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성 (1939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수성(1939년)은 대한민국의 법학자, 정치인, 사회운동가이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총장,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1997년 총리 퇴임 후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2000년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총선에 출마했으나 당선되지 못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후보 단일화를 위해 사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후보 - 심대평
심대평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청남도지사, 국회의원, 국민중심당 대표, 자유선진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7대 대선 후보로 출마했다가 사퇴하고 정계 은퇴 후 지방자치발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후보 - 이회창
이회창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법조인으로, 판사, 최연소 대법관, 국회의원,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자유선진당을 창당하여 활동하며 강경한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으로 알려졌다.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동문 - 경대수
경대수는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법조인 출신 정치인으로, 검사로서 대검찰청 마약조직범죄부장 등을 역임하고, 새누리당 소속으로 19대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 및 당내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아들의 병역 면제 논란이 있었다.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동문 - 이건개
이건개는 검사 출신 정치인으로 제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장과 대전고등검찰청 검사장을 지냈고, 2012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사퇴한 후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김정렬 (1917년)
김정렬은 일제강점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 기업인으로, 일본군 조종사로 2차대전에 참전 후 대한민국 공군 창설을 주도하여 초대 공군참모총장, 국방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의장, 주미 한국 대사, 국회의원, 삼성물산 사장, 국무총리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민국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이재정 (1944년)
이재정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성공회대학교 총장, 국회의원, 통일부 장관을 거쳤으며, 국민참여당 대표와 경기도 교육감을 역임했다.
이수성 (1939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수성 |
로마자 표기 | I Su-seong |
한자 표기 | 李壽成 |
출생일 | 1939년 3월 10일 |
출생지 | 함흥시, 함경남도, 조선 |
사망일 | 알 수 없음 |
사망 장소 | 알 수 없음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광주 (廣州) |
직업 | 정치인, 법률가 |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 |
종교 | 천주교(세례명: 고르넬리오) |
부모 | 이충영(부) |
형제 | 이수인(아우) |
친인척 | 강정택(외숙부) 윤증현(매제) |
정치 경력 | |
직책 | 국무총리 |
임기 시작 | 1995년 12월 18일 |
임기 종료 | 1997년 3월 4일 |
대통령 | 김영삼 |
전임 | 이홍구 |
후임 | 고건 |
기타 경력 | |
직책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
임기 시작 | 1998년 3월 20일 |
임기 종료 | 2000년 2월 24일 |
대통령 | 김대중 |
국무총리 | 김종필 국무총리 서리 김종필 국무총리 박태준 국무총리 서리 |
대통령 비서실장 | 김중권 대통령 비서실장 한광옥 대통령 비서실장 |
기타 경력 | 제20대 서울대학교 총장 민주국민당 전임고문 겸 최고위원 |
훈장 | |
서훈 |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 |
2. 생애
함경남도 함흥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3]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학장 등을 거쳐 1995년 제20대 총장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김영삼 정부의 국무총리로 발탁되어 총장직을 사임했다.[4]
1997년 총리직 퇴임 후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섰으나 낙선했고, 2000년에는 김윤환, 이기택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제16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당선되지 못했다. 김대중 정부 시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1998년~2000년)을 비롯해 백범기념사업회 회장,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등 다양한 사회 활동을 했다.
2007년 제17대 대선에 출마했으나 후보 단일화를 위해 사퇴했고,[5] 2012년 제18대 대선에서는 문재인 후보를 지지했다.[6]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출생과 성장
본관은 광주 이씨로, 함경남도 함흥의 부유한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동경제대 법학과 졸업 후 판사를 지낸 이충영 변호사이고, 어머니 강금복은 해방 후 농림부 차관을 지낸 강정택의 여동생이다.[8] 어린 시절을 강원도 춘천에서 잠시 보냈고, 1940년 이후에는 경상북도 칠곡에서 성장하였다.[8]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동 대학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1967년부터 1978년까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를 지냈으며,[3] 1970년부터 1971년까지는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교환연구원으로 활동했다.[3] 1980년에는 서울대학교 학생처장을 지냈고, 1985년부터 1989년까지 한국형사정책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을 맡았다.[3]
2. 2. 학문 활동
서울고등학교 졸업 후 195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다. 1961년 학사 학위를 받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박사(LL.D.) 학위를 취득했다.[3]1967년부터 1978년까지 서울대학교에서 전임 강사, 조교수, 부교수를 역임하며 후학을 양성했다. 1970년부터 1971년까지는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University of Pittsburgh)에서 교환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연구 경력을 쌓았다. 1988년부터 1990년까지는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95년, 제20대 서울대학교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김영삼 정부의 국무총리로 임명되면서[4] 서울대학교 총장직에서는 사퇴하였다.
2. 3. 정치 활동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중 1995년 12월, 김영삼 정부의 국무총리로 발탁되어 서울대학교 총장직을 사임하였다.[4] 1996년부터 1997년 3월까지는 노사관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1997년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2000년에는 김윤환, 이기택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제16대 총선에 출마하였지만, 당선되지는 못했다.
김대중 정부 시기인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지냈고, 백범기념사업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다. 그 외에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5] 여권 후보 단일화를 위해 12월 13일 후보직에서 사퇴하였다. 당시 그는 "최악은 이명박, 차악은 정동영 후보"라는 말을 남기며 선거 중립을 지켰다. 이후 2012년 대선에서는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 문재인을 지지하였다.[6]
2. 4. 사회 활동
1995년 삼성언론재단 이사장에 임명되었으며, 서울대학교 총장 재직 중 같은 해 12월 김영삼 정부의 국무총리로 발탁되었다.[4] 1996년부터 1997년 3월까지 노사관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1997년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신한국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과 백범기념사업회 회장을 지내며 대외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에는 김윤환, 이기택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여 제16대 총선에 출마하였지만 낙선하였다. 그 외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기도 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여권의 후보 단일화를 위해 12월 13일 후보직에서 사퇴하였다.[5] 당시 그는 "최악은 이명박 차악은 정동영 후보"라는 말을 남기고 선거 중립을 지켰다. 2009년 12월 6일에는 우사 김규식 추모제전에 참석했으며,[8]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6]
원광대학교에서 명예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카자흐스탄 국립 대학교,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중국사회과학원 등에서도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3. 학력
wikitext
학력 | 연도 | 비고 |
---|---|---|
혜화초등학교 졸업 | ||
제일중학교 졸업 | ||
서울중학교 졸업 | ||
서울고등학교 졸업 | 1956년 |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사 | 1961년 |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1964년 | |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 | 1976년 | [3] |
3. 1. 명예 박사 학위
- 1999년: 원광대학교 명예 박사
- 카자흐스탄 국립 대학교 명예 박사
- 러시아 극동문제연구소 명예 박사
- 중국사회과학원 명예 박사
4. 경력
서울고등학교 졸업 후 1956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으며, 1961년 학사 학위를, 이후 같은 대학원에서 법학박사(LL.D.) 학위를 받았다.[3]
1967년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교수 생활을 시작했다. 1969년 조교수, 1973년 부교수를 거쳐 1978년부터 1995년까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교수 재직 중 피츠버그 대학교(1970년~1971년)와 파리 제2대학교(1978년~1979년)에서 연구 활동을 하기도 했다. 또한 서울대학교 내에서 법과대 학생과장(1973년~1974년), 학생처장(1980년), 법학과장(1985년~1986년), 법과대학 학장(1988년~1990년)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학계 활동으로는 한국형사정책학회 회장(1986년~1988년) 등을 지냈다.
1995년 3월, 서울대학교 제20대 총장으로 임명되었으나, 같은 해 12월 김영삼 정부의 국무총리로 발탁되면서 9개월 만에 총장직에서 물러났다.[4] 국무총리 재임 기간(1995년 12월 ~ 1997년 3월) 동안 세계화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정보화추진위원회 위원장 등 여러 정부 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았다.
1997년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신한국당에 입당하여 상임고문을 맡고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이회창에게 패배했다. 김대중 정부 시기인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지냈다. 2000년에는 김윤환, 이기택 등과 함께 민주국민당을 창당하고 제16대 총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이후 2003년까지 당 상임고문으로 있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 '화합과 도약을 위한 국민연대' 후보로 출마했으나,[5] 중도에 사퇴했다. 이후 2012년 대선에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6]
총리 퇴임 이후에도 다양한 사회 활동을 이어갔다. 2004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추대되었으며, 아래와 같은 여러 단체에서 활동했다.
연도 | 주요 경력 및 활동 |
---|---|
1992년 | 중앙기우회 회장, 서암학술장학재단 이사 |
1993년 | 나라정책연구회 고문 |
1994년 | 신사회 공동선운동연합(공선련) 공동대표 |
1995년 | 삼성언론재단 초대 이사장 |
1996년 | 서울 세계지리학대회 조직위원회 명예위원장, `97 세계 환경의 날 행사 추진위원회 명예위원장, 한국방정환재단 명예회장 ( ~ 2001년) |
1997년 | 소파방정환선생기념관건립위원회 위원장 ( ~ 1998년), 한국기원 이사, 삼성언론재단 이사 |
1998년 | 성균관대학교 건학600주년기념시업추진위원회 자문위원, 한국어린이보호회 명예총재,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3.1독립운동기념탑건립위원회 위원장, 제2건국 범국민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평화와 통일을위한 복지기금재단 상임 이사, 장애인먼저실천중앙협의회 상임대표 |
1999년 | 한국방송대 운영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소비문화대전 조직위원회 위원장, 노래박물관추진위원회 공동위원장 |
2001년 | 평화운동연합 초대 총재, 한국민속박물관회 초대 회장, 서울고등학교 총동창회 회장 ( ~ 2003년) |
2003년 | 새마을운동중앙회 회장 ( ~ 2006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 |
2004년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2006년 | 한국형사정책학회 명예회장, 과학선현장영실선생기념사업회 회장, 성남아트센터 후원회 고문 |
2007년 | 동북아시아지도자포럼 이사장, 세계학생UN본부 총재 |
2008년 | 한국사법교육원 고문, 2010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 조직위원장 |
2009년 | 21세기경영인클럽 고문, 2010 세계대백제전 고문 |
2010년 | 한국전쟁기념재단 고문 |
2012년 | 국학원 명예총재 |
2013년 | 동아시아센터 명예이사장, 한민족원로회 공동의장 |
2014년 | 인성회복국민운동본부 총재 |
2016년 | 관정이종환교육재단 이사장 |
2021년 | 국기원 고문 |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
2000년 | 제16대 총선 | 국회의원 | 경북 칠곡군 | 민주국민당 | 20,821 (46.55%) | 2위 | 낙선 |
2007년 | 제17대 대선 | 대통령 | 대한민국 | 화합과도약을위한국민연대 | - | - | 사퇴[5] |
6. 상훈
- 1995년 3월: 서울고등학교 총동창회 올해의 서울인상
- 1997년 5월: 국가경영 최고지도자급 인사 3위
- 1997년 10월: 청조근정훈장
- 2003년 5월: 제11회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
- 2019년 12월: 제19회 자랑스런한국인대상 정치발전 부문
7. 가족 관계
- '''아버지''': 이충영(李忠榮) - 납북
- '''어머니''': 강금복(1911년 1월 5일 ~ 몰년 미상)
- '''배우자''': 김경순(金敬順, 1937년 4월 23일 ~ 2024년 7월 31일)
- * '''아들''': 이승(1964년 4월 29일 ~ )
- ** '''며느리''': 임정아
'''손주''': 이윤주, 이윤영, 이준경
- * '''딸''': 이인경(1966년 6월 27일 ~ )
- ** '''사위''': 도준호
'''외손주''': 도유진, 도유라
참조
[1]
뉴스
Amid Scandals, Legal Scholar Chosen New Prime Minister
https://pqasb.pqarch[...]
Chicago Tribune
1995-12-16
[2]
뉴스
Article: Ex-Premier Lee Soo-sung Likely to Enter Politics.
https://www.questia.[...]
The Korea Times
2000-01-06
[3]
웹사이트
Lee Soo-sung (이수성)
http://k.daum.net/qn[...]
[4]
뉴스
새 총리 이수성씨
http://newslibrary.n[...]
한겨레신문
1995-12-16
[5]
뉴스
이수성 전 국무총리 대선출마 선언
http://news.naver.co[...]
2007-10-11
[6]
뉴스
이수성·정운찬, 문재인 지지 선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12-11
[7]
웹인용
이수성고문,「우범 이수성선생 사은의밤」행사 참석
https://www.donga.co[...]
1997-05-15
[8]
뉴스
대권 도전 선언, 이수성 누구인가
http://www.stimes.co[...]
서울타임스
2007-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