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5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지하철 5호선은 방화역에서 하남검단산역까지 운행되는 서울 지하철 노선이다. 1989년 착공하여 1995년부터 1996년에 걸쳐 주요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역명 변경 및 연장 공사를 통해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었다. 방화, 상일동, 마천, 하남검단산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된다. 수도권 전철과 동일한 운임 체계를 따르며, 2호선 신정지선, 8호선과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5호선 - 방화차량사업소
방화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및 검수 관리를 담당하며, 수도권 전철 5호선과 8호선의 폐차 관리도 수행한다. - 수도권 전철 5호선 - 고덕차량사업소
고덕차량사업소는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며 5000호대 전동차 입출고 검수 관리와 8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주요 업무로 하는 차량기지이다. - 199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은 서울 강서구 방화역에서 경기도 하남시 하남검단산역을 잇는 서울 지하철 노선으로, 1990년 착공하여 1996년 전 구간 개통, 대한민국 최초 자동열차운전 시스템 도입, 서울 강서-도심-강동-하남 지역 연결, 여의도/김포공항 등 주요 지역 연결, 다수 환승역을 통한 연계성 확보, 2020년-2021년 하남선 연장 개통, 방화역-하남검단산역/마천역 운행 등의 특징을 가진다. - 199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통근 철도 시스템인 웨스트 코스트 익스프레스는 트랜스링크가 소유, 운영하며 워터프론트 역에서 미션 시티 역까지 8개의 역을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하며 교통 체증 완화와 대중교통 이용 장려를 목표로 1995년 운행을 시작했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서울 지하철 5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서울 지하철 5호선 | |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서울 지하철 5호선 |
종류 | 도시 철도 / 운행 계통 |
나라 | 대한민국 |
체계 | 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
상태 | 영업 중 |
기점 | 방화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
종점 | 상일동역 (서울특별시 강동구) 마천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
역수 | 51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
영업 거리 | 방화~상일동 본선: 45.2 km 강동~마천 지선: 7.1 km 방화~상일동/마천 전구간: 52.3km 방화~마천: 47.6km |
궤간 | 1,435 mm(표준궤) |
선로 | 2 |
전철화 | 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
신호 | ATC/ATO [수동운전.자동운전] |
영업 최고 속도 | ATC/ATO 구간 80km/h |
개통일 | |
개통일 | 1995년 11월 15일(왕십리~상일동) 1996년 3월 20일(방화~까치산) 1996년 3월 30일(강동~마천) 1996년 8월 12일(까치산~여의도) 1996년 12월 30일(여의도~왕십리) |
노선도 |
2. 역사
서울 지하철 5호선은 1990년대 초반에 착공되어 1995년부터 순차적으로 개통되었다. 1995년 왕십리~상일동역 구간을 시작으로, 1996년에는 방화역~까치산역, 강동역~마천역, 까치산역~여의도역, 여의도역~왕십리역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1] 이후 역명 변경 및 마곡역 영업 개시 등의 변화가 있었고, 2020년과 2021년에는 하남선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5호선으로 통합되었다.
2. 1. 연혁
- 1989년 3월 27일: 5호선 착공
- 1995년 11월 15일: 왕십리~상일동역 구간 개통
- 1996년 3월 20일: 방화역 ~ 까치산역 구간 개통 (마곡역 제외)
- 1996년 3월 30일: 강동역 ~ 마천역 구간 개통
- 1996년 8월 12일: 까치산역 ~ 여의도역 구간 개통
- 1996년 12월 30일: 여의도역 ~ 왕십리역 구간 개통[1]
- 1997년 3월 26일: 광희문역에서 청구역으로 역명 변경
- 2008년 6월 20일: 마곡역 영업 개시
- 2009년 10월 29일: 동대문운동장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으로 역명 변경[2]
- 2014년 12월 18일: 왕십리역에서 '''왕십리(성동구청)역'''으로 역명 변경[3]
- 2019년 12월 26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역'''으로 역명 변경[4]
- 2020년 8월 8일: 하남선 상일동역~하남풍산역 구간 개통 (강일역 제외) 및 수도권 전철 5호선으로 통합
- 2021년 3월 27일: 하남선 강일역, 하남풍산역~하남검단산역 구간 개통
3. 운영
서울 지하철 5호선은 방화행, 하남검단산행, 마천행 열차가 주로 운행되며,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방화~하남검단산역 구간과 방화~마천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열차가 기본이며, 강동역을 기준으로 Y자 형태로 노선이 분기된다.
차량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경정비는 방화차량사업소와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만 시행한다.
운임은 수도권 전철의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수도권 통합 요금제가 적용되어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버스(일부 제외) 환승 시 기본 운임이 면제되거나 할인된다. 승차권은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이나 교통카드(T-Money 등), 교통 카드 기능이 탑재된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역 번호는 방화역 510번을 시작으로 상일동역 553번까지 부여된다. 지선 구간은 강동역(548) 이후 분기되어 P549~P555번으로 부여된다.
까치산역~신정역 구간에는 2호선 신정지선과의 연결선이, 방이역~오금역 구간에는 8호선 가락시장역과의 연결선이 있다. 까치산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일부 반입에, 방이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반입 및 중검수를 위해 사용된다.[1]
1996년 11월 15일 왕십리역~강동역 개통 당시에는 열차를 4호선 충무로 연결선과 3호선을 통해 수서차량사업소에 유치 후 송파 방이 연결선으로 넣어 고덕차량사업소로 반입하였다.[1] 방화역~까치산역 구간 개통 당시에는 1호선 동묘역 분기점에서 2호선 성수지선을 통해 신정지선을 거쳐 까치산역으로 반입하였다.[1]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길동역과 둔촌동역 사이의 연결선을 복선화하여 하남선과 직결 운행할 계획이 있다.[5]
3. 1. 열차 운행
이 노선은 방화행, 하남검단산행, 마천행 등이 주를 이루며, 영업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방화~하남검단산역 구간과 방화~마천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열차가 기본을 이루며, 두 계통의 열차는 방화~강동 구간을 같은 선로로 운행하고 강동역 이후 구간은 각 방면의 Y자 선로를 별개로 사용한다.3. 2. 차량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경정비는 방화차량사업소와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만 시행한다.3. 3. 운임
수도권 전철에 속한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별도로 추가되는 요금은 없다. 승차할 때는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이나 교통카드(T-Money 등), 교통 카드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일부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내의 다른 역에서 발매된 승차권이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수도권 통합 요금제의 적용을 받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버스(경기도 시외버스, 김포공항, 인천공항 리무진 제외)에서 갈아탈 때는 기본 운임이 면제되거나 할인된다.3. 4. 역 번호
방화역에서 510으로 시작하여 상일동역에서 553으로 끝난다. 지선 구간의 역 번호는 본선의 마지막 역인 상일동역의 553부터 554~560번까지 부여되었다. 그러나 둔촌동역부터 이어지는 역들이 상일동역 뒤에 연결되는 역으로 오인될 소지가 있어, 현재는 한국철도공사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번호를 매기는 방식을 따른다. 즉, 강동역 이후 본선에서 갈라지는 분기선이라는 의미에서 'Point'의 첫 글자인 P를 맨 앞에 붙이고, 강동역의 역번호(548)로부터 P549~P555번을 사용한다. 하행인 상일동행과 마천행은 역 번호가 커지지만, 상행인 방화행은 역 번호가 작아진다.3. 5. 연결선
까치산역~신정역 구간에는 2호선 신정지선과의 연결선이, 방이역~오금역 구간에는 8호선 가락시장역과의 연결선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까치산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일부를 반입할 때 사용되었으며, 방이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반입에 사용되었고, 현재는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가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위하여 이동할 때 사용된다.[1]1996년 11월 15일 왕십리역~강동역 개통 당시에는 열차를 4호선 충무로 연결선과 3호선을 통해 수서차량사업소에 유치한 후 분해 과정을 거쳐 송파 방이 연결선으로 넣고 재조립한 후 고덕차량사업소로 반입하였다.[1] 방화역~까치산역 구간 개통 당시에는 열차를 1호선 동묘역 분기점에서 2호선 성수지선을 통해 성수역~신도림역 구간으로 이동시킨 후 신정지선을 거쳐 까치산역을 통해 반입 작업을 하였다.[1]
3. 6. 본선과 마천지선 간 연결선 복선화 계획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길동역과 둔촌동역 사이의 연결선을 복선화해 하남선과 직결 운행할 계획이 있다.[5]4. 역 목록
(Mokdong Stadium)
(木洞運動場앞)
(Hallym Univ. Hanggang Sacred Heart Hospital)
(Sejong Center for the Perfoming Arts)
(世宗文化會館)
(城東區廳)
(Rear Entrance to Seoul Children's Grand Park)
(어린이大公園後門)
(Presbyterian Univ. & College & Seminary)
(長神大)
(Pungnaptoseong)
(風納土城)
(Gangdong Community Center)
(Korean National Sport Univ.)
(韓國體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