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붉은배영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붉은배영원(Cynops pyrrhogaster)은 일본 고유종으로, 혼슈, 시코쿠, 규슈 및 그 부속 도서 지역에 분포하는 영원이다. 독일 동물학자 하인리히 보이에가 1826년 처음 학명을 붙였으며, 붉은 배와 검은 무늬가 특징이다. 마이오세 중기에 칼꼬리영원으로부터 분화되었으며, 북부, 중부, 남부, 서부의 4개 계통군으로 나뉜다. 번식기에는 페로몬을 분비하여 짝짓기를 하며, 논, 연못 등 민물에서 알을 낳는다. 유생은 변태하여 육상 생활을 하며, 곤충, 올챙이 등을 먹는다. 최근에는 애완동물 거래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절멸준위협종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찬 글에 관련된 - Janet(s)
    《굿 플레이스》 시즌 3의 아홉 번째 에피소드인 "Janet(s)"는 다시 카든이 연기한 재닛의 우주에서 엘리너, 치디, 타하니, 제이슨이 모두 재닛의 모습으로 변하는 독특한 설정을 통해 자아 정체성을 탐구하며, 휴고상 수상 및 에미상 후보에 오르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일본붉은배영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일본붉은배영원
일본붉은배영원
학명Cynops pyrrhogaster
학명_명명Boie, 1826
이명Molge pyrrhogaster (Boie, 1826)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양서류
도롱뇽목
영원과
아과영원아과
붉은배영원속
일본붉은배영원 (C. pyrrhogaster)
보존 상태
상태NT
상태 기준iucn3.1
상태 출처IUCN SSC Amphibian Specialist Group (2021). "Cynops pyrrhogaster".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1: e.T59444A177224976.
분포

2. 어원과 분류

독일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보이에는 일본에서 유럽으로 반입된 일본붉은배영원 표본을 관찰하고 1826년 ''몰게 퓌로가스테르''(Molge pyrrhogaster)라는 학명을 붙여 서양 학계에 처음으로 기재했다.[3] 보이에는 이 종이 유럽영원(''Lissotriton vulgaris'')과 외형이 유사하여 일본산이라는 것을 몰랐다면 유럽영원으로 착각했을 것이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연구에 사용된 표본에는 다 자란 개체가 한 마리도 없었다.[4][5] '퓌로가스테르'라는 종명은 그리스어로 을 뜻하는 퓌로스(purrhosel)와 복부를 뜻하는 가스테르(gastērel)를 합친 것이다.[6]

네덜란드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와 독일의 헤르만 슐레겔은 1838년 일본붉은배영원의 다른 표본을 가지고 ''살라만드라 수브크리스타타''(Salamandra subcristata)라는 불도롱뇽속에 속하는 별도의 신종으로 기재했다.[2][7] 같은 해 스위스 자연학자 요한 야코프 폰 추디가 이 종을 붉은배영원속으로 이전시켰다.[2] 1850년 영국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보이에와 테밍크가 기재한 두 종을 현재 사용되는 학명인 '''퀴놉스 퓌로가스테르'''(''Cynops pyrrhogaster'')로 통합하였다.[2][8]

일본붉은배영원마이오세 중기인 약 1,375만 년 전 칼꼬리영원에서 분화했다.[11] 동중국해·난세이 제도 지역에 분포했던 공통 조상유라시아 본대륙과 연결된 일본 열도로 이동하여, 북부, 중부, 남부, 서부의 네 계통군으로 분화하였다.[11] 북부 계통군은 약 968만 년 전, 중부 계통군은 823만 년 전, 남부와 서부 계통군은 약 405만 년 전에 분열되었다.[11] 최종 빙기 이후 서식지가 확장되면서 번성했다.[11]

분자분석 결과, 과거 6품종으로 나누던 분류는 4계통군으로 변경되었다.[11] 특히 사사야마·중간형 품종의 분류는 유효성이 부정되며, 두 형태 사이에 행동차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 계통군 간에는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존재한다.[11] 주고쿠 지방에서는 중부와 서부 계통군의 서식지가 겹치는 접경지가 형성되어 서부 계통군의 유전체가 점진적으로 소진될 가능성이 있다.[13]

다음은 일본붉은배영원의 계통도이다.[11]

빗영원속
노꼬리영원속, 사마귀영원속
중국붉은배영원 (C. orientalis), 추숑붉은배영원 (C. cyanurus)
일본붉은배영원 (C. pyrrhogaster)- 칼꼬리영원 (C. ensicauda)- 북부 계통- 중부 계통- 남부 계통- 서부 계통


2. 1. 어원

독일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보이에는 일본에서 유럽으로 반입된 표본을 관찰하고 1826년 '몰게 퓌로가스테르(''Molge pyrrhogaster'')'라는 학명을 붙였다.[3] 퓌로가스테르라는 종명은 그리스어을 뜻하는 퓌로스(purrhosel)와 복부를 뜻하는 가스테르(gastērel)를 이은 낱말이다.[6]

네덜란드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와 독일의 헤르만 슐레겔은 1838년 다른 표본을 가지고 살라만드라 수브크리스타타(''Salamandra subcristata'')라는 불도롱뇽속에 속하는 신종으로 기재했다.[2][7] 같은 해 스위스 자연학자 요한 야코프 폰 추디가 이 종을 붉은배영원속으로 이전시켰고,[2][7] 1850년, 영국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보이에와 테밍크가 기재한 두 종을 현용 학명인 '''퀴놉스 퓌로가스테르'''(''Cynops pyrrhogaster'')로 통합하였다.[2][8]

일본붉은배영원은 약 1,375만 년 전 마이오세 중기에 칼꼬리영원에서 분화해 나왔다.[11]

2. 2. 초기 분류

독일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보이에는 일본에서 유럽으로 반입된 일본붉은배영원 표본을 관찰하고 1826년 ''몰게 퓌로가스테르''(Molge pyrrhogaster)라는 학명을 붙여 서양 학계에 처음으로 기재했다.[3] 보이에는 이 종이 유럽영원(''Lissotriton vulgaris'')과 외형이 유사하여 일본산이라는 것을 몰랐다면 유럽영원으로 착각했을 것이라고 기록했다. 그러나 연구에 사용된 표본에는 다 자란 개체가 한 마리도 없었다.[4][5] '퓌로가스테르'라는 종명은 그리스어로 을 뜻하는 퓌로스(purrhosel)와 복부를 뜻하는 가스테르(gastērel)를 합친 것이다.[6]

네덜란드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와 독일의 헤르만 슐레겔은 1838년 일본붉은배영원의 다른 표본을 가지고 ''살라만드라 수브크리스타타''(Salamandra subcristata)라는 불도롱뇽속에 속하는 별도의 신종으로 기재했다.[2][7] 같은 해 스위스 자연학자 요한 야코프 폰 추디가 이 종을 붉은배영원속으로 이전시켰다.[2] 1850년 영국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보이에와 테밍크가 기재한 두 종을 현재 사용되는 학명인 '''퀴놉스 퓌로가스테르'''(''Cynops pyrrhogaster'')로 통합하였다.[2][8]

일본붉은배영원은 약 1,375만 년 전 마이오세 중기에 칼꼬리영원에서 분화했다. 두 종의 공통 조상은 현재 동중국해·난세이 제도가 있는 지역에 분포했으며, 당시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된 이 지역에서 더 적합한 환경을 찾아 북쪽 아열대의 일본 열도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붉은배영원은 네 가지 계통군으로 분화되었는데, 북부 계통군(약 968만 년 전), 중부 계통군(823만 년 전), 남부와 서부 계통(약 405만 년 전) 순서로 분리되었다. 최종 빙기 이후 남부를 제외한 모든 계통군이 서식지가 줄었다가 다시 확장되며 번성했다.[11]

주고쿠 지방에서는 중부와 서부 계통군의 서식지가 겹쳐 교배가 일어나는 접경지가 형성되고 있다. 중부 계통군은 서쪽으로 이동 중이며, 이에 따라 혼합 지대도 서쪽으로 넓어지고 있어 서부 계통군의 유전체가 점진적으로 소진될 수 있다.[13]

2. 3. 계통 분류

하인리히 보이에가 일본에서 유럽으로 반입된 표본을 바탕으로 1826년 몰게 퓌로가스테르(''Molge pyrrhogaster'')라는 학명으로 기재했다.[3] 쿤라트 야코프 테밍크와 헤르만 슐레겔은 1838년에 다른 표본을 가지고 살라만드라 수브크리스타타(''Salamandra subcristata'')로 기재했지만, 요한 야코프 폰 추디가 붉은배영원속으로 이전시켰고,[2][7] 1850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퀴놉스 퓌로가스테르(''Cynops pyrrhogaster'')로 통합하였다.[2][8]

일본붉은배영원마이오세 중기인 약 1,375만 년 전 칼꼬리영원에서 분화했다.[11] 동중국해·난세이 제도 지역에 분포했던 공통 조상유라시아 본대륙과 연결된 일본 열도로 이동하여, 북부, 중부, 남부, 서부의 네 계통군으로 분화하였다.[11] 북부 계통군은 약 968만 년 전, 중부 계통군은 823만 년 전, 남부와 서부 계통군은 약 405만 년 전에 분열되었다.[11] 최종 빙기 이후 서식지가 확장되면서 번성했다.[11]

분자분석 결과, 과거 6품종으로 나누던 분류는 4계통군으로 변경되었다.[11] 특히 사사야마·중간형 품종의 분류는 유효성이 부정되며, 두 형태 사이에 행동차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 계통군 간에는 뚜렷한 유전적 차이가 존재한다.[11] 주고쿠 지방에서는 중부와 서부 계통군의 서식지가 겹치는 접경지가 형성되어 서부 계통군의 유전체가 점진적으로 소진될 가능성이 있다.[13]

다음은 일본붉은배영원의 계통도이다.[11]

빗영원속
노꼬리영원속, 사마귀영원속
중국붉은배영원 (C. orientalis), 추숑붉은배영원 (C. cyanurus)
일본붉은배영원 (C. pyrrhogaster)- 칼꼬리영원 (C. ensicauda)- 북부 계통- 중부 계통- 남부 계통- 서부 계통


3. 형태

refer to caption
손 위에 올려놓은 일본붉은배영원


일본붉은배영원은 윗거죽과 아랫거죽이 뚜렷하게 대비되는 색상을 지닌다. 윗면 및 등 쪽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으로, 볼록 나온 잔돌기가 무사마귀처럼 퍼져나와 있다. 배 표면과 꼬리 아랫면은 선홍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나 있다.[14] 새끼 가운데 갓난 것은 붉은색 대신 희뿌연 혼색(混色)을 띠며, 조금 자란 것은 붉은색을 띤다.[14] 큰 섬보다 작은 섬에 분포하는 개체들이 붉은 빛깔이 더 선명한 경향성도 보이며, 어떨 때는 배무늬가 아예 없는 것도 발견된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더 넙적하고 배가 좀더 팽팽히 부풀어 있으며,[15] 특유의 붉은 색조 역시 암컷보다 수컷한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16] 전신이 붉은색을 띠는 변종도 존재하는데 해당 색상을 보유한 형질은 열성이며, 개체군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지만 대체로 서부 계통군에 더 흔하다.[17]

입천장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구개치(口蓋齒)가 있으며 두 줄로 되어 있다. 는 비교적 작아서 입 너비의 절반 정도만 된다. 콧구멍은 전면에 위치하고 있어서 위쪽에서 보면 거의 안 보이고, 가까운 쪽 눈보다는 반대쪽 콧구멍과 더 거리가 가깝다. 수컷은 암컷보다 발가락이 길지만, 암컷은 수컷보다 몸길이가 길다. 꼬리는 양옆이 눌린 듯한 형태로 위아래에 지느러미가 나 있다. 등 쪽에는 목덜미에서 꼬리까지 마루처럼 된 돌기가 져 있다.[18] 몸길이는 성체를 기준으로 8-15cm이고,[19] 주둥이부터 항문까지의 길이는 수컷이 4.3-6.4cm, 암컷이 4.85-7.50cm이다. 북쪽에 분포할수록, 그리고 고지대에 서식할수록 남쪽이나 저지대에 서식하는 개체들보다 크기가 더 큰 경향을 보인다.[20] 알은 직경 2.1-2.3mm이다.[15]

3. 1. 외부 형태

일본붉은배영원은 윗거죽과 아랫거죽이 뚜렷하게 대비되는 색상을 지닌다. 윗면 및 등 쪽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으로, 볼록 나온 잔돌기가 무사마귀처럼 퍼져나와 있다. 배 표면과 꼬리 아랫면은 선홍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나 있다.[14] 새끼 가운데 갓난 것은 붉은색 대신 희뿌연 혼색(混色)을 띠며, 조금 자란 것은 붉은색을 띤다.[14] 큰 섬보다 작은 섬에 분포하는 개체들이 붉은 빛깔이 더 선명한 경향성도 보이며, 어떨 때는 배무늬가 아예 없는 것도 발견된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더 넙적하고 배가 좀더 팽팽히 부풀어 있으며,[15] 특유의 붉은 색조 역시 암컷보다 수컷한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16] 전신이 붉은색을 띠는 변종도 존재하는데 해당 색상을 보유한 형질은 열성이며, 개체군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지만 대체로 서부 계통군에 더 흔하다.[17]

입천장 뒤편에 자리하고 있는 구개치(口蓋齒)가 있으며 두 줄로 되어 있다. 는 비교적 작아서 입 너비의 절반 정도만 된다. 콧구멍은 전면에 위치하고 있어서 위쪽에서 보면 거의 안 보이고, 가까운 쪽 눈보다는 반대쪽 콧구멍과 더 거리가 가깝다. 수컷은 암컷보다 발가락이 길지만, 암컷은 수컷보다 몸길이가 길다. 꼬리는 양옆이 눌린 듯한 형태로 위아래에 지느러미가 나 있다. 등 쪽에는 목덜미에서 꼬리까지 마루처럼 된 돌기가 져 있다.[18] 몸길이는 성체를 기준으로 8-15cm이고,[19] 주둥이부터 항문까지의 길이는 수컷이 4.3-6.4cm, 암컷이 4.85-7.50cm이다. 북쪽에 분포할수록, 그리고 고지대에 서식할수록 남쪽이나 저지대에 서식하는 개체들보다 크기가 더 큰 경향을 보인다.[20] 알은 직경 2.1-2.3mm이다.[15]

3. 2. 성별 차이

일본붉은배영원은 윗거죽과 아랫거죽의 색상이 뚜렷하게 대비된다. 윗면 및 등 쪽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이며, 볼록 나온 잔돌기가 무사마귀처럼 퍼져 있다. 배 표면과 꼬리 아랫면은 선홍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14]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더 넙적하고 배가 좀 더 팽팽히 부풀어 있으며,[15] 특유의 붉은 색조 역시 암컷보다 수컷에게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16] 전신이 붉은색을 띠는 변종도 존재하는데 해당 색상을 보유한 형질은 열성이며, 개체군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지만 대체로 서부 계통군에 더 흔하다.[17] 수컷은 암컷보다 발가락이 길지만, 암컷은 수컷보다 몸길이가 길다. 주둥이부터 항문까지의 길이는 수컷이 4.3-6.4cm, 암컷이 4.85-7.50cm이다.[20]

3. 3. 변이

일본붉은배영원은 윗거죽과 아랫거죽의 색상이 뚜렷하게 대비된다. 윗면 및 등 쪽은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이며, 볼록 나온 잔돌기가 무사마귀처럼 퍼져 있다. 배 표면과 꼬리 아랫면은 선홍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14] 갓난 새끼는 붉은색 대신 희뿌연 혼색(混色)을 띠며, 조금 자란 것은 붉은색을 띤다.[14] 큰 섬보다 작은 섬에 분포하는 개체들이 붉은 빛깔이 더 선명한 경향이 있으며, 배무늬가 아예 없는 것도 발견된다. 수컷은 암컷보다 꼬리가 더 넙적하고 배가 좀 더 부풀어 있으며,[15] 붉은 색조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16] 전신이 붉은색을 띠는 변종은 열성 형질이며, 서부 계통군에 더 흔하다.[17]

구개치(口蓋齒)는 입천장 뒤편에 두 줄로 있으며, 는 입 너비의 절반 정도로 작다. 콧구멍은 전면에 위치하여 위쪽에서 거의 보이지 않고, 가까운 쪽 눈보다 반대쪽 콧구멍과 더 가깝다. 수컷은 암컷보다 발가락이 길지만, 암컷은 수컷보다 몸길이가 길다. 꼬리는 양옆이 눌린 듯한 형태로 위아래에 지느러미가 있으며, 등 쪽에는 목덜미에서 꼬리까지 마루처럼 된 돌기가 있다.[18] 몸길이는 성체를 기준으로 8-15cm이고,[19] 주둥이부터 항문까지의 길이는 수컷이 4.3-6.4cm, 암컷이 4.85-7.50cm이다. 북쪽이나 고지대에 서식할수록 남쪽이나 저지대에 서식하는 개체들보다 크기가 더 큰 경향을 보인다.[20] 알은 직경 2.1-2.3mm이다.[15]

4. 분포와 서식지

일본붉은배영원은 일본 토종으로 오로지 혼슈·시코쿠·규슈와 그 도서지역에서만 발견된다.[1] 친척인 칼꼬리영원이 비교적 면적이 작은 류큐에서만 서식하는 것과는 달리, 작은 섬보다는 큰 섬에서 더 많이 서식한다. 붉은배영원속에 속한 종 가운데서는 가장 북단에 서식하며, 이 종과 칼꼬리영원을 제외한 다른 붉은배영원은 모두 남중국에 서식한다.[11] 또한 본섬으로부터 80km 이상 떨어진 하치조섬에도 시코쿠 개체군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일부가 유입되어 서식 중이다. 이 하치조섬 개체군은 섬으로 유입된 경위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1970년대에 유입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이 존재한다.[21] 미국에서도 매사추세츠주플로리다주에서 3번에 걸쳐 목격되었는데 모두 탈출한 것이거나 고의적으로 방류한 개체들로 밝혀졌으며, 개체군이 정착한 적은 지금껏 없다.[19]

4가지 계통군 중 북부 계통군은 도호쿠간토 지방에, 중부 계통군은 주부간사이 북부, 주고쿠 동부에 분포하고 있어 서식지가 서로 겹치는 일이 없다. 서부 계통군은 간사이 남부, 주고쿠 서부, 규슈 중부에 서식하여 중부 계통군과 서식지가 조금 겹치며, 남부 계통군 역시 규슈 서부 및 남부에서 살고 있어 서식지가 겹치는 곳이 존재한다.[11]

일본붉은배영원은 고산 지대에서도 살아갈 수 있으며 해발고도 30-2,020m에 걸쳐 서식할 수 있다. , 초원, 관목지, 습지, 호수, 소택지,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며, 인공적으로 조성한 저수지수산양식 용도로 만든 연못에서도 살 수 있다.[1]

4. 1. 지리적 분포

일본붉은배영원은 일본 토종으로 혼슈·시코쿠·규슈와 그 도서지역에서만 발견된다.[1] 칼꼬리영원이 비교적 면적이 작은 류큐에서만 서식하는 것과는 달리, 작은 섬보다는 큰 섬에서 더 많이 서식한다. 붉은배영원속에 속한 종 가운데서는 가장 북단에 서식하며, 이 종과 칼꼬리영원을 제외한 다른 붉은배영원은 모두 남중국에 서식한다.[11] 본섬으로부터 80km 이상 떨어진 하치조섬에도 시코쿠 개체군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일부가 유입되어 서식 중이다. 이 하치조섬 개체군은 섬으로 유입된 경위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1970년대에 유입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이 존재한다.[21]

4가지 계통군 중 북부 계통군은 도호쿠간토 지방에, 중부 계통군은 주부간사이 북부, 주고쿠 동부에 분포하고 있어 서식지가 서로 겹치는 일이 없다. 서부 계통군은 간사이 남부, 주고쿠 서부, 규슈 중부에 서식하여 중부 계통군과 서식지가 조금 겹치며, 남부 계통군 역시 규슈 서부 및 남부에서 살고 있어 서식지가 겹치는 곳이 존재한다.[11]

미국에서도 매사추세츠주플로리다주에서 3번에 걸쳐 목격되었는데 모두 탈출한 것이거나 고의적으로 방류한 개체들로 밝혀졌으며, 개체군이 정착한 적은 지금껏 없다.[19] 일본붉은배영원은 고산 지대에서도 살아갈 수 있으며 해발고도 30-2,020m에 걸쳐 서식할 수 있다. , 초원, 관목지, 습지, 호수, 소택지,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며, 인공적으로 조성한 저수지수산양식 용도로 만든 연못에서도 살 수 있다.[1]

4. 2. 서식 환경

일본붉은배영원은 일본 토종으로 혼슈, 시코쿠, 규슈와 그 도서지역에서만 발견된다.[1] 붉은배영원속에 속한 종 가운데서는 가장 북단에 서식하며, 이 종과 칼꼬리영원을 제외한 다른 붉은배영원은 모두 남중국에 서식한다.[11] 본섬으로부터 80km 이상 떨어진 하치조섬에도 시코쿠 개체군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일부가 유입되어 서식 중이다.[21] 미국 매사추세츠주플로리다주에서 3번에 걸쳐 목격되었는데 모두 탈출한 것이거나 고의적으로 방류한 개체들로 밝혀졌으며, 개체군이 정착한 적은 없다.[19]

4가지 계통군 중 북부 계통군은 도호쿠간토 지방에, 중부 계통군은 주부간사이 북부, 주고쿠 동부에 분포하고 있어 서식지가 서로 겹치는 일이 없다. 서부 계통군은 간사이 남부, 주고쿠 서부, 규슈 중부에 서식하여 중부 계통군과 서식지가 조금 겹치며, 남부 계통군 역시 규슈 서부 및 남부에서 살고 있어 서식지가 겹치는 곳이 존재한다.[11]

일본붉은배영원은 고산 지대에서도 살아갈 수 있으며 해발고도 30-2,020m에 걸쳐 서식할 수 있다. , 초원, 관목지, 습지, 호수, 소택지,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며, 인공적으로 조성한 저수지수산양식 용도로 만든 연못에서도 살 수 있다.[1]

5. 생태

일본붉은배영원 한 쌍


일본붉은배영원의 번식은 , 연못 등 민물이 있는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봄부터 초여름까지 암컷이 수컷의 구애를 받아들이면서 번식이 시작된다.[20] 번식기가 되면 암수 모두 펩타이드 페로몬을 분비하는데, 수컷은 sodefrin영어 (소데프린), 암컷은 imorin영어 (이모린)을 분비한다.[22][23] 이 페로몬은 척추동물에서 최초로 확인된 펩타이드 페로몬이자 암컷 척추동물에서 최초로 확인된 페로몬이며, 총배설강에서 분비된다.[24][25]

수컷은 암컷에게 접근하여 총배설강 냄새를 맡고, 꼬리를 암컷에게 향하고 빠르게 진동시킨다. 암컷이 주둥이로 수컷의 목을 밀면, 수컷은 꼬리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고 암컷은 따라간다. 수컷은 정자 덩어리인 정협(精莢)을 흩뿌리고, 암컷은 이를 총배설강에 넣는다.[26] 암컷은 물속 잎이나 수초 뿌리에 알을 낳고, 알은 정협마다 하나씩 수정된다. 한 번에 최대 40개, 번식기 동안 100~4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26]

일본붉은배영원의 정면


알은 3주 만에 부화하며, 유생은 아가미와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처음 3개월 동안 3cm까지 자라고, 5-6개월 후 변태하여 아가미와 지느러미를 잃는다. 아성체는 물에서만 살 수 없으며, 뭍에 나오지 못하면 익사한다.[27][28] 성숙 기간은 고지대보다 저지대가 짧다. 고지대 개체가 더 오래 살지만, 크기는 더 작다. 야생에서는 23세로 추정되는 개체도 발견되었다.[20]

일본붉은배영원의 번식은 , 연못, 개천, 물웅덩이, 하천 등 민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가능하다.[20]

사육 상태에서 유생은 장구벌레, 아르테미아, 지렁이 등을 먹는다.[27] 아성체는 톡토기응애 등 토양 미소동물을 먹기도 한다.[14]

후쿠시마현 아즈마산맥의 아고산대 습지에 사는 성체는 살아있는 먹이와 사체를 모두 먹으며, 다양한 곤충을 섭식한다.[15] 잠자리목 곤충이 많았으며, 애벌레는 온전한 형태로, 어른벌레는 조각만 발견됐다.[15] 파리목의 파리와 벌목잎벌, 말벌, 꿀벌, 개미, 딱정벌레목의 딱정벌레도 먹는다.[15] 일본산청개구리(`Zhangixalus arboreus`)의 올챙이와 동족의 알도 포식 대상이다.[15] 이들의 식성은 계절 및 연도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는 서식 환경의 소동물 구성 변화에 대한 적응 결과로 보인다.[15] 도쿄 하치오지시 도쿄 도립대학 캠퍼스 부지 연못의 개체들은 슐레겔청개구리(`Zhangixalus schlegelii`) 올챙이를 먹는 것을 제외하면 엇비슷한 결과가 나왔다.[30]

일본 본토와 그 주변 도서지역에 서식하는 일본붉은배영원은 포식자를 피하는 회피 행동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쿠에섬과 같은 도서지역의 소형 개체군은 천적과 맞닥뜨리면 운켄 반사를 통해 위협 행동을 하는데, 이는 배의 붉은 부분을 경계색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16] 도서지역에서는 붉은색을 분간할 수 있는 가 주된 천적이므로 경계색을 통한 위협이 효과적이다.[16] 반면, 본토에 서식하는 영원은 색을 뚜렷하게 분간하지 못하는 포유류도 피해야 하므로 운켄 반사를 통한 회피법을 시도하는 횟수가 적다.[16]

일본붉은배영원의 밑면. 붉은 배와 검은 얼룩무늬가 뚜렷하게 보인다.


뱀과 마주치면, 후쿠에섬 개체군은 꼬리를 움직여 뱀의 주의를 꼬리로 돌리려고 한다. 반면 나가사키의 개체군은 같은 상황에서 빠르게 도망친다. 두 지역 모두 뱀이 서식하는데도 행동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토의 영원이 포유동물 천적에게서도 달아나도록 적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야생 일본붉은배영원은 체내에 고농도의 신경독 테트로도톡신(TTX)을 함유하고 있다. 이 독은 조류와 포유류를 포함해 대다수의 척추동물에 작용하는 독으로 나트륨 통로의 활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천적이 선뜻 포식하지 못한다. 한 실험에 따르면, 테트로도톡신은 전적으로 섭취한 먹이의 성분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트로도톡신을 합성할 수 없는 먹이만을 급여하여 키운 새끼 영원들은 유의미한 독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같은 원산지에서 채집한 야생 개체들은 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새끼들의 경우 테트로도톡신이 미량 검출될 때도 있지만, 이는 어미가 알을 낳을 때 독성이 전도된 것으로 보인다.

사육 개체에게 테트로도톡신을 포함한 먹이를 주기 시작했는데, 실험 개체들은 TTX가 함유된 실지렁이를 아무 탈 없이 섭취하고 소화시켰다. 그 뒤 이 개체들의 체내에서 독소가 검출되어 독소의 근원은 먹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아직 일본붉은배영원의 서식지에는 테트로도톡신을 생성하는 생물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존재 가능성은 충분하며 추후 발견될 시 독소의 근원을 더 상세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5. 1. 생활사

일본붉은배영원의 번식은 , 연못 등 민물이 있는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봄부터 초여름까지 암컷이 수컷의 구애를 받아들이면서 번식이 시작된다.[20] 번식기가 되면 암수 모두 펩타이드 페로몬을 분비하는데, 수컷은 소데프린(sodefrin영어), 암컷은 이모린(imorin영어)을 분비한다.[22][23] 이 페로몬은 척추동물에서 최초로 확인된 펩타이드 페로몬이자 암컷 척추동물에서 최초로 확인된 페로몬이며, 총배설강에서 분비된다.[24][25]

수컷은 암컷에게 접근하여 총배설강 냄새를 맡고, 꼬리를 암컷에게 향하고 빠르게 진동시킨다. 암컷이 주둥이로 수컷의 목을 밀면, 수컷은 꼬리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고 암컷은 따라간다. 수컷은 정자 덩어리인 정협(精莢)을 흩뿌리고, 암컷은 이를 총배설강에 넣는다.[26] 암컷은 물속 잎이나 수초 뿌리에 알을 낳고, 알은 정협마다 하나씩 수정된다. 한 번에 최대 40개, 번식기 동안 100~4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26]

알은 3주 만에 부화하며, 유생은 아가미와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처음 3개월 동안 3cm까지 자라고, 5-6개월 후 변태하여 아가미와 지느러미를 잃는다. 아성체는 물에서만 살 수 없으며, 뭍에 나오지 못하면 익사한다.[27][28] 성숙 기간은 고지대보다 저지대가 짧다. 고지대 개체가 더 오래 살지만, 크기는 더 작다. 야생에서는 23세로 추정되는 개체도 발견되었다.[20]

5. 2. 번식

일본붉은배영원의 번식은 , 연못, 개천, 물웅덩이, 하천 등 민물이 있는 곳이면 어디서든 가능하다.[20] 봄에서 초여름까지 암컷이 수컷의 구애를 받아들이면서 번식이 시작된다.[20] 번식기가 되면 암수 모두 펩타이드 페로몬을 분비하는데, 수컷은 소데프린(sodefrin영어), 암컷은 이모린(imorin영어)을 분비한다.[22][23] 이 페로몬들은 척추동물 및 암컷 척추동물에서 최초로 확인된 펩타이드 페로몬이며, 총배설강에서 분비된다.[24][25]

수컷은 암컷에게 접근하여 총배설강 근처 냄새를 맡고, 꼬리를 암컷에게 향하고 빠르게 진동시킨다. 암컷이 주둥이로 수컷의 목을 밀면, 수컷은 꼬리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고 암컷은 꼬리를 따라간다. 수컷은 정협(精莢)을 2-4개씩 흩뿌리고, 암컷은 이를 총배설강에 넣어 수정한다.[26] 암컷은 물바닥에 잠긴 잎이나 수초뿌리를 산란지로 하여 알을 낳으며, 한 번에 최대 40개, 번식기 동안 100~400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26]

알은 3주 만에 부화하며, 부화한 유생은 아가미와 등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처음 3개월 동안 3cm까지 자라고, 5-6개월 후 변태하여 아가미와 지느러미를 잃는다. 아성체는 뭍에 나오지 못하면 익사한다.[27][28] 성숙 기간은 고지대보다 저지대가 더 짧다. 고지대 개체는 수명이 더 길지만 크기는 더 작다. 야생에서는 23세로 추정되는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다.[20]

5. 3. 먹이

사육 상태에서 유생은 장구벌레, 아르테미아, 지렁이 등을 먹는다.[27] 아성체는 톡토기응애 등 토양 미소동물을 먹기도 한다.[14]

후쿠시마현 아즈마산맥의 아고산대 습지에 사는 성체는 살아있는 먹이와 사체를 모두 먹으며, 다양한 곤충을 섭식한다.[15] 잠자리목 곤충이 많았으며, 애벌레는 온전한 형태로, 어른벌레는 조각만 발견됐다.[15] 파리목의 파리와 벌목잎벌, 말벌, 꿀벌, 개미, 딱정벌레목의 딱정벌레도 먹는다.[15] 일본산청개구리(''Zhangixalus arboreus'')의 올챙이와 동족의 알도 포식 대상이다.[15] 이들의 식성은 계절 및 연도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는 서식 환경의 소동물 구성 변화에 대한 적응 결과로 보인다.[15] 도쿄 하치오지시 도쿄 도립대학 캠퍼스 부지 연못의 개체들은 슐레겔청개구리(''Zhangixalus schlegelii'') 올챙이를 먹는 것을 제외하면 엇비슷한 결과가 나왔다.[30]

5. 4. 천적

일본 본토와 그 주변 도서지역에 서식하는 일본붉은배영원은 포식자를 피하는 회피 행동에서 차이를 보인다. 후쿠에섬과 같은 도서지역의 소형 개체군은 천적과 맞닥뜨리면 운켄 반사를 통해 위협 행동을 하는데, 이는 배의 붉은 부분을 경계색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16] 도서지역에서는 붉은색을 분간할 수 있는 가 주된 천적이므로 경계색을 통한 위협이 효과적이다.[16] 반면, 본토에 서식하는 영원은 색을 뚜렷하게 분간하지 못하는 포유류도 피해야 하므로 운켄 반사를 통한 회피법을 시도하는 횟수가 적다.[16]

뱀과 마주치면, 후쿠에섬 개체군은 꼬리를 움직여 뱀의 주의를 꼬리로 돌리려고 한다. 반면 나가사키의 개체군은 같은 상황에서 빠르게 도망친다. 두 지역 모두 뱀이 서식하는데도 행동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토의 영원이 포유동물 천적에게서도 달아나도록 적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5. 5. 독성

야생 일본붉은배영원은 체내에 고농도의 신경독 테트로도톡신(TTX)을 함유하고 있다. 이 독은 조류와 포유류를 포함해 대다수의 척추동물에 작용하는 독으로 나트륨 통로의 활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천적이 선뜻 포식하지 못한다. 한 실험에 따르면, 테트로도톡신은 전적으로 섭취한 먹이의 성분으로부터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트로도톡신을 합성할 수 없는 먹이만을 급여하여 키운 새끼 영원들은 유의미한 독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같은 원산지에서 채집한 야생 개체들은 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새끼들의 경우 테트로도톡신이 미량 검출될 때도 있지만, 이는 어미가 알을 낳을 때 독성이 전도된 것으로 보인다.

사육 개체에게 테트로도톡신을 포함한 먹이를 주기 시작했는데, 실험 개체들은 TTX가 함유된 실지렁이를 아무 탈 없이 섭취하고 소화시켰다. 그 뒤 이 개체들의 체내에서 독소가 검출되어 독소의 근원은 먹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아직 일본붉은배영원의 서식지에는 테트로도톡신을 생성하는 생물의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존재 가능성은 충분하며 추후 발견될 시 독소의 근원을 더 상세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6. 보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일본붉은배영원을 2020년 보존상태를 갱신하여 절멸준위협종으로 분류했다.[1] 본 갱신은 2004년 평가된 등급 최소관심종에서 한 단계 격상시킨 것이다. 단계 격상이 이루어진 데 영향을 미친 위협요인 중 하나는 애완동물 거래용으로 행해지는 채집활동으로, IUCN은 채집이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특히 거주지 근처에서 수효가 격감 중이다.[1]

후쿠이현 쓰루가시 이케노코우치 습지대에서 촬영한 일본붉은배영원 무리


시가현 비와호에서는 데르모키스티디움목에 속하는 단세포 병원체가 일으키는 피부병변을 앓고 있는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이 피부병변은 포자를 퍼트리는 낭포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대부분 외피로 드러나 있었지만 어떤 것은 에서 생겨나기도 했다. 전세계적으로 양서류 개체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 질병은 근처에 서식하는 일본산청개구리와 같은 다른 양서류도 감염시킬 수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오로지 아쓰미반도에서만 산다고 알려진 한 변종은 1960년대를 넘기지 못하고 절멸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2016년 과학자 세 명이 지타반도에 분포하는 영원이 형태적인 특성의 유사성을 들어 같은 변종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양 변종 모두 저온 환경을 선호하고, 피부 감촉이 부드러우며, 등 쪽은 희끗하고 배 쪽은 노란색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이 변종은 극도로 희소하고 취약한 환경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조치가 없으면 곧 명맥이 끊길 수도 있다.[36]

6. 1. 보존 상태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2020년에 일본붉은배영원을 절멸준위협종으로 분류했다.[1] 이는 2004년에 평가된 최소관심종 등급에서 한 단계 상향된 것이다. 이러한 등급 상향은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채집 활동이 영향을 미쳤으며, IUCN은 채집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일본붉은배영원의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특히 서식지 근처에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1]

시가현 비와호에서는 데르모키스티디움목에 속하는 단세포 병원체가 일으키는 피부병변을 앓는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이 피부병변은 포자를 퍼뜨리는 낭포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대부분 외피에 나타나지만 일부는 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이 질병은 전 세계적으로 양서류 개체 수 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인근에 서식하는 일본산청개구리와 같은 다른 양서류도 감염시킬 수 있어 우려된다.

아쓰미반도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 변종은 1960년대를 넘기지 못하고 절멸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16년 과학자 세 명이 지타반도에 분포하는 영원이 형태적 특성의 유사성을 들어 같은 변종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두 변종 모두 저온 환경을 선호하고, 피부 감촉이 부드러우며, 등 쪽은 희끗하고 배 쪽은 노란색을 띠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36] 그러나 이 변종은 매우 희귀하고 취약한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 조치가 없으면 곧 멸종될 수 있다.[36]

6. 2. 위협 요인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일본붉은배영원을 2020년 보존상태를 갱신하여 절멸준위협종으로 분류했다.[1] 이는 2004년 평가된 등급 최소관심종에서 한 단계 격상된 것이다.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특히 거주지 근처에서 수효가 격감하고 있다.[1] IUCN은 애완동물 거래용으로 행해지는 채집이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

시가현 비와호에서는 데르모키스티디움목에 속하는 단세포 병원체가 일으키는 피부병변을 앓고 있는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이 피부병변은 포자를 퍼트리는 낭포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대부분 외피로 드러나 있었지만 어떤 것은 간에서 생겨나기도 했다. 이 질병은 근처에 서식하는 일본산청개구리와 같은 다른 양서류도 감염시킬 수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아쓰미반도에서만 산다고 알려진 한 변종은 1960년대를 넘기지 못하고 절멸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2016년 과학자 세 명이 지타반도에 분포하는 영원이 형태적인 특성의 유사성을 들어 같은 변종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변종은 극도로 희소하고 취약한 환경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보호조치가 없으면 곧 명맥이 끊길 수도 있다.[36]

6. 3. 질병

비와호에서는 데르모키스티디움목에 속하는 단세포 병원체가 일으키는 피부병변을 앓고 있는 일본붉은배영원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이 피부병변은 포자를 퍼트리는 낭포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대부분 외피로 드러나 있었지만 어떤 것은 에서 생겨나기도 했다. 이 질병은 근처에 서식하는 일본산청개구리와 같은 다른 양서류도 감염시킬 수 있어 우려를 사고 있다.

6. 4. 보존 노력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2020년 일본붉은배영원의 보존 상태를 절멸준위협종으로 갱신했다.[1] 이는 2004년 평가된 최소관심종에서 한 단계 격상된 것이다. IUCN은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채집을 주요 위협 요인 중 하나로 지목하며, 채집 중단을 주장한다. 일본붉은배영원의 개체 수는 감소 추세에 있으며, 특히 서식지 근처에서 감소폭이 크다.[1]

시가현 비와호에서는 데르모키스티디움목 단세포 병원체가 일으키는 피부병변을 앓는 개체들이 발견되었다. 이 병은 포자를 퍼뜨리는 낭포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외피 또는 에서 발견된다. 이 질병은 인근 일본산청개구리 등 다른 양서류도 감염시킬 수 있어 우려된다.

아쓰미반도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변종은 1960년대 이후 절멸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16년 과학자들은 지타반도에 분포하는 영원이 형태적 특성상 동일 변종일 가능성을 제기했다.[36] 이 변종은 저온 환경을 선호하고, 피부가 부드러우며, 등은 희끗하고 배는 노란색을 띤다. 그러나 이 변종은 매우 희소하고 취약한 환경에 서식하므로, 적절한 보호 조치가 없으면 멸종될 수 있다.[36]

7. 인간과의 관계

7. 1. 연구

일본붉은배영원은 실험동물로서 유용성을 보이지만 변태 이후로는 관리하기가 어렵다. 일본 학술진흥회가 후원한 실험에서, 티오요소(TU)를 통해 변태를 차단하고 유생 상태로 약 2년간 관리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TU 용액을 다시 제거하여 변태를 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방법은 재생력에 아무런 장애를 미치지 않았다.[27]

도롱뇽목에 속한 다른 도롱뇽 및 영원 종류와 마찬가지로, 일본붉은배영원은 절단된 신체 부위를 다시 돋아나게 하는 끈질긴 재생력을 지니고 있다. 재생시킬 수 있는 신체부위의 범위는 네 다리와 관절부터 아래턱에 이르기까지 매우 넓다.[38][39] 심지어는 수정체를 잃어도 재생시킬 수 있으며, 유생은 30일, 성체는 80일 정도가 지나면 다시 재생된다.[40]

일본붉은배영원은 모틸린을 생성한다. 이는 많은 종류의 척추동물이 생성하는 펩타이드의 일종으로 위장관 수축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일본붉은배영원의 경우 작은창자이자에서 분비되는데, 이자에서 모틸린을 생성하는 경우는 일본붉은배영원에서 처음 관찰되었다. 또한 이자에서 인슐린을 분비하기도 한다. 모틸린이 양서류에서 발견된 것 역시 이 사례가 처음으로, 양서류의 몸에서도 모틸린이 조류와 포유류의 몸에서 맡았던 일을 비슷하게 수행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자에서 생기는 모틸린의 존재로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모틸린의 역할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 역시 시사한다.[37]

도쿄 가사이 임해 수족원의 일본붉은배영원

7. 2. 사육

일본붉은배영원은 사육 환경에서 기를 수도 있다. 수의학 박사 리안 맥클라우드에 따르면 일본붉은배영원은 비교적 관리 부담이 적은 동물로서, 실지렁이, 아르테미아, 물벼룩 등을 즐겨 먹으며, 좀 더 자란 개체의 경우 구피도 먹을 수 있다.[41]

참조

[1] 간행물 "''Cynops pyrrhogaster''" 2021
[2] 저널 "''Cynops pyrrhogaster'' (Boie, 1826)" https://amphibiansof[...] 2023-01-08
[3] 문서
[4] 저널 Isis von Oken https://www.biodiver[...] 2023-01-08
[5] 서적 Kenteekenen van eenige Japansche Amphibiën https://www.biodiver[...] Joh. F. Snelleman 2022-10-28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electronic resource]: from aalge to zusii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2022-11-13
[7] 서적 Classification der Batrachier: mit Berucksichtigung der fossilen Thiere dieser Abtheilung der Reptilien / von J. J. Tschudi https://www.biodiver[...] 뇌샤텔 대학교 2022-10-28
[8] 서적 Catalogue of the Specimens of Amphib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art II. Batrachia gradientia, etc https://www.biodiver[...]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2022-10-28
[9] 저널 Relationships of the salamandrid genera ''Paramesotriton'', ''Pachytriton'', and ''Cynops'' based on mitochondrial DNA sequences https://bioone.org/j[...] 2022-10-28
[10] 웹인용 "''Cynops pyrrhogaster''" https://www.itis.gov[...] 2022-10-30
[11] 저널 Phylogeny and historical demography of ''Cynops pyrrhogaster'' (Amphibia: Urodela): Taxonomic 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al changes associated with climatic oscillations https://www.scienced[...] 2022-10-28
[12] 저널 The Mating behavior of ''Cynops pyrrhogaster'' from Gifu and Aichi Prefectures, Central Japan, in captivity https://www.jstage.j[...] 2022-10-30
[13] 저널 Genomic displacement and shift of the hybrid zone in the Japanese fire-bellied newt https://academic.oup[...] 2022-10-29
[14] 저널 Food habit of the juvenile of the Japanese newt ''Cynops pyrrhogaster'' 2003-07
[15] 저널 Food habits of the adult Japanese newt https://bioone.org/j[...] 2022-10-30
[16] 저널 A parallel geographical mosaic of morphological and behavioural aposematic traits of the newt, ''Cynops pyrrhogaster'' (Urodela: Salamandridae): parallel variation in aposematic traits 2009-06-23
[17] 저널 Red variants of the Japanese newt ''Cynops pyrrhogaster'' (Amphibia: Salamandridae): review of records and captive observations on the heredity of coloration https://www.jstage.j[...] 2022-10-30
[18] 저널 Herpetology of Japan and adjacent territory https://www.biodiver[...] 2022-10-30
[19] 웹인용 "''Cynops pyrrhogaster''" https://nas.er.usgs.[...] 2022-10-27
[20] 저널 Variation in age and size among breeding populations at different altitudes in the Japanese newts, ''Cynops pyrrhogaster'' https://brill.com/vi[...] 2022-10-29
[21] 저널 Origin and genetic uniformity of introduced population of ''Cynops pyrrhogaster'' (Amphibia: Urodela) on Hachijojima Island https://bioone.org/j[...] 2022-10-30
[22] 문서
[23] 저널 Beyond sodefrin: evidence for a multi-component pheromone system in the model newt ''Cynops pyrrhogaster'' (Salamandridae) 2016-03-03
[24] 저널 Imorin: a sexual attractiveness pheromone in female red-bellied newts (''Cynops pyrrhogaster'') 2017-01-25
[25] 저널 Sodefrin: A female-attracting peptide pheromone in newt cloacal glands https://www.jstor.or[...] 2022-10-29
[26] 저널 Female preference for both behavior and morphology traits of the male Japanese newt ''Cynops pyrrhogaster'' https://link.springe[...] 2022-10-30
[27] 저널 Metamorphosis inhibition: an alternative rearing protocol for the newt, ''Cynops pyrrhogaster'' https://www.research[...] 2022-10-30
[28] 저널 Expressing exogenous genes in newts by transgenesis https://go.gale.com/[...] 2022-10-30
[29] 문서
[30] 저널 https://www.jstage.j[...] 2007
[36] 저널 A morphological study of ''Cynops pyrrhogaster'' from the Chita Peninsula: rediscovery of the 'extinct' Atsumi race endemic to peninsular regions of Aichi Prefecture, Central Japan https://bioone.org/j[...] 2016-02
[37] 저널 Identification of motilin in Japanese fire bellied newt 2022-07
[38] 저널 Reintegration of the regenerated and the remaining tissues during joint regeneration in the newt ''Cynops pyrrhogaster'' 2015-02
[39] 저널 Comparison of molecular and cellular events during lower jaw regeneration of newt (''Cynops pyrrhogaster'') and West African clawed frog (''Xenopus tropicalis'') 2008-02
[40] 저널 Lens regenerates by means of similar processes and timeline in adults and larvae of the newt ''Cynops pyrrhogaster'' https://anatomypubs.[...] 2012-10
[41] 웹인용 Fire Belly Newt: Species Profile https://www.thespruc[...] 2022-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