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산역은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전철역이다. 1907년 현감 송헌면이 조상 송시열의 호 '우암'에서 착안하여 소의 '각'과 바위 '암'의 산을 따서 각산동으로 지명을 변경한 데서 유래했다.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동호지구 아파트 단지 인근에 위치하며, 주변 지역 개발과 혁신도시 건설로 인해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 동구의 전철역 - 안심역
안심역은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3년 화재 참사로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2014년 부역명 적용, 2016년 스크린도어 설치를 거쳐 2024년 하양 연장 구간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고, 신라 시대 왕건이 안심했다는 데서 유래된 역명과 함께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춘 역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 대구역
대구역은 1905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번의 변화를 거쳤으며,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고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2003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에서 발생한 방화로 인해 192명이 사망하고 151명이 부상당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는 방화범의 범행, 안전 불감증, 부실한 시설 관리, 미흡한 초기 대응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지하철 참사로 기록되며 사회 안전망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각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역 이름 | 각산역 (속안심내과연합의원) |
로마자 표기 | Gaksan Station |
한자 표기 | 角山驛 |
위치 정보 |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
노선 정보 | |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역 번호 | 145 |
이전 역 | 반야월역 |
다음 역 | 안심역 |
역간 거리 | 반야월역 1.0km, 안심역 0.9km |
영업 거리 | 설화명곡 기점 27.5 km |
구조 정보 | |
역 구조 | 지하역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
운영 정보 | |
개업일 | 1998년 5월 2일 |
운영 주체 | 대구교통공사 |
2. 역명의 유래
원래 이 지역은 쇠뿔 모양의 바위가 있었다고 하여 소방우, 소바우 또는 우암곡(牛岩谷), 우암동(牛岩洞)이라 불렸다. 대한제국 시대인 1907년 이곳에 부임한 현감 송헌면(宋憲冕)은 이곳의 지명이 자신의 조상인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의 호와 같다는 이유로 지명을 변경하였다. 그는 소(牛)의 뿔(角)과 바위(岩)의 산(山)이라는 뜻을 따서 각산동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3. 역사
4. 역 구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4.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다. 승강장 벽면 색상은 빨간색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이 역은 약간의 곡선 구간이 있지만,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간격이 넓지 않아 별도의 안내방송은 나오지 않는다.
승강장 | 노선 | 방향 |
---|---|---|
상행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반월당 · 중앙로 · 설화명곡역 방면 |
하행 | 안심역 방면 |
- 승강장 번호는 별도로 부여되지 않았다.
-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구조이다.
5. 특징
역명과는 달리 역 소재지는 신서동이며, 4개의 출구 모두 신서동에 있다. 각산동은 1번 출구에서 율하동 방향으로 건너가야 하며, 2번 출구 건너편은 동호동이다.
동호지구 아파트 단지 입구에 위치하여 주변에 동호지구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다. 동호지구 안쪽으로 이동하면 금강동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 2014년 4월 혁신도시 진입로가 개통된 이후에는 1번 출구 북쪽에 있는 신서혁신도시로의 진입이 용이해졌다.
개통 초기에는 역 주변이 미개발 상태였고, 2003년 동호동공영차고지가 개장하기 전까지는 역 앞으로 시내버스가 운행되지 않아 이용객이 매우 적었다. 하루 이용객 수가 300명에도 미치지 못해, 당시 서울 지하철 5호선의 마곡역과 유사하게 대구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가장 승객이 적은 역이었다. 그러나 각산역 영업 개시 후 동호지구 개발과 입주가 진행되면서 승차 인원이 크게 증가했다. 또한, 역 북쪽의 신서혁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늘어나면서 소재지 행정동이 기존 안심3·4동에서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으로 분리되었다.
시설 면에서는 3번 출구와 4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2022년 6월에는 부역명이었던 '''속안심내과의원'''이 삭제되었으나, 2023년 9월에 '''속안심내과연합의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부역명이 다시 추가되었다.
6. 역 주변
7. 승차량 변동
동호지구 개발 이전에는 각산역 주변에 시내버스도 다니지 않을 정도로 역세권이 없어서 이용객이 적었다. 동호지구 아파트 단지 안쪽으로는 본격적으로 입주가 시작된 2004년부터 시내버스가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입주 이후 각산역도 이용률이 대폭 증가했다. 대경권 혁신도시 개발 이후, 이용률이 점진적으로 늘고 있다.
노선 | 승차 인원 | 주석 |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
1호선 | 미개통 | 285 | 395 | 396 | 397 | 626 | 980 | 3,028 | 3,604 | 3,674 | [2] |
노선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1호선 | 3,656 | 3,850 | 3,700 | 3,812 | 3,981 | 4,072 | 4,083 | 4,253 | 4,298 | 4,326 | [3] |
노선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호선 |
8. 인접한 역
(설화명곡 방면)
(하양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