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술적 분석은 금융 시장의 가격 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과거의 시장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18세기 일본에서 쌀 선물 시장의 가격 예측에 사용된 것이 시초이며, 19세기 말 찰스 다우가 다우 이론을 제시하며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움직임은 모든 것을 반영하고, 가격은 추세를 이루며, 역사는 반복된다는 기본 원리에 기반한다. 주요 분석 방법으로는 차트 분석과 기술적 지표 분석이 있으며, 캔들스틱 차트, 이동평균선, MACD 등이 활용된다.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 계량 분석과 비교되며, 그 효용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한국 시장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며,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기술적 분석의 원리는 수백 년간의 금융 시장 데이터에서 파생되었다.[4] 기술적 분석의 초기 형태는 17세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했던 상인 호세 데 라 베가가 당시 금융 시장을 기록한 문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4] 아시아에서는 18세기 일본의 쌀 선물 시장이 발달하면서 기술적 분석이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의 상인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는 오사카 시장에서 쌀 가격 예측을 위해 '적삼병'과 같은 패턴 분석 기법을 사용했으며,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캔들스틱 차트 역시 그가 고안한 것으로 전해진다.[5][6]
기술적 분석의 기본 원리는 주로 존 머피가 제시한 다음 세 가지 전제에 기초한다.
기술적 분석에는 다양한 접근 방식이 존재하지만, 크게 차트 분석과 기술적 지표 분석이라는 두 가지 주요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2. 역사
현대적 의미의 기술적 분석은 19세기 말 미국의 언론인 찰스 다우(1851-1902)로부터 시작되었다. 다우는 미국 주식 시장 데이터를 분석하여 패턴과 경기 순환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이를 《월스트리트저널》에 사설 형태로 연재했다. 그의 분석 방법론은 후에 다우 이론으로 정립되었고, 추세의 기본 개념을 확립하는 등 기술적 분석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7] 다만 다우 자신은 자신의 이론을 실제 주식 거래 전략으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지는 않았다. 다우는 포인트 앤드 피겨 차트 분석법을 처음 시작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리처드 W. 샤바커가 찰스 다우와 윌리엄 피터 해밀턴의 연구를 계승하여 ''주식 시장 이론과 실제'', ''기술적 시장 분석'' 등의 저서를 출판했다. 이후 1948년 로버트 D. 에드워즈와 존 매기는 ''주식 추세의 기술적 분석''을 출간했는데, 이 책은 추세 분석과 차트 패턴을 중심으로 다루며 현재까지도 기술적 분석 분야의 중요한 교과서로 여겨진다. 초기의 기술적 분석은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부족하여 통계적 분석보다는 주로 차트를 이용한 분석에 의존했다.
20세기 초에는 랠프 넬슨 엘리엇, 윌리엄 델버트 간, 리처드 와이코프가 각자의 기술을 개발했다. 엘리어트는 1930년대와 1940년대에 걸쳐 독특한 파동 이론(엘리어트 파동 이론)을 발전시켰다. 갠은 각도 연구로 유명하며, 그랜빌은 이동평균선 매매 법칙과 거래량 관련 지표 개발에 기여했다. 기술적 분석의 오랜 역사를 가진 일본에서는 일목균형표와 같은 독자적인 분석 기법이 발전하기도 했다.
와일더는 새롭고 정교한 분석 기법들을 고안하여 기술적 분석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그가 1978년에 출간한 책 ''New Concepts in Technical Trading Systems''에서 소개한 ATR, 파라볼릭, RSI, ADX와 같은 지표들은 오늘날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만들었고, 이는 기술적 분석에 수학적·통계적 방법론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 성과까지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행동 재무학이 경제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으면서, 폴 V. 아좁파디는 기술적 분석과 행동 재무학을 결합하여 "행동 기술 분석"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
3. 기본 원리
이러한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기술적 분석가들은 다양한 도구와 기법을 활용한다. 대표적으로 가격 차트를 사용하여 지지선, 저항선, 채널, 깃발, 페넌트, 컵 앤 핸들 패턴 등 다양한 형태의 가격 패턴과 시장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매매 전략에 활용하려고 시도한다.[8][10] 또한 가격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변환한 기술 지표(예: 이동 평균, 상대 강도 지수, MACD)나 거래량, 옵션 시장 데이터(내재 변동성, 풋/콜 비율), 공매도 잔고 등 다양한 시장 지표를 분석하여 추세의 방향성과 지속 가능성을 평가한다. 기술적 분석에는 캔들 차트 분석, 하모닉 패턴, 다우 이론, 엘리엇 파동 이론 등 여러 기법이 존재하며, 많은 트레이더들은 여러 기법을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4. 주요 분석 방법
차트 분석은 주가나 거래량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차트를 직접 보면서 시장 추세나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모양(패턴)을 찾아내 분석하는 방법이다.[8] 예를 들어, 머리어깨형이나 이중 천장/바닥형 같은 특정 패턴은 가격의 반전 신호로 해석되기도 한다.[9][10] 또한 가격이 특정 수준 아래로 떨어지지 않으려는 지지선이나 특정 수준 위로 오르지 못하는 저항선 등을 파악하는 것도 차트 분석의 중요한 부분이다.
기술적 지표 분석은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시장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만든 기술적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이동 평균선처럼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 상대 강도 지수(RSI)나 MACD처럼 매수 또는 매도 시점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지표들은 가격 데이터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시장의 상태나 추세의 강도 등을 객관적인 수치로 보여준다.
이 외에도 캔들스틱 분석, 다우 이론, 엘리엇 파동 이론 등 다양한 분석 기법들이 존재하며, 많은 투자자들은 여러 기법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을 중시하는 차티스트(재량 트레이더)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시스템적으로 매매하는 테크니션(시스템 트레이더)으로 분석 주체를 나누기도 한다.
기술적 분석은 과거의 가격 움직임 속에 미래 가격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지만, 효율적 시장 가설과 같이 이러한 분석의 예측력을 비판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흐름을 읽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며, 특히 투자 결정 과정에서 감정에 휘둘리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4. 1. 차트 분석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가격이나 거래량인 시계열 그래프를 차트라고 한다. 일반 그래프처럼 선으로 그릴 때도 있지만, 보통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등 여러 가격 정보를 조합하여 특별한 방식으로 나타낸다. 서양에서는 주로 바 차트(Bar chart)를 사용하며, 일본의 혼마 무네히사(本間宗久)가 고안했다고 전해지는 캔들스틱 차트(Candlestick chart)는 주로 아시아 등지에서 널리 사용된다.[8]
차트는 전통적으로 기술적 분석의 주요 도구였으며 오늘날에도 많이 활용된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통계적 방법도 많이 도입되고 있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차트를 사용하여 금융 시장의 가격 패턴과 시장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투자 전략을 세운다.[8]
차트 분석에는 다양한 기법과 도구가 사용된다. 주요 분석 요소는 다음과 같다.
차트 분석가들은 이러한 기본 요소 외에도 다양한 기술적 지표를 활용한다. 가격의 수학적 변환이나 거래량 등을 이용한 지표들은 추세의 방향과 강도, 지속 가능성 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준다. 널리 사용되는 지표로는 이동 평균, 상대 강도 지수(RSI), MACD 등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보조 지표들이 차트 위에 그려져(오버레이) 분석에 활용된다.
차트의 종류는 분석 목적과 선호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된다.
기술적 분석을 수행하는 시장 참여자는 크게 차트 분석을 통해 주관적 판단을 내리는 차티스트(Chartist, 재량 트레이더)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하는 테크니션(Technician, 시스템 트레이더)으로 나눌 수 있다. 양측 모두 이동 평균선 돌파와 같은 동일한 기술적 지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차티스트는 추세 방향, 다른 지표와의 관계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 테크니션은 명확하게 수치화되고 과거 데이터로 검증 가능한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매매를 실행한다.
4. 2. 기술적 지표 분석
기술적 지표는 주가나 거래량 같은 기본 데이터를 가공한 수학 공식과 같다. 지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비슷한 성질을 갖는 것끼리 묶어서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로는 이동평균선이 있다. 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선으로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20일간의 종가 평균을 이어 그린 선이다. 이동평균선은 가격의 추세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도구로 널리 사용된다. MACD는 이동 평균을 이용하여 고안된 지표이다.
기준선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형태의 지표를 오실레이터라고 부른다. 오실레이터는 주로 추세의 변화를 빠르게 감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그래프의 기울기 변화를 측정하는 것과 유사한 원리이다. 스토캐스틱이나 RSI 등이 잘 알려진 오실레이터 지표이다.
가격 움직임에는 일정한 주기가 나타나기도 한다. 실제 경제 활동이 주, 월, 연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에 맞춰 가격이 변동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기는 매우 짧은 것부터 수십 년에 이르는 긴 것까지 다양하다. 엘리엇 파동이론은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특정 리듬을 형성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 이론에서는 가격 움직임이 "상승 5파, 하락 3파"의 총 여덟 파동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기술적 분석가들은 차트를 활용하여 금융 시장의 가격 패턴과 시장 추세를 파악하고 이를 투자 전략에 이용하고자 한다.[8] 잘 알려진 차트 패턴으로는 헤드 앤 숄더[9], 이중 천장/바닥과 같은 반전 패턴이 있으며, 지지선과 저항선, 채널, 깃발, 페넌트, 컵 앤 핸들 패턴 등 다양한 형태를 분석한다.[10]
또한, 기술적 분석가들은 다양한 시장 지표를 광범위하게 사용한다. 이 지표들은 가격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변환한 것이며, 거래량이나 상승/하락 종목 수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기도 한다. 이러한 지표는 자산 가격의 추세 여부, 방향성,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가격/거래량 지수와 시장 지표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이동 평균, 상대 강도 지수(RSI), MACD 등이 있다. 옵션 시장의 내재 변동성이나 풋/콜 비율과 같은 심리 지표도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기술적 분석에는 다양한 기법이 존재하며, 캔들스틱 분석, 하모닉, 다우 이론, 엘리엇 파동 이론 등이 대표적이다. 여러 기법의 지지자들은 각자의 방식을 선호하지만, 많은 트레이더는 여러 기법의 요소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분석 과정에서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패턴을 식별하고 해석하는 분석가가 있는 반면, 엄격하게 기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분석가도 있다.
기술적 지표는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지표명 | 설명 |
---|---|
어드밴스-디클라인 라인 | 시장 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
맥클레란 오실레이터 | 시장 폭을 나타내는 폐쇄형 지표 |
맥클레란 합산 지수 | 시장 폭을 나타내는 개방형 지표 |
지표명 | 설명 |
---|---|
평균 방향성 지수 (ADX) |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 |
상품 채널 지수 (CCI) | 주기적인 추세를 식별하는 데 사용 |
MACD |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발산을 이용한 지표 |
모멘텀 | 가격 변화율을 측정 |
상대 강도 지수 (RSI) | 가격의 상대적인 강도를 나타내는 오실레이터 |
상대 활력 지수 (RVI) | 최근 가격 움직임의 확신과 지속 가능성을 측정하는 오실레이터 |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범위 내에서 현재 종가의 위치를 나타냄 |
Trix | 삼중 지수 이동평균의 기울기를 보여주는 오실레이터 |
볼텍스 지표 (VI) | 추세의 존재, 지속, 시작 또는 종료를 식별하는 데 사용 |
지표명 | 설명 |
---|---|
누적/분산 지수 (A/D Line) | 하루 중 가격 범위 내 종가 위치를 거래량과 함께 고려 |
자금 흐름 지수 (MFI) | 가격 상승일의 거래량을 기반으로 자금 유입/유출 측정 |
온 밸런스 볼륨 (OBV) | 주가 상승/하락에 따른 거래량 변화를 누적하여 매수/매도 압력 측정 |
기술적 분석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거래 가격의 상승 추세와 하락 추세 간의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고, 둘째는 거래 가격의 적정 수준이나 변동 범위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은 주로 차트를 이용한 시각적 판단(도해적 수법)이나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적 계산(수치적 수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는 일반적으로 차트(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는다.
기술적 분석을 활용하는 시장 참여자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차트 분석을 기반으로 인간의 주관적 판단을 통해 매매를 결정하는 '''차티스트'''(재량 트레이더)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매매하는 '''테크니션'''(시스템 트레이더)이다. 예를 들어, "이동평균선을 캔들이 아래에서 위로 돌파하고 양봉이 나타나면 매수한다"는 동일한 규칙을 사용하더라도, 차티스트는 이동평균선의 방향, 추세의 강도, 다른 오실레이터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결정을 내리는 반면, 테크니션은 설정된 규칙에 따라 기계적으로 매매를 실행하는 경향이 있다.
기술적 분석이 유효하다는 믿음은 미래의 가격이 과거의 가격이나 거래량 등 과거 데이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전제, 즉 시장이 비 마르코프 과정적 성격을 가진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많은 투자자가 기술적 분석을 유용하게 사용하지만, 다수의 경제학자와 금융공학자들은 랜덤워크 이론이나 효율적 시장 가설에 근거하여 기술적 분석의 예측 능력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들은 과거 가격 움직임이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기술적 분석 기법이 너무 많고 적용 방식이 자의적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동평균선을 사용할 때 평균 기간을 며칠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분석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과거 데이터에 잘 들어맞도록 분석 조건을 조정하는 행위(커브 피팅)는 미래 예측의 정확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기술적 분석의 유효성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엄격한 자금 관리와 적절한 손절매를 병행하고, 시장의 큰 추세를 포착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통해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정보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인 투자자에게 기술적 분석은 시장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또한, 정해진 규칙에 따라 거래함으로써 행동경제학에서 지적하는 손실 회피 성향과 같은 감정적인 판단 오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도 기술적 분석의 장점으로 꼽힌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술적 분석 기법들이 존재하며,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엔벨로프
- 모멘텀
- ROC
- 다우 이론
- 엘리엇 파동 이론
- 알룬
- 데나폴리
- TRIX
- 파라볼릭 SAR
- 피벗
- 고안 차트
- 피보나치 (피보나치 수열, 황금비)
- 윌리엄 델버트 갠의 분석 기법
- 사카타 오법
- 하구로법
- 일목균형표
- 삼각 재정 거래 (기술적 분석과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함)
IT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기술적 분석 기법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5. 기술적 분석 vs. 기본적 분석 vs. 계량 분석
금융 시장의 가격 예측에는 여러 접근법이 존재한다. 효율적 시장 가설(EMH)이나 랜덤워크 이론 등 학계에서는 시장 가격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보기도 하지만, 실제 투자 현장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기본적 분석은 가격 결정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려는 접근법이다. 주식을 회사의 소유 지분으로 보고, 주가가 해당 기업의 수익성, 사업 전망 등 본질적인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분석가들은 기업의 실제 가치와 현재 시장 가격 사이의 괴리를 찾아내려 하며, 이를 통해 투자 기회를 포착하고자 한다.[11][12] 이러한 분석은 주로 경제분석가, 시장분석가, 애널리스트 등의 지지를 받으며 발전해왔고, 이들은 펀드 매니저와 함께 금융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기관 투자가들은 대부분 기본적 분석을 중심으로 시장에 대응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기술적 분석'''은 가격 움직임의 원인보다는 시장의 가격 그 자체의 움직임과 패턴에 집중한다. 몇 가지 기본 가정을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의 가격 및 거래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의 가격 추세를 예측하려 시도한다.[8] 기술적 분석은 기본적 분석과 달리 이론적인 뒷받침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그 유효성은 주로 과거 시장의 경험적 데이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용 컴퓨터 보급과 함께 확산되었으며, 주로 개인 투자자들이 시장 참여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증권사 리서치 센터에 소수의 기술적 분석가가 활동하지만, 대체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개인 투자자에게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8] 순수한 기술적 분석 지지자들은 시장 가격에 이미 모든 기본적 요인이 반영되어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11][12]
계량 분석과의 관계는 기본적 분석과의 대조만큼 명확하지는 않다. 일부에서는 기술적 분석과 계량 분석을 거의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뚜렷한 차이가 있다고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계량 분석 전문가인 폴 윌모트는 기술적 분석을 단순히 그래프를 외삽하여 예측하는 '차트 작성' 행위로 간주하며 예측력이 부족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13][12]
실제 투자에서는 기술적 분석이나 기본적 분석 중 하나만을 사용하기보다는 두 가지를 결합하는 경우도 많다. 존 볼린저는 이러한 접근법을 '합리적 분석'이라 명명했으며,[33] 기술적 분석과 기본적 분석을 통합하여 포트폴리오 성과를 높이려는 '융합 분석'이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또한 기술적 분석은 계량 분석이나 경제학적 방법론과 결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시장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도 이루어진다.[34]
6. 비판 및 한계
기술적 분석의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기술적 분석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하더라도 분석가에 따라 상반된 예측이 나올 수 있다.[17] 많은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결과를 주장하지만, 학문적 평가는 종종 기술적 분석이 예측력이 거의 없다고 결론 내린다.[36]
주요 비판 중 하나는 효율적 시장 가설(EMH)과의 충돌이다. EMH는 과거 가격 정보가 미래 가격을 예측하는 데 유용하지 않다고 주장하며,[46] 이는 기술적 분석의 근본적인 전제와 모순된다. 경제학자 유진 파마는 효율적 시장 모델을 지지하는 증거가 광범위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46]
램덤워크 가설 역시 기술적 분석에 비판적인 이론이다. 이 가설은 주가 변동이 예측 불가능한 무작위적 행보를 따른다고 보며,[50] 과거 패턴 분석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프린스턴 대학교의 경제학자 버튼 멜킬은 기술적 분석 도구가 결국 자기 패배적일 수밖에 없으며,[50] 이를 '점성술'에 비유하며 그 효과를 강하게 비판했다.[51]
학계의 여러 연구는 기술적 분석의 한계를 지적한다. 예를 들어, Gerwin Griffioen의 연구는 주요 선진국 주식 시장에서 거래 비용을 고려할 경우 기술적 거래 규칙이 수익성이 없다고 결론지었다.[42] 특히 '모멘텀 전략'과 같은 일부 기법은 작은 거래 비용에도 초과 수익을 내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43] 95개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56개 연구에서 긍정적 결과가 나왔지만 데이터 스누핑 편향 등의 문제로 인해 그 유효성을 명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37]
또한 기술적 분석은 분석가의 주관성에 크게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44] 과거 가격 차트에서 특정 패턴을 인식하는 것은 종종 분석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달려 있으며,[44] 이동 평균선의 기간 설정과 같이 사용되는 매개변수 선택이 자의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과거 데이터에 지나치게 잘 맞도록 분석 방법을 조정하는 커브 피팅(curve fitting)의 위험성도 제기되는데, 이는 과거 성과가 미래 수익률을 보장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물론, 앤드루 로 등의 연구에서는 특정 기술적 지표가 일부 제한적인 정보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으며,[44] 인공 신경망 등을 이용한 비선형 예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38] 미국 연방 준비 제도의 보고서 역시 외환 시장에서 지지선과 저항선 수준이 단기 추세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기도 했지만, 그 예측력은 통화나 기업에 따라 다르다고 덧붙였다.[3] 기술적 분석 지지자들은 행동 재무학을 근거로 투자자들의 비합리성이 예측 가능한 패턴을 만든다고 주장하지만,[47][48] 이러한 주장이 EMH나 램덤워크 가설과 같은 핵심 비판들을 완전히 해소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7. 한국 시장에서의 기술적 분석
한국 금융 시장에서 기술적 분석은 주로 개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기관 투자자들은 대부분 기본적 분석을 중심으로 시장에 대응하는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기술적 분석에 기반하여 시장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증권사의 리서치 센터에서는 소수의 기술적 분석가들이 그래프를 이용한 시장 분석 자료를 제공하지만, 이는 주로 개인 투자자를 위한 참고 자료로서 보조적인 역할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 분석을 수행하는 애널리스트들이 펀드 매니저와 함께 시장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이다.
8. 관련 용어
기술적 분석에서는 다양한 용어와 이론, 지표들이 사용된다. 주요 개념과 지표는 다음과 같다.
'''주요 이론 및 개념'''
- 캔들 차트: 18세기 일본의 상인 혼마 무네히사가 고안했다고 전해지는 차트 유형이다. 시가, 고가, 저가, 종가를 막대 모양으로 표시하여 가격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5][6]
- 다우 이론: 19세기 말 언론인 찰스 다우가 정립한 이론으로, 시장 움직임을 추세로 파악하고 분석하는 현대 기술적 분석의 기초가 되었다. 다우는 월스트리트 저널 기고를 통해 시장의 평균 가격 움직임, 추세의 지속성, 거래량의 중요성 등을 강조했다.
- 엘리엇 파동 이론: 랠프 넬슨 엘리엇이 1930년대에 개발한 이론이다. 시장 가격이 특정한 파동 패턴(충격 파동 5개, 조정 파동 3개)을 그리며 움직인다고 설명하며, 피보나치 수열과 황금비율을 활용하여 가격 변동폭과 되돌림 수준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 일목균형표: 일본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기술적 분석 기법이다. 시간 개념을 중시하며 전환선, 기준선, 선행스팬, 후행스팬, 구름대 등을 통해 시장의 균형점을 파악하고 추세를 예측한다.
- 시스템 트레이딩: 미리 정해진 매매 규칙에 따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거래하는 방식이다. 기술적 지표를 기반으로 객관적인 판단 기준을 설정하며,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 거래를 목표로 한다. 시스템 트레이딩을 주로 사용하는 투자자를 '''테크니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요 지표 및 용어'''
- 기술적 지표 목록: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지표들을 모아 놓은 목록이다.
- 평균 진폭 범위 (Average True Range, ATR):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가격 갭(gap)을 포함하여 하루 동안의 평균적인 가격 변동 범위를 나타낸다.[4]
- 돌파 (Breakout): 가격이 중요한 지지선이나 저항선을 강하게 뚫고 나가는 현상이다. 종종 거래량 증가를 동반한다.
- 차트 패턴: 가격 움직임이 차트 상에 만들어내는 특정 모양들(예: 머리어깨형, 삼각형, 깃발형 등)으로, 향후 가격 방향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 사이클 (Cycles): 시장 가격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경향이다. 시간 분석을 통해 미래의 가격 변동 시점을 예측하려 한다.
- 데드 캣 바운스: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뒤 잠시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현상이다. 하락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 피보나치 비율: 피보나치 수열에서 파생된 비율(0.236, 0.382, 0.5, 0.618, 0.786 등)로, 가격의 되돌림이나 목표치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지지와 저항 수준을 파악하는 데 참고 지표가 된다.
- 모멘텀: 가격 변화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가격 상승 또는 하락 추세의 강도를 나타낸다.
- P&F 분석 (Point and Figure analysis): 가격 변화만을 기록하는 차트 분석 기법이다. 시간 개념을 배제하고 정해진 단위 이상의 가격 변동만 X(상승)와 O(하락)로 표시하여 추세를 파악한다. 찰스 다우가 처음 사용했다고 전해진다.
- 저항: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특정 가격 수준이다. 이 수준에서는 매도세가 강해져 추가 상승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 지지: 가격 하락을 막는 특정 가격 수준이다. 이 수준에서는 매수세가 유입되어 추가 하락을 방어하는 경향이 있다.
- 추세: 가격이 일정 기간 동안 한 방향(상승, 하락, 또는 횡보)으로 움직이는 경향이다.
- 평균 방향성 지수 (Average Directional Index, ADX):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추세의 방향이 아닌 강도를 나타낸다.
- 상품 채널 지수 (Commodity Channel Index, CCI): 가격이 평균적인 변동 범위에서 얼마나 벗어나 있는지를 측정하여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고, 주기적인 추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단기 이동 평균선과 장기 이동 평균선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두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을 통해 매매 신호를 찾는다.
- 상대 강도 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현재 가격의 상대적인 강도를 측정하는 오실레이터 지표이다.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 상대 활력 지수 (Relative Vigor Index, RVI): 종가가 시가보다 높게 마감하려는 경향을 측정하여 추세의 강도와 지속 가능성을 판단하는 오실레이터 지표이다.
-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 일정 기간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 범위 내에서 현재 종가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오실레이터 지표이다.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 Trix: 이동 평균선을 세 번 지수 평활한 값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오실레이터 지표이다. 추세의 변화를 민감하게 포착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볼텍스 지표 (Vortex Indicator, VI): 상승 추세 움직임과 하락 추세 움직임을 측정하여 추세의 시작, 지속, 종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이다.
- 엔벨로프 (Envelope): 이동 평균선 위아래로 일정 비율만큼 떨어진 선으로 구성된 지표이다. 가격이 상단선에 도달하면 과매수, 하단선에 도달하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한다.
- ROC (Rate of Change): 현재 가격과 일정 기간 전 가격의 변화율을 나타내는 모멘텀 지표이다.
- 알룬 (Aroon): 일정 기간 동안 최고가 또는 최저가에 도달한 후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여 추세의 시작과 강도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 데나폴리 수준 (DiNapoli Levels): 피보나치 비율을 활용하여 잠재적인 지지 및 저항 수준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 파라볼릭 SAR (Parabolic Stop and Reverse): 추세의 방향과 추세 전환 가능 시점을 알려주는 지표이다. 가격 차트 위에 점으로 표시되며, 추세 추종형 매매 시스템에서 손절매 기준으로 활용된다.
- 피벗 포인트 (Pivot Point): 전일의 고가, 저가, 종가를 이용하여 당일의 주요 지지 및 저항 수준을 계산하는 기법이다.
- 윌리엄 델버트 갠 기법: 윌리엄 델버트 갠이 개발한 분석 기법으로, 가격과 시간의 기하학적 관계를 중시하며 갠 각도 등을 활용하여 시장을 분석한다.
- 사카타 오법: 혼마 무네히사가 창안했다고 알려진 일본의 전통적인 캔들 차트 패턴 분석법이다. 삼산(三山), 삼천(三川), 삼공(三空), 삼병(三兵), 삼법(三法) 등의 패턴을 통해 시장 심리와 추세를 읽는다.
- 하구로법: 일본의 전통적인 시세 분석 기법 중 하나이다.
- 삼각 재정 거래: 세 가지 이상의 자산 간 가격 불균형을 이용하여 위험 없이 수익을 얻으려는 차익 거래 전략이다. 직접적인 기술적 분석 기법과는 거리가 있다.
이 외에도 IT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분석 기법들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2]
서적
The Evolution of Technical Analysis: Financial Prediction from Babylonian Tablets to Bloomberg Terminals
https://books.google[...]
Bloomberg Press
2011-08-08
[3]
간행물
Support for Resistance: Technical Analysis and Intraday Exchange Rates
http://www.ny.frb.or[...]
FRBNY Economic Policy Review
2000-07-00
[4]
서적
Confusión de Confusiones
[5]
서적
Japanese Candlestick Charting Techniques
New York Institute of Finance
[6]
서적
Beyond Candlesticks: New Japanese Charting Techniques Revealed
John Wiley and Sons
[7]
논문
Behavioral Technical Analysis
[8]
서적
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New York Institute of Finance
[9]
웹사이트
PrimePair.com Head and Shoulders Pattern
http://primepair.com[...]
2015-01-06
[10]
논문
[11]
논문
[12]
서적
Paul Wilmott Introduces Quantitative Finance
Wiley
[13]
웹사이트
Beating the Quants at Their Own Game
http://seekingalpha.[...]
2009-01-13
[14]
서적
Trend vs Counter-Trending Trading
[15]
웹사이트
Beware of the Stock Market as a Self-Fulfilling Prophecy
http://ownthedollar.[...]
[16]
서적
Technical Analysis Plain and Simple: Charting the Markets in Your Language
Financial Times Press
[17]
서적
The Trading Book: A Complete Solution to Mastering Technical Systems and Trading Psychology
http://www.mcgraw-hi[...]
McGraw-Hill
2013-04-30
[18]
논문
[19]
논문
[20]
서적
Technical Analysis: The Complete Resource for Financial Market Technicians
[21]
웹사이트
Home – Australian Technical Analysts Association
http://www.ataa.com.[...]
[22]
웹사이트
Home
http://www.apta.org.[...]
[23]
웹사이트
CMT Association Knowledge Base
https://cmtassociati[...]
2017-08-16
[24]
서적
CMT Level I 2021: An Introduction to Technical Analysis
Wiley
2021
[25]
논문
On the approximate realization of continuous mappings by neural networks
[26]
논문
Multilayer feed-forward networks are universal approximators
[27]
논문
Using Neural Networks to Forecast Stock Market Prices
http://people.ok.ubc[...]
[28]
논문
Stock Market Predic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http://www.hicbusine[...]
[29]
논문
Neural Network Applications in Stock Market Predictions – A Methodology Analysis
http://oliver.efos.h[...]
[30]
논문
Thought Experimentation: A Cognitive Approach
https://archive.org/[...]
[31]
논문
[32]
논문
[33]
웹사이트
The Capital Growth Letter – Research and Markets
http://www.researcha[...]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ijournal[...]
2007-08-31
[35]
웹사이트
SFO
http://www.sfomag.co[...]
2007-08-27
[36]
뉴스
Reading market tea leaves
Dow Jones
2007-07-31
[37]
논문
What Do We Know About the Profitability of Technical Analysis?
[38]
웹사이트
Networks, Financial Trading and the Efficient Markets Hypothesis
http://crpit.com/con[...]
[39]
간행물
The Chinese Stock Market: An Examination of the Random Walk Model and Technical Trading Rules
https://web.archive.[...]
2007-04-01
[40]
논문
Simple Technical Trading Rules and the Stochastic Properties of Stock Returns
2024-12-08
[41]
논문
Data-Snooping, Technical Trading Rule Performance, and the Bootstrap
[42]
웹사이트
Technical Analysis in Financial Markets
https://ssrn.com/abs[...]
[43]
논문
Momentum Strategies
[44]
논문
Foundations of Technical Analysis: Computational Algorithms, Statistical Inference, and Empirical Implementation
[45]
서적
Breakthroughs in Technical Analysis; New Thinking from the World's Top Minds
Bloomberg Press
[46]
논문
Efficient Capital Markets: A Review of Theory and Empirical Work
http://www.e-m-h.org[...]
1970-05-01
[47]
서적
Evidence-Based Technical Analysis
http://www.wiley.com[...]
John Wiley and Sons
[48]
논문
The Financial/Economic Dichotomy in Social Behavioral Dynamics: The Socionomic Perspective
[49]
서적
The efficient markets hypothesis
Wiley & Sons
[50]
서적
A Random Walk Down Wall Street
W. W. Norton & Company
[51]
웹사이트
Burton Malkiel Talks the Random Walk
http://www.advisorpe[...]
2009-07-07
[52]
서적
A Non-Random Walk Down Wall Stre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서적
Applying Elliott Wave Theory Profitably
John Wiley and Sons
[54]
서적
Fundamental Media Understanding
Atpress
[55]
웹사이트
AsiaPacFinance.com Trading Indicator Glossary
http://www.asiapacfi[...]
2011-08-01
[56]
서적
Why Financial Markets Rise Slowly but Fall Sharply: Analysing market behaviour with behavioural finance
Harriman House
[57]
웹사이트
Fear & Greed Index - Investor Sentiment
https://money.cnn.co[...]
[58]
논문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echnical analysis
http://www.pitt.edu/[...]
2015-05-11
[59]
논문
The Predictive Power of Price Patterns
[60]
논문
Mean reversion in stock prices: Evidence and Implications
[61]
논문
Noise
[62]
논문
Statistical inference and modeling of momentum in stock prices
[63]
논문
Fundamental Framework for Technical Analysis
[64]
간행물
The Profitability of Technical Analysis: A Review
AgMAS Project
[65]
논문
Nonlinearity in the dynamics of financial markets
[66]
논문
Do Technical Analysts Outperform Novice Traders: Experimental Evidence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