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靑)은 푸른색을 의미하는 한자로, 한국에서는 푸를 청 부(pureul cheong bu), 일본에서는 아오(あお), 영미권에서는 Radical blue로 불린다. 글꼴은 한국과 일본에서 전통적인 명조체를 기반으로 靑(아래쪽이 円)을 사용하며,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는 青(아래 부분의 첫 번째 획이 세로획), 대만에서는 青(아래 부분이 月이며 첫 번째 획이 왼쪽으로 기울어짐)을 채택한다. 필순은 한국, 일본, 중국에서 동일하며, 금문에서 소전으로 형태가 변화했다. ‘青’(청) 자는 청색을 의미하며, 형성자로 소리를 나타내는 ‘生’(생)과 ‘井’(정)으로 구성된다. 교육용 한자이며,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에서 각기 다른 발음과 훈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자에 관한 - 한자
    한자는 3,000년 이상 사용된 동아시아의 표의 문자로, 갑골문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서체로 발전했으며, 한자 문화권에서 각 지역의 언어와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문자에 관한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부수 -
    金은 한자 부수 중 하나로 쇠, 금속, 성씨 등을 나타내며, 針, 銅, 銀, 鐵 등 다양한 한자에 사용된다.
  • 부수 -
    해 또는 날을 뜻하는 글자 '日'은 갑골문에서 시작하여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다양한 한자들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기본 정보
청 부수의 필순
부수 정보
부수
이전 부수雨部
다음 부수非部
명칭푸를청
순서174
획수8
음운 정보
한자(음)
로마자 표기(병음)qīng
로마자 표기(주음부호)ㄑㄧㄥ
로마자 표기(웨이드-자일스)ch'ing1
로마자 표기(광둥어, 예일)ceng1, cing1
로마자 표기(광둥어, 월병)ceng1, cing1
일본어(음독)세이 sei / 쇼 shō
일본어(훈독)あお ao
일본어青/あお ao
한국어(음)청 cheong
한국어(훈)푸를 pureul
한월어thanh
의미
의미푸른색/녹색

2. 명칭

‘青’(청)은 단독으로 쓰일 때 초목의 색깔인 청색을 의미하며, 풀의 색깔을 나타내기 때문에 때로는 녹색도 포함한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청색을 나타낼 때 ‘青’ 대신 ‘藍’(람)을 사용한다.[2]

‘青’은 색깔과 관련된 글자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 한국: 푸를 청 부|pureul cheong bu한국어
  • 일본: 아오(あお)
  • 영미: Radical blue

3. 형태 및 변천

靑(푸를 청) 부수는 언어와 개별 문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와 필획 순서를 가진다.[1]

일본어(아래쪽이 円)은 전통적인 명조체 서체와 『강희자전』에서 사용되었지만, 青일본어에 비해 필기체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현대 중국어에서 중국 본토의 신자체(주로 간체자에 적용되지만, 번체자에도 사용될 수 있음)와 홍콩의 『상용자자형표(번체자)는 필기 형태와 유사한 (아래 부분의 첫 번째 획이 세로획임)을 채택했지만, 대만의 표준자국자체(번체자)는 약간 다른 형태인 (아래 부분이 이며 첫 번째 획이 왼쪽으로 기울어짐)을 채택했다.

현대 일본어에서 상용한자는 필기 형태인 青일본어를 채택하여 인쇄체에 적용하고, 靑일본어는 표외한자에 사용한다.


3. 1. 글꼴

일본어(표외한자)
한국어중국 본토
홍콩
일본어(상용한자)대만靑青青



인쇄체(명조체)에서 『강희자전』은 아랫부분의 글자를 원형으로 한 "𧨿"을 채택하고 있다. 현대 일본의 신자체, 중국의 신자형, 대만의 국자표준자체, 홍콩의 상용자자형표는 모두 "月" 형태의 "青"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첫 번째 세로획의 끝을 멈추는 반면, 대만과 홍콩에서는 "月"과 마찬가지로 획을 긋는다는 미묘한 차이가 있다. 또한 일본의 표외한자는 기본적으로 강희자전체를 따르기 때문에 "𧨿"을 사용하고 있다.

3. 2. 필순

의 필순은 다음과 같다.

의 필순
한국일본중국
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 (한국과 동일)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세로-가로-가로 (한국, 일본과 동일)



중국어 필획 순서


일본어 필획 순서

3. 3. 진화 과정

청동기 시대 문자


대전 자


소전 자

4. 의미

‘靑’(청)은 단독으로 쓰일 때 초목의 색깔인 청색을 의미하며, 풀의 색깔을 나타내기 때문에 녹색을 포함하기도 한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청색을 나타낼 때 ‘靑’ 대신 ‘藍’(람)을 사용한다.[2]

‘靑’은 형성자로, 소리를 나타내는 ‘生’(생)과 ‘井’(정)으로 구성된다.[2] 설문해자에서는 ‘生’과 ‘丹’(단)의 회의자로 설명하며, 오행설에 따라 목행(木行)의 색인 청(靑)에서 화행(火行)의 붉은색(단, 丹)이 나온다고 해석했지만, 이는 억지로 붙인 것이다.[2]

‘靑’은 색깔 관련 글자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5. 부수 목록

자획글자
0靑, 青
4획靓, 靔
5획靕, 靖
6획靗, 靘, 静
7획
8획靛, 靜
10획


6. 한자

靑(청)은 일본의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한자 중 하나이다.[1] 1학년 한자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Kyoiku Kanji (教育漢字) - Kanshudo https://www.kanshudo[...] 2023-05-06
[2] 논문 説“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