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북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북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김천에서 영주를 잇는다. 1919년 김천~안동 구간 부설 면허 취득 후 조선철도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및 한국 전쟁을 거치며 노선이 변경되었다. 1960년대 영동선 연결을 위해 영주까지 연장되었고, 2016년 일부 구간이 이설되었다. 현재 무궁화호가 운행하며, 김천역에서 경부선, 영주역에서 중앙선 및 영동선으로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바르셀로나 지하철
    바르셀로나 지하철은 바르셀로나 도시권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TMB와 FGC가 12개 노선을 운영하며, 1863년 개통 이후 1920년대 확장을 거쳐 100km가 넘는 연장 길이와 187개 이상의 역을 갖춘 광역 대중교통망이다.
  • 192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한신 난바선
    한신 난바선은 아마가사키역과 오사카난바역을 잇는 한신 전기철도의 노선으로, 덴포선으로 개통하여 니시오사카선을 거쳐 200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킨테쓰 난바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광역적인 운행을 실시하는 총 연장 10.1km의 복선 전철 노선이다.
  • 경북선 - 용궁역
    용궁역은 1928년 개업하여 1944년 폐역되었다가 1966년 재개업한 경북선 지상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주변에 용궁면 행정복지센터, 용궁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경북선 - 점촌역
    점촌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경북선의 철도역으로 1924년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이며,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옹기 및 기와 장인들의 역사에서 유래한 역명과 철도문화 체험 테마역으로 조성된 이력이 있다.
경북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경북선 노선도
경북선의 위치
노선 이름경북선
로마자 표기Gyeongbukseon
한자 표기慶北線
노선 종류간선철도, 여객/화물 철도, 지역 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관할 지역경상북도
기점김천역
종점영주역
역 개수12
노선 번호314
개통 시기1924년 - 1966년 사이 단계별 개통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115.2 km
선로단선
궤간1,435 mm(표준궤)
신호 시스템ATS
노선도
노선 정보 (상세)
김천역0.0 km, 경부선 연결 (구미 방면)
옥산역20.0 km
청리역27.1 km
상주역36.0 km
백원역44.4 km
함창역55.8 km
점촌역60.0 km, 문경선 연결
용궁역66.9 km
개포역73.3 km
예천역85.0 km
어등역101.6 km
영주역115.2 km, 중앙선, 영동선 연결

2. 역사

경북선 건설은 1919년 조선산업철도가 김천~안동 간 부설 면허를 취득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1923년 여러 사설 철도 회사가 합병하여 설립된 조선철도가 건설을 이어받아, 1924년 김천-상주 구간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노선을 개통하여 1931년에는 김천-안동 전 구간을 완공했다.[8][1] 1940년에는 조선총독부에 의해 국유화되었으나, 1944년 태평양 전쟁 말기 물자 공출을 위해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된 점촌-안동 구간의 선로가 철거되었다.[5][2]

해방 이후에는 영동선과의 연계를 위해 노선 변경이 추진되었다. 특히 제1차 5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점촌역에서 영주역까지의 구간을 새로 건설하기로 결정되어,[2] 1966년 점촌-예천 구간이 복구되고 예천-영주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9][2] 이 과정에서 기존 노선의 종점이 안동에서 영주로 변경되었으며, 복구되지 않은 예천-안동 구간은 폐지되었다. 이로써 총 115.2km의 노선이 완성되었으나,[1] 2016년 4월 28일 예천군 관내 일부 구간이 이설되면서 노선 길이는 115km로 약간 변경되었다.[7][33] 현재 경북선은 단선 비전철 노선으로 남아 있다.[1]

2. 1. 일제강점기

1919년 조선산업철도가 김천~안동 간 부설 면허를 취득하며 경북선 건설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노선 완공 전인 1923년 9월 1일, 조선산업철도를 포함한 6개의 사설 철도 회사가 합병하여 조선철도(Chōtetsu)가 설립되었고, 이후 건설을 맡아 진행했다.[8][1]

조선철도는 단계적으로 노선을 개통했으며, 주요 개통 및 변경 사항은 아래와 같다.

날짜내용
1924년 10월 1일김천-상주 구간 영업 개시.[10][1]
1924년 12월 25일상주-점촌 구간 영업 개시.[11][1]
1926년 5월 14일남산정류장, 도암정류장 영업 개시.[12]
1927년 1월 1일남산정류장, 도암정류장 폐지.[12]
1928년 11월 1일점촌-예천 구간 영업 개시.[13][1]
1931년 10월 16일예천-경북안동(현 안동역) 구간 영업 개시로 김천-경북안동 전 구간 개통 완료.[14][1]
1940년 3월 1일조선총독부에 의해 매수되어 국유화됨.[5]
1944년 10월 1일태평양 전쟁 말기, 일제가 전쟁 물자 확보를 위해 경북선 일부 구간을 불요불급선으로 지정하면서 점촌-경북안동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고 선로가 철거됨.[15][2][5]



1944년의 점촌-경북안동 구간 철거는 태평양 전쟁 중 일제가 자재 부족에 직면하자, 해당 구간의 선로를 다른 곳에 사용하기 위해 이루어진 조치였다.[2]

2. 2. 해방 이후

한국광복 후, 1946년 5월 17일 조선철도주식회사가 국유화되면서 경북선도 국가 소유가 되었다.[16] 해방 이후 영동선과의 연결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특히 국가재건최고회의 주도의 제1차 5개년 계획(1962-1966)의 일환으로 중앙선영동선과 연결하여 영동선의 석탄 수송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점촌역에서 영주역까지 노선을 연장하기로 결정되었다.[2]

이에 따라 1962년 5월 9일 점촌 - 영주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고,[17] 1966년 1월 27일에는 태평양 전쟁 중 철거되었던 점촌 - 예천 구간(28.9km)이 복원 개통되었다.[18][2] 같은 해 10월 11일에는 예천 - 영주 구간(29.7km)이 신설 개통되어[19][2] 종점이 기존의 안동(경북안동)에서 영주로 변경되었다. 이로써 김천에서 영주까지 이어지는 총 115.2km의 단선 비전철 노선이 완성되었으며,[1] 전쟁 중 철거된 후 복구되지 않은 예천 - 안동 구간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2016년 4월 28일에는 예천군 관내 일부 구간이 이설되면서 노선 총 길이가 115km로 소폭 변경되었다.[33]

3. 노선 정보

구 경북선2.789.3미산미산眉山2001년 폐지4.593.8보문보문普門2001년 폐지1.395.1장산장산獐山1974년 폐지3.298.3어등어등魚登16.4101.4미룡미룡美龍2001년 폐지4.0105.6반구반구盤邱2001년 폐지2.7108.3영주영주榮州

100x12px
중앙선
영동선13.6115.0


4. 지선 노선

경북선에는 총 1개의 지선 철도로 문경선이 있다.

4. 1. 문경선

경북선의 지선 철도로 문경선이 있다. 문경선은 점촌역문경역을 연결하는 총 연장 22.3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401이다. 본래 석탄 수송을 위해 개설되었으나, 석탄 산업이 하향세에 접어들면서 영업이 중지되었다.

5. 역 목록

거리 (km)누적
거리 (km)무궁화호접속 노선소재지비고김천Gimcheon金泉0.00.0●경부선경상북도김천시옥산Oksan玉山20.020.0▲상주시무인역청리Cheongni靑里7.127.1▲무인역상주Sangju尙州8.936.0●백원Baegwon白元8.444.4|무인역함창Hamchang咸昌11.455.8▲무인역점촌Jeomchon店村4.260.0●문경선문경시용궁Yonggung龍宮6.966.9●예천군무인역개포Gaepo開浦6.473.3▲무인역예천Yecheon醴泉11.785.0●어등Eodeung魚登16.4101.4|무인역영주Yeongju榮州13.6115.0●중앙선
영동선영주시



'''폐지된 역 목록'''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역간
거리 (km)
누적
거리 (km)
폐지 연도비고
아천Acheon牙川7.77.71994년
두원Duwon杜院5.112.82006년
양정Yangjeong楊亭3.547.92006년
산양Sanyang山陽5.465.42001년
송암Songam松岩2.769.61974년
율현Yulhyeon栗峴3.476.72001년
가동Gadong佳洞3.079.72001년
동예천Dongyecheon東醴泉1.686.61974년
고평Gopyeong高坪2.789.32001년구 경북선
미산Misan眉山4.593.82001년
보문Bomun普門1.395.12001년
장산Jangsan獐山3.298.31974년
미룡Miryong美龍4.0105.62001년
반구Bangu盤邱2.7108.32001년


6. 운행 정보

경북선에는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2023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북선에 운행하는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단위: 회/일, 작성기준: 편도, 주중)

운행구간선로용량일반여객컨테이너일반화물운행총계
김천 - 점촌245005
점촌 - 영주305005



다른 노선과의 환승은 김천역에서 경부선으로, 영주역에서 중앙선 또는 영동선으로 가능하다.

2010년 기준으로 경북선과 문경선 전 구간에 여객 및 화물 열차가 운행되었다.[1] 2010년 11월 기준으로는 무궁화호 열차가 부산동대구에서 출발하여 운행되었으며, 김천에서 영주까지는 약 2시간 12분이 소요되었다.[3] 당시 경부선 장거리 열차와 마찬가지로 경북선을 운행하는 모든 무궁화호 열차에도 카페객차가 편성되어 운행하기도 했다.

7.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구분이용 인원수 (명)각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
비둘기0000000000000000[37]
통일(통근)42,76338,21331,37132,1417,42800000000000
무궁화419,293418,646344,509329,669317,781280,807258,818243,218243,927243,264288,503305,293316,617322,535310,449292,547
새마을0000002471020080000745
건설62267118129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정기권8034674841,188
합계462,921457,593376,482363,127325,209280,807259,065243,320243,927243,264288,511305,293316,617322,535310,449293,292


8. 미래

현재 경상북도청신도시 건설로 예천 - 안동 구간 복원 논의가 진행 중이다. 지역 주민들은 경북선의 전철화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향후 중부내륙선남부내륙선과 직결될 계획에 따라 김천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9. 폐역 목록

전시 중 운영 중단 후 노선 변경으로 폐지된 예천 - 안동역 간 역들이 존재한다. 이 구간의 (구) 고평역, 호명역, 경북풍산역, 명동역은 이후 경북선 본선에서 제외되었다. 1966년에 재개업했던 고평역은 구선 영업 당시와 위치가 다르다.

아래는 경북선의 폐역 목록이다.

역명위치 (인근 역)폐지일
(구) 고평역예천 - 안동 구간 (구선)불명 (노선 변경)
호명역예천 - 안동 구간 (구선)불명 (노선 변경)
경북풍산역예천 - 안동 구간 (구선)불명 (노선 변경)
명동역예천 - 안동 구간 (구선)불명 (노선 변경)
남산역김천역 - 옥산역1927년 1월 1일
아천역김천역 - 옥산역1994년 4월 25일
도암역김천역 - 옥산역1927년 1월 1일
두원역김천역 - 옥산역2006년 6월 23일
양정역백원역 - 함창역2006년 6월 23일
산양역점촌역 - 용궁역2001년 7월 1일
송암역용궁역 - 개포역1974년 12월 5일
율현역개포역 - 예천역2001년 7월 1일
가동역개포역 - 예천역2001년 7월 1일
동예천역예천역 - 어등역1974년 6월 1일
고평역예천역 - 어등역2001년 7월 1일
미산역예천역 - 어등역2001년 7월 1일
불국사역예천역 - 어등역2001년 7월 1일
장산역예천역 - 어등역1974년 12월 5일
미룡역어등역 - 영주역2001년 7월 1일
반구역어등역 - 영주역2001년 7월 1일


참조

[1]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info.korail.c[...] Korail 2010-11-30
[2] 웹사이트 철마 110년, 영고의 자취 [12] 경제개발과 철도 http://www.silvernet[...] Silvernet News 2010-03-20
[3] 웹사이트 Booking http://www.korail.co[...] Korail 2010-11-30
[4] 서적 慶北沿線発展誌 https://dl.ndl.go.jp[...] 逵捨蔵
[5] 간행물 조선교통사 자료편 鮮交会 1986
[6] 뉴스 한국철도시설공단, 예천군 철도이설구간 '개통'경북도청이전신도시 기반시설 확충 '적극 지원' http://www.gukjenews[...]
[7] 간행물 국토교통부에 의한 노선거리 고시(제2016-226호)관보 제18750호 2016년 4월 28일 http://gwanbo.moi.go[...] 2016-04-28
[8] 뉴스 조선철도성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3-09-03
[9] 뉴스인용 제596호-경북선 개통 https://www.youtube.[...] 1966-11-14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24-10-07
[1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25-01-09
[12] 뉴스 경북선 남도양역폐지 http://gonews.kinds.[...] 중외일보 1926-11-25
[1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28-11-13
[1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1931-10-21
[1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1130호 1944-09-15
[16] 법령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 군정법령 제75호 조선철도의 통일 1946-05-07
[17] 뉴스 뻗쳐질 「산업동맥」 세줄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2-05-10
[1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10호 1966-01-17
[1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73호 1966-10-05
[20]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92호 1966-12-12
[21]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82호 1969-01-17
[22]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7호 1970-09-30
[23]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4호 1974-05-22
[24]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52호 1974-12-04
[25]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4-22호 1994-04-19
[26]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97-27호 http://theme.archive[...] 1997-05-22
[2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01-22호 2001-06-27
[2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29] 간행물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215호 2006-06-23
[30] 잡지인용 경북선 보문역 이야기 한국철도공사 2015-07-03
[31]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4-450호 2014-07-29
[32] 뉴스인용 예천~어등간 철도이설 토지보상 착수 http://www.hidomin.c[...] 2014-08-21
[3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6호 2016-04-28
[3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35] 뉴스인용 경북선, 공사 中 토사붕괴 위기 "5월부터 열차운행 중단" http://www.redaily.c[...] 2021-04-30
[36] 웹사이트 경북선 운행중지 알림 http://www.letskorai[...]
[37]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