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직업분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는 대한민국의 직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제정된 분류 체계이다. 1960년 내무부 통계국의 국세 조사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63년 국제 노동 기구의 국제 표준 직업 분류를 기반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가 제정되었다. 이후 국제표준직업분류 개정 및 국내 노동 시장 변화를 반영하여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2017년 제7차 개정안이 확정되어 2018년부터 시행되었다. KSCO는 직업을 10개의 대분류로 나누고, 각 대분류는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필요에 따라 세세분류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7년 법 - 카탈루냐 독립선언
카탈루냐 독립선언은 2017년 카탈루냐 자치 정부가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강행한 사건으로, 스페인 정부의 불인정과 자치권 정지, 그리고 관련 인물 형사 처벌로 인해 스페인 헌정 위기를 초래하고 국제 사회의 다양한 반응을 일으켰다. - 2017년 법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법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법은 중국 본토, 마카오, 홍콩의 법률 및 행정 체계에 영향을 미치며, 국가 존중 강조, 국가 모욕 처벌 규정, 방송 의무,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등을 포함하여 자치 및 표현의 자유 위축 논란을 야기하는 법률이다.
한국표준직업분류 |
---|
2. 역사
한국에서 체계적인 직업분류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960년 내무부 통계국의 국세 조사 때였다. 이후 통계 업무가 경제기획원으로 이관되면서 통계표준분류 작성이 시작되었고, 1958년 제정되어 각국에서 사용하도록 권고된 국제 노동 기구(ILO)의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를 바탕으로 1963년 한국표준직업분류가 처음 제정되었다.[2]
1963년 제정 이후, 분류를 개선하고 보완하기 위해 1966년 첫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 후 국제 표준 직업 분류 개정(1968년, 1988년, 2008년)과 국내 노동시장의 직업 구조 및 직능 수준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1970년, 1974년, 1992년, 2000년, 2007년, 2017년에 걸쳐 추가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2]
2007년에 이루어진 제6차 개정에서는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 개정 내용을 반영하여 국제 비교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내 노동시장 현실을 반영했다. 특히, 전문가와 준전문가(기술공) 대분류를 통합하여 한국 노동시장 구조를 더 잘 나타내고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했다. 또한 성장 추세인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분류는 세분화하고, 고용 규모 감소가 예상되거나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현장 적용이 어려웠던 농림·어업 관련 직종 및 제조업 기계 조작 직종은 통합·축소하는 등 분류 체계 전반을 개정하였다.[2]
제6차 개정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새롭게 등장하거나 전문 영역으로 분화되는 직업들이 생겨났고, 이에 대한 통계 작성 및 정책 지원 요구가 커졌다. 이에 따라 통계청은 2015년 5월 제7차 개정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약 2년간의 작업을 거쳐 2017년 7월 3일 통계청 고시 제2017-191호로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를 확정·고시하여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되었다.[2]
개정 차수 | 고시일 | 시행일 | 주요 내용 |
---|---|---|---|
제정 | 1963년 10월 1일 | 1963년 10월 1일 |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58) 기반 제정 (경제기획원) |
1차 개정 | 1966년 1월 30일 | 1966년 1월 30일 | 최초 개정 |
2차 개정 | 1970년 9월 1일 | 1970년 9월 1일 |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68) 반영 |
3차 개정 | 1974년 11월 11일 | 1974년 11월 11일 | - |
4차 개정 | 1992년 12월 10일 | 1993년 1월 1일 |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88) 반영 |
5차 개정 | 2000년 1월 7일 | 2000년 1월 7일 | 국내 직업구조 변화 반영 |
6차 개정 | 2007년 7월 2일 | 2008년 1월 1일 | 국제 표준 직업 분류(ISCO-08) 반영, 전문가-준전문가 통합 등 |
7차 개정 | 2017년 7월 3일 | 2018년 1월 1일 | 신규/분화 직업 반영, 통계청 주도 |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는 직업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계층적 구조를 사용한다. 가장 큰 단위인 대분류 아래에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단계적으로 나누어진다. 필요에 따라 세분류 아래에 세세분류를 두어 더욱 상세하게 직업을 분류하기도 한다.
3. 분류 체계
3. 1. 대분류
제7차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는 직업을 다음과 같은 10개의 대분류로 나눈다:
# 관리자
#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
# 사무 종사자
# 서비스 종사자
# 판매 종사자
#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
#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 장치·기계 조작 및 조립 종사자
# 단순노무 종사자
# 군인
각 대분류는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로 더 세분화된다.
3. 2.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예시)
11101 국회의원
11102 지방의회 의원 및 교육 의원
11103 중앙정부 고위 공무원
11104 지방정부 고위 공무원
11105 공공기관 임원
11106 정당 및 특수 단체 임원
11201 기업 대표이사
11202 기업 고위 임원
12110 정부행정 관리자
12121 총무 및 인사 관리자
12122 기획 관리자
12123 재무 관리자
12124 자재 및 구매 관리자
12129 그 외 경영 지원 관리자
12201 마케팅 관리자
12202 광고 및 홍보 관리자
12209 그 외 마케팅 및 광고·홍보 관리자
13111 인문과학 연구 관리자
13112 사회과학 연구 관리자
13113 생명과학 및 자연과학 연구 관리자
13114 공학 연구 관리자
13119 그 외 연구 관리자
13121 대학교 총장 및 대학 학장
13122 중·고등학교 교장 및 교감
13123 초등학교 교장 및 교감
13124 유치원 원장
13129 그 외 교육 관련 관리자
13131 법률 관리자
13132 경찰 관리자
13133 소방 관리자
13134 교도 관리자
13201 보험 관리자
13202 금융 관리자
13310 보건 의료 관련 관리자
13320 사회복지 관련 관리자
13401 공연·전시 예술 관련 관리자
13402 디자인 관련 관리자
13403 방송·출판 및 영상 관련 관리자
13501 컴퓨터 하드웨어 개발 관리자
13502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자
13503 컴퓨터 운영 관리자
13504 통신 관리자
13509 그 외 정보통신 관련 관리자
13901 시장 및 여론 조사 관리자
13902 부동산 및 임대업 관리자
13903 공동주택 관리자
13904 인력 공급 및 알선 서비스 관리자
13909 그 외 전문 서비스 관리자
14111 건축 관련 관리자
14112 토목 관련 관리자
14113 조경 관련 관리자
14114 광업 관련 관리자
14121 전기 관련 관리자
14122 가스 관련 관리자
14123 수도 관련 관리자
14124 증기 및 온수 관련 관리자
14131 식품 생산 관리자
14132 섬유 및 의복 제품 생산 관리자
14133 화학제품 생산 관리자
14134 금속제품 생산 관리자
14135 기계제품 생산 관리자
14136 전기 및 전자 제품 생산 관리자
14139 그 외 제품 생산 관련 관리자
14901 농·림·어업 관련 관리자
14902 수리 및 정비 관련 관리자
14909 그 외 건설·전기 및 생산 관련 관리자
15111 영업 관련 관리자
15112 판매 관련 관리자
15113 무역 관련 관리자
15121 육상운송 관련 관리자
15122 해상운송 관련 관리자
15123 항공운송 관련 관리자
15211 숙박 관련 관리자
15212 여행 관련 관리자
15213 오락 및 스포츠 관련 관리자
15219 그 외 숙박·여행·오락 및 스포츠 관련 관리자
15220 음식 서비스 관련 관리자
15301 환경 관련 관리자
15302 청소 관련 관리자
15303 경비 관련 관리자
15901 회원 단체 관련 관리자
15909 그 외 판매 및 고객 서비스 관리자
21111 생물학 연구원
21112 의학 연구원
21113 약학 연구원
21114 농학 연구원
21115 임학 연구원
21116 수산학 연구원
21117 식품학 연구원
21118 축산 및 수의학 연구원
21119 그 외 생명과학 연구원
21121 물리학 연구원
21122 화학 연구원
21123 수학 및 통계학 연구원
21124 지구 및 기상 과학 연구원
21125 천문 및 우주과학 연구원
21129 그 외 자연과학 연구원
21211 철학 연구원
21212 역사학 연구원
21213 언어학 및 문학 연구원
21214 인류학 연구원
21215 교육학 연구원
21216 심리학 연구원
21219 그 외 인문과학 연구원
21221 정치학 연구원
21222 경제학 연구원
21223 경영학 연구원
21224 사회학 연구원
21225 사회복지학 연구원
21226 언론학 연구원
21229 그 외 사회과학 연구원
21311 생물학 시험원
21312 의료과학 시험원
21319 그 외 생명과학 시험원
21321 농업 시험원
21322 임업 시험원
21323 어업 시험원
21331 물리학 시험원
21332 화학 시험원
21333 지구 및 기상 과학 시험원
21334 천문 및 우주과학 시험원
21339 그 외 자연과학 시험원
22110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원
22121 통신기기 기술자 및 연구원
22122 통신장비 기술자 및 연구원
22123 통신기술 기술자 및 연구원
22124 통신망 운영 기술자 및 연구원
22129 그 외 통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2211 정보통신 컨설턴트
22212 컴퓨터 시스템 감리 전문가
22213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22221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계 및 분석가
22222 시스템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22231 범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22232 산업 특화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2223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머
22234 게임 프로그래머
22235 네트워크 프로그래머
22239 그 외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머
22241 웹 프로그래머
22242 웹 기획자
22290 그 외 컴퓨터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
22311 데이터 설계 및 프로그래머
22312 데이터 분석가
22313 데이터 관리 및 운영자
22320 네트워크 시스템 개발자
22330 정보 보안 전문가
22390 그 외 데이터 및 네트워크 관련 전문가
22410 정보 시스템 운영자
22420 웹 운영자
22501 통신장비 기사
22502 방송 송출 장비 기사
23110 건축가
23121 건축구조 기술자
23122 건축감리 기술자
23123 건축시공 기술자
23124 건축설비 기술자
23125 건축안전 기술자
23126 건축에너지 관리 및 평가 기술자
23129 그 외 건축 관련 기술자
23131 토목구조 설계 기술자
23132 토목감리 기술자
23133 토목시공 기술자
23134 토목안전 기술자
23139 그 외 토목 관련 기술자
23141 조경 계획 및 설계 기술자
23142 조경감리 기술자
23149 그 외 조경 관련 기술자
23151 도시 계획 및 설계가
23152 교통 계획 및 설계가
23153 교통안전 연구원
23154 교통영향평가원
23159 그 외 도시 및 교통 관련 전문가
23161 측량 및 지리 정보 기술자
23162 사진측량 및 분석가
23163 지도 제작 기술자
23164 지리 정보 시스템 전문가
23170 건설자재 시험원
23211 석유화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212 고무∙플라스틱 기술자 및 연구원
23213 농약∙비료 기술자 및 연구원
23214 도료제품 기술자 및 연구원
23215 화장품∙비누제품 기술자 및 연구원
23219 그 외 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221 석유화학 시험원
23222 고무 및 플라스틱 시험원
23223 농약 및 비료 시험원
23224 도료제품 시험원
23225 화장품 및 비누제품 시험원
23229 그 외 화학공학 시험원
23311 금속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312 요업∙세라믹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313 시멘트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319 그 외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321 금속공학 시험원
23322 요업 및 세라믹공학 시험원
23323 시멘트공학 시험원
23329 그 외 금속 및 재료공학 시험원
23411 전기제품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23412 발전설비 기술자 및 연구원
23413 송배전설비 기술자 및 연구원
23414 전기계측 제어 기술자 및 연구원
23415 전기 감리 기술자 및 연구원
23416 전기 안전 기술자 및 연구원
23419 그 외 전기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421 전자제품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23422 반도체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423 전자계측 제어 기술자 및 연구원
23424 전자 의료기기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23429 그 외 전자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431 전기공학 시험원
23432 전자공학 시험원
23511 금형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2 플랜트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3 냉난방·공조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4 건설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5 산업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6 자동차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7 조선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8 항공기·철도 차량 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19 그 외 기계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20 로봇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531 기계공학 시험원
23532 로봇공학 시험원
23610 방재 기술자 및 연구원
23621 소방설계 기술자 및 연구원
23622 소방시설 공사 기술자 및 연구원
23623 소방 공사 감리 기술자 및 연구원
23629 그 외 소방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630 소방공학 시험원
23641 산업 안전원
23642 위험 관리원
23649 그 외 산업 안전 및 위험 관리원
23651 보건 위생 검사원
23652 환경 검사원
23660 비파괴 검사원
23711 대기 환경 기술자 및 연구원
23712 수질 환경 기술자 및 연구원
23713 토양 환경 기술자 및 연구원
23714 소음 진동 기술자 및 연구원
23715 폐기물 처리 기술자 및 연구원
23716 환경 영향 평가원
23719 그 외 환경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720 가스·에너지 기술자 및 연구원
23731 대기 환경 시험원
23732 수질 환경 시험원
23733 토양 환경 시험원
23734 소음 진동 시험원
23735 폐기물 처리 시험원
23736 환경 영향 시험원
23739 그 외 환경공학 관련 시험원
23740 가스 및 에너지 시험원
23811 비행기 조종사
23812 헬리콥터 조종사
23821 선장
23822 항해사
23823 선박 기관사
23824 도선사
23831 항공교통 관제사
23832 선박교통 관제사
23833 철도교통 관제사
23910 식품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921 섬유 소재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23922 섬유 공정 개발 기술자 및 연구원
23923 염색 개발 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23930 식품공학 시험원
23940 섬유공학 시험원
23951 건축 제도사
23952 토목 제도사
23953 기계 제도사
23954 전기 및 전자 장비 제도사
23959 그 외 제도사
23990 그 외 공학 관련 기술자 및 시험원
24111 내과 전문 의사
24112 외과 전문 의사
24113 소아청소년과 전문 의사
24114 산부인과 전문 의사
24115 정신건강의학과 및 신경과 전문 의사
24116 안과 및 이비인후과 전문 의사
24117 피부과 및 비뇨기과 전문 의사
24118 영상의학과 및 병리과 전문 의사
24119 그 외 전문 의사
24120 일반 의사
24131 전문 한의사
24132 일반 한의사
24
참조
[1]
웹사이트
통계분류포털
https://kssc.kostat.[...]
2021-10-03
[2]
PDF
한국표준직업분류 최신개정 주요내용
https://kssc.kostat.[...]
2021-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