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전동 (용인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전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용인 지역의 일부로, 풍덕천 지역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1973년 수지면으로 복원되었으며, 2001년 수지읍의 분동으로 죽전1동과 죽전2동으로 나뉘었다. 2021년 죽전1동에서 죽전3동이 분동되었다.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가 위치하며, 수지 레스피아, 아르피아 체육공원 등 편의 시설과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선사 유적, 삼국시대 고분군, 고려 시대 가마터 등 문화재 및 유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2001년 설치 - 화성시
화성시는 경기도 남부에 위치하며 2001년 화성군에서 승격되었고 사도세자의 능인 융릉의 '화성'에서 유래, 동북부는 산지, 중앙은 구릉, 서부는 평야,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며 철도와 고속도로 교통망이 발달한 2025년 특례시 승격 예정 도시이다. - 2001년 설치 - 광주시 (경기도)
광주시는 기원전 6년 백제의 수도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관요가 설치되어 백자 제작이 성행했고, 200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제조업, 상업 및 서비스업이 주요 산업이고 남한산성, 팔당호, 광주경기도자박물관 등이 관광 명소이다. - 수지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수지구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죽전동 (용인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죽전동 |
한글 | 죽전동 |
한자 | 竹田洞 |
로마자 표기 | Jukjeon-dong |
행정 구역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시/도 | 경기도 |
시/군/구 | 용인시 수지구 |
면적 정보 | |
면적 | 5.53 km2 |
인구 정보 (2008년 기준) | |
총 인구 | 86644명 |
하위 행정 구역 | |
죽전1동 | 면적: 3.1 km2 세대: 20,719 (2020년 8월 기준) 인구: 29,094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 죽전동 통: 35 반: 264 동주민센터: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대지로15번길 50 홈페이지: 죽전1동 행정복지센터 |
죽전2동 | 면적: 2.7 km2 세대: 7,442 (2020년 8월 기준) 인구: 18,311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 죽전동 통: 22 반: 194 동주민센터: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포은대로 523 홈페이지: 죽전2동 행정복지센터 |
죽전3동 | 인구: 26,916 (2022년 2월 기준) 법정동: 죽전동 통: 33 반: 252 동주민센터: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대지로 42 홈페이지: 죽전3동 행정복지센터 |
기타 정보 | |
![]() |
2. 역사
고려시대에는 용구현 수진면, 조선시대 태종 13년(1413년)에는 용인현 수진면이었다.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수진면 풍덕천 등지의 일부가 수지면 죽전리로 병합되었다. 이후 일제는 일본인 거류민단(居留民團)의 자치와 식민지 지배를 위해 수지면 죽전리를 읍삼면으로 강제 포함시켰고, 1937년 중앙계획소안 수도이전 사전계획에 따라 구성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73년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의해 다시 수지면으로 복원되었다.[1]
죽전동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고려 명종 2년(1172년) | 용구현으로 개칭. 용구현 광주목.[3] |
조선 태종 13년(1413년) | 용인현 수진면(水眞面).[3] |
조선 고종 32년(1895년) | 23부제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됨. 용인군 수진면 죽전동.[3] |
1914년 | 일제강점기 용인군 수진면 풍덕천에서 감바위(玄岩), 점촌,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를 수지면 죽전리(죽전동), 토월리(吐月里), 신리(新里), 정평리(亭坪里)를 수지면 풍덕천리(풍덕천동)으로 병합함. 일제는 일본인 거류민단의 자치와 식민지 지배를 위해 수지면 죽전리가 읍삼면(구성면)으로 강제 포함되고, 1937년 일제의 중앙계획소안 수도이전 사전계획 측량작업에 따라 읍삼면은 구성면으로 개칭.[3] |
1973년 7월 1일 |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따라 일제에 의해 강제 포함된 구성면 죽전리가 원래의 수지면으로 행정 복원됨.[3] |
1996년 3월 1일 | 수지면이 수지읍으로 승격, 용인군이 도농복합도시 형태의 시로 승격.[3] |
2001년 12월 24일 | 수지읍을 수지출장소로 승격, 죽전1동, 죽전2동 등 6개동 분할.[3] |
2004년 8월 23일 | 「행정동 설치 관련 기본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3] |
2005년 6월 17일 | 분동체제로 전환을 위한 주민의견수렴, 과대동 체제에서 소 지역단위 분동체제로 전환.[3] |
2005년 7월 18일 | 「일반구 및 행정동 설치」승인.[3] |
2005년 8월 30일 | 용인시 기구 및 정원 최종 승인(행정자치부), 청사 확보, 인력배치, 각종 시설 공사.[3] |
2005년 10월 31일 | 수지출장소가 수지구로 승격.[3] |
2021년 9월 6일 | 죽전1동에서 죽전3동으로 분동.[3] |
2. 1. 지명 유래
죽전동은 본래 용인군 수진면(水眞面)의 죽전동(竹田洞)이었다. 용인군 수진면 풍덕천(豊德川)에 큰 못이 있어 대지(枝) 또는 죽전(竹田)이라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용구현 수진면, 조선시대 태종 13년에는 용인현 수진면이었다. 수진면에 속한 행정구역은 성복동, 죽전동, 서봉동, 신리, 정평리, 동막리, 손기리, 고분현이었다.[1]1872년 지방지도 용인현에는 풍덕천장기(豊德川場基)라 하여 수진면 명칭으로 토월리, 죽전동, 성복동이 확인되며 탄천 유역을 형성하고 있다. 수진면 죽전동은 풍덕천(풍덕천동) 지역으로 포은 정몽주의 면례(緬禮) 행렬이 이어진 풍덕천 지역에서 음운변화를 일으켜 죽절(竹節)로부터 죽전(竹田)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1]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 때 수진면 풍덕천에서 토월리, 신리, 정평리 일부를 풍덕천리, 감바위, 점촌,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를 포함한 풍덕천동 일부가 수지면 죽전리로 병합되었다. 이후 일제 일본인들 거류민단(居留民團)의 자치와 식민지 지배를 위해 수지면 죽전리는 읍삼면으로 강제 포함되었고, 1937년 중앙계획소안 수도이전 사전계획에 따라 구성면으로 개칭되었다가 1973년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의해 다시 수지면으로 이속해 복원하였다.[1]
전해지는 이야기로 대지(大池)는 어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이 마을에서 득세하였을 때 마을 앞에 큰 연못을 파고 대지(枝)라 부르게 하였기 때문이라는 것으로, 고기는 물이 있어야 살 수 있다는 풍수적인 소응(昭應)을 관련짓는 속설이다. 또 다른 설로 모현면으로 넘어가는 고개의 명칭인 돼지고개는 '큰 고개' 대치(大峙)의 변음으로 결국 대치고개 아래 있는 마을이기 때문에 대지라 부른 것인데, 대지(枝) 마을 앞에 있는 다리를 죽전교(竹田橋)라 부르는 것을 보면 오히려 대지는 죽전(竹田, 대나무 밭)의 한글 표기로 보인다. 1898년 지방지도에도 죽전(竹田)이라는 명칭이 확인된다. 이 명칭은 '풍덕천(豐德川)'의 지명으로 ‘죽절(竹節)'에서부터 불리게 되어 음운변화가 일어난 것이다.[1]
기록에는 삼남대로인 죽절(竹節)에 홀연히 명정이 날아올랐는데 이곳에 포은 정몽주의 면례가 왔던 곳이라 하여 풍덕(豐德), 풍덕래(豐德來) 또는 이장하는 도중 명정이 날아오른 곳에서 풍덕천(豐德川)으로 표기되어 있다. 풍덕천의 이 마을은 어떤 식으로든 대나무와 관련되어 있다. 대나무하면 충절 · 절개를 상징하는데, 모현면 능원리에는 고려 말 충신 포은 정몽주의 묘소가 있다.[1]
전해지는 이야기로 1411년 개풍군의 풍덕(豐德)에 있던 포은 정몽주의 묘소를 경상북도 영천으로 이장하려 할 때, 포은 정몽주의 면례 행렬이 옛 수지읍 풍덕천리(수진면 풍덕천)에 이르자 면례 행렬 앞에 세웠던 명정이 바람에 날려 떨어졌고 사람들이 명정이 떨어진 곳을 쫓아가 주위 형세를 보니 명당자리라 하여 개풍군에 있던 포은의 무덤을 용인에 쓴 후, 포은 정몽주의 면례 행렬이 이어진 풍덕천의 지명을 죽절(죽전동)이라 불렀다. 그렇다면 포은 정몽주의 충절을 의미하는 대나무를 떠올려 이 마을의 이름을 죽절(竹節) · 죽전 등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단국대학교의 앞 마을이 '성현마을'로 불리고 있어 무관하지 않은 유래이다.[1]
2. 2. 연혁
- 고려 명종 2년(1172년): 용구현으로 개칭. 용구현 광주목.[3]
- 조선 태종 13년(1413년): 용인현 수진면(水眞面).[3]
- 조선 고종 32년(1895년): 23부제 실시에 따라 용인현이 용인군이 됨. 용인군 수진면 죽전동.[3]
- 1914년: 일제강점기 용인군 수진면 풍덕천에서 감바위(玄岩), 점촌, 대지(枝), 내대지(안대지말), 풍덕내를 수지면 죽전리(죽전동), 토월리(吐月里), 신리(新里), 정평리(亭坪里)를 수지면 풍덕천리(풍덕천동)으로 병합함. 일제 일본인들 거류민단의 자치와 식민지 지배를 위해 수지면 죽전리가 읍삼면(구성면)으로 강제 포함되고 1937년 일제의 중앙계획소안 수도이전 사전계획 측량작업에 따라 읍삼면은 구성면으로 개칭.[3]
- 1973년 7월 1일: 대한민국 대통령령 제1983호에 따라 일제에 의해 강제 포함된 구성면 죽전리가 원래의 수지면으로 행정 복원됨.[3]
- 1996년 3월 1일: 수지면이 수지읍으로 승격, 용인군이 도농복합도시 형태의 시로 승격.[3]
- 2001년 12월 24일: 수지읍을 수지출장소로 승격, 죽전1동, 죽전2동 등 6개동 분할.[3]
- 2004년 8월 23일: 「행정동 설치 관련 기본계획 수립 및 실태조사」.[3]
- 2005년 6월 17일: 분동체제로 전환을 위한 주민의견수렴 과대동 체제에서 소 지역단위 분동체제 전환.[3]
- 2005년 7월 18일: 「일반구 및 행정동 설치」승인.[3]
- 2005년 8월 30일: 용인시 기구 및 정원 최종 승인(행정자치부), 청사 확보, 인력배치, 각종 시설 공사.[3]
- 2005년 10월 31일: 수지출장소가 수지구로 승격.[3]
- 2021년 9월 6일: 죽전1동에서 죽전3동으로 분동.[3]
3. 인구
3. 1. 죽전1동
용인시 전체 인구의 6.2%를 차지하는 죽전1동은 2020년 8월 기준 내국인 인구가 56,682명이다. 남자는 27,381명, 여자는 29,301명이며 20,719세대가 거주한다. 외국인은 622명이다.[4]죽전1동은 도시 지역 특성상 유소년 인구 비율(19.7%)이 용인시 전체(18.3%)보다 높고, 노인 인구 비율(9.3%)은 용인시 전체(10.3%)보다 낮다.[5]
탄천 서쪽에 위치한다.
3. 2. 죽전2동
탄천 동쪽에 위치해 있다. 2020년 8월 기준으로 죽전2동의 인구는 18,449명(내국인)이며 용인시 전체 인구의 2.1%를 차지한다. 남자 9,102명, 여자 9,347명, 세대수는 7,442세대이며 외국인은 74명이다.[6] 인구구조는 유소년인구비율 16.1%, 노인인구비율 9.0%이다.[7]4. 교육 기관
죽전동에는 초등학교 8개교,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3개교, 대학교 1개교(단국대학교)가 있다.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4. 3. 고등학교
죽전고등학교대지고등학교
현암고등학교
4. 4. 대학교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5. 아파트
죽전동에는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우미건설, 한라건설, 극동건설 등 다양한 건설사의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꽃메마을 현대홈타운 4차 3단지 | 현대건설 | 현대6차 죽전연합주택조합 | 수지구 죽전로 87 | 2004년 6월 | |
꽃메마을 현대홈타운 4차 2단지 | 현대6차 푸른죽전연합주택조합 | 수지구 푸른솔로 56 | |||
꽃메마을 현대홈타운 4차 4단지 | 죽전4차 현대주택연합조합 | 수지구 푸른솔로 20 | |||
대지마을 현대홈타운 2차 | 서산주택조합 | 수지구 현암로 54 | 2001년 8월 | ||
대지마을 현대홈타운 3차 2단지 | 현대건설 | 2003년 4월 | |||
도담마을 힐스테이트 4차 1단지 | |||||
내대지마을 힐스테이트 | 2004년 6월 | ||||
새터마을 힐스테이트 | 죽전2차 현대주택연합조합 죽전3차 현대주택연합조합 | ||||
인현마을 힐스테이트 7차 1단지 | ㈜디엠산업개발 | 수지구 탄천상로 6 | 2004년 9월 | ||
인현마을 힐스테이트 7차 2단지 | |||||
꽃메마을 아이파크 | 현대산업개발 | 아이파크 죽전연합조합 | 수지구 죽전로 121 | 2004년 7월 | |
도담마을 롯데캐슬 | 롯데건설 | 대진종합건설㈜ | 2002년 3월 | ||
도담마을 죽전 파크빌 | 대진건설 | 1997년 6월 | |||
도담마을 한양수자인 | ㈜보성 | ㈜새창조건설 | 2004년 12월 | ||
도담마을 우미이노스빌 1차 | 우미건설 | ㈜우미개발 | |||
성현마을 우미이노스빌 2차 | ㈜새빛종합건설 | ||||
성현마을 반도유보라 | 반도건설㈜ | ||||
꽃메마을 한라프로방스 1차 | 한라건설㈜ | ㈜신영 | 2004년 6월 | ||
꽃메마을 한라프로방스 2차 | |||||
꽃메마을 극동스타클래스 | 극동건설 | ||||
성현마을 주공3단지 | 대한주택공사 | 국민임대 | |||
도담마을 주공8단지 | ㈜신일건설 | ||||
내대지마을 주공5단지 | |||||
내대지마을 LG | ㈜엘지건설 | 1998년 11월 | |||
내대지마을 건영캐스빌 | colspan=2 | | ||||
새터마을 모아미래도 | colspan=2 | |
6. 기타 시설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은 죽전에 있으며, 영화관 체인 CGV가 입점해 있다. 이마트 죽전점, 분당선 죽전역과 연결되어 있다.
죽전 패션타운은 약 250개 매장이 있어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찾아오며, 중국, 대만 등 관광객들도 방문한다.[2]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직전에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현재 7개의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2] 오리역에서 죽전 교차로에 이르는 성남대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2]
7. 교통
국도 제43호선이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성복동, 풍덕천동을 거쳐 죽전동을 지난다. 분당선 죽전역(별칭: 단국대역)이 있다. 시내버스와 광역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구분 | 노선 번호 |
---|---|
도시형 버스 | 27, 27-5, 60, 67, 67-1, 68, 101, 116, 116-1, 116-3, 390, 660, 690, 720-2, 720-3, 820, 1116 |
좌석 버스 | 102, 1005-1, 1005-2, 1303, 1500-3, 2002-1, 2003, 5500-1, 7007-1, 8100, 8101, 8251, 9001, 9404, 9409, 9414 |
7. 1. 도로
국도 제43호선이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성복동, 풍덕천동을 거쳐 죽전동을 지난다.7. 2. 지하철
분당선 죽전역(별칭: 단국대역)이 있다.7. 3. 버스
city type영어 버스와 express영어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노선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구분 | 노선 번호 |
---|---|
도시형 버스 | 27, 27-5, 60, 67, 67-1, 68, 101, 116, 116-1, 116-3, 390, 660, 690, 720-2, 720-3, 820, 1116 |
좌석 버스 | 102, 1005-1, 1005-2, 1303, 1500-3, 2002-1, 2003, 5500-1, 7007-1, 8100, 8101, 8251, 9001, 9404, 9409, 9414 |
8. 문화재 및 유적
수지구 죽전동 지역에서는 선사 유적과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의 고분군, 고려청자를 비롯한 각종 도기를 굽던 가마터(요지)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죽전동 선사 유적은 세 곳에 분포되어 있는데, 죽전택지개발지구 내 현대홈타운 건설 부지 일원의 '선사유적1'(대덕골 유적), 죽전동 898-2 일대의 '선사유적2', 죽전동 산7 일대의 '선사유적3'으로 구분된다.
'대덕골 유적(龍仁 대덕골遺蹟)'은 2002년 기전문화재연구원의 오리역-죽전역 간 복선 전철 건설공사 구간 지표 조사와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의 2003년 용인 지역 광역지표 조사 때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움집, 삼국시대 토광묘와 석곽묘, 조선시대 수혈유구와 분묘가 조사되었다.
'죽전동 선사유적1'은 경기도 용인시와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의 경계를 이루는 구릉성 산지의 가지능선부에 해당하며 해발고도는 약 95m 내외이다. '죽전동 선사유적2'는 성남시에서 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방향으로 난 성남대로변 의류할인매장 뒤편 민묘군이 있는 작은 구릉지에 있다. '죽전동 선사유적3'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용인시 경계의 꽃무두리라고 하는 작은 구릉지 상면에 있으며, 대지마을 중앙하이츠빌아파트가 남쪽에 접해 있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 있는 백제 주거 유적지는 '수지 죽전동 유적'으로 불린다. 2003년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의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며, 주거지 2기 및 다수의 수혈유구가 확인되었다. 백제토광묘에서는 목관(곽)묘 형태로 고배, 직구단경호, 심발형토기, 광구장경호가 출토되었는데, 이는 한성백제 2기에 해당한다.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에는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고분군도 있었다. 이 고분군은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과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의 경계를 이루는 숫돌봉에서 서편으로 뻗어 나간 능선부 중 해발 100m 내외의 야트막한 구릉지에 있었다.
대규모 택지 개발과 단국대학교 수지캠퍼스 부지 조성 과정에서 '죽전동 요지(竹田洞 窯址)'가 발견되었다. '죽전동 요지1'은 원래 죽전동 도담마을 동쪽 약 500m 둔덕에, '죽전동 요지2'는 김세필 묘역(문화재자료 92호) 남단에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훼멸되었다.
'죽전동 요지1'은 현재 꽃메마을 극동 스타클래스아파트 뒤편에 일부 남아있으며, 2001년 기전문화재연구원에 의해 발굴조사되었다. 이곳에서는 고려시대 도기를 굽던 가마 유구와 다량의 도기편이 발견되었고, 가마 바닥에서는 11세기말에서 12세기 초로 추정되는 고려청자완 1점이 온전한 상태로 발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죽전동
http://100.naver.com[...]
Doosan Encyclopedia
2011-10-23
[2]
웹사이트
죽전 아울렛거리
http://yongin.grandc[...]
Yongin City
2011-10-25
[3]
법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4]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바다 2015. 2월말 용인시 읍면동별 내국인 인구 구성비
http://yongin.estat.[...]
[5]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바다 2015. 2월말 용인시 읍면동 연령별 인구 현황
http://yongin.estat.[...]
[6]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바다 2015. 2월말 용인시 읍면동별 내국인 인구 구성비
http://yongin.estat.[...]
[7]
웹사이트
용인시 통계바다 2015. 2월말 용인시 읍면동 연령별 인구 현황
http://yongin.est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