방향을 선택했다.
1995년, 노린코(Norinco)는 1,000 마력 엔진과 ERA를 장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85-III 시제차를 개발했다. 이를 더욱 발전시킨 88C 시제차가 최종적으로 '''96식 전차'''라는 제식 명칭을 부여받고 1996년 인민해방군에 정식 채용되었다.[2] 96식 전차는 고비용의 3세대 전차인 99식 전차를 보완하고, 노후화된 59식 전차와 69/79식 전차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량 생산되었다.
채용 이후에도 96식 전차는 지속적으로 개량되었다. 3세대 전차인 99식 전차의 기술 일부를 적용하여 방호력 등을 개선한 '''96A식'''이 등장했으며, 이후 엔진, 사격 통제 시스템, 변속기 등을 추가로 개량한 '''96B식'''이 개발되어 2016년 전차 바이애슬론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2016년 중반 기준으로 중국군은 약 2,077대의 96식/96A형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이는 같은 시기 약 814대의 99식/99A형보다 훨씬 많은 수량이다.[2]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과 충분한 성능을 갖춘 96식 계열 전차는 인민해방군 기갑 전력 현대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주력 전차로서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2] 96식 전차는 88식 전차까지 이어져 온 소련제 전차의 영향에서 벗어나 125mm 활강포, 복합 장갑 등 독자적인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된 중국의 2세대 주력 전차 개발 노력이 집약된 결과물로 평가받는다.[22]
2. 1. 개발 배경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개발은 크게 3세대로 나눌 수 있다. 1세대는 소련의 T-54 전차를 복제한 59식 전차이며, 2세대는 80식 전차 개발로 시작하여 96식 전차로 완성되었다.[22] 3세대 전차는 99식 전차로 시작되었다.중국의 1세대 전차 개발 프로그램은 인민해방군의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기술적 한계는 소련에서 T-72와 T-80 같은 강력한 신형 전차가 등장한 시기와 맞물렸고, 이는 중국 국방 관계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결국 1980년대 초, 중국은 새로운 세대의 주력 전차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은 1988년까지 이어지는 80식 및 85식 전차 계열 개발의 시작점이 되었다. 80식 시제차는 이후 88A/B형으로 인민해방군에 채용되었다.

그러나 1991년 발발한 걸프 전쟁은 중국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라크 군이 운용하던 중국제 59식 및 69식 전차가 미국의 M1 에이브람스를 비롯한 나토 회원국의 주력 전차에 일방적으로 파괴되는 모습은 기존 중국 전차 기술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었다. 88식 전차 역시 59식 전차의 개량형에 기반했기 때문에, 인민해방군은 88식 전차의 설계가 현대 전장에서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따라 더 우수한 성능의 국산 주력 전차 개발이 시급해졌지만, 차세대 3세대 주력 전차(99식 전차)의 개발은 계속 지연되었다. 때문에 인민해방군은 임시방편으로 기존 85식 전차 계열의 개량을 계속 추진할 수밖에 없었다. 노린코(Norinco)는 125mm 활강포와 야시장비 등을 갖춘 85IIM 형을 개발했고, 1995년에는 1,000 마력 엔진을 장착하고 ERA를 추가하는 등 성능을 향상시킨 85-III 시제차를 제작했다.
1997년, 개량된 85-IIM 시제차는 88C라는 형식명과 함께 '''96식 전차'''라는 제식 명칭을 부여받고 인민해방군에 채용되었다. 96식 전차는 3세대 전차인 98식 전차와 99식 전차가 정식 채용되기 전부터 높은 생산 비용으로 인해 전면적인 배치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기에, 85-IIM/85-IIAP식 전차의 기술을 도입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되었다.[2] 이는 노후화된 59식 전차와 69/79식 전차를 대체하고, 고비용의 99식 전차를 보완하여 인민해방군 기갑 전력의 현대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이었다.
2. 2. 개발 과정
중화인민공화국의 전차 개발은 크게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80식/88식, 3세대 99식으로 나눌 수 있다. 96식 전차는 80식으로 시작된 2세대 주력 전차 개발의 최종 완성형으로 평가받는다.[22]1980년대 초, 중화인민공화국은 기존에 운용하던 1세대 전차의 성능 부족을 절감하고 있었다. 특히 소련에서 T-72와 T-80 같은 강력한 신형 전차가 등장하자, 이에 자극받아 새로운 자체 주력 전차 개발에 착수하게 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1988년까지 80식 및 85식 계열 전차의 개발로 이어졌다. 80식 시제차는 이후 88A/B형으로 명명되어 인민해방군에 채용되었는데, 이전 중국 전차들과 달리 5개가 아닌 6개의 로드 휠을 가진 것이 주요 특징이었다.
그러나 1991년 발발한 걸프 전쟁은 중국 군 당국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이라크군이 운용하던 59식 및 69식 전차(88식 역시 59식의 개량형에 해당)가 당시 NATO의 주력 전차들에게 일방적으로 파괴되는 모습은 88식 전차의 설계 역시 현대 전장 환경에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명확히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더 우수한 성능의 국산 주력 전차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하지만 중국의 3세대 주력 전차 개발은 계속해서 지연되었고, 인민해방군은 차선책으로 기존 2세대 전차인 85식 계열의 성능 개량을 지속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95년, 중국북방공업(Norinco)은 출력을 1,000마력으로 높인 신형 엔진을 장착하고 ERA(Explosive Reactive Armor)를 추가하여 방어력을 강화하는 등 성능을 개선한 85-III 시제 전차를 선보였다.
이후 85-IIM 시제 전차를 더욱 개량한 모델이 88C라는 명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전차가 최종적으로 '''96식 전차'''라는 제식 명칭을 부여받고 1996년 인민해방군에 정식으로 채용되었다.[2] 96식 전차는 기존 88식 계열 전차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중요한 개선점을 가지고 있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포탑 전면에 간격 장갑을 추가하여 방호력을 크게 향상시킨 점이다. 이 간격 장갑 때문에 96식 전차의 포탑은 88식의 둥근 형태와 달리 각진 사각형의 외형을 갖게 되었다. 또한, 주포 역시 기존의 105mm 강선포에서 중국이 자체 개발한 125mm 활강포로 교체하여 화력을 대폭 증강시켰다. 이로써 96식 전차는 인민해방군 최초로 125mm 구경의 주포를 탑재한 전차가 되었다.
96식 전차가 개발된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인 측면에 있었다. 당시 개발 중이던 3세대 주력 전차인 98식 전차와 99식 전차는 높은 성능만큼이나 생산 비용 또한 매우 비쌀 것으로 예상되어 전면적인 대량 배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인민해방군은 88식 전차를 기반으로 하되, 85-IIM/85-IIAP식 전차 개발 과정에서 확보된 기술들을 접목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충분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96식 전차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96식 전차는 노후화된 59식 전차와 69/79식 전차를 대체하고 전력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담당하며 대량 생산되었다.
3. 제원
51구경 105mm 강선포 (79식)
7.62mm 기관총×1
대전차 미사일
7.62mm 기관총×1
7.62mm 기관총×1
(일부 복합)
V형 12기통디젤
V형 12기통과급 디젤
V형 12기통 디젤
1,500 (A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