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브리엘 노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브리엘 노데는 1600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사서, 작가, 의사이다. 그는 20세에 파리 고등 법원 사서로 일하며 도서관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여러 추기경의 사서로 활동하며 유럽 최대 규모의 마자랭 도서관 설립에 기여했다. 노데는 '도서관 설립에 대한 조언'을 저술하여 도서관 운영과 장서 관리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시했으며, 정치 사상과 다양한 분야의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1653년 5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3년 사망 - 로버트 필머
로버트 필머는 17세기 영국의 정치철학자로, 아담으로부터 시작된 가부장적 권위의 계승으로 왕권을 옹호하는 왕권신수설을 주장하여 당대 정치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653년 사망 - 메고히메
메고히메는 1579년 다테 마사무네와 결혼하여 갈등을 겪었지만 관계를 회복하고 자녀를 낳았으며, 교토에서 외교관 역할을 수행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요토쿠인이라는 법명을 받았다가 1653년에 사망했다. - 1600년 출생 - 오타 스케무네
오타 스케무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다이묘가 된 인물로, 쇼군 측근인 육인중으로 활동하고 막부의 중요 사업에 참여하였다. - 1600년 출생 -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
페드로 칼데론 데 라 바르카는 스페인 황금시대의 극작가이자 시인으로, 철학적 희곡과 성찬신비극으로 유명하며, 명예, 운명, 자유 의지를 다룬 작품들로 스페인 극장의 제2기를 개척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파도바 대학교 동문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는 폴란드 출신의 천문학자로서 태양중심설을 제안하여 천문학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저서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발표했으나 논란을 겪었고, 과학 혁명과 현대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 파도바 대학교 동문 - 안토니오 네그리
안토니오 네그리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 자율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선구자이며 노동자주의 운동을 주도했고, 아우토노미아 운동에 참여했으며, 『제국』을 통해 세계화 시대 권력 구조를 분석하여 좌파 지식인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가브리엘 노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600년 2월 2일 |
출생지 | 파리, 프랑스 |
사망일 | 1653년 7월 10일 (53세) |
사망지 | 아브빌, 현재 오드프랑스, 프랑스 |
직업 | 사서, 학자, 다작 작가, 의사 |
2. 생애
노데는 1600년 프랑스 파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정부의 하급관료였으며 그의 어머니는 문맹이었다.[23] 그는 교사로서의 그의 교육에서의 끈기와 열정으로 서술될 수 있다. 노데는 젊은 나이에 대학에 입학하였고, 거기서 철학과 문법을 배웠다.[24] 그는 나중에 파리와 파두아에서 약학을 전공하였고, (그가 Cesare Cremonini의 수업을 참여한 곳), 루이 13세의 내과의사가 되었다.
20살의 나이로, 그는 처음으로 ''Le Marfore ou Discours Contre les Lisbelles''라는 저술을 펴낸다.[25] 그 저술로 그는 당시 파리 고등법원의 의장이었던 Henri de Mesme의 주목을 받게 된다. 그래서 Mesme는 노데에게 그의 개인 사서 자리를 제안하였다. Mesmes는 당시에 약 8000권 규모의 큰 개인 도서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도서관은 적절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 모든 학자들에게 열린 도서관이었다.[26] Mesme의 도서관에서 노데가 했었던 사서로서의 일은 나중에 그가 쓴 또 다른 저술인 ''Advice on Establishing a Library''을 쓸 경험을 주었다. 노데는 Mesme를 위해 그가 그의 도서관을 짓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Advice''라는 저술을 펴낸다. 1629년에 그는 로마에 있는 Guidi di Bagno 추기경의 사서가 된다. 그리고 Bagni's death가 있었던 1641년에 Francesco Barberini 추기경의 사서가 된다.
Richelieu추기경 의 열망으로, ''De Imitatione Christi''에 대한 Jean Gerson의 권위를 거부하면서 그는 Order of Saint Benedict와 논란을 겪기 시작한다. Richelieu는 노데가 그의 사서가 되길 원했으나, Richelieu가 죽음으로써 노데가 Mazarin추기경 에게 온 비슷한 제안을 받아들이게 한다. 그 이후로 10년동안 그는 ''Bibliothèque Mazarine'라고 알려진 유럽의 모든 귀족들이 모은 책들을 모으는데 전념한다.
노데는 1600년대 초 파리에서 변변치 않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하급 관리였고 그의 어머니는 젊고 문맹인 여성이었다.[1] 그는 스승들로부터 학업에 대한 끈기와 열정이 넘치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노데는 어린 나이에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문법을 공부했다.[2] 이후 파리와 파도바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체사레 크레모니니의 강의를 들음), 프랑스의 루이 13세의 주치의가 되었다.
20세에 노데는 첫 번째 저서인 ''Le Marfore ou Discours Contre les Lisbelles''를 출판했다.[3] 이 작품은 그를 파리 의회의 ''président à mortier''인 앙리 드 메임에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메임은 노데에게 자신의 개인 소장 도서관의 사서직을 제안했다. 메임은 당시로서는 대규모 장서(약 8,000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추천서를 가진 학자들에게 개방했다.[4] 메임의 도서관에서 노데의 근무 경험은 나중에 그가 저서 ''도서관 설립에 대한 조언''을 쓰는 데 도움이 되었다. 노데는 메임을 위해 그의 도서관을 짓고 유지하는 지침서로 ''조언''을 썼다.[5] 1629년 그는 로마에서 추기경 구이디 디 바뇨의 사서가 되었으며, 바뇨가 1641년에 사망한 후에는 추기경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의 사서가 되었다.
리슐리외 추기경의 바람에 따라 그는 베네딕트회와 논쟁을 시작하여 장 게르송이 ''그리스도를 본받아''의 저자임을 부인했다. 리슐리외는 노데를 자신의 사서로 삼으려 했고, 그가 죽자 노데는 마자랭 추기경의 비슷한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 후 10년 동안 그는 유럽 각지에서 ''마자랭 도서관''으로 알려진 장서를 모으는 데 전념했다. 마자랭은 5,000권이 넘는 장서를 파리로 가져왔다.[6] 노데처럼 그는 공공의 이익을 위해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도서관을 믿었다. 1642년 그는 도서관을 수용하기 위해 건물을 구입했고 노데에게 가능한 최고의 장서를 구축하도록 지시했다.
가장 빠른 방법은 전체 도서관을 컬렉션에 흡수하는 것이며, 이는 노데가 그의 저서에 포함시킨 조언이었다. 노데는 헌책방을 약탈했고, 마자랭은 그의 대사, 정부 관리 및 장군에게 그를 위해 책을 수집하도록 지시했다. 노데는 유럽을 여행할 수 있었고, 여러 달 동안 지속된 한 번의 여행에서 14,000권이 넘는 장서를 수집했다.[7] 1648년까지 도서관은 약 40,000권으로 늘어났다.[6][8] 정기적으로 개방되었고 상당한 수(거의 100명)의 정기 후원자와 제대로 운영하기 위한 여러 명의 직원을 확보했다. 이 도서관은 참고 자료 없이 모든 사람에게 개방된 프랑스 최초의 도서관이 되었다.[9]
마자랭의 도서관은 프롱드의 소란 중에 파리 의회에 의해 매각되었고, 크리스티나 여왕은 노데를 스톡홀름으로 초대했다.[8] 그는 스웨덴에서 행복하지 않았고, 마자랭의 요청으로 흩어진 도서관을 재건해야 한다는 요청을 받고 노데는 즉시 돌아왔다. 그러나 그의 건강은 악화되었고, 1653년 7월 10일 아브빌로 돌아오는 길에 사망했다.
기 파탱, 피에르 가상디 및 당시 모든 자유주의 사상가들의 친구였던 노데는 단순한 서적 탐독가가 아니었다. 그의 저서는 그를 ''루이 14세'' 시대의 더 유명한 작가들을 준비한 유머 작가와 학자들의 가치 있는 동료로 만든 비판적 정신의 흔적을 보여준다.
파리의 생 메리 교구에서 태어났다。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학문을 존중하는 가정에서 자랐고,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이었다。르모와느 추기경의 콜레주 드 나바르(Collège de Navarre)에서 수사학을 배우고, 그 후 파리 대학교 의학부에 진학했다。재무성 하급 관료였던 아버지로부터 성직자의 길을 걷기를 바랐지만, 출세할 수 있는 성직자가 아닌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는 직업으로서 의사가 되기를 목표로 했다고 한다。
파리 대학교 재학 중에는, 인문학자 르네 모로와 도덕주의자 피에르 샤론의 영향을 받았다。 20세 때 학비를 얻기 위해 파리 고등 법원 원장 앙리 드 뫼의 사설 도서관 "멘미아나 도서관"의 책임자가 된 것이 노데의 도서관 인생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노데의 도서관에 대한 철학으로서의 『도서관 설립을 위한 제언』 집필로 이어졌다고 한다。 이때 노데가 배운 의학은 미신적인 요법에서 근대 과학적 요법으로 변화하는 시기였으며, 노데는 과학적 근거를 가진 고찰에 따른 몇 권의 서적을 출판했다。
1626년 노데는 드 뫼 경의 허가를 받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로 유학, 의학 연구에 매진했지만,부친의 사망으로 인해 의학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로 돌아왔다。
1631년, 파리로 돌아온 노데는 자크 드 투의 도서관 사서 피에르 뒤피와 로마를 방문하여, 뒤피의 소개로 로마 교황청 대사인 다 바뇨, 바르베리니 경의 각 사유 도서관을 돕게 되어, 이탈리아에 11년간 머물렀다。
1642년, 프랑스의 재상 리슐리외 추기경의 초청을 받아 파리로 돌아왔지만, 같은 해 말 리슐리외가 사망하고, 다음 재상이 된 줄 마자랭 추기경이 창설한 마자랭 도서관의 사서가 되었다。마자랭은 사저의 도서관을 일반에 공개할 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이미 노데가 예전부터 제안했던 것이었다。 노데는 길가에 면한 장소에 문을 설치하여, 사람들이 길에서 직접 도서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마자랭은 노데에게 장서 관리의 일체를 맡겼으며, 방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여행 경비와 장서를 보관하기 위한 저택 개축 등에도 많은 비용을 투자했지만, 1642년부터 1651년까지 노데가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모은 책은 4만 권 이상에 달했으며, 그 결과 마자랭 도서관은 유럽 최대 규모의 도서관이 되었다。
그러나 1648년 프롱드의 난이 일어나자 마자랭은 그 지위를 잃고 망명했으며, 재산은 몰수되었다。 마자랭의 목에는 현상금이 걸려 있었지만, 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마자랭의 장서는 경매에 부쳐져 매각되어 버린다。 노데는 스스로 그 책들을 구입하여 산재를 막으려 했고 수천 권의 책을 구했다고 한다。
1652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으로 장서 관리를 위해 웁살라로 건너갔지만, 뜻이 맞지 않아 프랑스로 귀국하게 된다。 그러나 다음 해 1653년, 귀국 도중 국경 근처 아브빌에서 병을 얻어 아미앵에서 사망했다。 향년 53세。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생애 섹션의 내용을 통합하여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고, 중복되는 내용은 합치고, 어색한 표현을 수정하여 위키 텍스트로 출력한다.
가브리엘 노데는 1600년 파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정부 하급 관리였고, 어머니는 문맹이었다.[23] 그는 교사로부터 학업에 대한 끈기와 열정이 넘치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노데는 어린 나이에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문법을 공부했다.[24] 파리 대학교 재학 중에는 인문학자 르네 모로와 도덕주의자 피에르 샤론의 영향을 받았다.
20세에 파리 고등 법원 원장 앙리 드 뫼의 사설 도서관 "멘미아나 도서관"의 책임자가 된 것이 노데의 도서관 인생의 출발점이 되었으며, 노데의 도서관에 대한 철학으로서의 『도서관 설립을 위한 제언』 집필로 이어졌다고 한다. 같은 해, 그는 처음으로 ''Le Marfore ou Discours Contre les Lisbelles''라는 저술을 펴냈고,[25] 이 작품은 그를 파리 의회의 ''président à mortier''인 앙리 드 메임에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메임은 노데에게 자신의 개인 소장 도서관의 사서직을 제안했다. 메임은 당시로서는 대규모 장서(약 8,000권)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추천서를 가진 학자들에게 개방했다.[26]
1626년 노데는 드 뫼 경의 허가를 받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로 유학, 의학 연구에 매진했지만, 부친의 사망으로 인해 의학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로 돌아왔다. 이후 파리와 파도바에서 약학을 전공하였으며, (체사레 크레모니니의 강의를 들음), 프랑스의 루이 13세의 주치의가 되었다.
1629년 그는 로마에서 추기경 구이디 디 바뇨의 사서가 되었으며, 바뇨가 1641년에 사망한 후에는 추기경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의 사서가 되었다. 1631년, 파리로 돌아온 노데는 자크 드 투의 도서관 사서 피에르 뒤피와 로마를 방문하여, 뒤피의 소개로 로마 교황청 대사인 다 바뇨, 바르베리니 경의 각 사유 도서관을 돕게 되어, 이탈리아에 11년간 머물렀다.
1642년, 프랑스의 재상 리슐리외 추기경의 초청을 받아 파리로 돌아왔지만, 같은 해 말 리슐리외가 사망하고, 다음 재상이 된 줄 마자랭 추기경이 창설한 마자랭 도서관의 사서가 되었다. 마자랭은 사저의 도서관을 일반에 공개할 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이미 노데가 예전부터 제안했던 것이었다. 노데는 길가에 면한 장소에 문을 설치하여, 사람들이 길에서 직접 도서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마자랭은 노데에게 장서 관리의 일체를 맡겼으며, 방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여행 경비와 장서를 보관하기 위한 저택 개축 등에도 많은 비용을 투자했지만, 1642년부터 1651년까지 노데가 유럽 전역을 돌아다니며 모은 책은 4만 권 이상에 달했으며, 그 결과 마자랭 도서관은 유럽 최대 규모의 도서관이 되었다.
그러나 1648년 프롱드의 난이 일어나자 마자랭은 그 지위를 잃고 망명했으며, 재산은 몰수되었다. 마자랭의 목에는 현상금이 걸려 있었지만, 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마자랭의 장서는 경매에 부쳐져 매각되어 버린다. 노데는 스스로 그 책들을 구입하여 산재를 막으려 했고 수천 권의 책을 구했다고 한다.
1652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으로 장서 관리를 위해 웁살라로 건너갔지만, 뜻이 맞지 않아 프랑스로 귀국하게 된다. 그러나 다음 해 1653년, 귀국 도중 국경 근처 아브빌에서 병을 얻어 아미앵에서 사망했다. 향년 53세였다.
2. 1. 초기 생애
가브리엘 노데는 1600년 파리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가브리엘 노데는 정부 하급 관리였고, 어머니는 문맹이었다.[23]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대한 끈기와 열정을 보였으며, 젊은 나이에 대학에 입학하여 철학과 문법을 배웠다.[24] 파리 대학교 재학 중에는 인문학자 르네 모로와 도덕주의자 피에르 샤론의 영향을 받았다.이후 파리와 파도바에서 약학을 전공하였으며, 체사레 크레모니니의 강의를 들었다.[1] 20세에 파리 고등 법원 원장 앙리 드 뫼의 사설 도서관 "멘미아나 도서관"의 책임자가 되었으며, 이는 노데의 도서관 인생의 출발점이 되었다.
1626년 노데는 드 뫼 경의 허가를 받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로 유학, 의학 연구에 매진했지만, 부친의 사망으로 인해 의학의 길을 포기하고 파리로 돌아왔다. 결국 루이 13세의 내과의사가 되었다.[23]
2. 2. 사서 경력의 시작
노데는 20세에 ''Le Marfore ou Discours Contre les Lisbelles''를 출판하여 파리 고등법원 의장 앙리 드 메임의 주목을 받았다.[25] 앙리 드 메임은 노데에게 자신의 개인 사서 자리를 제안했고, 당시 약 8,000권 규모의 장서를 갖춘 그의 도서관은 적절한 자격을 갖춘 모든 학자들에게 개방되어 있었다.[26] 앙리 드 메임의 도서관에서 노데가 사서로 일한 경험은 훗날 그가 ''도서관 설립에 대한 조언''을 저술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26] 노데는 앙리 드 메임을 위해 도서관 건립 및 유지에 대한 조언을 담은 ''Advice''를 출판했다.1626년 노데는 앙리 드 메임의 허락을 받아 이탈리아 파도바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지만, 아버지의 사망으로 인해 의학 공부를 포기하고 파리로 돌아왔다. 1629년에는 로마에서 구이디 디 바뇨 추기경의 사서가 되었고,[25] 1641년에는 프란체스코 바르베리니 추기경의 사서가 되었다.[25] 1631년, 파리로 돌아온 노데는 자크 드 투의 도서관 사서 피에르 뒤피와 로마를 방문하여, 뒤피의 소개로 로마 교황청 대사인 다 바뇨, 바르베리니 경의 각 사유 도서관을 돕게 되어, 이탈리아에 11년간 머물렀다.
2. 3. 마자랭 도서관

가브리엘 노데는 리슐리외 추기경의 요청으로 ''그리스도를 본받아''의 저자에 대한 논쟁에 참여하였다. 리슐리외 추기경 사후, 1642년 마자랭 추기경의 사서가 되어 마자랭 도서관(Bibliothèque Mazarine) 설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마자랭은 노데에게 장서 관리의 일체를 맡겼으며, 방대한 자료 수집을 위한 여행 경비와 장서를 보관하기 위한 저택 개축 등에도 많은 비용을 투자했다.
이후 10년간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4만 권 이상의 장서를 수집하여 마자랭 도서관을 유럽 최대 규모의 도서관으로 만들었다. 노데는 길가에 면한 장소에 문을 설치하여, 사람들이 길에서 직접 도서관에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고 한다. 마자랭 도서관은 1644년 초부터 대중에게 공개되었으며, 이는 프랑스 최초의 공공 도서관이었다. 노데는 책의 원본 형태를 수집하고 수집된 책들을 온전하게 보존하는 것을 선호했다. 그는 책을 이용할 사람들의 필요를 고려하는 진정한 신봉자였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강력한 고려를 받아야 한다고 느꼈다. 그는 모든 언어, 모든 종교, 주제 및 문학을 수집하는 데 단호했다.[10]
그러나 1648년 프롱드의 난이 일어나자 마자랭은 그 지위를 잃고 망명했으며, 재산은 몰수되었다. 마자랭의 목에는 현상금이 걸려 있었지만, 그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마자랭의 장서는 경매에 부쳐져 매각되어 버린다. 노데는 스스로 그 책들을 구입하여 산재를 막으려 했고 수천 권의 책을 구했다고 한다.
2. 4. 스웨덴에서의 활동과 죽음
1648년 프롱드의 난이 발발하여 마자랭 추기경이 실각하고 재산을 몰수당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마자랭의 재산 조달을 위해 그의 장서는 경매에 부쳐졌고, 노데는 장서가 흩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직접 책을 구매하며 수천 권을 구했다.1652년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의 초청으로 장서 관리를 위해 웁살라로 건너갔다. 그러나 스웨덴에서 행복하지 않았고, 마자랭의 요청에 따라 흩어진 도서관을 재건하기 위해 귀국을 결심했다.[8] 1653년 귀국 도중 국경 근처 아브빌에서 병을 얻어 아미앵에서 사망했다. 그의 나이 53세였다.
3. 사상과 업적
3. 1. 도서관 설립에 대한 조언
가브리엘 노데는 1627년에 ''도서관 설립에 대한 조언''(Advis pour dresser une bibliothèque)을 출간했다.[19] 이 책은 도서관 운영에 대한 포괄적인 지침을 담고 있으며, 책의 수, 선정 기준, 확보 방법, 도서관 목록 작성, 건물 배치 등 도서관 운영의 모든 측면을 다루었다.[11] 노데는 자신의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으며, 특히 메메 도서관에서의 경험이 반영되었다.노데는 훌륭한 도서관을 짓고 대중과 공유하는 것이 큰 영광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세계 최고의 도서관을 모델로 삼고, 이미 도서관을 운영하는 사람들의 지도를 받아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다른 도서관의 목록을 연구하고 복사할 것을 제안했다.
책 선정과 관련하여 노데는 각 분야의 전문가로 간주되는 사람들의 저작을 우선적으로 구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대 저작물이든 현대 저작물이든 특정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책과 잘 알려진 해석이나 주석은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원어로 된 책을 구매할 것을 제안했는데, 번역 과정에서 의미가 손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어떠한 종류의 검열에도 강력히 반대하며, 모든 책이 주제에 관계없이 독자를 가지고 있으며 정보는 자유롭고 이용 가능해야 한다고 믿었다.
책을 확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다른 도서관을 통째로 구매하는 것이지만, 헌책방을 활용하거나 제본소와 인쇄소를 돌아다니며 희귀한 자료를 찾는 방법도 제시했다.
책 배열에 대해 논하면서 키케로의 ''웅변가론''을 인용하여 "기억에 빛을 주는 것은 질서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신학, 철학, 법학, 의학, 역사, 수학, 인문학 등 당시 세계의 지식을 가장 잘 나타내는 주제 분류를 제시하고, 각 섹션을 하위 제목으로 나누어 주요 저자와 주석을 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데는 "고전과 함께 새로운 과학 저작물", "논쟁이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반론서", "원서와 번역서"의 소장을 요구하며, 공정한 선서, 원서와 2차적 저작물의 계통적 수집을 주장했다. 또한 "모든 영역을 망라한 장서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 이는 후세의 도서관 경영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2. 기타 저술
가브리엘 노데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마르포르, 또는 비방에 대한 담론''(Le Marfore, ou Discours contre les libelles, 1620)은 매우 희귀하며, 1868년에 재판되었다.
- ''로즈-크로이 형제단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프랑스 지침''(Instruction à la France sur la vérité de l'histoire des Frères de la Rose-Croix, 1623)은 그들의 사기를 폭로했다. 1624년 판본도 있다.
- ''마법 혐의를 받은 모든 훌륭한 인물들을 위한 변론''(Apologie pour tous les grands personnages qui ont esté faussement soupçonnez de magie, 1625)에서는 피타고라스, 소크라테스, 토마스 아퀴나스, 제롬 카르단, 그리고 솔로몬 등이 변호 대상에 포함되었다. 1653년, 1669년, 1712년 판본도 있다.
- ''루이 11세의 역사에 대한 부록''(Addition à l'histoire de Louys XI, 1630)에는 인쇄의 기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
- ''정치 서지''(Bibliographia Politica, 1633)는 베네치아 등에서 출판되었고, 1642년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 ''자유 연구에 관하여''(De studio liberali, 1632)는 대부분의 연구 지침 모음에 포함된 실용적인 논문이다. 1654년 판본도 있다.
- ''군사 연구에 관하여''(De studio militari, 1637)는 당시 높이 평가받았다.
- ''쿠데타에 대한 정치적 고찰''(Considérations politiques sur les coups d'État, 1639)에서 그는 마키아벨리의 제자로서, 정치는 "도덕으로부터 자율적이고, 종교에 대해 주권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노데아나』에는 노데가 편집한 작품을 포함하여 총 92개의 작품 목록이 수록되어 있다. 『교황청 도서관』은 루이 자코브에 의해 완성되어 출판되었다.
3. 3. 정치 사상
4. 평가 및 영향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Gabriel Naudé 1600–1653
https://archive.org/[...]
Archon Books
[2]
문서
Clarke, 3
[3]
문서
Clarke, 4
[4]
문서
Clarke, 8
[5]
웹사이트
Instructions concerning erecting of a library presented to my lord, the President De Mesme
http://name.umdl.umi[...]
2023-10-22
[6]
간행물
Gabriel Naude
[7]
문서
Clarke, 76
[8]
문서
Q104663387
[9]
서적
The Library: A Fragile History
Basic Books
[10]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11]
논문
Gabriel Naudé and the Ideal Library
http://surface.syr.e[...]
1991
[12]
웹사이트
Bibliothèque Mazarine: Buildings
https://www.biblioth[...]
2023-12-09
[13]
논문
Naudé's Advis pour dresser une bibliothèque': A Window into the Past
https://www.tandfonl[...]
Taylor & Francis Online
1996
[14]
논문
Advice on Establishing a Library / Gabriel Naudé [book review]
1951
[15]
서적
The Library: An Illustrated History
Skyhorse Publishing
2009
[16]
서적
The Best Read Man in France: A Cautionary Tale
Borgo Press
[17]
인용
[18]
웹사이트
Wikisource:Catholic Encyclopedia (1913)/Ludovicus a S. Carolo
https://wikisource.o[...]
[19]
웹사이트
Memory Passages in Cicero's de Oratore
https://www.laits.ut[...]
2023-12-09
[20]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サーチ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
2017-07-31
[21]
웹사이트
klincksieck社カタログ
https://web.archive.[...]
2018-04-21
[22]
웹사이트
Ecole Nationale Superieure des Sciences de l'information et des Bibliothequesによる本文データ
http://www.enssib.fr[...]
2018-04-21
[23]
서적
Gabriel Naudé
Archon Books
[24]
문서
Clarke, 3
[25]
문서
Clarke, 4
[26]
문서
Clarke, 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