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1년 12월 10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1년 12월 10일)은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 배치와 구성을 보여준다. 연합함대,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1항공함대, 제11항공함대, 구레 진수부, 요코스카 진수부 등 주요 함대와 기지, 항공 부대들의 편성과 소속 함선, 부대들을 상세히 나열하고 있다. 각 함대는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잠수함 등 다양한 함종으로 구성되었으며, 특정 지역 방어, 항공 작전, 기지 방어 등 각기 다른 임무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2년 7월 14일)
    1942년 7월 14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를 포함한 다양한 함대와 부대의 편성 정보를 상세히 보여주는 자료로, 각 함대별 전력 편성을 통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15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및 부대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지나방면함대, 제1기동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8함대, 항공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등의 상세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군대의 편성과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 1941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 1941년 일본 - 헐 노트
    헐 노트는 1941년 미국 국무장관 코델 헐이 일본에 제시한 외교 문서로, 일본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및 중국 철수 등을 요구하며, 진주만 공격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1년 12월 10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1년 12월 10일)
일본 해군 군함기
일본 해군 군함기
개요
시기1941년 12월 10일
대상일본 제국 해군
배경태평양 전쟁 개전 직후
목적해상 작전 지휘 및 통제
주요 부대 및 지휘관
연합 함대 사령 장관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
연합 함대 참모장우가키 마토메 소장
제1함대 사령 장관다카스 시로시 중장
제2함대 사령 장관곤도 노부타케 중장
제3함대 사령 장관다카하시 이보 중장
제4함대 사령 장관이노우에 시게요시 중장
제5함대 사령 장관시로즈 도자부로 중장
제6함대 사령 장관시미즈 미쓰미 중장
제1항공함대 사령 장관나구모 주이치 중장
제2항공함대 사령 장관쓰쿠하라 니시조 중장
제3항공함대 사령 장관데라오카 기미에 중장
해상 호위 총사령부 사령 장관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전투 서열 상세
연합 함대기함: 전함 나가토
사령 장관: 야마모토 이소로쿠 대장
참모장: 우가키 마토메 소장
제1함대사령 장관: 다카스 시로시 중장
소속: 전함 전대, 항공모함 전대, 구축함 전대, 순양함 전대 등
제2함대사령 장관: 곤도 노부타케 중장
소속: 중순양함 전대, 경순양함 전대, 구축함 전대 등
제3함대사령 장관: 다카하시 이보 중장
소속: 상륙전 지원 부대, 점령지 경비 부대 등
제4함대사령 장관: 이노우에 시게요시 중장
소속: 남양 군도 방위 부대
제5함대사령 장관: 시로즈 도자부로 중장
소속: 북방 방위 부대
제6함대사령 장관: 시미즈 미쓰미 중장
소속: 잠수함 부대
제1항공함대사령 장관: 나구모 주이치 중장
소속: 항공모함 기동 부대
제2항공함대사령 장관: 쓰쿠하라 니시조 중장
소속: 기지 항공대 부대
제3항공함대사령 장관: 데라오카 기미에 중장
소속: 중국 방면 항공 부대
해상 호위 총사령부사령 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소속: 수송선 호위 부대
추가 정보
특징태평양 전쟁 초기 일본 해군의 주요 전투 부대 구성
역할진주만 공격, 말레이 해전 등 주요 작전 수행
이후 변화전쟁 진행에 따라 부대 재편 및 증강

2. 연합함대

연합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의 주력 함대로, 태평양 전쟁 개전 당시 대부분의 주력 함선을 포함하고 있었다. 연합함대는 직접적인 전투 임무 외에도, 휘하 함대의 작전을 총괄 지휘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 제2전대: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 제3전대: 곤고, 하루나, 히에이, 기리시마
  • 제6전대: 아오바, 기누가사, 후루타카, 가코
  • 제9전대: 기타가미, 오이
  • 제1수뢰전대: 아부쿠마
  • * 제6구축대: 이카즈치, 이나즈마, 히비키, 아카쓰키
  • * 제17구축대: 우라카제, 이소카제, 다니카제, 하마카제
  • * 제21구축대: 하쓰하루, 네노히, 하쓰시모, 와카바
  • * 제27구축대: 아리아케, 유구레, 시라쓰유, 시구레
  • 제3수뢰전대: 센다이
  • * 제11구축대: 후부키, 시라유키, 하쓰유키
  • * 제12구축대: 무라쿠모, 시노노메, 시라쿠모
  • * 제19구축대: 이소나미, 우라나미, 시키나미, 아야나미
  • * 제20구축대: 아마기리, 아사기리, 유기리, 사기리
  • 제3항공전대: 호쇼, 즈이호
  • * 미카즈키, 유카제
  • 제4전대: 다카오, 아타고, 조카이, 마야
  • 제5전대: 나치, 하구로, 묘코
  • 제7전대: 모가미, 미쿠마, 스즈야, 구마노
  • 제8전대: 도네, 지쿠마
  • 제2수뢰전대: 진쓰
  • * 제8구축대: 아사시오, 미치시오, 오시오, 아라시오
  • * 제15구축대: 구로시오, 오야시오, 하야시오, 나쓰시오
  • * 제16구축대: 하쓰카제, 유키카제, 아마쓰카제, 도키쓰카제
  • * 제18구축대: 가스미, 아라레, 가게로, 시라누이
  • 제4수뢰전대: 나카
  • * 제2구축대: 무라사메, 유다치, 하루사메, 사미다레
  • * 제4구축대: 아라시, 하기카제, 노와키, 마이카제
  • * 제9구축대: 아사구모, 야마구모, 나쓰구모, 미네구모
  • * 제24구축대: 우미카제, 야마카제, 가와카제, 스즈카제
  • 제16전대: 아시가라, 나가라, 구마
  • 제17전대: 이쓰쿠시마, 하치만야마, 다쓰미야마루
  • 제5수뢰전대: 나토리
  • * 제5구축대: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쓰카제, 하타카제
  • * 제22구축대: 사쓰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쓰키
  • 제6잠수전대: 조게이[2]
  • * 제9잠수대: 이123, 이124
  • * 제13잠수대: 이121, 이122
  • 제12항공전대: 가미카와마루, 산요마루[3]
  • 제1근거지대: 시라타카, 아오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
  • 제2근거지대: 와카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
  • 제32특별근거지대
  • 부속: 야마비코마루, 특설운송함 2척
  • 기함: 가시마 (12월 1일 ~ )
  • 제18전대: 덴류, 타쓰타
  • 제19전대: 오키시마, 도키와, 쓰가루, 덴요마루
  • 제6수뢰전대: 유바리
  • * 제29구축대: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나기
  • * 제30구축대: 무쓰키, 기사라기, 야요이, 모치즈키
  • 제7잠수전대: 진게이
  • * 제26잠수대: 로60, 로61, 로62
  • * 제27잠수대: 로65, 로66, 로67
  • * 제33잠수대: 로63, 로64, 로68
  • 제24항공전대
  • * 지토세 해군항공대, 요모하마 해군항공대, 가모이, 고쥬마루
  • 제3근거지대 (팔라우 제도 방위) - 팔라우
  • * 제4포함대: 후쿠야마마루
  • * 제13소해대
  • * 제55구잠대: 제1간지쓰마루, 쇼와마루, 제3쇼와마루, 제5쇼와마루
  • * 제3방비대
  • * 제16항공대
  • 제4근거지대 (캐롤라인 제도 방위대) - 트럭 환초
  • * 제5포함대: 고에이마루
  • * 제14소해대
  • * 제56구잠대
  • * 제57구잠대: 제15쇼난마루
  • * 제4방비대
  • * 제17항공대
  • 제5근거지대 (마리아나 방위대) - 사이판섬
  • * 제7포함대: 가쓰마루
  • * 제15소해대
  • * 제59구잠대: 제5쇼난마루, 제6쇼난마루
  • * 제60구잠대: 제8교마루, 제10교마루
  • * 제5방비대
  • * 제18항공대
  • 제6근거지대(마셜 제도 방위대) - 콰잘레인 환초
  • * 제8포함대: 핫카이산마루, 미쓰시마마루, 오키쓰마루
  • * 제16소해대
  • * 제62구잠대
  • * 제63구잠대: 제3쇼난마루, 제3후미마루
  • * 제64구잠대: 제10쇼난마루, 제11쇼난마루
  • * 제65구잠대: 제6교마루, 제7교마루, 특설포획망정 우지마루
  • * 제6방비대
  • * 제51, 52, 53경비대
  • * 제19항공대
  • 부속: 기요카와마루, 쇼에이마루, 산큐마루, 히카와마루, 곤고마루, 긴류마루
  • * 제4항무부, 제4기상대(트럭 상주), 마이즈루 진수부 제2특별육전대(솔로몬 제도 공략부대)
  • 제21전대: 다마, 기소, 기미카와마루
  • 제22전대: 아와타마루, 아사카마루
  • 제7근거지대
  • * 제10포함대, 제17소해대, 제66구잠대
  • * 지치지마 해군항공대, 제7방비대
  • 부속: 사기, 하토
  • 기함: 카토리
  • 제1잠수전대: 야스쿠니마루, 이9
  • * 제1잠수대: 이15, 이16, 이17
  • * 제2잠수대: 이18, 이17, 이19
  • * 제3잠수대: 이21, 이22, 이23
  • * 제4잠수대: 이24, 이25, 이26
  • 제2잠수전대: 산토스마루, 이7, 이10
  • * 제7잠수대: 이1, 이2, 이3
  • * 제8잠수대: 이4, 이5, 이6
  • 제3잠수전대: 타이게이, 이8
  • * 제11잠수대: 이74, 이75
  • * 제12잠수대: 이68, 이69, 이70
  • * 제20잠수대: 이71, 이72, 이73
  • 제1항공전대: 아카기, 가가
  • 제2항공전대: 히류, 소류
  • 제4항공전대: 류조
  • 제5항공전대: 쇼카쿠, 즈이카쿠
  • 제21항공전대
  • * 가노야 해군항공대
  • * 도코 해군항공대
  • * 제1항공대
  • * 가쓰라기마루
  • 제22항공전대
  • * 비호 해군항공대
  • * 원산 해군항공대
  • * 후지카와마루
  • 제23항공전대
  • * 다카오 해군항공대
  • * 타이난 해군항공대
  • * 제3항공대
  • * 고마키마루
  • 직속
  • * 특설항공모함: 게이요마루, 리온마루, 가모가와마루, 아마기산마루, 닛코쿠마루, 다쓰가미마루, 히노마루, 제5나나마루
  • * 제34구축대: 하네카제, 아키카제 다치카제
  • * 요코스카 진수부 제1, 2특별육전대

2. 1. 제1전대

나가토, 무쓰[1]

2. 2. 제24전대

호코쿠마루, 아이코쿠마루, 기요스미마루로 구성된 특설순양함 부대로, 주로 후방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1]

2. 3. 제11항공전대

미즈호, 지토세

2. 4. 제4잠수전대

기누와 나고야마루[1]를 주축으로, 휘하 잠수함들의 작전을 지원했다.

잠수대잠수함
제18잠수대이53, 이54, 이55
제19잠수대이56, 이57, 이58
제21잠수대로33, 로34


2. 5. 제5잠수전대

유라와 리우데자네이루마루[1]로 구성되어 잠수함 작전을 지원했다. 예하 잠수대는 다음과 같다.

  • 제28잠수대: 이59, 이60
  • 제29잠수대: 이62, 이64
  • 제30잠수대: 이65, 이66

2. 6. 제1연합통신대

도쿄, 다카오, 지치지마 해군통신대, 오키나와 통신대, 제3~6통신대로 구성되어 통신 지원을 담당하였다.

2. 7. 부속

부속 함선으로는 수상기모함 지요다, 표적함 야카제, 세쓰,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1], 급탄함 무로토[1], 특설병원함 아사히마루, 다카사고마루[1], 그리고 제1초계정대가 있었다.

3. 제1함대

제1함대는 전함과 중순양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로, 일본 해군의 핵심 전력이었다. 제1함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1]

전대구성
제2전대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
제3전대곤고, 하루나, 히에이, 기리시마
제6전대아오바, 기누가사, 후루타카, 가코
제9전대기타가미, 오이
제1수뢰전대아부쿠마
제1수뢰전대
구축대
제6구축대: 이카즈치, 이나즈마, 히비키, 아카쓰키
제3수뢰전대센다이
제3수뢰전대
구축대
제11구축대: 후부키, 시라유키, 하쓰유키
제3항공전대호쇼, 즈이호, 미카즈키, 유카제


3. 1. 제2전대

이세, 휴가, 후소, 야마시로는 구형 전함이었지만, 여전히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었다.[1]

3. 2. 제3전대

곤고, 하루나, 히에이, 기리시마로 구성되어, 기동 부대 역할을 수행했다.

3. 3. 제6전대

아오바, 기누가사, 후루타카, 가코

3. 4. 제9전대

기타가미, 오이

3. 5. 제1수뢰전대

아부쿠마[1]

  • 제6구축대: 이카즈치, 이나즈마, 히비키, 아카쓰키[1]
  • 제17구축대: 우라카제, 이소카제, 다니카제, 하마카제[1]
  • 제21구축대: 하쓰하루, 네노히, 하쓰시모, 와카바[1]
  • 제27구축대: 아리아케, 유구레, 시라쓰유, 시구레[1]

3. 6. 제3수뢰전대

센다이

  • 제11구축대: 후부키, 시라유키, 하쓰유키
  • 제12구축대: 무라쿠모, 시노노메, 시라쿠모
  • 제19구축대: 이소나미, 우라나미, 시키나미, 아야나미
  • 제20구축대: 아마기리, 아사기리, 유기리, 사기리

3. 7. 제3항공전대

호쇼, 즈이호, 미카즈키, 유카제로 구성되어, 제한적인 항공 작전 능력을 보유했다.

4. 제2함대

제2함대는 중순양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로, 제1함대와 함께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전력이었다. 제2함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1]


  • 제4전대: 다카오, 아타고, 조카이, 마야
  • 제5전대: 나치, 하구로, 묘코
  • 제7전대: 모가미, 미쿠마, 스즈야, 구마노
  • 제8전대: 도네, 지쿠마
  • 제2수뢰전대: 진쓰
  • 제4수뢰전대: 나카

4. 1. 제4전대

다카오, 아타고, 조카이, 마야는 최신예 중순양함으로, 강력한 화력을 보유했다.

4. 2. 제5전대

나치, 하구로, 묘코로 구성되어 함대의 정찰 및 화력 지원을 담당하였다.

4. 3. 제7전대

모가미, 미쿠마, 스즈야, 구마노

4. 4. 제8전대

도네, 지쿠마

4. 5. 제2수뢰전대

진쓰를 기함으로 하여 아래의 구축대를 예하에 두고 함대의 호위 및 대잠 작전을 수행했다.[1]

구축대구성
제8구축대아사시오, 미치시오, 오시오, 아라시오[1]
제15구축대구로시오, 오야시오, 하야시오, 나쓰시오[1]
제16구축대하쓰카제, 유키카제, 아마쓰카제, 도키쓰카제[1]
제18구축대가스미, 아라레, 가게로, 시라누이[1]


4. 6. 제4수뢰전대

경순양함 나카를 기함으로, 제2구축대, 제4구축대, 제9구축대, 제24구축대로 구성되었다.

  • '''제2구축대''': 무라사메, 유다치, 하루사메, 사미다레
  • '''제4구축대''': 아라시, 하기카제, 노와키, 마이카제
  • '''제9구축대''': 아사구모, 야마구모, 나쓰구모, 미네구모
  • '''제24구축대''': 우미카제, 야마카제, 가와카제, 스즈카제

5. 제3함대

제3함대는 주로 경순양함과 구축함으로 구성된 함대로, 남방 작전 지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제3함대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제16전대, 제17전대, 제5수뢰전대, 제6잠수전대, 제12항공전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 제1근거지대: 시라타카, 아오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
  • 제2근거지대: 와카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
  • 제32특별근거지대
  • 부속: 야마비코마루, 특설운송함 2척

5. 1. 제16전대

아시가라, 나가라, 구마

5. 2. 제17전대

이쓰쿠시마, 하치만야마, 다쓰미야마루로 구성되어, 주로 수송 및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5. 3. 제5수뢰전대

나토리

  • '''제5구축대''':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쓰카제, 하타카제
  • '''제22구축대''': 사쓰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쓰키

5. 4. 제6잠수전대

조게이[2]를 모함으로 하고 잠수함으로 구성되어 잠수함 작전을 지원했다.

부대명함명
제9잠수대이123, 이124
제13잠수대이121, 이122


5. 5. 제12항공전대

가미카와마루, 산요마루[3]

5. 6. 제1근거지대, 제2근거지대, 제32특별근거지대


  • 제1근거지대: 시라타카, 아오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2]
  • 제2근거지대: 와카타카, 소해정, 구잠정, 수뢰정, 포함 등[2]
  • 제32특별근거지대[2]
  • 부속: 야마비코마루, 특설운송함 2척[2]

6. 제4함대

1941년 12월 10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제4함대는 남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함대로, 주로 구형 함선과 특설 함정으로 구성되었다. 제4함대의 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4함대는 기함 가시마[1]를 필두로, 제18전대(경순양함 덴류, 타쓰타), 제19전대(오키시마, 도키와, 쓰가루, 덴요마루), 제6수뢰전대(경순양함 유바리와 여러 구축함), 제7잠수전대(잠수모함 진게이와 여러 잠수함), 제24항공전대(지토세 해군항공대, 요모하마 해군항공대 등), 그리고 여러 근거지대로 구성되었다.

또한, 팔라우 제도의 제3근거지대, 캐롤라인 제도의 제4근거지대, 마리아나 제도의 제5근거지대, 마셜 제도의 제6근거지대가 있었다. 이들은 각각 포함, 소해정, 구잠정, 방비대, 항공대 등으로 구성되어 지역 방어를 담당했다.

그 외에도 기요카와마루, 쇼에이마루, 산큐마루, 히카와마루, 곤고마루, 긴류마루 등이 부속 함정으로 포함되었고, 제4항무부, 제4기상대, 마이즈루 진수부 제2특별육전대 등이 제4함대에 배속되어 있었다.

6. 1. 기함

가시마[1]

6. 2. 제18전대

덴류, 타쓰타

6. 3. 제19전대

오키시마, 도키와, 쓰가루, 덴요마루로 구성되어 기뢰 부설 임무를 수행하였다.

6. 4. 제6수뢰전대

유바리를 기함으로, 제29구축대와 제30구축대의 구축함으로 구성되어 함대의 호위 및 대잠 작전을 수행했다. 각 구축대의 구성함은 다음과 같다.

  • 제29구축대: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나기
  • 제30구축대: 무쓰키, 기사라기, 야요이, 모치즈키

6. 5. 제7잠수전대

진게이를 기함으로, 로60, 로61, 로62로 구성된 제26잠수대, 로65, 로66, 로67로 구성된 제27잠수대, 로63, 로64, 로68로 구성된 제33잠수대가 소속되어 잠수함 작전을 지원했다.

6. 6. 제24항공전대

1941년 10월 1일에 전속되었으며, 지토세 해군항공대, 요모하마 해군항공대, 가모이, 고쥬마루로 구성되었다.

6. 7. 제3, 4, 5, 6근거지대


  • 제3근거지대 (팔라우 제도 방위) - 팔라우

함대포함
제4포함대후쿠야마마루
제13소해대
제55구잠대제1간지쓰마루, 쇼와마루, 제3쇼와마루, 제5쇼와마루
제3방비대
제16항공대


  • 제4근거지대 (캐롤라인 제도 방위대) - 트럭 환초

함대포함
제5포함대고에이마루
제14소해대
제56구잠대
제57구잠대제15쇼난마루
제4방비대
제17항공대


  • 제5근거지대 (마리아나 제도 방위대) - 사이판섬

함대포함
제7포함대가쓰마루
제15소해대
제59구잠대제5쇼난마루, 제6쇼난마루
제60구잠대제8교마루, 제10교마루
제5방비대
제18항공대


  • 제6근거지대(마셜 제도 방위대) - 콰잘레인 환초

함대포함
제8포함대핫카이산마루, 미쓰시마마루, 오키쓰마루
제16소해대
제62구잠대
제63구잠대제3쇼난마루, 제3후미마루
제64구잠대제10쇼난마루, 제11쇼난마루
제65구잠대제6교마루, 제7교마루, 특설포획망정 우지마루
제6방비대
제51, 52, 53경비대
제19항공대


7. 제5함대

제5함대는 북태평양 지역을 담당하는 함대로, 주로 경순양함과 특설 함정으로 구성되었다. 예하 전대로는 제21전대( 다마, 기소, 기미카와마루), 제22전대(아와타마루, 아사카마루)가 있었다. 또한 제7근거지대(제10포함대, 제17소해대, 제66구잠대, 지치지마 해군항공대, 제7방비대)와 부속 함정(사기, 하토)이 있었다.

7. 1. 제21전대

다마, 기소, 기미카와마루로 구성되어 정찰 및 경비 임무를 수행하였다.

7. 2. 제22전대

아와타마루, 아사카마루

7. 3. 제7근거지대


  • 제10포함대, 제17소해대, 제66구잠대[1]
  • 지치지마 해군항공대, 제7방비대[1]

8. 제6함대

제6함대는 잠수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로, 주로 통상 파괴 작전을 수행했다.[1]

8. 1. 기함

가토리

8. 2. 제1, 2, 3잠수전대

wikitext

  • 기함: 카토리
  • 제1잠수전대: 야스쿠니마루, 이9
  • * 제1잠수대: 이15, 이16, 이17
  • * 제2잠수대: 이18, 이17, 이19
  • * 제3잠수대: 이21, 이22, 이23
  • * 제4잠수대: 이24, 이25, 이26
  • 제2잠수전대: 산토스마루, 이7, 이10
  • * 제7잠수대: 이1, 이2, 이3
  • * 제8잠수대: 이4, 이5, 이6
  • 제3잠수전대: 타이게이, 이8
  • * 제11잠수대: 이74, 이75
  • * 제12잠수대: 이68, 이69, 이70
  • * 제20잠수대: 이71, 이72, 이73

9. 제1항공함대

제1항공함대는 일본 제국 해군의 핵심 항공 전력으로, 항공모함을 주력으로 하는 함대였다. 진주만 공격을 주도한 부대로 유명하다.[1]

제1항공전대(아카기, 가가), 제2항공전대(히류, 소류), 제4항공전대(류조), 제5항공전대(쇼카쿠, 즈이카쿠)로 구성되었다.

9. 1. 제1항공전대

아카기, 가가로 구성되어, 강력한 공격력을 보유하였다.[1]

9. 2. 제2항공전대

히류, 소류로 구성되었으며, 제1항공전대와 함께 일본 제국 해군 항공 전력의 핵심을 이루었다.

9. 3. 제4항공전대

류조

9. 4. 제5항공전대

쇼카쿠, 즈이카쿠로 구성되었으며, 최신예 항공모함으로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10. 제11항공함대

제11항공함대는 주로 육상 기지를 기반으로 하는 항공 부대로, 남방 작전에서 항공 지원을 담당했다. 제11항공함대는 제21, 22, 23항공전대와 직속 부대로 구성되었다.

10. 1. 제21, 22, 23항공전대

제21항공전대는 각지에 배치된 해군 항공대로 구성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 제21항공전대
  • 가노야 해군항공대
  • 도코 해군항공대
  • 제1항공대
  • 가쓰라기마루
  • 제22항공전대
  • 비호 해군항공대
  • 원산 해군항공대
  • 후지카와마루
  • 제23항공전대
  • 다카오 해군항공대
  • 타이난 해군항공대
  • 제3항공대
  • 고마키마루

10. 2. 직속

慶洋丸|게이요마루일본어, りおん丸|리온마루일본어, 鴨川丸|가모가와마루일본어, 天城山丸|아마기산마루일본어, 日國丸|닛코쿠마루일본어, 辰神丸|다쓰가미마루일본어, 日野丸|히노마루일본어, 제5奈々丸|나나마루일본어 등 특설항공모함과 제34구축대 소속 하네카제, 아키카제, 다치카제 등 구축함이 배속되어 항공 전력 지원과 호위 임무를 수행했다.[1]

11. 구레 진수부

구레 해병단, 오타케 해병단은 상륙작전 및 기지 방어를 담당하였고, 구레 잠수함기지대는 잠수함 정비 및 훈련을 담당했다.[1] 구레 해군항무부와 도쿠야마 해군항무부는 함선의 입출항 관리 및 항만 시설 운영을, 구레 해군통신대는 통신 지원을, 구레 해군항공대, 사에키 해군항공대, 이와쿠니 해군항공대는 해군 항공기 운용 및 훈련을 담당했다.[1]

구레 해군경비대는 기지 방어 및 연안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구레 경비전대와 구레 방비전대는 해상 방어를 담당했다. 오이타 해군항공대, 우사 해군항공대, 하카타 해군항공대, 오무라 해군항공대로 구성된 제20연합항공대는 조종사 양성 훈련을 담당했다.

구레 진수부 소속 함정은 다음과 같다.

함종함명
장갑순양함야쿠모
부설함가쓰리키
구축함 (제13구축대)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특설순양함 겸 부설함(ARC)긴죠산마루


11. 1. 구레 해병단, 오타케 해병단


  • 구레 해병단
  • 오타케 해병단

11. 2. 구레 잠수함기지대

구레 잠수함기지는 잠수함의 정비 및 훈련을 담당했다.[1]

  • 제6잠수대: 로(呂) 57, 58, 59
  • 잠수함: 이(伊)52/이152

11. 3. 구레 해군항무부, 도쿠야마 해군항무부

구레 해군항무부와 도쿠야마 해군항무부는 함선의 입출항 관리 및 항만 시설 운영을 담당했다.[1]

11. 4. 구레 해군통신대

구레 해군통신대는 통신 지원을 담당했다.

11. 5. 구레 해군항공대, 사에키 해군항공대,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구레 해군항공대, 사에키 해군항공대, 이와쿠니 해군항공대는 해군 항공기 운용 및 훈련을 담당했다.[1]

11. 6. 구레 해군경비대, 구레 경비전대, 구레 방비전대

구레 해군경비대는 기지 방어 및 연안 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다음은 구레 해군경비대, 구레 경비전대, 구레 방비전대의 구성 목록이다.

  • '''구레 해병단'''
  • '''오타케 해병단'''
  • '''구레 잠수함기지대'''
  • '''구레 해군항무부'''
  • '''도쿠야마 해군항무부'''
  • '''구레 해군통신대'''
  • '''구레 해군항공대'''
  • '''사에키 해군항공대'''
  •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 '''장갑순양함''': 야쿠모
  • '''부설함''': 가쓰리키
  • '''제6잠수대''': 로(呂) 57, 58, 59
  • '''잠수함''': 이(伊)52/이152
  • '''제13구축대''': 와카타케, 구레타케, 사나에
  • '''제19~21구잠정'''
  • '''특설순양함 겸 부설함(ARC)''': 긴죠산마루
  • '''제31, 33소해대'''

11. 7. 제20연합항공대

오이타 해군항공대, 우사 해군항공대, 하카타 해군항공대, 오무라 해군항공대는 훈련 부대로 조종사 양성 임무를 수행했다.[1]

12. 요코스카 진수부

요코스카 진수부구레 진수부와 함께 일본 제국 해군의 양대 해군 기지로, 함선 건조, 수리, 보급 및 훈련을 담당했다. 요코스카 진수부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예하 요코스카 경비전대: 특설순양함 노시로마루, 특설포함 쇼에이마루, 제1호 메이지마루[1]
  • 요코스카 방비전대: 특설포함 겸 부설함 가사기마루, 곤고산마루, 소해정 제25호, 제26호[1]

12. 1. 요코스카 제1, 2해병단

요코스카 제1, 2해병단은 해군 육상 전투 부대로, 기지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

12. 2. 요코스카 잠수함기지대

요코스카 잠수함기지대는 잠수함의 정비 및 훈련을 담당했다.[1]

  • 잠수함 모함 고마하시[1]
  • 구축함 사와카제, 유구모[1]
  • 구축정 제22호, 제23호[1]

12. 3. 요코스카 해군항무부

요코스카 해군항무부는 함선의 입출항 관리 및 항만 시설 운영을 담당했다.

12. 4. 요코스카 해군통신대

요코스카 해군통신대는 통신 지원을 담당하였다.[1]

12. 5.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기사라즈 해군항공대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기사라즈 해군항공대는 해군 항공기 운용 및 훈련을 담당했다.[1]

12. 6.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요코스카 경비전대, 요코스카 방비전대


  • 요코스카 제1, 2해병단
  • 요코스카 잠수함기지대
  • 요코스카 해군항무부
  • 요코스카 해군통신대
  •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 다테야마 해군항공대
  • 기사라즈 해군항공대
  • 잠수함 모함 고마하시
  • 구축함 사와카제, 유구모
  • 구축정 제22호, 제23호
  •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 요코스카 경비전대
  • * 특설순양함 노시로마루
  • * 특설포함 쇼에이마루, 제1호 메이지마루
  • 요코스카 방비전대
  • * 요코스카 방비대
  • ** 특설포함 겸 부설함 가사기마루, 곤고산마루
  • * 소해정 제25호, 제26호

12. 7. 제11연합항공대

제11연합항공대는 조종사 양성을 위한 훈련 부대였다.

  • 가스미가우라 해군항공대
  • 쓰쿠바 해군항공대
  • 야타베 해군항공대
  • 햐쿠리하라 해군항공대
  • 가시마 해군항공대
  • 스즈카 해군항공대
  • 쓰치우라 해군항공대

참조

[1] 문서 1941년 12월 2일 ~ 1942년 4월 10일에 걸쳐서 [[제1남견함대|남견함대]]로 증원함
[2] 문서 잠수부대로서 남방부대 지휘에 따라 움직임
[3] 문서 1941년 12월 2일 ~ 1942년 4월 10일에 걸쳐 말레이로 증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