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는 2006년부터 운행을 시작한 수도권 전철용 전동차이다. 도시바 VVVF-IGBT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강 차체를 사용하며, 311000호대 전동차와 기술적 사양을 공유한다. 1차분은 311000호대, 5000호대 및 6000호대 전동차를 개조하여 제작되었으며,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2차분, 2009년에 3차분이 도입되었다. 2011년에는 6량 운행을 시작했으나, 2014년까지 8량으로 환원되었다. 현재 21개 편성이 운행 중이며, 2031년에는 4차분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는 경의·중앙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로,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차체, 비상탈출용 사다리, 넓은 운전실 창문, LCD 모니터, 컬러 디스플레이, VVVF-IGBT 제어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며 문산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운행된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문산차량사업소
문산차량사업소는 한국철도공사의 차량기지로, 수도권 전철 노선 전동차의 관리 및 정비, 특히 321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담당하며, 331000호대, 319000호대(319x05F 편성), 381000호대(381x01F~381x04F 편성), 311000호대·312000호대, 210000호대(ITX-새마을) 등의 차량 정비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문산역 인근에 위치한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차량 이름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
제작 회사 | 현대로템 (321-01~321-18 일부) 현대로템 (321-18 일부~321-21) |
제작 연도 | 2006년 (321-01~321-18 일부) 2008년 (321-18 일부) 2009년 (321-19~321-21) |
개조 연도 | 2010년-2011년 |
운행 시작 | 2008년-현재 |
소속 | 한국철도공사 |
차량 기지 | 용문 |
운행 노선 | 경의·중앙선 |
차체 | 강철 |
출입문 | 한쪽 면당 4개, 차량당 8개 |
편성 당 차량 수 | 8량 |
편성 | Tc-M-M'-T-T-M-M'-TC |
궤간 | 1435mm |
성능 | |
최고 속도 | 110km/h |
가속도 | 3.0km/h/s |
감속도 (상용) | 3.5km/h/s |
감속도 (비상) | 4.5km/h/s |
주 전동기 | 도시바 COVO52-A0 VVVF-IGBT 추진 시스템, IGBT 1C4M 모터 |
편성 출력 | 4400kW (5900마력), 3,520kW(5320마력) |
전기 및 제어 장치 | |
전기 방식 | 교류 25 kV 60 Hz 가공 전차선 1.5 kV 직류 가공 전차선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제어 장치 |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 (도시바) 2레벨 1C4M 제어 |
제동 방식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공기 제동 |
구동 방식 | WN 드라이브 |
보안 장치 | ATS |
치수 및 중량 | |
차량 길이 | 중간차: 20,000mm 선두차: 20,250mm |
차량 폭 | 3,200mm |
차량 높이 | 4,500mm |
편성 무게 | 285.5t |
차량 무게 | 선두차(Tc): 33.0t M1: 38.0t M2: 42.0t T1: 32.0t T2: 27.5t |
수송 능력 | |
편성 정원 | 1,256명 (좌석 420석) |
차량 정원 | 선두차: 148명 (좌석 48석) 중간차: 160명 (좌석 54석) |
기타 정보 | |
연결기 | 시바타식 연결기 |
MT비 | 4M 4T |
용도 | 통근형 전동차(광역철도 전용) |
생산량 | 21개 편성 168량 |
제작 예정 | 2031년: 4차분 32122~32139 (예정) |
2. 기술적 사양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는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형과 유사한 기술 사양을 갖추고 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제어 장치: 도시바사의 VVVF-IGBT 소자를 사용하며, 1C4M(하나의 제어 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 방식을 채택했다. 우진산전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제어 장치도 사용되며, 모든 차량에 IGBT 소자가 장착되어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수동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사용한다.[1]
- 주전동기: 다람쥐형 3상 유도전동기를 채택했다.
- 제동 장치: 회생 제동을 병용한 전기지령식 공기 브레이크를 사용한다.[1]
- 차체: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며, 객용 출입문 외측과 전면 창 아래에는 적색과 청색의 악센트가 있다.[1]
- 대차: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했다.[1]
- 집전장치: 팬터그래프는 하부틀 교차식이며, 일부 전동차에는 2개를 탑재한다.
- 행선표시기: LED|발광 다이오드일본어식 행선표시기를 사용한다.[1] 중앙전철선에서 편입된 차량을 제외하고 전두부에 설치된 행선표시기는 기존 차량보다 크다.[1]
- 실내 설비: 초기 편성(32101~32114편성)은 311000호대 3세대형과 동일한 LED 전광판을, 후기 편성(32115~32121편성)은 319000호대, 331000호대와 동일한 LCD 모니터를 사용한 승객 안내 장치를 설치하였다. 끝 차량에는 휠체어 공간이 있으며, 일부 편성(32120~32121편성)에는 자전거 거치대와 접이식 좌석이 있다.
- 승무 설비: 초기 편성은 311000호대 3세대형과 유사했으나, 중앙선 연장 개통 및 1인 승무 시행으로 일부 개조되었다.[3] 후기 편성은 331000호대와 동일한 1인 승무 설비를 갖추었다.
편성321000호대 전동차는 Tc-M-M'-T-T-M-M'-Tc의 8량 편성으로 구성되며, 각 차량의 역할과 탑재 기기는 다음과 같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210XX (50XX, 60XX)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
3211XX (52XX, 62XX) | M (주변환장치) |
3212XX (53XX, 63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213XX (58XX, 68XX) | T (무동력객차) |
3214XX (59XX, 69XX) | T (무동력객차) |
3215XX (56XX, 66XX) | M (주변환장치) |
3216XX (57XX, 67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219XX (51XX, 61XX)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 탑재
- M: 제어기기와 전동기 탑재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탑재
- T: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은 무동력 객차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소속 |
---|---|---|---|---|---|---|---|---|---|
형식 | 321000형 | 321100형 | 321200형 | 321300형 | 321400형 | 321500형 | 321600형 | 321900형 | |
구분 | Tc | M | M' | T | T | M | M' | Tc | |
탑재기기 | SIV,CP,BT | CI | CI,Mtr | CI | CI,Mtr | SIV,CP,BT | |||
차량질량 | 33ton | 38ton | 42ton | 27.5ton | 27.5ton | 38ton | 42ton | 33ton | |
차량번호 | 321001 : 321021 | 321101 : 321121 | 321201 : 321221 | 321301 : 321321 | 321401 : 321421 | 321501 : 321521 | 321601 : 321621 | 321901 : 321921 |
- CI (Converter・Inverter): 주변환장치 (컨버터 장치 + VVVF 인버터 장치)
- SIV: 정지형 인버터
- CP: 공기압축기
- BT: 축전지
- Mtr: 주변압기
- 팬터그래프는 M' (321200형, 321600형)에 하부틀 교차형을 2기씩 탑재한다.
2. 1. 제어기기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형과 마찬가지로 도시바사의 VVVF-IGBT 소자가 장착되었으며, 하나의 제어장치가 4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였다. 기본적으로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형과 마찬가지로 도시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제어 장치가 장착되었으며, 전 차량이 IGBT 소자가 장착되기 때문에 히트파이프에 의한 자연 냉각 방식의 COVO52-A0형 주제어장치를 채용하였다.모든 열차는 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수동 냉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열차는 재생 제동 장치를 갖추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열차 검사를 간소화하며, 전동 도어 모터를 사용한다.
주제어기는 IGBT 소자를 사용한 2레벨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이며, 1대의 제어기로 주전동기를 4대 제어하는 1C4M 방식이다. 주전동기는 다람쥐형 3상 유도전동기를 채용하고 있다.
브레이크 방식은 회생브레이크를 병용한 전기지령식 공기 브레이크이다.
팬터그래프는 하부틀 교차식이며, 일부 전동차에는 2개를 탑재한다. 대차는 볼스터리스식이다.
2. 2. 차체 및 대차
차체에는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형과 마찬가지로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하여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1] 모든 열차는 IGBT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수동 냉각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 또한 열차는 재생 제동 장치를 갖추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열차 검사를 간소화하며, 전동 도어 모터를 사용한다.[1]차체는 5000계 등과 마찬가지로 비드 프레스가 적용된 경량 스테인리스강 차체이다.[1] 객용 출입문 외측과 전면 창 아래에는 적색과 청색의 악센트가 들어가지만, 양쪽에서 색상 배치를 반대로 하고 있다.[1]
객용 출입문 배치는 모든 차량에서 한쪽에 4곳이다.[1]
선두차의 전두부는 5000계 등과 마찬가지로 둥근 모양이며, 이 부분에는 실버 메탈릭 도장이 되어 있다.[1]
행선표시기는 LED|발광 다이오드일본어식이다.[1] 중앙전철선에서 사용하던 5000계(5x86F - 5x92F)에서 편입된 차량을 제외하고, 전두부에 설치된 행선표시기는 기존 차량보다 대형의 것이 채용되었다.[1]
2. 3. 실내 설비
32101~32114편성은 311000호대 3세대형과 동일하고, 32115~32118편성은 319000호대와, 32119~32121편성은 331000호대와 각각 동일하다. 32101~32114편성은 311000호대와 마찬가지로 LED 전광판을 사용하는 승객 안내 장치가 설비되었으며, 32115~32121편성은 319000호대, 331000호대와 동일한 LCD 모니터를 사용하여 승객 안내 장치를 설치하였다.321000호대 열차의 내부는 흰색이다. 321-01호부터 321-14호까지는 각 차량 상단에 LED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321-15호부터 321-21호까지는 각 차량 측면에 LCD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끝 차량에는 휠체어 공간이 있으며, 321-20호부터 321-21호까지는 자전거 거치대와 접이식 좌석이 있다.
2. 4. 승무 설비
311000호대 전동차 3세대형과 32101~32114편성의 승무 설비는 동일하였으나, 2007년 12월 27일부터 중앙선이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10량에서 8량으로 객차 량수가 축소되고, 2008년 4월 1일부터 1인 승무가 시행되면서 승무 설비를 약간 개조하였다.[3] 32115~32118편성은 5000호대의 79~80편성 일부와 86~92편성, 6000호대 01~07편성의 8량화 후 잔존 객차를 그대로 활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32118편성의 4량을 새로 제작하였다. 용문역 연장 개통과 함께 도입된 32119~32121편성은 331000호대와 승무 설비가 동일하며 도입 당시부터 1인 승무 설비를 갖추었다.321000형 열차는 많은 차량이 311000형 열차를 개조한 것이기 때문에 311000형 열차와 동일한 객실 디자인을 공유한다. 정차 알림 장치와 TGIS 사용 컬러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무전압 구간 알림 장치도 설치되어 있다.
2. 5. 편성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는 Tc-M-M'-T-T-M-M'-Tc의 8량 편성으로 구성된다. 각 차량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 탑재
- M: 제어기기와 전동기 탑재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탑재
- T: 아무 기기도 탑재되지 않은 무동력 객차
5000호대 86~92편성과 6000호대 01~07편성은 M'칸(55XX, 65XX)과 T1칸(54XX, 64XX)이 추가로 존재했으나, 8량화 과정에서 제외되었다.[1]
각 차량의 번호는 다음과 같이 부여된다.
객차번호 | 설치된 전장품 |
---|---|
3210XX (50XX, 60XX)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
3211XX (52XX, 62XX) | M (주변환장치) |
3212XX (53XX, 63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213XX (58XX, 68XX) | T (무동력객차) |
3214XX (59XX, 69XX) | T (무동력객차) |
3215XX (56XX, 66XX) | M (주변환장치) |
3216XX (57XX, 67XX) | 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
3219XX (51XX, 61XX) | Tc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
편성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호차 | 1 | 2 | 3 | 4 | 5 | 6 | 7 | 8 | 소속 |
---|---|---|---|---|---|---|---|---|---|
형식 | 321000형 | 321100형 | 321200형 | 321300형 | 321400형 | 321500형 | 321600형 | 321900형 | |
구분 | Tc | M | M' | T | T | M | M' | Tc | |
탑재기기 | SIV,CP,BT | CI | CI,Mtr | CI | CI,Mtr | SIV,CP,BT | |||
차량질량 | 33ton | 38ton | 42ton | 27.5ton | 27.5ton | 38ton | 42ton | 33ton | |
차량번호 | 321001 : 321021 | 321101 : 321121 | 321201 : 321221 | 321301 : 321321 | 321401 : 321421 | 321501 : 321521 | 321601 : 321621 | 321901 : 321921 |
- CI (Converter・Inverter): 주변환장치(컨버터 장치 + VVVF 인버터 장치)
- SIV: 정지형 인버터
- CP: 공기압축기
- BT: 축전지
- Mtr: 주변압기
- 팬터그래프는 M' (321200형, 321600형)에 하부틀 교차형을 2기씩 탑재한다.
3. 배속
321000호대는 21개 편성으로 운행하며, 전 차량 용문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다. 용문차량기지가 생기기 전인 2012년 4월 2일까지는 전 차량이 이문차량기지에 배속되어 있었으나, 2012년 4월 3일 용문차량기지 완공과 함께 이관되었다. 중검수는 2014년 12월 26일까지 이문차량기지에서 실시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이 개시된 2014년 12월 27일부터 문산차량기지에서 실시한다.[1]
- 32101~32121편성: 용문차량기지, 8량[1]
4. 운행 구간
5. 도입 역사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요산역 연장 및 전년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 덕소역 개통으로 전동차 추가 도입이 필요해짐에 따라 이 차량이 도입되었다.[1] 의정부북부역에서 소요산역까지 전철이 연장되었으나, 실제로는 2006년 말 의정부역에서 동안역까지 복선 전철로 개통되었다.[2]
차호 개정 이전에는 직교류 겸용 5000호대 86~92편성과 교류 전용 6000호대 01~07편성이 존재했다. 2007년 말 팔당역 연장 개통과 함께 8량 1편성으로 전환, 수도권 전철 중앙선에 고정 편성되면서 기존 5000호대 86~92편성, 6000호대 01~07편성이 '''321000호대'''로 변경되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참사를 계기로 차량 전체 불연화가 이루어졌다.
2011년 10월 5일 중앙선 전 열차 6량 편성 운행으로 본 계열은 중간차 2량을 제외하고 6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일부 중간차 개조 불가, 중앙선 전동차 감차로 인한 혼잡 악화 등의 이유로 2012년 5월 21일 다시 모든 편성이 8량으로 환원되었다.
5. 1. 1차분 (2006년)
1차분 전동차는 321-01편성부터 321-14편성까지 총 14개 편성으로,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도시바) 제어방식을 사용한다. 용문차량사업소 소속이다. 원래 5000형(3세대) 및 6000형 전동차였으며, 경의중앙선(당시 중앙선)이 덕소역에서 팔당역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번호로 변경되었다. 321000형 1차분은 311000형 3세대 전동차와 완전히 동일하다.[1]
321-01편성~321-07편성은 2006년에 제작되어 2008년에 개조된 구 5000형 3세대 전동차 5-86호~5-92호이고, 321-08편성~321-14편성은 2006년에 제작되어 2008년에 개조된 구 6000형 전동차 6-01호~6-07호이다. 각 열차는 개조 과정에서 10량에서 8량으로 단축되었다.[1]
5000계 후기형 중 8량 편성으로 중앙선에서 운행되었던 5x86F ~ 5x92F는 2009년 3월에 321000계에 편입되었다. 5000계는 교류 전철화 구간과 직류 전철화 구간 모두를 주행할 수 있는 직류·교류 겸용 전동차이지만, 321000계 편입 시 일부 기기를 제거하여 직류 전철화 구간 주행은 불가능해졌다.[1]
주간 제어기는 5000계 시절과 마찬가지로 투핸들 방식이지만, 1인 운전 대응 개조가 실시되었다. 객실 중앙 천장에는 2개씩 현수 형태로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객실 내 안내를 돕는다.[1]
2006년 11월에 등장한 6000계 전 차량은 321000계로 편입되었으며, 편입 시기는 5000계 후기 차량에서의 편입차와 동일하다. 전면부에 설치된 LED식 행선지 표시기는 기존 차량보다 대형이다. 차내 안내 표시 장치는 321x01F ~ 321x07F와 같은 LED식으로 천장에 4면 설치되어 있다.[1]
등장 초기에는 10량 편성이었지만, 2007년 12월에 중간차 2량을 제외하고 8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제외된 중간차는 319000계와 321000계(321x14F~)에 개조·편입되었다. 시운전을 위해 수도권 전철 1호선(서울교통공사 관할 구간 제외)에 진입한 실적이 있다.[1]
5. 2. 2차분 (2007년, 2008년)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차분(32115~32118편성)은 VVVF-IGBT(도시바) 제어방식을 사용한다.[3] 2008년 12월, 경의·중앙선이 팔당에서 구리역까지 연장되면서 도입되었다. 기존 5000호대와 6000호대 열차의 8량화 전환 후 남은 차량을 활용하고, 일부 차량을 새로 제작하여 총 4편성(32량)이 추가되었다.[7]각 출입문 위에는 LCD형 모니터가 2개씩 설치되었으나, 노후화로 인해 351000호대 3.5세대[4], 381000호대 2세대[5], 391000호대[6]와 동일한 천장 부착형 LCD TV로 교체되었다. 1인 승무를 위해 원 핸들 마스콘을 채택했고, 출입문 개폐 스위치는 마스콘 근처에 배치되었다.
32118편성의 일부 차량(321018, 321118, 321518, 321918호)은 2008년 7월에 신조 제작되어 2008년 11월 21일에 도입되었으며, 나머지 차량은 개조되었다.[7]
5. 3. 3차분 (2009년)

용문차량사업소 소속 32119~32121편성(총 3편성)은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VVVF-IGBT(도시바) 제어방식을 사용한다. 지평역 연장에 대비하여 2009년 10월 24일부터 11월 13일까지 도입되었다.[8][9][10]
각 출입문 위에 LCD형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었으나, 노후화로 351000호대 3.5세대, 381000호대 2세대, 391000호대와 동일한 천장 부착형 LCD TV로 교체되었다. 전면부에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되었고, 실내등은 LED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전면부와 측면부의 LED 표출 방식이 변경되었다. 자동통로문이 설치되었고, 키 높낮이를 고려한 입석 손잡이가 채용되었다. 1인 승무를 위해 원 핸들 마스콘을 채택했고, 출입문 개폐 스위치를 마스콘 근처에 배치하였다.
3차분은 경의·중앙선이 구수역에서 용문역까지 연장된 후 도입되었다. 2009년에 제작되어 321-19호~321-21호로 번호가 매겨졌다. 모든 전동차는 측면(문 위)에 LCD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장착되었고, 스크롤이 가능한 새로운 외장 LED 행선 안내 표시등을 갖추고 있다. 전면부가 수정되었으며,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 지하철의 모든 후속 한국철도공사 지하철 차량의 설계도가 되었다. 321-20호~321-21호 전동차는 접이식 좌석과 자전거 거치대를 갖추고 있다.
5. 4. 4차분 (2031년 예정)
2006년~2008년에 도입된 32101~32118편성은 경의·중앙선의 긴 역간 거리, 장거리 운행 투입, 도색 방치 등으로 인해 다른 노선 차량보다 노후화가 두드러진다.[1]2031년을 목표로 321000호대 '''4차분'''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용문차량사업소 소속 32122~32139편성(총 18개 편성)이 해당된다.[1] 제작사와 제어방식(VVVF-IGBT)은 미정이다.[1]
6. 개조
2016년, 많은 열차에 LED 전조등이 개조되어 장착되었다.[18]
6. 1. 8량화 및 6량화
2011년 10월 1일부터 차량 운용 효율화를 위해 32106편성 이후 차량을 대상으로 6량 1편성으로 감축 운행하기 시작하였다.[11] M차, T차 1량씩 2량이 빠지게 되었고, 35134~35140편성 및 31183~311187편성 부수차로 편입되었으나, 이용 불편을 이유로 2012년 5월 21일부터 1일 42회, 동년 6월 1일부터 1일 58회로 8량 편성 전동차가 운행되었다.[12] 한국철도공사에서 2014년까지 경의선 직결 운행을 염두에 두고 모든 편성을 8량으로 환원한다는 계획에 따라 전 편성이 모두 8량으로 환원되었다.2011년 10월 5일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으로 중앙선 전 열차가 6량 편성으로 운행되게 됨에 따라, 본 계열은 중간차 2량을 제외하고 6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제외된 중간차(321400형과 321500형)는 분당선의 351000계(구 2000계) 증비차 또는 311000계(구 5000계) 증비차에 개조하여 전용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외된 일부 중간차의 개조가 불가능했고, 중앙선 전동차 감차로 인한 혼잡 악화 등의 이유로 2012년 5월 21일 열차 운행 시간표 개정 이후 다시 모든 편성을 8량 편성으로 환원하였다. 따라서 제외되었던 중간차는 다시 본 계열로 복귀하였다.
6. 2. 자전거 전용 열차 개조
한국철도공사는 자전거 이용 고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2012년 5월 21일에 6량 1편성[13]으로 운행 중인 32119편성을 제외한 신조편성에 거치대 전용 좌석을 설치하는 자전거 전용 열차로 개조하고 운행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14], 경의중앙선 개통 전날까지 용산~덕소 간 4회와 용산~용문 간 8회[15] 운행하였으나[16], 경의중앙선 직결 운행 개통과 동시에 혼용 운행으로 변경되었다.[17] 321x20F와 321x21F는 차내에 자전거를 싣을 수 있는 자전거 전용 열차로 개조되었다. 개조 초기에는 운용이 고정되어 있었지만, 경의·중앙선 개통 이후에는 일반적인 편성과 공통으로 운행되고 있다. 최근 32120편성이 자석 도색으로 환원되며 남은 자전거 열차는 32121편성 뿐이지만, 이마저도 곧 환원될 예정이다.[17]6. 3. 자동 통로문 개조
32101~32118편성은 기존에 수동 미닫이식으로 되어 있던 인통문을 투명 유리를 사용한 자동 인통문으로 교체하였다. 2011년 8월부터 모든 열차에 순차적으로 통로 개조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311000호대 전동차에도 비슷한 개조 공사가 이루어졌다. 이 개조로 기존의 수동 개폐식 통로문은 자동문으로 바뀌었고, 이후에는 버튼 하나만으로 통로문을 자동으로 열 수 있게 되었다.6. 4. 객실내 스피커 교체
2016년 하반기와 2017년 상반기에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1차분 차량을 대상으로 모든 차량의 스피커가 교체되었다.[18]6. 5.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측면 행선 LED 안내기가 소등되었다.7. 현황
차호 | 도입 시기 | 개조 시기 | 운행 중단 시기 | 비고 |
---|---|---|---|---|
32101 편성 | 2006년 | 2008년 | 운행 중 | 5000호대 586~592편성에서 번호를 변경한 차량이다. 32104편성은 2006년 12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소요산 구간 개통식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
32102 편성 | 운행 중 | |||
32103 편성 | 운행 중 | |||
32104 편성 | 운행 중 | |||
32105 편성 | 운행 중 | |||
32106 편성 | 운행 중 | |||
32107 편성 | 운행 중 | |||
32108 편성 | 운행 중 | 6000호대 601~607편성에서 번호를 변경한 차량이다. | ||
32109 편성 | 운행 중 | |||
32110 편성 | 운행 중 | |||
32111 편성 | 운행 중 | |||
32112 편성 | 운행 중 | |||
32113 편성 | 운행 중 | |||
32114 편성 | 운행 중 | |||
32115 편성 | 운행 중 | 5000호대/6000호대의 잔존 객차가 편성되었다. | ||
32116 편성 | 운행 중 | |||
32117 편성 | 운행 중 | |||
32118 편성 | 2006년, 2008년 | 운행 중 | 객차 중 4량은 신조되었고, 나머지는 5000호대의 잔존 객차가 편성되었다. | |
32119 편성 | 2009년 | 신조 편성 | 운행 중 | 32121편성이 자전거 전용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32120편성은 자전거 전용 열차로 운행하다가 자석 도색으로 환원되었다.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의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
32120 편성 | 운행 중 | |||
32121 편성 | 운행 중 | |||
32122 편성 | 2031년 예정 | 제작 예정 | ||
32123 편성 | ||||
32124 편성 | ||||
32125 편성 | ||||
32126 편성 | ||||
32127 편성 | ||||
32128 편성 | ||||
32129 편성 | ||||
32130 편성 | ||||
32131 편성 | ||||
32132 편성 | ||||
32133 편성 | ||||
32134 편성 | ||||
32135 편성 | ||||
32136 편성 | ||||
32137 편성 | ||||
32138 편성 | ||||
32139 편성 |
참조
[1]
뉴스
경원선 등 웰빙형 전동차 달린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6-12-05
[2]
일반텍스트
[3]
일반텍스트
[4]
일반텍스트
[5]
일반텍스트
[6]
일반텍스트
[7]
일반텍스트
[8]
일반텍스트
[9]
일반텍스트
[10]
일반텍스트
[11]
일반텍스트
[12]
일반텍스트
[13]
일반텍스트
[14]
뉴스
자전거 전용 전동열차···중앙선에 국내 최초 운영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5-01
[15]
일반텍스트
[16]
뉴스
중앙선에 자전거 전용 전동열차 달린다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05-31
[17]
일반텍스트
[18]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