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탈헬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탈헬름은 1916년 독일 제국에서 처음 도입된 강철 헬멧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참호전의 증가로 인한 머리 부상 감소를 위해 개발되었다. 15세기 살렛에서 영감을 받아 머리와 목을 보호하도록 설계되었으며, M1916, M1917, M1918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의 표준 헬멧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서독, 동독, 여러 국가 및 민간 조직에서 사용되었다. 슈탈헬름은 챙과 목덜미를 보호하는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대중문화 속에서도 등장한다. 하지만 나치 독일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기도 하며, 모델에 따라 청력 문제나 찬 공기 유입과 같은 단점도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구 - 방탄 헬멧
방탄 헬멧은 화약 무기 발달과 전쟁 양상 변화에 따라 발전해온 머리 보호 장구로, 신소재 개발을 통해 방호력과 착용감이 향상되었으며 다양한 장비와 결합되어 사용되고, 성능 평가를 거쳐 디자인되며 대한민국 국군도 국산 헬멧을 보급하고 품질을 개선하여 해외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 투구 - SPECTRA 헬멧
SPECTRA 헬멧은 1990년대 프랑스 육군용으로 연구 개발되어, 다이니마 섬유를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기존 헬멧을 대체하고 다양한 장비 장착이 가능하며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헬멧이다. - 독일어 낱말 -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DNA 또는 RNA를 유전 물질로 사용하고 단백질 껍질로 둘러싸인 비세포성 감염체이며,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독일어 낱말 - 존더베크
존더베크 이론은 독일 근대화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늦은 산업화, 반민주적 엘리트, 바이마르 공화국 불안정, 나치즘 등장 등의 특수성을 보이며 전개되었다는 이론으로, 초기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나치즘 이후 부정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현재는 독일 역사 복잡성을 단순화한다는 비판과 유럽 근대화 과정에서 독일 경험의 특수성에 대한 반박이 제기되고 있다. - 20세기 패션 - 가운
가운은 앵글로색슨족 여성의 외투에서 유래하여 중세 유럽에서 남녀 모두 착용하는 의복을 지칭했으며, 대학생의 지위, 특정 의례, 스포츠 의상, 의료용품 등으로 사용된다. - 20세기 패션 - 연미복
연미복은 제비 꼬리처럼 갈라진 뒷자락이 특징인 서양 남성 정장으로, 검은색 드레스 코트와 바지, 흰색 조끼와 나비 넥타이 조합으로 19세기 저녁 정장으로 자리 잡았으나, 20세기 초 턱시도에 밀려 현재는 격식 있는 행사에서 착용된다.
슈탈헬름 | |
---|---|
개요 | |
![]() | |
종류 | 전투 헬멧 |
사용 기간 | 1916년–1992년 |
사용 국가 | 사용자 참고 |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독일 혁명 국공 내전 겨울 전쟁 계속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
설계자 | 프리드리히 슈베르트 박사 (M1916) |
설계 시기 | 1915년 |
세부 정보 | |
원산지 | 독일 |
생산 시기 | 1916년 |
변형 | 변형 참고 |
2. 역사적 배경 및 기원
독일 제국에서는 건국 이래 육군 헬멧으로 피켈하우베(Pickelhaube)를 사용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참호전이 격화되면서, 가죽으로 만들어진 피켈하우베는 포탄 파편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에 역부족이었고, 정수리의 금속 스파이크는 멀리서도 눈에 띄어 저격의 표적이 되기 쉬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 제국군은 새로운 강철 헬멧 개발에 착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대부분 군대의 머리 보호구는 현대적인 의미의 방어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병사들은 주로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모자나 헬멧을 착용했으며, 일부 기병 부대가 사용하던 금속 헬멧조차도 포탄 파편보다는 칼에 의한 공격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포병 화력이 증대되면서 참호전이 주요 전투 양상이 되자, 머리 부상으로 인한 사상자가 양측 모두에서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따라 1915년부터 여러 부대에서는 자체적으로 임시 방탄 헬멧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보주 산맥의 바위 지형에 주둔했던 육군 부대 가에데는 돌과 포탄 파편으로 인한 머리 부상자가 유독 많았는데, 이 부대의 포병 작업장에서는 천과 가죽 모자에 6mm 두께의 강철판을 덧대 이마와 눈, 코까지 보호하는 자체적인 헬멧을 개발하기도 했다.[2]
현대적인 전투 헬멧 개발은 독일군이 가장 먼저 시작했으나, 관료주의와 무대책으로 인해 실제 도입은 지연되었다.[2] 반면, 프랑스는 1915년에 아드리안 헬멧을 최초로 제식 채용하여 보급했고,[3] 대영 제국 역시 같은 해 말에 브로디 헬멧을 도입하며 뒤를 따랐다.
당시 독일 제국 육군은 건국 이래로 피켈하우베(Pickelhaube)라는 뾰족한 장식이 달린 가죽 헬멧을 사용하고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연대 번호가 적힌 천 커버를 씌워 사용했지만, 가죽 재질의 피켈하우베는 참호전에서 포탄 파편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게다가 헬멧 꼭대기의 금속 스파이크는 멀리서도 눈에 띄어 저격의 표적이 되기 쉬웠기 때문에, 근대 전장 환경에는 매우 부적합하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일 제국군은 새로운 강철 헬멧 개발에 착수했고, 1916년에 드디어 슈탈헬름(Stahlhelm)이 완성되었다. 슈탈헬름은 도입 직후부터 빠르게 피켈하우베를 대체해 나갔다. Stahlhelm|슈탈헬름de은 독일어로 "강철 투구"를 의미하며, 이후 강철로 만든 군용 헬멧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로도 사용된다.
최초의 모델인 1916년형(M16)에 이어, 1918년에는 무선 및 전화 수화기를 귀에 대기 편하도록 양쪽 가장자리에 반원형 절개부를 추가한 1918년형(M18)이 도입되었다. 또한 같은 해에는 기존의 단색 헬멧에 위장 도색을 하라는 지시가 내려지기도 했다. 슈탈헬름은 특유의 생김새 때문에 "석탄통(coal scuttle)"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 헬멧은 앞부분에 챙이 있고 뒷부분이 목덜미까지 길게 내려와 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했으며, 열사병 예방에도 도움을 주었다. 슈탈헬름의 이러한 디자인은 이후 여러 국가의 헬멧 디자인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표적으로 미군의 PASGT 헬멧에서도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3. 개발
슈탈헬름(Stahlhelm|슈탈헬름de, 독일어로 '강철 헬멧'을 의미)의 디자인은 하노버 기술 연구소의 프리드리히 슈베르트 박사가 맡았다. 1915년 초, 슈베르트 박사는 참호전에서 발생하는 머리 부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강철 헬멧 도입을 제안했으며, 곧 베를린으로 소환되었다. 그는 머리와 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15세기 살렛 형태를 기반으로 새로운 헬멧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임무를 받았다.
다양한 독일 및 연합국의 머리 보호구를 시험하는 등 오랜 개발 과정을 거쳐, 1915년 11월 쿠머스도르프 시험장에서 첫 번째 시제품이 테스트되었고, 이후 제1돌격대대에서 현장 테스트를 거쳤다. 초기 3만 개가 주문되었으나, 정식 보급은 1916년 새해가 되어서야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M1916" 또는 "1916년형"으로 불린다.
최초의 M1916 슈탈헬름은 1916년 2월 베르됭 전투에 참전한 병사들에게 처음 지급되었으며, 이후 심각한 머리 부상 발생률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 헬멧을 처음으로 실전에 사용한 부대는 빌리 로어 대위가 지휘하는 ''슈투름-바타요 5 (로어)'' 소속 돌격대원들이었다.
영국군의 브로디 헬멧이 해드필드 강을 사용한 것과 달리, 독일군은 더 단단한 마르텐사이트 실리콘/니켈 강철을 사용했다. 이 재질과 독특한 형태 때문에 슈탈헬름은 영국 헬멧처럼 한 번에 찍어낼 수 없었고, 가열된 금형을 이용한 복잡한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 단가가 더 높았다.
M1916 모델은 양 측면에 뿔 모양의 환기 통풍구가 있었는데, 이는 통풍 기능 외에도 추가적인 방호력을 제공하는 강철 이마 판인 ''슈티른판처''(Stirnpanzer)를 부착하기 위한 용도였다. 하지만 ''슈티른판처''는 너무 무거워서 저격수나 참호 습격 부대 등 일부 병력만 제한적으로 사용했다.[16] 헬멧의 크기는 60부터 68까지 다양했으며, 일부 70 사이즈도 보고되었다. 무게는 크기에 따라 0.98kg에서 1.4kg까지 나갔다. 내부는 가죽 또는 천으로 된 3개의 패드 주머니가 달린 헤드밴드 형태의 라이너(서스펜션)로 구성되었고, 끈으로 조절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었다. 턱끈은 피켈하우베에 사용되던 M1891 턱끈을 그대로 사용했다.
슈탈헬름은 뛰어난 보호 성능을 제공했다. 제76 예비 보병 연대의 발터 슐체 중위는 1916년 7월 솜 전투에서의 경험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갑자기 쨍하는 소리와 함께 이마를 맞고 참호 바닥으로 쓰러졌다... 파편탄이 헬멧을 강하게 때렸지만 관통하지는 못했고, 움푹 들어가는 데 그쳤다. 만약 며칠 전처럼 모자를 쓰고 있었다면, 연대에 사망자가 한 명 더 늘었을 것이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했다. 측면의 환기 구멍은 겨울철에 차가운 공기가 들어와 병사들이 진흙이나 천으로 막는 경우가 많았고, 넓게 퍼진 헬멧의 뒷부분(스커트)은 주변 소리를 왜곡시키고 착용자의 목소리가 울리게 만들어 청취를 방해하기도 했다.
초기 슈탈헬름은 ''펠트그라우''(Feldgrau, 야전 회색)로 칠해졌으나, 병사들은 종종 진흙, 나뭇잎, 천 조각 등을 이용해 야전에서 직접 위장했다. 1916년 말에서 1917년 초에는 흰색과 회색의 공식 천 커버가 보급되었다. 공식적인 위장 도색 지침은 1918년 7월 7일,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이 서명한 독일 육군 명령 II, No 91 366호를 통해 내려졌다. 이 지침은 헬멧을 여러 색상(주로 녹색, 갈색, 황토색 등 계절에 맞는 색)으로 칠하고, 각 색상 영역을 손가락 너비의 검은 선으로 구분하도록 규정했다.[16] 전쟁 말기에는 빛 반사를 줄이기 위해 으깬 펠트를 섞은 ''볼슈타우브''(Buntfarbenanstrich) 페인트 같은 실험적인 위장 방식도 시도되었다.
M1916의 성공 이후 몇 가지 개량이 이루어졌다. M1917 버전은 라이너가 개선되었으며, M1918 버전은 무선 및 전화 수화기를 귀에 대기 쉽도록 헬멧 가장자리 양 측면에 반원형의 절개부를 추가했다.
슈탈헬름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독일의 상징적인 군용 헬멧으로 자리 잡았으며,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가방위군에서도 제식 헬멧으로 채택되었다. 이 디자인에 대한 1차 대전 세대의 애착이 강하여, 훗날 아돌프 히틀러가 더 현대적인 디자인의 헬멧으로 교체하려 했을 때 반대에 부딪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4. 제1차 세계 대전 (1916-1918)
독일 제국 육군은 건국 이래 피켈하우베(Pickelhaube)라는 가죽제 헬멧을 사용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참호전이 격화되면서, 포탄 파편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어려운 피켈하우베의 한계가 드러났다. 특히 정수리의 금속 스파이크는 저격의 표적이 되기 쉬웠다. 이에 독일 제국군은 새로운 강철 헬멧 개발에 착수했고, 1916년 '''M1916''' 모델이 완성되어 기존 피켈하우베를 빠르게 대체하기 시작했다.[2]
M1916 헬멧은 특징적인 외형으로 인해 "석탄통"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헬멧 양 측면에는 환기구 역할을 하는 돌출된 러그(lug)가 있었는데, 이는 추가적인 강철 이마 보호판인 슈티른판처(Stirnpanzer)를 부착하는 고정핀 역할도 겸했다. 헬멧의 챙과 뒷부분은 목덜미를 효과적으로 보호했으며, 열사병 예방에도 도움이 되었다.
1918년 2월 12일에는 개량형인 '''M1918''' 모델이 도입되었다. M1918은 턱끈을 헬멧 외피가 아닌 내부 라이너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M1916 모델과 구별된다. 또한 일부 M1918 헬멧에는 양 측면 가장자리에 반원형 절개부가 추가되었다. 이는 헬멧 착용 시 청력을 개선하고 내부의 소리 울림(반향)을 줄이기 위한 설계였으며[19], 부수적으로 무선 및 전화 수화기를 귀에 대기 쉽게 하는 효과도 있었다. 이 절개부가 있는 모델은 약 1만 개 정도 생산되었다.
독일의 동맹국이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역시 슈탈헬름을 도입했다. 1916년 11월부터 독일로부터 약 416,000개의 헬멧을 구매했으며, 1917년 5월부터는 자체적으로 면허 생산을 시작하여 종전까지 약 백만 개의 슈탈헬름을 지급했다.[17]
- '''오스트리아 M17''': 독일 M16 모델을 기반으로 생산되었으며, 독일 모델을 따른다는 의미의 nach deutschem Musterde로 불렸다. Isonzo-braun|이손초-브라운de이라 불리는 황금빛 갈색으로 도색되었고, 천 턱끈을 사용했으며 턱끈 부착 리벳이 헬멧 외피의 더 높은 위치에 있었다. 1917년 5월부터 종전까지 약 534,013개가 생산되었다.[17]
- '''헝가리 M18''': 오스트리아 M17과 유사하지만, 턱끈 리벳 크기가 작고 더 위쪽에 위치했으며, 턱끈이 라이너 고정용 리벳과 함께 부착되는 방식이었다. 주로 베른도르프(Berndorf)의 크루프(Krupp)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 '''분덴도르퍼(Berndorfer) 변형''': 오스트리아 모델이라는 의미의 österreichisches Musterde로 불린 독자 개발 모델이다. 1917년 5월부터 11월까지 분덴도르프의 크루프 공장에서 약 139,968개가 생산되었다.[17]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슈탈헬름 생산은 베른도르프 외에도 슬로베니아의 첼레, 체코의 브르노와 클라드노, 슬로바키아의 마테요브체, 루마니아의 내드라그와 레시차, 헝가리의 부다페스트 체펠, 오스트리아의 로텐만, 빈, 카프펜베르크 등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졌다.[18]

오스만 제국은 1917년 독일식 돌격대대 창설과 함께 강철 헬멧의 필요성을 느껴 독일로부터 M1918 모델을 주문했다. 그러나 오스만 장교들은 기존 슈탈헬름 디자인이 병사들의 청각을 방해한다고 판단하여 헬멧의 챙과 귀, 목 보호 부분을 제거해 달라고 요청했다.[19] 이에 독일은 챙이 없는 M1918 헬멧 5,400개를 오스만 제국에 공급했다. 독일 측에서는 챙이 없는 이유를 터키 병사들이 기도 시 헬멧을 벗지 않고 이마를 땅에 대기 위한 종교적 이유로 추정했으나,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오스만 제국은 추가 공급을 거부했으며, 이 챙 없는 헬멧 중 일부는 독일군에게 지급되어 종전 후 자유군단에서 사용되기도 했다.
5. 전간기 (1919-1938)
1932년 바이마르 공화국 육군 최고 사령부는 구형 모델을 대체할 새로운 헬멧 개발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불칸섬유(Vulkanfiber)"라는 복합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M1933 헬멧이 등장했다. 이 헬멧은 기존 ''슈탈헬름''의 기본적인 형태는 유지하면서 무게를 크게 줄인 것이 특징이었다. 1933년 초 현장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친 후 제한적으로 생산되어 국방군의 보병, 포병, 통신 부대에 일부 지급되었다. 그러나 이후 M1935 헬멧이 도입되면서 군에서의 사용은 중단되었고, 남은 물량은 대부분 소방대나 경찰 등 민간 조직으로 넘어갔다.[20] 일부 고위 장교들은 열병식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M1933 헬멧을 계속 보유하기도 했다.
독일은 새로 개발된 M1935 헬멧을 여러 나라에 수출했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중화민국에 상당량이 보내져, 국민혁명군, 특히 정예 부대였던 중앙 사단의 주력 헬멧으로 사용되었다. 스페인 역시 M1935 헬멧을 제공받았다. 또한, 한스 쿤트가 이끄는 독일 군사 고문단이 파견되었던 볼리비아는 차코 전쟁 (1932-1935) 이후 M1935를 채택하여 비교적 최근까지 사용했다. 이렇게 수출된 M1935 헬멧은 외형상 독일군용과 거의 동일했지만, 내부 라이너 등 일부 사양에 차이가 있었다. 일부 국가는 M1935 설계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헬멧을 생산하기도 했다.
전간기 동안 다른 여러 국가들도 ''슈탈헬름'' 또는 그와 유사한 형태의 헬멧을 채택했다.
- 아일랜드 방위군: 1926년 11월, ''슈탈헬름''을 제식 헬멧으로 채택했다. 당시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해 독일로부터 직접 헬멧을 수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런던의 비커스(Vickers)사를 통해 M1918 모델과 매우 유사한 헬멧 5,000개를 주문하여 1940년까지 사용했다.[7]
- 스위스: M1918로 명명된 헬멧을 사용했다. 이는 M1916과 비슷했지만, 알프스 지역의 강한 겨울 바람을 막기 위해 헬멧의 크라운과 스커트 부분이 더 얕고 넓으며 둥근 형태를 가졌다.
- 칠레 육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독일로부터 M1935 헬멧과 함께 Vulkanfiber 모델을 일부 구입하여 사용했다.[8]
- 폴란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로부터 압수한 M1918 헬멧을 다수 보유하고 있었으며, 일부는 스페인 등 다른 나라에 판매했다. 1930년대 말에는 표준 제식 헬멧인 wz. 31이 전차 및 기계화 부대용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자, 임시방편으로 폴란드 제10 기갑 기병 여단에 M1918 헬멧을 지급하여 9월 작전 당시 사용하게 했다.
- 이란: 소량의 Vulkanfiber 모델을 도입하여 주로 제국 근위대와 테헤란 주둔 부대에서 사용했다. 이는 이란-영소 침공 이전에 획득한 것으로 추정된다.
독일 내에서도 ''슈탈헬름''은 계속 사용되었다. 국방군 병사들은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의 헬멧에 새로운 문장을 부착하여 착용했으며, 1938년에는 제1 SS 기갑사단 "LSSAH" 소속 병사들이 훈련 시 구형 ''슈탈헬름''을 재활용하여 착용하는 모습이 기록되기도 했다.
6. 제2차 세계 대전 (1939-1945)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군에서는 피켈하우베형을 폐지하고 슈탈헬름형을 제식으로 채택했다. 1933년 나치스의 정권 장악을 거쳐 독일 재무장 선언이 이루어진 1935년 이후의 국방군과 무장친위대에서도 슈탈헬름은 계속 사용되었다.
=== M1935 ===
1934년, 제1차 세계 대전 모델을 개선한 새로운 슈탈헬름에 대한 테스트가 시작되었다. "Eisenhüttenwerke Thale"사가 프로토타입 설계 및 테스트를 수행했으며, 프리드리히 슈베르트 박사가 다시 참여했다.
새로운 헬멧(M1935)은 여러 단계에 걸쳐 몰리브덴 강판으로 프레스 가공되었다. 굴곡진 바이저(visor, 햇빛 가리개)와 스커트의 크기가 줄어들었고, 구식 방탄 방패를 위한 큰 돌출부가 제거되었다. 통풍구는 유지되었지만, 헬멧 쉘에 장착된 더 작은 속이 빈 리벳으로 변경되었다. 쉘의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 매끄러운 마감을 만들었다. 또한, 안전성, 조절 가능성, 착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완전히 새로운 가죽 라이너가 통합되었다. 이러한 개선으로 M1935 헬멧은 이전 모델보다 가볍고 작아졌으며 착용감이 더 좋아졌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 슈탈헬름의 표준 형태가 되었다.[20]
제3제국의 국방군 내 육군 최고 사령부는 1935년 6월 25일에 M1935 헬멧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여 다른 모든 헬멧을 대체하도록 했다.[20] 도입 후 첫 2년 동안 100만 개 이상이 생산되었으며, 1940년 생산 방식이 변경되기 전까지 수백만 개가 더 생산되었다.
=== 검투사 민방위 헬멧 ===
1938년, 독일은 민방위 및 방공호 요원을 위해 더 넓고 밖으로 펼쳐진 챙과 통풍구를 갖춘 슈탈헬름의 변형을 개발했다.[21][22] '검투사(Gladiator)' 형으로 알려진 이 개인 구매용 방공호 헬멧은 원래 세 조각의 강철로 만들어졌으며 일반적으로 검은색 또는 짙은 파란색으로 칠해졌다.[23] 전쟁 후반에는 이 헬멧이 국민돌격대에게 지급되었으며 때로는 야전녹색으로 다시 칠해지기도 했다.[24][25] 1944년까지 헬멧은 단일 강철 시트로 제작되었고, 원래의 가죽 안감은 비용 절감을 위해 비닐 또는 천으로 대체되었다.[26]
=== M1940 ===
M1935 디자인은 1940년에 생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약간 수정되었다. 제조 공정에 더 많은 자동 스탬핑 방식이 통합되었으며, 주요 변경 사항은 통풍구 마운트를 별도의 부품 대신 쉘에 직접 스탬핑하는 것이었다. 또한 재질이 몰리브덴강에서 망간-실리콘강으로 변경되었다. 다른 면에서는 M1940 헬멧은 M1935와 동일했다. 독일군은 여전히 M1940을 M1935로 불렀지만, M1940이라는 명칭은 수집가들이 부여한 것이다.
=== 강하엽병(Fallschirmjäger) 버전 ===
돌출된 바이저와 깊게 굴곡진 테두리가 없는 쉘 형태의 M1935 헬멧 변형은 Fallschirmjäger (독일 공군 공수부대) 부대에 지급되었다. 이 헬멧은 낙하산 강하 후 착지 시 머리 부상 위험을 줄이고, 상당한 풍압 저항과 이로 인한 목 부상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다. 또한 강하 작전 시 밧줄 등에 걸릴 위험을 줄이기 위해 표준형 슈탈헬름에 비해 챙과 측면 및 후면의 밑단을 짧게 잘라낸 듯한 형태를 하고 있었다. 초기 Fallschirmjäger|팔쉼예거de 헬멧은 기존 M1935 헬멧에서 불필요한 돌출부를 제거하여 제작되었으며, 이후 새로운 디자인이 정식 생산에 들어갔을 때 이러한 돌출부는 생략되었다.[28] 개조된 쉘은 또한 독일 공수부대를 위해 훨씬 더 많은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완전히 다르고 더 견고한 라이너와 턱끈 디자인을 통합했다. 턱끈은 모체와 세 점에서 연결된 4점식 고정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여 흔들림을 방지했으며, 이는 1990년대 후반부터 MICH와 같은 현대 전투 헬멧에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 M1942 ===
M1942 디자인은 1942년 7월 6일에 도입되었으며, 히틀러의 명령에 따라 '위압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하라는 전시 요구의 결과였다. 쉘의 말린 가장자리가 제거되어, 가장자리를 약간 바깥쪽으로 젖히는 것만으로 제작되었고, 림을 따라 마감되지 않은 가장자리가 생겼다.[43] 이 가장자리는 스커트 바닥을 따라 약간 벌어져 헬멧이 제공하는 보호 기능을 감소시켰다. 말린 가장자리의 제거는 제조 과정을 가속화하고 각 헬멧에 사용되는 금속의 양을 줄였다. 쉘 페인트 색상은 일반적으로 무광 회색-녹색(Heer) 또는 회색-파란색(Luftwaffe)이었으며, 1943년에는 생산 속도를 높이고 헬멧의 전투 시 가시성을 줄이기 위해 데칼 부착이 중단되었다. 전쟁 후반에 제작된 M1942 헬멧에서는 더 큰 제조 결함도 관찰되었다.
=== M1944 ===
1942년 베를린 국방 기술 재료 과학 연구소에서 설계된 새로운 변종은 M44였다. 이는 금속 한 조각으로 찍어내었지만 측면이 경사져 있었다. 외관은 영국 1944년형 Mk III 헬멧과 유사했다.[30] B, B/II, C의 세 가지 모델로 테스트되었으며, 광범위한 테스트를 위해 B/II가 선택되었다. 이들은 탈레 아이젠휘텐베르케에서 생산되었다. M44 헬멧은 기존 슈탈헬름형보다 가공 공수가 절감되었고 방탄 성능 면에서 개선되었지만, 채용되지는 않았으며 실전에 투입된 적이 없는 프로토타입으로 남았다. 일설에는 동독의 국가인민군에서 채용한 M56 헬멧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 독일국 특허(Deutsches Reichspatent) 번호 706467도 취득했다.
=== M1945 ===
전쟁 말기에 제작된 변형 모델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M1945는 M1942 디자인과 유사했지만 통풍구를 완전히 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헬멧은 극도로 희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수집가와 역사가들은 M1945 헬멧이 공장의 기계 오작동으로 인해 통풍구가 없는 일반 M1942 헬멧이거나, 종전 후에 완성된 미완성 M1942 헬멧일 뿐이라고 생각한다.[29]
=== 데칼 ===
국방군(육군, 해군, 공군)과 무장친위대, 질서경찰 등에서는 각각 부착하는 데칼이 달랐다.
- 육군: 왼쪽에 육군 독수리 문장, 오른쪽에 국방군 공통의 Schwarz-Weiß-Rot|슈바르츠바이스로트de 국가색 데칼.
- 해군: 왼쪽에 금색 해군 독수리 문장 (디자인은 육군과 동일), 오른쪽에 Schwarz-Weiß-Rot|슈바르츠바이스로트de 국가색 데칼.
- 공군: 왼쪽에 공군 독수리 문장 (디자인이 육해군과 다름), 오른쪽에 Schwarz-Weiß-Rot|슈바르츠바이스로트de 국가색 데칼.
- 무장친위대: 왼쪽에 나치 당기(하켄크로이츠), 오른쪽에 SS의 룬 문자 데칼.
- 질서경찰: 왼쪽에 나치 당기, 오른쪽에 질서경찰 독수리 문장.
하지만 전장에서 이러한 데칼은 눈에 띄어 위장 효과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국가색과 나치 당기 데칼은 1940년 3월에, 독수리 문장과 SS 데칼은 1943년 8월에 폐지되었다.[44]
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독에서는 분데스그렌츠슈츠(Bundesgrenzschutz, 연방 국경 경비대)와 일부 경찰 부대가 기존의 ''슈탈헬름''(M35, M40, M42)을 계속 사용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참사 당시 촬영된 영상에서 경찰 부대가 이를 착용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강하엽병(Fallschirmjäger)용 변형 헬멧은 한동안 대테러 부대 GSG 9에서 사용되었다. 1951년 연방 국경 경비대 창설 시에는 기존 헬멧들을 수리하고 내부 구조 교체, 턱끈 고리 변경, 짙은 녹색(RAL 6012) 재도색 등의 개조를 거쳐 사용했다. 재고 소진 후에는 M40 모델을 기반으로 새로운 헬멧이 생산되었고, 1953년에는 슈베르트 베르케 브라운슈바이크(Schuberth Werke Braunschweig) 사가 개발한 I53형 내피가 도입되어 헬멧 상부 중앙 나사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독일 연방군(Bundeswehr)은 나치 독일 시대와의 단절을 위해 창설 초기 미국제 M1 헬멧을 도입했고, 1956년에는 이를 원형으로 한 M56 헬멧(정식 명칭: zweiteiliger ''Stahlhelm'', 2피스 강철 헬멧)을 채용했다. 이는 M1 헬멧과 달리 내피를 외피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이었다. 1958년에는 일체형 구조의 M1A1 헬멧(크기 66, 68, 71)으로, 1981년에는 3점식 턱끈과 조절 가능한 라이너를 갖춘 Helm1A1으로 개량되었다.[32] 이 헬멧들은 1992년까지 사용되다가 케블라 소재의 Gefechtshelm M92로 대체되었다. 한편, 독일 소방서(German fire services)는 오늘날에도 형광색으로 칠해진 슈탈헬름 형태의 헬멧을 사용하며, 민간 방공 단체에서도 유사한 헬멧을 사용했다.
동독의 국가인민군(National People's Army)은 M-56 헬멧을 사용했다. 이 헬멧은 1942년 나치 독일에서 설계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은 M1944 시제품을 기반으로 했다.[31] 동독 지도부는 전통적인 슈탈헬름 디자인이 바르샤바 조약 기구 동맹국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는 점, 서독 군경이 사용하는 헬멧과의 구별 필요성, 그리고 소련의 SSh-40 헬멧과 외형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이 디자인을 채택했다. M-56은 피탄 경사를 높이기 위해 측면이 더 경사진 원뿔 형태였으나, 착용 시 머리에서 약간 떠 있는 구조로 인해 격렬한 움직임 시 목 부상 우려가 있어 강한 충격 시 헬멧 본체와 내피가 분리되는 안전장치가 설계되었다. M-56 헬멧은 세 가지 기본 버전(Mod 1/I/56, Mod 2/I/57, Mod 3/I/71)으로 생산되었으며, 베트남, 쿠바, 니카라과, 앙골라 등 제3세계 국가에 널리 판매되거나 제공되었다.
미국 육군이 1980년대에 도입한 케블라 소재의 지상 병력용 개인 방어 시스템 헬멧(PASGT Helmet)은 외형이 슈탈헬름과 유사하여 "프리츠 헬멧(Fritz helmet)"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후 MICH TC-2000 전투 헬멧과 경량 헬멧(LWH) 등 후속 헬멧들도 유사한 디자인을 유지했다.
다른 여러 국가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슈탈헬름 또는 그 파생형을 다양한 용도로 사용했다.
- 칠레 육군과 볼리비아 육군은 오늘날에도 의례용으로 슈탈헬름 디자인 헬멧을 사용한다.[9][10]
- 엘살바도르의 국립 시민 경찰(Policia Nacional Civil)은 2012년부터 슈탈헬름과 매우 유사한 남색 헬멧을 일부 시위 진압 부대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15]
- 중국 인민해방군은 국공 내전 당시 국민혁명군으로부터 노획한 M1935 헬멧을 1970년대까지 사용했다.[54]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은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노획한 슈탈헬름을 1959년 M59/85 헬멧으로 교체될 때까지 사용했다.
- 오스트리아[58], 핀란드[51], 스페인[56], 아르헨티나[46] 등 일부 국가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실전 장비 또는 의장용으로 슈탈헬름형 헬멧을 사용했다.
- 아프가니스탄군은 1980년대까지 독일식 헬멧을 사용했다.[52]
- 일본 소방에서는 슈탈헬름 형태에 프랑스 아드리안 헬멧과 유사한 장식을 추가한 금색 소방 헬멧을 사용하고 있다.


8. 다른 국가에서의 사용 예
다음은 각 국가에 처음 도입된 시대순으로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상황을 개괄한다.
'''제1차 세계 대전까지'''
- 19세기 말부터 독일 육군을 모범으로 삼아 군대 근대화를 추진한 남아메리카 국가들(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에콰도르, 볼리비아, 칠레[45], 아르헨티나[46] 등)에서는 독일식 군복과 함께 처음에는 피켈하우베가, 이후에는 슈탈헬름 형태의 헬멧이 채택되었다. 남아메리카의 군복 항목도 참조하라.
-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과 동맹 관계였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47]에 슈탈헬름형 헬멧이 도입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6년 11월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약 416,000개의 독일 헬멧을 구매했으며, 1917년 5월부터는 자체적으로 면허 생산을 시작했다. 전쟁 말까지 모든 종류를 합쳐 약 백만 개의 슈탈헬름이 지급되었다.[17] 오스만 제국은 1917년 독일식 돌격대대를 창설하면서 강철 헬멧의 필요성을 느껴 독일 헬멧을 주문했다. 그러나 오스만 장교들은 이 헬멧 디자인이 병사들이 야전에서 명령을 듣는 데 방해가 된다고 판단하여, 챙과 귀, 목 보호대를 제거해 달라고 요청했다.[19] 독일은 오스만 제국에 M1918 헬멧의 챙 없는 버전 5,400개를 공급했다. 독일 측에서는 챙이 없는 이유를 터키 병사들이 헬멧을 벗지 않고 기도 중에 이마를 땅에 닿게 하기 위한 종교적인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했으나, 이 이야기는 논란이 있다. 터키는 추가 공급을 거부했고, 점령지에서 나온 일부 헬멧은 독일군에게 지급되어 전쟁 후 독일 자유군단 부대에서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들 국가의 후계 국가인 오스트리아[48], 헝가리[49], 불가리아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오스만 제국군에서는 모자가 챙 없는 페즈였던 것에 맞춰 헬멧도 독일 슈탈헬름에서 챙 부분을 잘라낸 듯한 형태가 사용되기도 했다. 이 형태의 헬멧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정치 단체인 "철모단"의 제복에 영향을 주었다.[50]
'''대전 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 중화민국: 중독합작의 영향으로 국민혁명군은 독일식 군복과 장비를 도입했는데, M1935 헬멧이 대표적이다. 1935년부터 1936년까지 M1935 헬멧이 수출되었으며, 중일 전쟁 발발로 중독합작이 종료된 후에도 영국과 미국에서 공급된 헬멧으로 대체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53] 이 헬멧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국민혁명군, 특히 중앙군의 주력 헬멧이었다. 이후 국공 내전에서는 국민혁명군과 중국 인민해방군의 전신인 홍군 모두 사용했다.[54]
- 스페인: 제1차 세계 대전 후 독일 슈탈헬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헬멧[55]을 채택했다. 1931년 공화국 수립 이후, 1936년 스페인 내전 발발 후에도 반란군과 공화군 양측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특히 독일은 반란군 측에 M1935 헬멧을 직접 공급했으며, 이는 내전 후 프랑코 정권 하에서 스페인군의 표준 장비가 되었다.[56]


- 핀란드: 군에서는 독일식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헬멧이 혼용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 대항하기 위해 추축국 측에 가담하면서 독일에서 공급된 헬멧이 표준 장비가 되었다.[51] 특히 1941년부터 1944년까지의 계속 전쟁 동안 헝가리 M38 헬멧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이 때문에 "핀란드 M35"라고 불리기도 한다.
- 헝가리: 독일의 도움으로 M1935 디자인을 모방한 M38 강철 헬멧을 제작했다. M38은 독일 M1935와 거의 동일한 모양, 리벳 통풍구, 롤 엣지를 가졌지만, 마감 처리, 라이너, 리벳 위치(통풍구 뒤 분할 핀)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뒷면에는 행진 시 배낭에 헬멧을 고정하기 위한 사각형 금속 브래킷이 리벳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일반적으로 헝가리 갈색 녹색으로 칠해졌지만 청회색 버전도 존재했다.
- 폴란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대량의 M1918 헬멧을 확보하여 일부는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 판매했다. 1930년대 말, 표준 wz. 31 헬멧이 기갑 및 기계화 부대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자, 임시방편으로 제10 기갑 기병 여단에 M1918 헬멧을 지급했으며, 이들은 9월 전역 동안 이 헬멧을 사용했다. 바르샤바 봉기 당시에는 폴란드 국내군(Armia Krajowa) 대원들도 착용했으며, 점령군인 독일군의 상징이었던 슈탈헬름을 저항의 상징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아일랜드: 1926년 11월, 베르사유 조약으로 독일의 헬멧 수출이 금지되자 런던의 비커스를 통해 M1918 헬멧과 매우 유사한 모델 5,000개를 주문하여 아일랜드 방위군에 지급했다. 이 헬멧은 1940년 영국 마크 II 모델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영국에서는 반 아일랜드 선전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퇴역한 헬멧 중 다수는 흰색으로 칠해져 비상 서비스용으로 재활용되었다.[7]
- 스위스: M1916과 유사하지만 크라운과 스커트가 더 얕고 넓으며 둥근 형태의 M1918 헬멧을 사용했다. 이는 알프스 지역의 혹독한 겨울 바람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디자인이었다.
-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 독립 후 구 종주국 러시아와의 차별화를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후까지 독일식 헬멧(M16, M18 등)을 도입했다.[38][39]

- 아프가니스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식 헬멧(M18 헝가리 모델 등, 1930년대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구매)[34]을 도입하여 1980년대까지 사용했다.[52]
- 이란: 소량의 Vulkanfiber 모델을 사용했으며, 주로 제국 근위대와 영소의 이란 침공 이전에 테헤란 주변 일부 부대에서 사용했다.
- 일본: 전쟁 중 민간 방공용으로 슈탈헬름과 유사한 형태의 철모가 판매되었다.[57]
- 기타: 볼리비아는 차코 전쟁 이후 슈탈헬름을 채택하여 최근까지 사용했다. 그리스에서는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이 제한적으로 사용했다.[35][36]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콜롬비아, 멕시코(M1916 제한적 사용, 1938년 아드리안 헬멧으로 대체)[37], 리비아, 노르웨이, 러시아 백군(독일이 서러시아 의용군에 공급), 터키[40], 베네수엘라, 크로아티아 독립국 등에서도 다양한 시기에 슈탈헬름 또는 그 변형이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 서독: 나치 시대와의 단절을 위해 독일 연방군(Bundeswehr)은 미국제 M1 헬멧과 이를 기반으로 한 M56 헬멧을 채택했다. 그러나 연방국경수비대(Bundesgrenzschutz, 현 연방경찰)와 일부 경찰 부대, 소방서, 민간 방공 단체 등에서는 슈탈헬름 형태의 헬멧을 계속 사용했다. 특히 1972년 뮌헨 올림픽 참사 당시 경찰 부대가 착용한 모습이 영상으로 남아있다. 특수부대 GSG-9에서는 한동안 강하엽병용 헬멧과 유사한 것을 사용했다. 독일 소방서는 오늘날에도 형광색의 슈탈헬름 모양 헬멧을 사용한다.
- 동독: 국가인민군(Nationale Volksarmee)은 1942년 독일에서 설계되었으나 채택되지 않았던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M-56 헬멧을 사용했다. 이 디자인은 전통적인 슈탈헬름과 다르면서도 소련 헬멧과 유사하여, 바르샤바 조약 기구 동맹국과의 관계 및 서독과의 구별 필요성을 고려한 선택으로 보인다. M-56 헬멧은 세 가지 기본 버전(Mod 1/I/56, Mod 2/I/57, Mod 3/I/71)으로 출시되었으며, 베트남, 쿠바, 니카라과, 앙골라 등 제3세계 국가에 널리 판매되거나 제공되었다.
-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노획한 슈탈헬름을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에서 1959년까지 사용했으며, 이후 M59/85 강철 헬멧으로 대체되었다.
- 칠레: 제2차 세계 대전 전에 구입한 Vulkanfiber 모델과 함께 M1935 및 체코슬로바키아 M32 헬멧을 사용했다.[8] 전쟁 후에는 가벼운 섬유 및 플라스틱 모델을 현지 생산하여 의식 및 주둔지용으로 사용했으며[9][10], 현재에도 칠레 육군은 의장용으로 슈탈헬름 디자인을 사용한다. 90년대 후반에 소량의 강철 헬멧이 FAMAE에서 제조되었으나[11], 케블라 헬멧의 등장으로 채택되지 않았다. 보병 연대의 표준 휘장에는 교차된 총검과 함께 슈탈헬름이 그려져 있다.
- 볼리비아: 볼리비아 육군은 현재에도 의장용으로 슈탈헬름을 사용한다.
- 아르헨티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압축 섬유로 만든 유사 모델을 채택했다. 수입된 스위스 M1918 헬멧은 전투 및 주 경찰용으로 1976년까지 사용되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실전 장비 또는 의장용으로 사용되었다.
- 오스트리아, 핀란드, 스페인: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실전 장비 또는 의장용으로 슈탈헬름형 헬멧을 계속 사용했다.
-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인민해방군은 국공 내전 당시 국민혁명군으로부터 노획한 M1935 헬멧을 1970년대까지 계속 사용했다.
- 엘살바도르: 2012년부터 국립 시민 경찰(Policia Nacional Civil)의 일부 시위 진압 부대와 드물게 공격팀에서 슈탈헬름과 유사한 남색 헬멧을 사용하고 있다.
- 일본: 소방에서는 슈탈헬름 형태를 원형으로 하고 프랑스군의 아드리안 헬멧과 유사한 볏 장식을 추가한 금색 소화 헬멧을 사용하고 있다.
- 기타 사용 국가: 노르웨이군은 1950년대 후반 미국 M1 헬멧이 도입될 때까지 사용했다. 튀니지는 1960년대 국가 경비대에서 사용했다. 크로아티아는 M56 헬멧을 사용했다.[41] 쿠바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공급받은 헬멧을 공병 지원병들이 착용한 것이 확인되었다.[42]
미국 육군의 1980년대-1990년대 PASGT 헬멧은 슈탈헬름과 외관이 유사하여 "프리츠 헬멧"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9. 디자인 및 특징
''슈탈헬름''의 디자인은 하노버 기술 연구소의 프리드리히 슈베르트 박사가 주도했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참호전에서 발생하는 머리 부상 연구를 바탕으로, 15세기 살렛(Sallet) 투구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머리와 목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디자인을 고안했다.[2] 이 헬멧은 특유의 챙과 목덜미를 감싸는 스커트(skirt) 형태가 특징이며, 이로 인해 '석탄통'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 재질 ===
초기 모델인 M1916은 영국군의 브로디 헬멧에 사용된 해드필드 강보다 더 단단한 마르텐사이트 실리콘/니켈 강철로 제작되었다. 이 재질 때문에 복잡한 형태의 헬멧을 한 번에 찍어내기 어려워 가열된 금형을 이용한 다단계 공정이 필요했고, 이는 생산 단가를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이후 M1935 모델은 몰리브덴 강철을 사용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M1940 모델부터는 망간·실리콘 강철로 재질이 변경되었다. 한편, 1933년에는 불칸섬유(Vulkanfiber)라는 복합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경량화된 M1933 모델이 시험적으로 도입되기도 했다.[20]
=== 형태 및 모델별 변화 ===
''슈탈헬름''은 도입 연도에 따라 모델명이 붙여졌으며(예: M1916, M1935), 각 모델별로 디자인과 기능에 변화가 있었다.
- '''M1916/M1917:''' 최초의 양산형 모델로, 기본적인 ''슈탈헬름'' 형태를 갖추었다. 측면에는 뿔 모양의 환기 러그(lug)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는 통풍 기능과 함께 추가 장갑판인 ''슈티른판처''(Stirnpanzer)를 부착하기 위한 용도였다. ''슈티른판처''는 저격수나 참호 돌격대 등 제한적인 병력만 사용했으며, 일반 보병에게는 너무 무거웠다.[16] 헬멧 무게는 크기에 따라 0.98kg에서 1.4kg 사이였다. M1917 모델은 라이너(내피)가 개선된 버전이다.
- '''M1918:''' 턱끈 부착 방식이 헬멧 쉘(shell)에서 라이너로 변경되었고, 턱끈 자체도 2부분으로 나뉘었다. 일부 모델에서는 헬멧 측면 가장자리에 절개부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착용자의 청력을 개선하고 헬멧 내부의 소리 울림을 줄이기 위한 것이었다.[16] 이 시기부터 공식적인 위장 도색 지침이 내려졌다.
- '''M1933:''' 불칸섬유 재질로 제작된 경량 헬멧. 시험적으로 소량 생산되어 보병, 포병, 통신 부대에 지급되었으나, M1935 도입 후 민간 조직(소방대, 경찰 등)으로 이관되었다.[20]
- '''M1935:''' 제1차 세계 대전 모델을 개량하여 크기와 무게를 줄였다. 챙과 스커트가 축소되었고, 뿔 모양 환기 러그 대신 작은 속이 빈 리벳 형태의 통풍구가 적용되었다. 완전히 새로운 가죽 라이너 시스템이 도입되어 착용감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었다.[20] 몰리브덴 강철로 제작되었다.
- '''M1940:''' M1935를 기반으로 생산 공정을 단순화한 모델. 가장 큰 변화는 통풍구를 별도 부품이 아닌 헬멧 쉘에 직접 스탬핑 방식으로 찍어낸 것이다. 재질은 망간·실리콘 강철로 변경되었다.
- '''M1942:''' 전시 상황에서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공정을 더욱 단순화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헬멧 가장자리를 안쪽으로 말아 넣는 공정(rolled edge)이 생략되어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마감되었다. 이로 인해 보호 기능이 다소 감소했다.[43]
=== 파생형 ===
- '''강하엽병용 헬멧(Fallschirmjägerhelm|팔쉬름예거헬름de):''' 독일 공군의 강하엽병(Fallschirmjäger)을 위해 M1935 헬멧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낙하산 강하 시 헬멧의 챙이나 스커트가 낙하산 줄 등에 걸리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 부분들이 제거되거나 크게 축소되었다. 또한, 격렬한 움직임에도 헬멧이 벗겨지지 않도록 4점식 턱끈 시스템이 적용되었다.[28]
- '''M1938 (검투사 헬멧):''' 민방위(Luftschutz) 및 방공호 요원을 위해 개발된 모델. 일반 ''슈탈헬름''보다 챙이 더 넓고 밖으로 퍼진 형태를 가졌다.[21][22] 초기에는 세 조각의 강철로 제작되었으나, 전쟁 후반에는 생산 간소화를 위해 한 조각의 강철로 만들어졌고, 안감도 가죽 대신 비닐이나 천으로 대체되었다.[23][26]
=== 주요 구성 요소 ===
- '''턱끈:''' M1916/M1917 모델은 픽켈하우베에 사용되던 M1891 턱끈을 헬멧 쉘 측면의 러그에 부착하는 방식이었다. M1918 모델부터는 턱끈을 라이너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어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M1935 모델은 새로운 라이너 시스템과 통합된 턱끈을 사용했으며, 강하엽병용 헬멧은 4점식 턱끈을 채택했다.
- '''라이너(내피):''' 헬멧 착용 시 머리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착용감과 충격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M1916 모델은 가죽 주머니 3개와 조절끈으로 구성된 단순한 형태였으며, M1917에서 한 차례 개선되었다. M1935 모델은 완전히 새로운 설계의 가죽 라이너를 도입하여 착용감과 조절 기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전쟁 말기 M1938 검투사 헬멧 등 일부 모델에서는 비용 절감을 위해 비닐이나 천 재질의 라이너가 사용되기도 했다.
- '''통풍구:''' 헬멧 내부의 열기와 습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 M1916/M1917 모델의 뿔 모양 통풍구는 겨울철에 찬 공기가 들어오는 단점이 있어 병사들이 진흙이나 천으로 막는 경우가 많았다. M1935 모델은 작은 리벳 형태로 변경되었고, M1940/M1942 모델은 쉘에 직접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더욱 단순화되었다.
=== 데칼 및 위장 ===
- '''위장:''' 초기 ''슈탈헬름''은 펠트그라우(Feldgrau, 야전회색) 단색으로 칠해졌으나, 병사들은 야전에서 진흙, 나뭇잎, 천 조각 등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위장했다. 1918년 7월, 에리히 루덴도르프 장군의 명령으로 공식적인 위장 도색 지침이 도입되었다. 이 지침은 녹색, 갈색, 황토색 등 여러 색상을 손가락 너비의 검은색 선으로 구분하여 칠하도록 규정했다.[1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다양한 위장 패턴이 사용되었으며, 눈부심을 줄이기 위해 으깬 펠트를 섞은 ''볼슈타우브''(Wollstaub) 페인트가 실험되기도 했다.
- '''데칼:''' 제3제국 시기에는 소속 군 및 조직을 식별하기 위해 헬멧 측면에 데칼(Decal)을 부착했다.
- 오른쪽: 독일 제국 시절의 국가색(흑색-백색-적색)을 나타내는 방패 모양 데칼. 1940년 3월에 폐지되었다.[44]
- 왼쪽: 소속 군 또는 조직의 문장 데칼.
- 육군(Heer): 하켄크로이츠를 움켜쥔 은색 독수리(Reichsadler).
- 해군(Kriegsmarine): 육군과 동일한 디자인의 금색 독수리.
- 공군(Luftwaffe): 비행하는 모습의 독수리.
- 무장친위대(Waffen-SS): 왼쪽에 나치 당기(하켄크로이츠), 오른쪽에 SS의 룬 문자 데칼.[44]
- 기타 질서경찰(Ordnungspolizei) 등 다른 조직들도 고유의 데칼을 사용했다.
- 이러한 데칼은 전장에서 눈에 잘 띄어 위장 효과를 떨어뜨렸기 때문에, 1943년 8월 부로 군 및 SS 문장 데칼도 폐지되었다.[44] 전쟁 말기에는 대부분의 헬멧에서 데칼이 제거되었다.
10. 대중문화 속 슈탈헬름
- 독일의 ''슈탈헬름''(Stahlhelm)과 일본의 ''가부토''(Kabuto)는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캐릭터 `다스 베이더`의 헬멧 디자인에 영감을 주었다.
- 방탄 기능이 개선되고 가스 마스크가 통합된 형태의 ''슈탈헬름''(Stahlhelm)은 `오시이 마모루`의 `케르베로스 사가` 프랜차이즈에 등장하는 독일 기원의 "프로텍트 기어" `동력 외골격`의 일부로 묘사된다.
-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에서는 캐릭터 블리츠윙이 독일 ''슈탈헬름''(Stahlhelm)과 유사한 헬멧을 착용하고 등장한다.
- `슈퍼 로봇 몽키 팀 하이퍼포스 고!`의 "Meet the Wigglenog" 에피소드에서는 위글레노그에 의해 소환된 외계인 병사들이 ''슈탈헬름''(Stahlhelm)과 유사한 헬멧을 착용하고 등장한다.
11. 비판적 관점
슈탈헬름 M1942 모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히틀러의 지시에 따라 '위압감을 유지하면서 비용을 절감'하려는 전시 요구에 맞춰 설계되었다.[29] 생산 공정을 단순화하고 금속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기존 모델의 말린 가장자리를 제거했는데, 이는 헬멧 테두리가 날카롭게 마감되고 하단 스커트가 벌어져 보호 기능이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29] 비록 생산 속도는 빨라졌지만, 안전성은 저하된 것이다.[29]
도색은 일반적으로 무광 회색-녹색(헤어) 또는 회색-파란색(루프트바페)이었으나, 1943년부터는 생산 속도를 더욱 높이고 전투 중 헬멧의 가시성을 낮추기 위해 부착되던 데칼마저 제거되었다.[29] 전쟁 후반기로 갈수록 M1942 헬멧에서는 제조상의 결함이 더 자주 발견되는 등 품질 저하 문제도 나타났다.[29]
전쟁 말기에는 M1945라는 변형 모델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 이 모델은 M1942와 유사하지만 통풍구가 완전히 제거된 형태라고 알려져 있으나, 현존하는 수가 극히 드물다.[29] 많은 수집가와 역사학자들은 M1945 헬멧이 실제 정식 모델이라기보다는 공장의 기계 오작동으로 통풍구 없이 생산된 M1942이거나, 전쟁이 끝난 후 미완성 상태의 M1942 헬멧을 조립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29]
참조
[1]
웹사이트
WWII equipment of the Bundesgrenzschutz
https://wwiiafterwwi[...]
wwiiafterwwii
2016-04-10
[2]
웹사이트
The German Stahlhelm, M1916s
http://www.worldwar1[...]
2024-07-19
[3]
서적
La Grande guerre: chronologie, plans, cartes, illustrations, annotations sur l'armée, la troupe, les batailles, le matériel, les armes, etc. en parallèle de la transcription des extraordinaires journaux de guerre d'Adrien Amalric
2008
[4]
간행물
Hardheaded Logic: The Helmet is older than the city-state and newer than the airplane
http://www.americanh[...]
2003-Summer
[5]
서적
Flak Jackets: 20th Century Military Body Armour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6]
문서
Our own devices: The past and future of body technology
Alfred A. Knopf
2003
[7]
뉴스
Artefacts: Vickers helmet
https://www.historyi[...]
2014-10-05
[8]
웹사이트
Mº 35 de fibra
http://www.cascoscol[...]
2018-04-14
[9]
웹사이트
Mº 35 de fibra
http://www.cascoscol[...]
2018-04-14
[10]
웹사이트
Mº Alemán ejército (fibra)
http://www.cascoscol[...]
2018-04-14
[11]
웹사이트
Mº 35 (FAMAE)
http://www.cascoscol[...]
2018-04-14
[12]
서적
Les Casques Militaires des Etats d'Amerique latine XIX eme au XXIeme
Maharg Press
[13]
서적
Les Casques Militaires des Etats d'Amerique latine XIX eme au XXIeme
Maharg Press
[14]
웹사이트
Historia de los cascos modelo alemán en uso en el Ejército de Chile
https://www.academia[...]
2024-02-01
[15]
웹사이트
UABC MEXICALI CAMPEONES DE LA 1RA COPA LEONES DE BANDAS DE GUERRA – MexicaliSport
http://mexicalisport[...]
2015-09-18
[16]
서적
World War I Trench Warfare: 1914–16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7]
서적
The Emperor's coat in the First World War: Uniforms and equipment of the Austro-Hungarian army from 1914 to 1918
Verlag Militaria
[18]
웹사이트
About WWI & WWII German & Austro-Hungarian Helmets
http://www.alexander[...]
2016-11-26
[19]
서적
The "German Spirit" in the Ottoman and Turkish Army, 1908–1938. A history of military knowledge transfer
https://books.google[...]
De Gruyter Oldenbourg
2018
[20]
서적
Wehrmacht Combat Helmets 1933–45
Osprey Publishing
[21]
서적
Hitler's Armed Forces Auxiliarie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Wehrmachtsgefolge, 1933–1945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8-09-28
[22]
서적
Stahlhelm: Evolution of the German Steel Helmet
https://books.google[...]
Kent State University Press
2018-09-28
[23]
웹사이트
Mannie Gentile: Combat Helmets of the 20th Century: German Luftschutz Helmet
http://combathelmets[...]
2008-10-12
[24]
웹사이트
Picture of Feldgrum Volkssturm helmet
http://www.german-he[...]
2018-09-28
[25]
웹사이트
Volkssturm helmet
http://www.german-he[...]
2018-09-28
[26]
웹사이트
Steel Helmet, M44 Luftschutz
http://www.iwm.org.u[...]
2018-09-28
[27]
웹사이트
M35 Stahlhelm vs. M40 Stahlhelm
http://www.wehrmacht[...]
Luftm40
2013-06-05
[28]
웹사이트
Weapons and Equipment of the Fallschirmjäger
https://www.feldgrau[...]
2014-04-13
[29]
웹사이트
World War II Combat Helmet Types
http://www.german-he[...]
German-Helmets.com
2014-04-13
[30]
서적
The Bundeswehr and the National People's Army: A Comparative Study of German Civil-Military Polity
University of Denver
[31]
서적
Die Geschichte des Deutschen Stahlhelmes: von 1915 bis 1945; seine Geschichte in Wort u. Bild
L. Baer (Selbstverlag)
[32]
웹사이트
'"Euroclones": An essential guide to postwar steel helmets'
http://www.theocadco[...]
2015-01
[33]
웹사이트
Collector Topics: Helmet Decals
http://www.german-he[...]
2014-04-13
[34]
서적
Russia's War in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3-02-20
[35]
웹사이트
Greek Troops
https://www.gettyima[...]
2004-04-09
[36]
웹사이트
Elas Troops with Guns and Rifles
https://www.gettyima[...]
2016-03-10
[37]
뉴스
Mexico
http://mahargpress.c[...]
2018-11-12
[38]
학위논문
Latvijas armijas artilērija 1919.-1940.g.: Vieta bruņotajos spēkos, struktūra un uzdevumi
https://dspace.lu.lv[...]
University of Latvia
2016
[39]
서적
Boys of the Dvina - Latvia's Army 1918-1940
https://books.google[...]
Lulu.com
2012-06-23
[40]
웹사이트
German Gaede Skull Cap Portuguese Helm Italian Farina Helmet ''Stahlhelm'' Mod 1916 Turkish ''Stahlhelm'' ''Pickelhaube'' British Brodie Helm French Toque Berndorfer Helm Adrian Helmet Sohlberg Helm M17 Belgian Adrian {{!}} Love Meme on ME.ME
https://me.me/i/germ[...]
2020-02-08
[41]
웹사이트
Croatia M56/76
http://brendonshelme[...]
[42]
파일
Cuban auxiliaries sappers c.1962.jpg
[43]
문서
WWII ドイツ軍兵器集 〈火器/軍装編〉、p.23
[44]
문서
WWII ドイツ軍兵器集 〈火器/軍装編〉、p.23
[45]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46]
웹사이트
http://www.german-he[...]
[47]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48]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49]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50]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51]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52]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53]
웹사이트
http://www.german-he[...]
[54]
웹사이트
深度:解放军为何长期佩戴日本钢盔 事实真相让人唏嘘
http://mil.news.sina[...]
2016-05-27
[55]
문서
ドイツのものに比べると、頭頂部がより丸みを帯び、これとひさしおよび側・後部との間の屈曲が緩やかである。
[56]
웹사이트
http://www.cascoscol[...]
[57]
웹사이트
http://tokyowanyosai[...]
[58]
웹사이트
http://www.bmlv.gv.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