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의형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의형제는 문화적, 역사적으로 나타나는 특수한 관계를 의미하며, 주로 동맹, 우정, 형제애를 맺는 의식이나 행위를 통해 형성된다. 이 관계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견되며, 혈액을 매개로 한 의식, 맹세, 서약 등을 통해 맺어지는 경우가 많다. 역사적으로는 부족 간의 동맹, 정치적 목적, 개인 간의 굳건한 유대 관계를 위해 활용되었으며, 문학 작품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예 - 자기조절
    자기조절은 개인이 행동, 감정, 사고를 스스로 통제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으로, 절제, 자제력, 의지력과 관련되며 학업 성취, 사회 적응, 신체 건강 등 삶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 명예 - 푸자
    푸자는 힌두교에서 신에게 경의를 표하고 숭배하는 중요한 의례로, 가정이나 사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며, 일상생활, 축제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종류로 진행된다.
  • 의식 - 의식 (문화)
    의식은 공동체의 전통에 따라 규정된 존경의 대상을 향한 일련의 활동으로, 종교적 예배부터 일상적 행동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 통제, 연대 강화, 심리적 안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연구된다.
  • 의식 - 지진제
    지진제는 건축 시 땅의 신을 달래고 안전과 번영을 기원하는 한국과 일본의 의례로, 현대에는 전통 계승의 의미와 함께 사회적 논란도 존재한다.
  • 형제 - 라이트 형제
    라이트 형제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의 발명가이자 항공 개척자로서, 최초로 동력 비행기를 제작하고 비행에 성공하여 항공 시대를 열었다.
  • 형제 - 그림 형제
    독일 하나우 출신의 야코프 그림과 빌헬름 그림 형제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며 언어학과 문헌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낭만주의 사조 아래 민담을 수집하여 그림 동화로 널리 알려진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를 출간하고 독일 전설을 비롯한 다양한 민속학 저서를 남겼으며 그림의 법칙을 정립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에 착수하는 등 언어학 분야에도 큰 업적을 남겼다.
의형제
혈연 관계
정의혈연 관계가 없는 남성 간의 맹세로 맺어진 형제 관계
역사적 배경
기원고대 문화, 특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서 널리 행해진 관습
의례피를 섞거나 상처를 내어 혈액을 나누는 의식 포함
목적강력한 유대 형성
상호 보호 및 지원 약속
부족 간의 동맹 강화
문화적 의미
상징성깊은 우정
헌신
희생
문학 및 예술다양한 이야기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모티브로 등장
현대적 변형여전히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우정 및 동료애의 상징으로 사용
유사 개념
맹형 (盟兄)중국에서 의형제를 맺을 때 형으로 모시는 사람
결의형제 (結義兄弟)한국에서 의형제를 맺는 행위 또는 그 관계
의자매 (義姉妹)여성 간의 유사한 관계
기타
관련 용어혈맹 (血盟)
혈서 (血書)
형제애 (兄弟愛)

2. 역사

아시아 문화에서 의형제가 되는 행위와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의 동맹을 맺는 부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특히 몽골족, 튀르크족, 그리고 초기 중국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행해졌다.[5][6][7][8]


  • 예수게이토그릴: 예수게이는 칭기즈 칸의 아버지였다. 토그릴은 중국명 옹 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테무진자무카: 어릴적 친구이자 의형제였으나 자무카는 나중에 테무진을 배반하여 테무진의 명에 의해 처형당했다.


노르드인들은 의형제 관계를 맺을 때(포스트브레드랄라그/Fóstbræðralagis) 그들의 피를 흘리면서 창이나 창들로 받쳐진 띠 모양의 흙 아래로 몸을 숙이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러한 예는 ''기슬라 사가''에 묘사되어 있다.[1][2] ''포스트브레드라 사가''에서는 토르게이르 하바르손(Þorgeir Hávarsson)과 토르모드 베르사손(Þormóð Bersason)의 결연 또한 이러한 의식, 즉 ''레이크르(leikr)''라고 불리는 의식으로 맺어졌다.[3]

''외르바르-오드르의 사가''에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혈맹 형제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외르바르-오드르는 유명한 스웨덴 전사 히알마르와 무승부를 기록한 후, 흙을 세우는 의식을 통해 그와 의형제를 맺었다. 그 후 맹세와 주문을 하는 동안 흙 조각을 제자리에 놓았다.

북유럽 신화에서 군나르호그니구드룬과 결혼한 지그르드와 혈맹 형제가 되었다.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의 마지막 부분인 ''신들의 황혼''에서는 군나르와 바그너가 묘사한 지그르드, 즉 지크프리트 사이에서도 동일한 일이 발생하며, 이는 "혈맹 라이트모티프"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로키의 말다툼에는 오딘로키가 혈맹 형제라는 내용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스키타이인 사이에서 맹세자들은 자신의 피를 잔에 떨어뜨리게 하였고, 그 피는 이후 포도주와 섞여 두 참여자 모두가 마셨다. 어떤 남자든 동시에 세 개의 혈맹을 맺는 것으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그의 충성심이 의심받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결과적으로 혈맹은 매우 선호되었고, 종종 오랜 기간의 친분 관계와 우정을 거친 후에 이루어졌다. (루키아노스, 『톡사리스』) 기원전 4세기의 두 명의 스키타이 전사가 하나의 뿔잔에서 술을 마시는 모습 (특히 쿨오바에서 발견된 금제 부착물에서)은 스키타이 혈맹의 맹세와 관련이 있다.[4]

헝가리의 하이두크들은 비슷한 의식을 치렀지만, 피가 더 잘 보이도록 포도주 대신 우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남동유럽에서는 더 큰 집단 간의 의형제가 흔했는데, 예를 들어 군대의 전체 부대가 이 의식을 통해 한 가족이 되기도 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 시대 동안 발칸 반도에서 가장 널리 퍼졌는데, 억압받는 사람들이 적과 더 효과적으로 싸우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의형제는 오늘날의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북마케도니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기독교 또한 아델포포이에시스/adelphopoiesisgrc(그리스어), 포브라팀스트보/pobratimstvosla(슬라브어)로 알려진 의식에서 서약된 형제애를 인정했는데, 이는 동방 정교회에서, 오르도 아드 프라트레스 파키엔둠/ordo ad fratres faciendumla는 가톨릭교에서 행해졌다. 팔을 얽고 포도주를 마시는 전통 역시 의형제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유비, 관우, 장비.

중국 고전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 관우, 장비 세 명의 주요 인물이 도원결의를 맺었다. 이들은 검은 소와 흰 말을 희생하고 맹세를 하였다.[5] 동물 희생을 수반하는 다른 혈맹은 1440년대 덩마오치가 이끈 반란, 삼합회와 같은 범죄 조직, 또는 린다오첸의 해적, 그리고 몽골족과 만주족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인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6]

필리핀에서 피의 맹약(''산두고'' 또는 ''산두구안'', 문자 그대로 "하나의 피")은 우정이나 조약을 맺거나 합의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고대 의식이었다.[9][10] 이들은 섬에 온 초기 스페인포르투갈 탐험가들의 기록에 묘사되어 있다. 비사야 제도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의식 버전은 양쪽 당사자 모두의 피 한 방울을 포도주 한 잔에 섞어 마시는 것이다. 팔라완에서는 가슴에 상처를 내고 혀와 이마에 피를 바르는 의식과 같은 다른 버전도 존재한다.[9][10]

''피의 맹약'', 스페인 탐험가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필리핀 보홀다투 시카투나 사이의 산두고 피의 맹약 의식을 낭만적으로 묘사한 그림; 후안 루나 (1886)


피의 맹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영국의 식민지 행정관 루가드 경(Lord Lugard)은 아프리카에서의 정치 정책의 일환으로 수많은 아프리카 부족장들과 의형제를 맺은 것으로 유명하다. 강력한 의형제로는 키쿠유족(Kikuyu people)의 추장 와이아키 와 힝가(Waiyaki Wa Hinga)가 있었다.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은 '카센디'(Kasendi)라는 유사한 관습에 대해 기록했다.[11]

2. 1. 동아시아

아시아 문화에서 의형제가 되는 행위와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의 동맹을 맺는 부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특히 몽골족, 튀르크족, 그리고 초기 중국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중국 고전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는 세 명의 주요 인물이 검은 소와 흰 말을 희생하고 맹세함으로써 도원결의를 맺었다.[5] 동물 희생을 수반하는 다른 혈맹은 1440년대 덩마오치가 이끈 반란, 삼합회와 같은 범죄 조직, 또는 린다오첸의 해적, 그리고 몽골족과 만주족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인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6] 칭기즈 칸에게는 자무카라는 '안다'가 있었다.[7] 이 용어는 고대 튀르크어에도 존재하며, 'ant ičmek'(“맹세하다”)은 "고대 독극물 검사"에서 파생되었다. 튀르크어가 중세 몽골어에서 차용어가 아니라면 몽골어 'anda'와 관련이 있다.[8]

2. 1. 1. 한국



아시아 문화에서 의형제가 되는 행위와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의 동맹을 맺는 부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특히 몽골족, 튀르크족, 그리고 초기 중국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중국 고전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는 세 명의 주요 인물이 검은 소와 흰 말을 희생하고 맹세함으로써 도원결의를 맺었다.[5] 동물 희생을 수반하는 다른 혈맹은 1440년대 덩마오치가 이끈 반란, 삼합회와 같은 범죄 조직, 또는 린다오첸의 해적, 그리고 몽골족과 만주족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인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6] 칭기즈 칸에게는 자무카라는 '안다'가 있었다.[7] 이 용어는 고대 튀르크어에도 존재하며, 'ant ičmek'(“맹세하다”)은 "고대 독극물 검사"에서 파생되었다. 튀르크어가 중세 몽골어에서 차용어가 아니라면 몽골어 'anda'와 관련이 있다.[8]

2. 1. 2. 중국

아시아 문화에서 의형제가 되는 행위와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의 동맹을 맺는 부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특히 몽골족, 튀르크족, 그리고 초기 중국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중국 고전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 관우, 장비 세 명의 주요 인물이 도원결의를 맺었다. 이들은 검은 소와 흰 말을 희생하고 맹세를 하였다.[5] 동물 희생을 수반하는 다른 혈맹은 1440년대 덩마오치가 이끈 반란, 삼합회와 같은 범죄 조직, 또는 린다오첸의 해적, 그리고 몽골족과 만주족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인들에게서 특징적으로 나타났다.[6] 칭기즈 칸에게는 자무카라는 '안다'가 있었다.[7] 이 용어는 고대 튀르크어에도 존재하며, 'ant ičmek'(“맹세하다”)은 "고대 독극물 검사"에서 파생되었다. 튀르크어가 중세 몽골어에서 차용어가 아니라면 몽골어 'anda'와 관련이 있다.[8]

2. 1. 3. 몽골


  • 예수게이토그릴. 예수게이는 칭기즈 칸의 아버지였다. 토그릴은 중국명 옹 칸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테무진자무카는 어릴적 친구이자 의형제였으나 자무카는 나중에 테무진을 배반하여 테무진의 명에 의해 처형당했다.

아시아 문화에서 의형제가 되는 행위와 의식은 일반적으로 부족 간의 동맹을 맺는 부족 관계로 여겨진다. 이는 특히 몽골족, 튀르크족, 그리고 초기 중국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행해졌다.

칭기즈 칸에게는 자무카라는 '안다'가 있었다.[7] 이 용어는 고대 튀르크어에도 존재하며, 'ant ičmek'(“맹세하다”)은 "고대 독극물 검사"에서 파생되었다. 튀르크어가 중세 몽골어에서 차용어가 아니라면 몽골어 'anda'와 관련이 있다.[8]

2. 2. 유럽

노르드인들은 의형제 관계를 맺을 때(포스트브레드랄라그/Fóstbræðralagis) 그들의 피를 흘리면서 창이나 창들로 받쳐진 띠 모양의 흙 아래로 몸을 숙이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러한 예는 ''기슬라 사가''에 묘사되어 있다.[1][2] ''포스트브레드라 사가''에서는 토르게이르 하바르손(Þorgeir Hávarsson)과 토르모드 베르사손(Þormóð Bersason)의 결연 또한 이러한 의식, 즉 ''레이크르(leikr)''라고 불리는 의식으로 맺어졌다.[3]

''외르바르-오드르의 사가''에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혈맹 형제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외르바르-오드르는 유명한 스웨덴 전사 히알마르와 무승부를 기록한 후, 흙을 세우는 의식을 통해 그와 의형제를 맺었다. 그 후 맹세와 주문을 하는 동안 흙 조각을 제자리에 놓았다.

북유럽 신화에서 군나르호그니구드룬과 결혼한 지그르드와 혈맹 형제가 되었다.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의 마지막 부분인 ''신들의 황혼''에서는 군나르와 바그너가 묘사한 지그르드, 즉 지크프리트 사이에서도 동일한 일이 발생하며, 이는 "혈맹 라이트모티프"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로키의 말다툼에는 오딘로키가 혈맹 형제라는 내용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스키타이인 사이에서 맹세자들은 자신의 피를 잔에 떨어뜨리게 하였고, 그 피는 이후 포도주와 섞여 두 참여자 모두가 마셨다. 어떤 남자든 동시에 세 개의 혈맹을 맺는 것으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그의 충성심이 의심받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결과적으로 혈맹은 매우 선호되었고, 종종 오랜 기간의 친분 관계와 우정을 거친 후에 이루어졌다. (루키아노스, 『톡사리스』) 기원전 4세기의 두 명의 스키타이 전사가 하나의 뿔잔에서 술을 마시는 모습 (특히 쿨오바에서 발견된 금제 부착물에서)은 스키타이 혈맹의 맹세와 관련이 있다.[4]

헝가리의 하이두크들은 비슷한 의식을 치렀지만, 피가 더 잘 보이도록 포도주 대신 우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고대 남동유럽에서는 더 큰 집단 간의 의형제가 흔했는데, 예를 들어 군대의 전체 부대가 이 의식을 통해 한 가족이 되기도 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 시대 동안 발칸 반도에서 가장 널리 퍼졌는데, 억압받는 사람들이 적과 더 효과적으로 싸우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의형제는 오늘날의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북마케도니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기독교 또한 아델포포이에시스/adelphopoiesisgrc(그리스어), 포브라팀스트보/pobratimstvosla(슬라브어)로 알려진 의식에서 서약된 형제애를 인정했는데, 이는 동방 정교회에서, 오르도 아드 프라트레스 파키엔둠/ordo ad fratres faciendumla는 가톨릭교에서 행해졌다. 팔을 얽고 포도주를 마시는 전통 역시 의형제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2. 2. 1. 게르만

노르드인들은 의형제 관계를 맺을 때(포스트브레드랄라그/Fóstbræðralagis) 그들의 피를 흘리면서 창이나 창들로 받쳐진 띠 모양의 흙 아래로 몸을 숙이는 의식을 거행했다. 이러한 예는 ''기슬라 사가''에 묘사되어 있다.[1][2] ''포스트브레드라 사가''에서는 토르게이르 하바르손(Þorgeir Hávarsson)과 토르모드 베르사손(Þormóð Bersason)의 결연 또한 이러한 의식, 즉 ''레이크르(leikr)''라고 불리는 의식으로 맺어졌다.[3]

''외르바르-오드르의 사가''에는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혈맹 형제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 외르바르-오드르는 유명한 스웨덴 전사 히알마르와 무승부를 기록한 후, 흙을 세우는 의식을 통해 그와 의형제를 맺었다. 그 후 맹세와 주문을 하는 동안 흙 조각을 제자리에 놓았다.

북유럽 신화에서 군나르호그니구드룬과 결혼한 지그르드와 혈맹 형제가 되었다.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의 마지막 부분인 ''신들의 황혼''에서는 군나르와 바그너가 묘사한 지그르드, 즉 지크프리트 사이에서도 동일한 일이 발생하며, 이는 "혈맹 라이트모티프"로 특징지어진다. 또한 로키의 말다툼에는 오딘로키가 혈맹 형제라는 내용이 간략하게 언급되어 있다.

2. 2. 2. 스키타이

스키타이인 사이에서 맹세자들은 자신의 피를 잔에 떨어뜨리게 하였고, 그 피는 이후 포도주와 섞여 두 참여자 모두가 마셨다. 어떤 남자든 동시에 세 개의 혈맹을 맺는 것으로 제한되었는데, 이는 그의 충성심이 의심받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결과적으로 혈맹은 매우 선호되었고, 종종 오랜 기간의 친분 관계와 우정을 거친 후에 이루어졌다. (루키아노스, 『톡사리스』) 기원전 4세기의 두 명의 스키타이 전사가 하나의 뿔잔에서 술을 마시는 모습 (특히 쿨오바에서 발견된 금제 부착물에서)은 스키타이 혈맹의 맹세와 관련이 있다.[4]

2. 2. 3. 동남유럽

고대 남동유럽에서는 더 큰 집단 간의 의형제가 흔했는데, 예를 들어 군대의 전체 부대가 이 의식을 통해 한 가족이 되기도 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 시대 동안 발칸 반도에서 가장 널리 퍼졌는데, 억압받는 사람들이 적과 더 효과적으로 싸우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의형제는 오늘날의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그리스, 몬테네그로, 세르비아북마케도니아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 기독교 또한 아델포포이에시스/adelphopoiesisgrc(그리스어), 포브라팀스트보/pobratimstvosla(슬라브어)로 알려진 의식에서 서약된 형제애를 인정했는데, 이는 동방 정교회에서, 오르도 아드 프라트레스 파키엔둠/ordo ad fratres faciendumla는 가톨릭교에서 행해졌다. 팔을 얽고 포도주를 마시는 전통 역시 의형제가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2. 3. 기타 문화권

필리핀에서 피의 맹약(''산두고'' 또는 ''산두구안'', 문자 그대로 "하나의 피")은 우정이나 조약을 맺거나 합의를 유효하게 하기 위한 고대 의식이었다.[9][10] 이들은 섬에 온 초기 스페인포르투갈 탐험가들의 기록에 묘사되어 있다. 비사야 제도 사람들 사이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의식 버전은 양쪽 당사자 모두의 피 한 방울을 포도주 한 잔에 섞어 마시는 것이다. 팔라완에서는 가슴에 상처를 내고 혀와 이마에 피를 바르는 의식과 같은 다른 버전도 존재한다.[9][10]

피의 맹세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영국의 식민지 행정관 루가드 경(Lord Lugard)은 아프리카에서의 정치 정책의 일환으로 수많은 아프리카 부족장들과 의형제를 맺은 것으로 유명하다. 강력한 의형제로는 키쿠유족(Kikuyu people)의 추장 와이아키 와 힝가(Waiyaki Wa Hinga)가 있었다.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은 '카센디'(Kasendi)라는 유사한 관습에 대해 기록했다.[11]

3. 의식

영어권에서는 Blood brother라고 부르며, blood oath라고 불리는 선서 의식을 거행한다. 이 의식에서는 자신의 손가락, 손, 팔 중 하나에 상처를 내고 서로의 상처를 겹쳐 피를 교환한다. Blood-borne disease영어의 위험이 있다.

스키타이에서는 와인과 두 사람의 피를 섞어 마심으로써 의형제가 되었다. 와인을 동물의 젖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창을 교차시켜 만든 아치 아래에서 피를 흘리는 의식을 통해 의형제가 되었다. 기슬라 사가/Gísla saga영어와 의형제의 사가/Fóstbrœðra saga영어 등에 이러한 의식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삼국지연의도원결의가 유명하지만, 역사적 사실에서는 이들이 의형제가 아니었다.

필리핀에서는 피의 맹약이라는 의식을 거행한다.

발칸 제국·터키에서는 병사들을 결속시키기 위해 의식을 통해 병사들을 하나의 가족으로 만드는 풍습이 있었다. 팔을 얽고 와인을 마시는 의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현대 사회에서의 의의

5. 비판적 관점

6. 저명한 의형제

예수게이토그릴(중국명 옹 칸)은 의형제였다.[12] 12세기에는 몽골 지도자 예수게이(칭기즈 칸의 아버지)와 토그릴이 의형제 관계를 맺었다.[12] 테무진자무카는 어린 시절 친구이자 의형제였으나, 훗날 자무카가 테무진을 배신하여 테무진의 명령으로 처형당했다.[12]

9세기에는 헝가리 부족의 일곱 족장들이 서로의 피를 마시는 피의 맹세를 통해 동맹을 맺고 알모스를 지도자로 추대했다.[12] 1066년 노르만 정복에 참전한 두 명의 노르만 기사 로버트 두일리와 로저 디브리는 의형제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원정에서 얻는 이익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진다. 두 기사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살아남아 옥스퍼드셔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토지를 받았고, 월링포드 성 건설 등 다양한 사업을 함께 진행했다.[12]

18세기에는 영국 왕 조지 3세의 사절단과 자메이카 마룬의 지도자들이 평화 조약을 체결하며 서로의 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13] 세르비아 혁명(1804–17) 시기에는 반군 지도자 카라조르제와 사령관 밀루틴 사비치,[14] 카라조르제와 그리스 의용군 조르자키스 올림피오스,[15] 사령관 하주크-벨코와 조르자키스 올림피오스,[16] 사령관 스토얀 추피치와 바칼-밀로사브,[17] 사령관 친차르-얀코, 밀로시 포체라크, 안타 보기체비치[18] 등이 의형제를 맺었다. 후기 세르비아 공국에서는 공작 밀란 1세와 밀란 피로차나크,[19] 아침 추미치와 코스타 프로티치,[20] 두라 약시치와 스테반 블라디슬라프 카찬스키[21] 등이 의형제 관계였다.

그리스 독립 전쟁(1821–30)에서는 그리스의 니콜라오스 크리에조티스와 몬테네그로의 바소 브라제비치가 의형제로 불렸다. 사모아 출신의 프로레슬링 선수 "하이 치프" 피터 마이비아는 동료 레슬러 아파와 시카 아노아이의 아버지인 아미투아나이 아노아이와 의형제였으며, 더 와일드 사모안스로 알려진 아파와 시카는 피터를 삼촌으로 여겼다. 이로 인해 ''아노아이'' 가문은 ''마이비아'' 가문을 자신들의 일족으로 간주한다.

손책주유, 항우유방, 안록산과 안사순, 신몬 신고로와 코가네이 코지로, 곤도 이사미와 사토 히코고로, 코지마 시카노스케, 호조 우지야스이마가와 요시모토, 다케다 신겐,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영국의 나이지리아 총독 프레데릭 루가드와 아프리카 추장들, 아미추어 나이 아노아이와 피터 메이비아 등 역사 속 다양한 인물들이 의형제 관계를 맺었다.

유비, 관우, 장비나관중의 역사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 도원결의를 통해 비록 같은 날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의형제 관계는 같은 날 죽음으로써 끝맺기로 맹세했다. 역사에서는 이 세 사람이 "형제처럼 가까웠다"고만 언급하고 있다.

북유럽 신화의 로키오딘은 『로카세나』에서 "오래 전" 혼혈이었다고 언급된다. 이것은 왜 로키가 신들에게 용인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여겨진다.

중국의 이야기인 『서유기』에서 손오공은 우마왕과 다른 여러 요괴들과 의형제가 되었지만, 나중에는 우마왕의 아들과 관련된 갈등으로 인해 이 형제 관계는 잊혀졌고, 손오공에게 다른 문제들을 야기했다.

세르비아 서사시에는 여러 혈맹 관계가 있다. 밀로스 오빌리치는 밀란 토플리차와 이반 코산치치,[22] 마르코 믈랴르체비치 왕자,[23] 유고비치 형제와[24] 의형제 관계였다. 데스폿 부크 그르구레비치와 드미타르 약시치도 혈맹 관계였다.[25]

카를 마이의 작품에 등장하는 윈네투와 올드 섀터핸드[26], 윌리 러셀의 희곡 《블러드 브라더스》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에드워드 라이언스와 미키 존스톤도 의형제 관계이다.[27]

송강호삼랑 등 - 《수호전

루피와 에이스, 사보 - 《ONE PIECE》

6. 1. 역사

예수게이토그릴(중국명 옹 칸)은 의형제였다.[12] 12세기에는 몽골 지도자 예수게이(칭기즈 칸의 아버지)와 토그릴이 의형제 관계를 맺었다.[12] 테무진자무카는 어린 시절 친구이자 의형제였으나, 훗날 자무카가 테무진을 배신하여 테무진의 명령으로 처형당했다.[12]

9세기에는 헝가리 부족의 일곱 족장들이 서로의 피를 마시는 피의 맹세를 통해 동맹을 맺고 알모스를 지도자로 추대했다.[12] 1066년 노르만 정복에 참전한 두 명의 노르만 기사 로버트 두일리와 로저 디브리는 의형제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원정에서 얻는 이익을 공유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진다. 두 기사는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살아남아 옥스퍼드셔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토지를 받았고, 월링포드 성 건설 등 다양한 사업을 함께 진행했다.[12]

18세기에는 영국 왕 조지 3세의 사절단과 자메이카 마룬의 지도자들이 평화 조약을 체결하며 서로의 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다.[13] 세르비아 혁명(1804–17) 시기에는 반군 지도자 카라조르제와 사령관 밀루틴 사비치,[14] 카라조르제와 그리스 의용군 조르자키스 올림피오스,[15] 사령관 하주크-벨코와 조르자키스 올림피오스,[16] 사령관 스토얀 추피치와 바칼-밀로사브,[17] 사령관 친차르-얀코, 밀로시 포체라크, 안타 보기체비치[18] 등이 의형제를 맺었다. 후기 세르비아 공국에서는 공작 밀란 1세와 밀란 피로차나크,[19] 아침 추미치와 코스타 프로티치,[20] 두라 약시치와 스테반 블라디슬라프 카찬스키[21] 등이 의형제 관계였다.

그리스 독립 전쟁(1821–30)에서는 그리스의 니콜라오스 크리에조티스와 몬테네그로의 바소 브라제비치가 의형제로 불렸다. 사모아 출신의 프로레슬링 선수 "하이 치프" 피터 마이비아는 동료 레슬러 아파와 시카 아노아이의 아버지인 아미투아나이 아노아이와 의형제였으며, 더 와일드 사모안스로 알려진 아파와 시카는 피터를 삼촌으로 여겼다. 이로 인해 ''아노아이'' 가문은 ''마이비아'' 가문을 자신들의 일족으로 간주한다.

손책주유, 항우유방, 안록산과 안사순, 신몬 신고로와 코가네이 코지로, 곤도 이사미와 사토 히코고로, 코지마 시카노스케, 호조 우지야스이마가와 요시모토, 다케다 신겐,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영국의 나이지리아 총독 프레데릭 루가드와 아프리카 추장들, 아미추어 나이 아노아이와 피터 메이비아 등 역사 속 다양한 인물들이 의형제 관계를 맺었다.

6. 2. 문화/예술

유비, 관우, 장비나관중의 역사 소설인 『삼국지연의』에서 도원결의를 통해 비록 같은 날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의형제 관계는 같은 날 죽음으로써 끝맺기로 맹세했다. 역사에서는 이 세 사람이 "형제처럼 가까웠다"고만 언급하고 있다.

북유럽 신화의 로키오딘은 『로카세나』에서 "오래 전" 혼혈이었다고 언급된다. 이것은 왜 로키가 신들에게 용인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으로 여겨진다.

중국의 이야기인 『서유기』에서 손오공은 우마왕과 다른 여러 요괴들과 의형제가 되었지만, 나중에는 우마왕의 아들과 관련된 갈등으로 인해 이 형제 관계는 잊혀졌고, 손오공에게 다른 문제들을 야기했다.

세르비아 서사시에는 여러 혈맹 관계가 있다. 밀로스 오빌리치는 밀란 토플리차와 이반 코산치치,[22] 마르코 믈랴르체비치 왕자,[23] 유고비치 형제와[24] 의형제 관계였다. 데스폿 부크 그르구레비치와 드미타르 약시치도 혈맹 관계였다.[25]

카를 마이의 작품에 등장하는 윈네투와 올드 섀터핸드[26], 윌리 러셀의 희곡 《블러드 브라더스》에 등장하는 등장인물 에드워드 라이언스와 미키 존스톤도 의형제 관계이다.[27]

송강호삼랑 등 - 《수호전

루피와 에이스, 사보 - 《ONE PIECE》

7.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Claiming Kin Skaldic-Sty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 서적 The Story of Gisli the Outlaw https://archive.org/[...] Edmonston and Douglas
[3] 서적 The Origins of Drama in Scandinavia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Ltd
[4] 서적 Greco-Scythian Art and the Birth of Eurasia: From Classical Antiquity to Russian Modernity https://books.google[...] OUP
[5] 서적 Triad Societies: Western Accounts of the History, Sociology and Linguistics of Chinese Secret Socie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서적 Secret Societies Reconsidered: Perspectives on the social history of early modern south China and southeast Asia Routledge 2016-09-16
[7] 백과사전 Anda oath https://www.britanni[...] 2018-11-29
[8] 서적 Nomads and Their Neighbours in the Russian Steppe: Turks, Khazars and Qipchaqs Ashgate/Variorum
[9]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Volume XXXIII, 1519-1522 https://www.gutenber[...] Arthur H. Clark Company 1906
[10] 웹사이트 Sandugo Festival Bohol Philippines http://www.philippin[...] 2006-12
[11] 서적 The Blood Covenant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2019-10-19
[12] 서적 Gesta Hungarorum http://discovery.ucl[...]
[13] 학술지 Swearing by the Past, Swearing to the Future: Sacred Oaths, Alliances, and Treaties among the Guianese and Jamaican Maroons 1997
[14] 서적 Српске задужбине Фрушкогорски манастири: Fruškogorski manastiri https://books.google[...] тисак закладе тискаре "Народних новина"
[15] 서적 The Greek Struggle for Independence, 1821–1833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서적 War and Society in East Central Europe: The first Serbian uprising 1804-1813 https://books.google[...] Brooklyn College Press
[17] 서적 The Slavonic and East European Review https://books.google[...] Jonathan Cape Limited
[18] 서적 The Revolt of the Serbs Against the Turks: (1804–181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Milan Obrenović: kralj Srbije https://books.google[...] V. Karadžić
[20] 서적 Kralj Milan https://books.google[...] NIGP "Glas"
[21] 서적 Tragom čitališta u Srbiji https://books.google[...] Narodna knjiga
[22] 서적 The Road to War in Serbia: Trauma and Catharsis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00-01
[23] 서적 Prince Marko: The Hero of South Slavic Epics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24] 서적 Myth, Identity, and Conflict: A Comparative Analysis of Romanian and Serbian Textbook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1-09-16
[25] 서적 Prilog istoriji razvoja srpskog junačkog pesništva https://books.google[...] Zavod za udžbenike i nastavna sredstva
[26] 서적 Winnetou
[27] 웹사이트 Blood Brothers (musical) https://en.wikipedia[...] 2022-11-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