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역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룡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는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2004년 9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초기 계획에는 없었으나 강남구의 요청으로 건설되었다. 인근에 구룡산과 양재천이 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급행열차도 정차하며, 주변에는 학교와 구룡마을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대청역
대청역은 서울 지하철 3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1993년 개통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춘 지하역이다. - 서울 강남구의 전철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 2004년 개업한 철도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 2004년 개업한 철도역 - 대불역
대불역은 한국철도공사 불국사선에 위치한 간이역으로, 화물 취급 중지 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일로역과 연결된 대불선의 종착역이다.
구룡역 (서울) | |
---|---|
지도 | |
역 정보 | |
역 이름 | 구룡역 |
로마자 표기 | Guryong-yeok |
한자 표기 | 九龍驛 |
한국어 표기 | 구룡역 |
역 번호 | K218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로 지하 403 ( 개포동 175-3)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2004년 9월 24일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관리역 | 수서관리역 |
전보 약호 | 1026 |
노선 거리 | 청량리역 기점 11.4km |
이전 역 | 도곡역 (K217) |
이전 역 간 거리 | 0.6 km |
다음 역 | 개포동역 (K219) |
다음 역 간 거리 | 0.7 km |
2020년 일평균 승차 인원 | 1,258명 |
2020년 일평균 승하차 인원 | 2,494명 |
이미지 | |
![]() | |
![]() |
2. 역사
구룡역은 초기 계획에는 없었으나, 강남구의 요청으로 추가 건설되어 2003년 9월 3일 수인·분당선 수서-선릉 구간 개통 1년 후인 2004년 9월 24일에 개업했다.
날짜 | 내용 |
---|---|
2004년 9월 24일 | 한국철도공사(당시 한국철도) 역으로 개업. |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가 한국철도공사로 개칭. |
2013년 11월 30일 | 분당선 급행 정차역이 됨. |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 연장에 따라 노선명이 수인·분당선으로 변경. |
2. 1. 건설 과정
1983년 10월 4일 서울특별시는 양재역까지 개통될 서울 지하철 3호선을 개포동을 동서로 가로질러 수서동까지 연장하기로 계획하였고,[3][4] 같은 해 11월에 이를 고시하였다.[5] 1989년 3호선 연장 구간 착공 당시, 대치동 주민들은 노태우 당시 대통령이 민주정의당 후보로 출마했던 1987년 선거에서 발표한 3호선의 대치동 경유 공약을 지키라고 요구하면서 노선 변경을 요구하였다.[5]1989년 5월 20일 3호선을 현재 노선대로 대치동을 경유한 뒤 수서동까지 탄천변을 따라 직선으로 잇기로 확정하고, 분당선이 개포동을 지나도록 하였다.[6] 개포동 주민들은 집단으로 반발하였으나,[7][8] 8월 26일 변경된 계획에서는 3호선이 일원동을 추가 경유하도록만 바뀌었다.[9] 다만, 분당선 선릉-수서 간 역의 개수와 위치는 확정하지 않았으며, 분당선과 3호선은 도곡동, 대치동과 일원동 사이, 수서동에서 세 번 만나게 되었다.
1995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는 도곡-수서 사이에 구룡역(개포고역)과 대모산입구역(개포역)을 신설하기로 밝혔다.[10] 1996년 11월 28일 강남구청은 '개포1역'(구룡역), '개포2역'(개포동역), '개포3역'(대모산입구역, 1995년의 개포역이 옮김)을 신설하기로 발표하였고,[11] 1997년 3월 철도청이 이 계획을 받아들여 '개포고역' 대신 '개포1역'과 '개포2역'을 신설하기로 정하였다.[12]
이후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막대한 적자 예상 및 재원 확보 문제를 이유로 '개포1역' 신설을 반려하였으나, 개포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역 신설이 다시 확정되었다.[13] 2003년 9월 3일 수서-선릉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공사비를 둘러싼 철도청과 서울특별시 간의 갈등, 계속되는 공사 지연으로[14] 구룡역만 1년 뒤인 2004년 9월 24일 개통되었다. 그러나 지역 주민의 핌피(PIMFY) 때문에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구룡역은 이용객이 적어, 개포동 구간의 표정 속도를 수서역과 보정역 사이의 구간(39.5km/h)에 비하여 약 6km/h 낮은 33.0km/h로 만들어 광역 철도로서의 경쟁력을 훼손하고 있다.[15] 또한 공사비만 6300억원이 투입된 사실이 확인되어 예산 낭비, 행정 편의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6][17][18]
2. 2. 연혁
- 1995년 12월 28일: 서울특별시는 도곡-수서 사이에 구룡역(개포고역)과 대모산입구역(개포역)을 신설하기로 밝혔다.[10]
- 1996년 11월 28일: 강남구청은 '개포1역'(구룡역), '개포2역'(개포동역), '개포3역'(대모산입구역, 1995년의 개포역이 옮김)을 신설하기로 발표하였다.[11]
- 1997년 3월: 대한민국 철도청이 이 계획을 받아들여 '개포고역' 대신 '개포1역'과 '개포2역'을 신설하기로 정하였다.[12]
- 2003년 9월 3일: 수서-선릉 구간이 개통하였으나, 구룡역은 1년 뒤 개통되었다.[14]
- 2004년 9월 24일: 한국철도공사의 역으로 개업.[14]
- 2005년 1월 1일: 한국철도가 한국철도공사로 개칭.
- 2012년 9월 18일: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으로 왕십리 기점 9.0km로 변경[19]
- 2013년 초: 승강장 역명판 교체
-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의 급행 운행 개시와 함께 급행 정차역이 됨.
- 2017년: 스크린도어 설치
- 2020년 9월 12일: 수인선 수원 연장에 따라 노선명이 분당선에서 수인·분당선으로 변경.
2. 3. 비판 및 논란
1989년 5월 20일 서울특별시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을 대치동을 경유하여 탄천변을 따라 수서동까지 직선으로 잇고, 분당선이 개포동을 지나도록 노선을 변경하였다.[6] 이에 개포동 주민들은 집단으로 반발하였으나,[7][8] 8월 26일 변경된 계획에서는 3호선이 일원동을 추가로 경유하도록만 바뀌었다.[9]이후 철도청은 막대한 적자 예상 및 재원 확보 문제를 이유로 '개포1역'(구룡역) 신설을 반려하였으나, 개포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역 신설이 다시 확정되었다.[13] 2003년 9월 3일 수서-선릉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구룡역은 공사비와 관련된 철도청과 서울특별시 간의 갈등, 계속되는 공사 지연으로 1년 뒤인 2004년 9월 24일에야 개통되었다.[14]
그러나 지역 주민의 핌피(PIMFY) 때문에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구룡역은 이용객이 적어, 개포동 구간의 표정 속도를 수서역과 보정역 사이의 구간(39.5km/h)에 비하여 약 6km 낮은 33km로 만들어 광역 철도로서의 경쟁력을 훼손하고 있다.[15] 또한 공사비만 6300억원이 투입된 사실이 확인되어 예산 낭비, 행정 편의주의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16][17][18]
3.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5개가 있고,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으로, 승강장이 지하 6층에 위치하고 있다. 출구는 5개가 있는데, 지반의 표고 차이로 인하여 서울 지하철 3호선 금호역과 비슷하게 2번 출구는 지상 야외와 계단 없이 바로 통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전동차가 정차했을 때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에 넓게 벌어지는 곳이 있으므로, 역에 정차하기 전 차내 안내 방송으로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4. 이용객 변동
분당선한국어 구룡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2004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4년 9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99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20]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분당선 | 승차 | 421 | 1,929 | 2,012 | 1,954 | 1,954 | 1,960 | 1,863 | 1,764 | 1,776 | 2,119 | [20] |
하차 | 406 | 1,744 | 1,759 | 1,720 | 1,873 | 1,968 | 1,825 | 1,750 | 1,762 | 2,107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분당선 | 승차 | 2,103 | 2,151 | 2,098 | 2,168 | 1,960 | 1,748 | 1,258 | 1,588 | 1,979 | [20] | |
하차 | 2,126 | 2,141 | 2,027 | 2,080 | 1,887 | 1,694 | 1,236 | 1,544 | 1,888 |
5. 역 주변
6. 인접한 역
: 급행·완행
:: 도곡역 (K217) - '''구룡역 (K218)''' - 개포동역 (K219)
7. 버스 노선
지선버스 | 4430번 |
---|
수정된 부분은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비교했을 때 내용이 정확하게 일치하고, 위키텍스트 문법도 올바르게 사용되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undang Subway Line's Guryong Station to Open on October 24, Gangnam-gu Office, October 13, 2004
http://english.gangn[...]
2004-10-13
[2]
웹사이트
統計資料 – 韓国鉄道公司
https://info.korail.[...]
[3]
뉴스
지하철 3호선 연장계획 변경안을 공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3-10-04
[4]
뉴스
새市街(시가)모습갖춰가는 開浦(개포)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12-26
[5]
뉴스
양재~수서 지하철노선 다툼 치열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9-05-17
[6]
뉴스
서울지하철 4개노선 신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9-05-20
[7]
뉴스
개포동 주민 지하철 통과 요구 시위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5-22
[8]
뉴스
지하철 3호선 연장안 변경에 따라 개포동 주민 농성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1989-06-27
[9]
뉴스
지하철III 연장 노선 변경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9-08-26
[10]
뉴스
개포 1·2단지 전철역 신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5-12-29
[11]
뉴스
도곡~수서에 역2곳 신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6-11-29
[12]
뉴스
지하철 분당선 2개역 신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03-07
[13]
뉴스
[집중취재] 강남구도 빈부 격차 천차만별/일원동 차별 대우
https://imnews.imbc.[...]
MBC 뉴스데스크
2003-03-04
[14]
뉴스
630억 원 들인 지하철역 폐기 위기
https://news.kbs.co.[...]
KBS 뉴스 9
2003-04-09
[15]
뉴스
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
https://news.naver.c[...]
국정브리핑
2007-01-26
[16]
뉴스
[현장추적] 600억짜리 '유령역'
https://news.kbs.co.[...]
KBS 뉴스 9
2004-09-15
[17]
뉴스
[심층취재] 강남구, 전철역은 많고 승객은 없고
https://news.kbs.co.[...]
KBS 뉴스 9
2005-01-17
[18]
뉴스
[심층취재] 지자체가 만든 ‘승객 없는 역’
https://news.kbs.co.[...]
KBS 뉴스 9
2011-11-14
[1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http://gwanbo.mois.g[...]
2012-09-18
[20]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