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붕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떡붕어는 최대 50~60cm까지 성장하는 중형 물고기로, 넓은 머리와 뭉툭한 주둥이, 솟아오른 등, 마름모 형태의 체형을 가진다. 원래 일본 비와호와 요도강 수계에 고유종으로 서식했으나, 현재는 한국, 중국 등 여러 지역에 도입되었다. 잡식성 어종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식물성 플랑크톤을 주로 먹는 특징이 있다. 4월에서 6월 사이에 산란하며,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비와호의 야생 떡붕어는 개체 수 감소로 인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질 오염,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붕어속 - 금붕어
금붕어는 동아시아 원산의 잉어과 민물고기로, 오랜 기간 품종 개량을 거쳐 다양한 형태와 색상을 가지게 되었으나, 좁은 공간 사육과 무분별한 방생으로 동물복지 및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일본의 고유종 물고기 - 쿠니마스
쿠니마스는 과거 일본 다자와호에만 서식했던 연어과 어류 고유종으로, 강산성화로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사이코호에서 재발견되어 현재 종 보존 및 다자와호 복원 노력을 통해 야생 절멸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 일본의 고유종 물고기 - 비와호큰메기
비와호큰메기는 일본 비와호와 요도가와 수계에 서식하는 일본 고유종 대형 메기로, 일본 메기류 중 가장 크며 비와호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특유의 냄새로 식용으로는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 대만의 물고기 - 메기
메기는 메기과에 속하는 비늘 없는 야행성 어류로, 긴 수염을 이용해 감각을 감지하며 한국에서는 매운탕 재료, 일본에서는 낚시 대상어 및 문화 소재로 활용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다. - 대만의 물고기 - 가물치과
가물치과는 몸이 길고 원통형이며 긴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아가미 외 상새기관을 통한 공기 호흡이 특징인 농어목 민물고기 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육식성으로 1m 이상 자라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하고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떡붕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Carassius cuvieri |
명명자 | Temminck & Schlegel, 1846 |
일반명 | 겐고로우부나 |
영어 이름 | 딥바디드 크루시안 카프 (Deepbodied crucian carp), 재패니즈 크루시안 카프 (Japanese crucian carp), 재패니즈 화이트 크루시안 카프 (Japanese white crucian carp), 화이트 크루시안 카프 (White crucian carp)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위기 (EN) |
참고 | IUCN 적색 목록 |
일본 적색 데이터 북 | 위기 (EN) |
참고 | 일본 환경성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잉어목 |
과 | 잉어과 |
속 | 붕어속 |
분포 | |
원산지 | 비와호 |
국내 이입 | 지쿠고강 수계 |
학명 정보 | |
이명 | C. auratus caviers Temminck & Schlegel, 1846 C. auratus cuvieri Temminck & Schlegel, 1846 C. carassius cuvieri Temminck & Schlegel, 1846 |
2. 형태
떡붕어는 최대 50-60cm까지 성장하는 중형 물고기이며, 넓은 머리와 뭉툭한 주둥이를 가지고 있다.[2][16] 입술은 두툼하며, 수염은 없다. 몸은 깊고 옆으로 납작하며, 등은 뚜렷하게 솟아 있다. 체고가 높다.[16] 비늘은 크고 원린 비늘 형태이며, 완전한 측선을 가지고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마지막 지느러미 줄기에는 톱니가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져 있다.[2] 정면에서 보면 마름모 형태의 체형을 하고 있다. 또한 안구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일본 떡붕어는 이전에는 붕어의 아종으로 여겨져 ''C. auratus cuvieri''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종의 지위로 격상되었지만, 일부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3]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한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이 종은 약 100만 년 전, 초기 플라이스토세에 조상 형태로부터 분화되었다.[3]
떡붕어는 원래 일본 비와호[5]와 요도강 수계[6]에 고유종[16]으로 서식했다. 그러나 타이완[2][15],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15] 등에도 도입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정부 기관의 방류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이후 불교의 방생 관행으로도 확산되었다.[7] 버몬트주에서는 허가 없이 이 종을 소유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8]
떡붕어는 잡식성 어종으로 조류, 식물성 플랑크톤, 수생 식물, 무척추동물, 곤충, 갑각류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2] 유어 단계에서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주로 먹지만, 1.8cm 정도 성장하면 군집 행동을 보이며 해안에서 멀어져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기 시작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성어가 되어서도 주된 먹이로 남는다.[5] 이는 떡붕어가 식물성 플랑크톤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특화된 인두 치아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4]
3. 분류
비와호에 고유한 원래의 야생 종은 겐고로부나/ゲンゴロウブナ일본어 (源五郎鮒)라고 불린다.[13][5] 일본 떡붕어의 조상 형태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화석 인두 치아가 비와호 남서쪽 해안의 옛 팔레오호 카타타의 퇴적층에서 유래된 카타타 형성의 상부에서 발견되었다.[4]
4. 분포 및 서식지
떡붕어는 담수어이며, 정지하거나 천천히 흐르는 물을 선호하며, 최대 20미터 깊이에서 발견된다. 일반적인 서식지로는 호수, 운하, 그리고 배후수역 등이 있다.[2]
5. 생태
떡붕어는 연안에서 먼 바다에 걸쳐 표층, 중층에 서식하며,[16] 주로 식물 플랑크톤을 먹는다.[16] 하천, 연못, 호수 등에 서식한다. 성장이 빨라 생후 3년이면 몸길이가 30cm 정도가 되며, 큰 것은 60cm 이상에 달하는 개체도 있다. 수명이 길어 수십 년을 사는 개체도 존재한다.
5. 1. 번식
떡붕어의 산란은 4월에서 6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수생 식물, 특히 갈대밭이 있는 지역에서 발생한다.[5] 일부 개체는 산란을 위해 연결된 위성 수역으로 이동하며,[14] 유충과 어린 개체는 산란 지역 근처에 머무는 경향이 있다.[14]
봄부터 5월경에 걸쳐 산란을 위해 얕은 곳으로 모이는 것을 "노꼬미"라고 하며, 그 시기를 "노꼬미 시기"라고 부르는데, 이때 대형 떡붕어를 노리거나 마릿수 낚시를 할 수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떡붕어는 비와호에서 지역 어업의 대상이다.[4] 떡붕어는 개체 수가 감소한 니고로부나 대신에 냄새가 강한 발효 음식인 후나즈시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5]
원래 종에서 개발된 더 크고 몸 높이가 높은 양식 변종으로, 헤라부나/ヘラブナ일본어라고 알려져 있으며, 오사카 지역에서 양식되어 현재 일본의 많은 지역에 낚시를 위해 방류되고 있다. 떡붕어는 잡아서 놓아주는 낚시로 즐겨진다.[9] 한국에서는 주로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특히 '헤라부나'라고 불리는 양식 변종은 떡붕어 낚시의 주 대상이다. 떡붕어는 중국 양식업에서 주요 잉어 종이며, 식용으로 사육된다.[10][11]
이 종은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인 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의 중간 숙주로 확인되었다.[12]
호안 정비 및 매립으로 인한 산란지인 갈대밭의 소실, 번식기 강우 시에 실시되는 세타가와 세타 댐의 방수로 인한 수위 저하로 인한 알과 치어의 건조, 인위적으로 이입된 배스와 블루길에 의한 치어 및 어린 물고기 포식 등으로 인해 서식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6] 양식 개체가 비와호에 방류되고 있으며, 교잡도 우려되고 있다.[16] 치어 방류, 갈대밭 조성 등과 같은 보호 대책이 진행되고 있다.[16]
6. 1. 떡붕어 낚시 (헤라부나 낚시)
"낚시는 붕어로 시작해서 붕어로 끝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떡붕어 낚시는 낚시의 난이도와 흥미가 높아 낚시인들에게 인기가 많다.[18] 특히 떡붕어는 계절, 수온, 시간대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유영층(타나)이 달라지므로, 타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조과를 좌우한다. "붕어는 타나를 낚아라"라는 속담도 있을 정도이다.떡붕어 낚시에는 전용 낚싯대인 "헤라 낚싯대"가 사용된다. 연질의 헤라 낚싯대는 떡붕어와의 짜릿한 손맛을 더 깊이 느끼게 해준다. 낚싯대 끝 부분을 "주칠(朱塗り)"이라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 헤라 낚싯대 전문 장인이 만든 고급품(주로 대나무)은 낚싯대의 휘어짐 등에서 인공 소재로는 느낄 수 없는 독특한 감촉이 있어 일부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만력(万力) 등으로 지지 고정된 "낚싯대 거치대(竿掛け)"에 낚싯대를 놓고 낚시를 한다.
노지 낚시터나 댐 호수 등에서는 전용 낚시 좌대(헤라 받침대(주로 알루미늄제))가 사용된다. 낚시 좌대에 바이스로 고정된 "낚싯대 거치대" 위에 떡붕어 낚싯대를 올려놓고 낚시를 한다. 철 파이프나 판재 등으로 만들어진 상설형 낚시 좌대는 불법 투기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발판이 좋기 때문에 다른 낚시꾼들도 사용할 수 있다.
떡붕어 낚시에는 가늘고 매우 민감한 전용 찌 (헤라우키)가 사용된다. 몸통 부분은 부력이 큰 재료가 사용되지만, 선단에는 수 cm 단위로 색상이 구분된 직경 1~2mm 정도의 매우 가느다란 톱(top)이 사용된다. 이 톱의 높이로 먹이의 잔량을 알 수 있으며, 미묘한 입질을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톱은 폴리카보네이트 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떡붕어는 먹이를 입에 넣었다 뺐다 하면서 물에 녹아든 먹이를 빨아들여 먹기 때문에, 미묘한 입질을 놓치지 않고 낚아야 한다. 떡밥(경단 떡밥)으로는 매시 포테이토, 밀기울, 글루텐, 전용으로 만들어진 배합 사료 등이 사용된다.[18] 과거 간사이 지방에서는 우동이 자주 사용되기도 했다.
캐치 앤 릴리스가 전제된 낚시이므로, 물고기를 최대한 다치게 하지 않도록 "바늘의 걸림쇠(가에시)"가 없는 낚시 바늘(스레 바늘)이 사용된다. "헤라스레", "야라즈" 등의 명칭이 있으며, 2개를 목줄로 도래나 요리모도시 등에서 두 갈래로 단차를 두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떡붕어는 일 년 내내 낚시가 가능하지만, 계절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 봄부터 5월경 산란을 위해 얕은 곳으로 모이는 것을 "노꼬미"라고 하며, 이 시기는 대형 붕어를 노리거나 마릿수 낚시의 호기로 여겨진다.
6. 2. 보존 상태
비와호에 서식하는 야생 떡붕어는 일본 적색자료목록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13][5] 개체수 감소 요인으로는 수질 오염, 침입종, 남획 등이 있다.[14] 특히 호안 정비 및 매립으로 인한 산란지인 갈대밭 소실, 번식기 강우 시 세타가와 세타 댐 방수로 인한 수위 저하로 알과 치어가 건조해지는 현상, 인위적으로 유입된 배스와 블루길에 의한 치어 및 어린 물고기 포식 등이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6] 양식 개체가 비와호에 방류되면서 교잡 또한 우려되는 상황이다.[16]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치어 방류, 갈대밭 조성 등과 같은 보호 대책이 진행되고 있다.[16]6. 3. 식용
떡붕어는 다른 붕어 종과 마찬가지로 비와호에서 지역 어업의 대상이다.[4] 중국 양식업에서 주요 잉어 종이며, 식용으로 사육된다.[10][11]조리법은 세척(회), 붕어국(된장 조림 국), 튀김 등이 있다. 또한 비와호 원산의 니고로부나가 외래종인 배스나 블루길의 등장과 같은 생태계 변화 및 개발에 따른 환경 악화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여 비와호의 희귀종이 되었기 때문에, 니고로부나 대신 붕어 초밥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떡붕어는 개체 수가 감소한 니고로부나 대신에 냄새가 강한 발효 음식인 후나즈시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있다.[5]
이 종은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는 기생충인 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의 중간 숙주로 확인되었다.[12]
7. 기타
떡붕어에서 '헤라'는 주걱형을 의미하며, 일본식 이름에 사용되는 접두사이다. 헤라오모다카, 헤라고사리, 헤라사기 등이 그 예시이다. 떡붕어는 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의 중간 숙주로 확인되었으며, 이 기생충은 인간에게 감염될 수 있다.
참조
[1]
FishBase species
[2]
웹사이트
Carassius cuvieri
http://fishdb.sinica[...]
2012-11-28
[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silver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gibelio, C. auratus cuvieri,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and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variation
2011
[4]
서적
Lake Biwa: Interactions between Nature and People
Springer
2012
[5]
논문
Seasonal distribution of adult crucian carp nigorobuna Carassius auratus grandoculis and gengoroubuna Carassius cuvieri in Lake Biwa, Japan
2011
[6]
웹사이트
Carassius cuvieri
https://www.nies.go.[...]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2018-12-08
[7]
논문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tribution of Introduced Fish in Large River Systems of South Korea
2002
[8]
웹사이트
Title 10 Appendix: Vermont Fish and Wildlife Regulations
https://vtfishandwil[...]
Vermont Fish and Wildlife Department
2018-12-07
[9]
웹사이트
Chikumagawa dictionary:herabuna
http://www.hrr.m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2-04-04
[10]
논문
Induction of gynogenesis in Japanese crucian carp (Carassius cuvieri)
2006
[11]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tenstinal bacterial communities in different species of carp by pryrosequencing
http://ir.ihb.ac.cn/[...]
2015
[12]
논문
Clinostomum complanatum (Trematoda: Clinostomatidae) in five new fish hosts in Japan
1992
[13]
웹사이트
Search system of Japanese Red Data
http://www.jpnrdb.co[...]
2014-06-04
[14]
논문
Genetic identification of larvae and juveniles reveals the difference in the spawning site among Cyprininae fish species/subspecies in Lake Biwa
2008
[15]
간행물
Carassius cuvieri
https://doi.org/10.2[...]
2019
[16]
간행물
ゲンゴロウブナ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5
[17]
서적
広辞苑 第七版
[[岩波書店]]
2018-01-12
[18]
웹사이트
Goアウトドア 魚のことわざ
http://www.nullabor1[...]
[19]
FishBase species
[20]
간행물
Carassius cuvieri
https://doi.org/10.2[...]
2019
[21]
간행물
ゲンゴロウブナ
株式会社[[ぎょうせい]]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