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감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쇠는 매체를 통과하는 파동의 세기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지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초음파, 전자기파, 빛 등 다양한 파동에서 감쇠가 발생하며, 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음파에서는 영상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전자기파는 통신 및 방사선 촬영에 영향을 준다. 빛의 감쇠는 물에서의 빛의 세기를 감소시켜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감쇠는 매질의 특성, 파동의 주파수, 경로 길이에 따라 달라지며, 흡수와 산란이 주요 원인이다. 감쇠 계수는 매질별로 다르며, 광섬유, 기상 레이더, 의료 영상, 컴퓨터 그래픽스, 무선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향학 - 신시사이저
    신시사이저는 전자 회로로 소리를 합성하는 전자 악기로, 1960년대 로버트 무그 등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다양한 음향 합성 방식을 사용하며 여러 장르의 음악과 영화 사운드트랙에 널리 활용된다.
  • 음향학 - 사인파
    사인파는 고조파가 없는 단일 주파수 파형으로, 삼각함수로 표현되며 진폭, 각진동수, 위상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푸리에 분석을 통해 복잡한 파형으로 분해 및 합성이 가능하며, 전자공학, 음악,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통신공학 - 무선 통신
    무선 통신은 전선 없이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르코니의 무선 전신 실험 성공 이후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 통신공학 - FM 방송
    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음질이 좋고 잡음에 강하며 스테레오 방송과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디오 방송 기술이다.
감쇠
개요
종류에너지 손실
원인매질 내에서의 에너지 흡수 또는 산란
물리학
정의진행파 또는 신호의 강도 감소
관련 현상흡수
거리로 인한 기하학적 확산
산란 (예: 레일리 산란)
반사
굴절
회절
그 외 매질 내 에너지 손실 효과
측정 단위
SI 단위네퍼 (Np)
기타 단위데시벨 (dB)
적용 분야
관련 기술오디오 및 전자 신호
광섬유 통신
전자기파
음향학
추가 정보
반대 현상증폭

2. 배경

많은 경우 감쇠는 매체를 통과하는 경로 길이에 대한 지수 함수로 표현된다. 광학 및 화학 분광학에서는 이를 비어-람베르트 법칙이라고 한다. 공학에서 감쇠는 일반적으로 매체의 단위 길이당 데시벨 단위(dB/cm, dB/km 등)로 측정되며 해당 매체의 감쇠 계수로 표시된다. 감쇠는 지진에서도 발생한다. 지진파가 진원지에서 멀어질수록 지진파는 지면에 의해 감쇠되어 작아진다.[1]

표준 대기에서 전자기파의 주파수 의존 감쇠

3. 초음파

초음파 물리학에서 감쇠는 영상 매질을 통과하는 거리에 따라 초음파 빔의 진폭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초음파 감쇠 효과를 고려하는 것은 신호 진폭 감소가 영상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초음파 빔이 매질을 통과하면서 겪는 감쇠를 알면, 원하는 영상 깊이에서 에너지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입력 신호 진폭을 조정할 수 있다.[2]

초음파 감쇠는 에멀젼이나 콜로이드와 같은 불균일 시스템에서 입자 크기 분포 정보를 제공하며(이 기술에 대한 ISO 표준이 존재한다[3]), 신장 유변학 측정에도 사용된다. 음향 유변계는 신장 점도 및 체적 점도 측정을 위해 스토크스 법칙을 사용한다.[4]

3. 1. 감쇠 계수

감쇠 계수는 주파수에 따라 전송된 초음파 진폭이 얼마나 강하게 감소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매질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된다. 감쇠는 매질의 길이 및 감쇠 계수에 선형적으로 의존하며, 생물학적 조직의 경우 입사 초음파 빔의 주파수에도 거의 선형적으로 의존한다.[2] (한국인의 인체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감쇠 계수(\alpha)는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매질의 총 감쇠를 dB로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 \text{감쇠} = \alpha \left[\frac{\text{dB}}{\text{MHz}{\cdot}\text{cm}}\right] \cdot \ell [\text{cm}] \cdot \text{f}[\text{MHz}]

감쇠 계수는 매질에 따라 크게 다르다. 생물 의학 초음파 영상에서는 생물학적 재료와 물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질이다. 1 MHz 주파수에서 일반적인 생물학적 재료의 감쇠 계수는 다음과 같다:[8]

재료\alpha\text{ }\left[\frac{\text{dB}}{\text{MHz}{\cdot}\text{cm}}\right]
공기 (20 °C)[9]1.64
혈액0.2
(피질)6.9
뼈 (해면)9.94
0.6
유방0.75
심장0.52
결합 조직1.57
상아질80
에나멜120
지방0.48
0.5
골수0.5
근육1.09
힘줄4.7
연조직 (평균)0.54
0.0022


4. 물에서의 빛 감쇠

태양에서 방출되는 단파 복사는 360 nm(보라색)에서 750 nm(빨간색)에 이르는 가시광선 스펙트럼 파장을 갖는다. 태양 복사가 해수면에 도달하면 단파 복사는 물에 의해 감쇠되고 빛의 세기는 수심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수심에서의 빛의 세기는 비어-람베르트 법칙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맑은 대양의 물에서는 가시광선이 가장 긴 파장에서 가장 강하게 흡수된다. 따라서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파장은 얕은 깊이에서 완전히 흡수되는 반면, 파란색 및 보라색 파장은 수주 깊숙이 도달한다. 파란색 및 보라색 파장이 다른 파장에 비해 가장 적게 흡수되기 때문에 대양의 물은 육안으로 짙은 청색으로 보인다.

해안 근처의 연안수는 매우 맑은 대양수보다 더 많은 식물 플랑크톤을 포함한다. 식물 플랑크톤의 엽록소-a 색소는 빛을 흡수하고, 식물 자체가 빛을 산란시켜 연안수를 대양수보다 덜 맑게 만든다. 엽록소-a는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가장 짧은 파장(파란색 및 보라색)에서 가장 강하게 빛을 흡수한다. 식물 플랑크톤 농도가 높은 연안수에서는 녹색 파장이 수주에서 가장 깊숙이 도달하고 물의 색이 청록색 또는 녹색으로 보인다.

5. 지진

지진 에너지는 거리에 따라 감쇠되며, 지반 운동 강도 신호 감쇠는 강력한 지반 진동 가능성 평가에 중요하게 작용한다.[18] 지진파지구를 통과하면서 에너지를 잃는데, 이를 '''지진 감쇠'''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지진 에너지의 거리와 함께 분산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소산되는 에너지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더 넓은 부피로 지진 에너지가 분산되어 발생하는 기하학적 분산
  • 열로 소산되는 분산 (고유 감쇠 또는 비탄성 감쇠)


다공성 유체로 포화된 사암과 같은 퇴적암에서 지진파의 고유 감쇠는 주로 파동에 의해 유발되는 공극 유체의 고체 골격에 대한 상대적인 흐름에 의해 발생한다.

6. 전자기파



전자기파의 세기 감소는 광자의 흡수와 산란으로 인해 발생한다. 역제곱 법칙에 따른 기하학적 확산은 감쇠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세기의 총 변화는 역제곱 법칙과 경로에 의한 감쇠를 모두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물질 내 감쇠의 주요 원인은 광전 효과, 컴프턴 산란이며, 1.022 MeV 이상의 광자 에너지에서는 쌍생성이 있다.[1]

6. 1. 동축 및 일반 RF 케이블

RF 케이블의 감쇠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4]

:

여기서 P_1은 특성 임피던스의 공칭 값으로 종단된 100m 길이의 케이블에 입력되는 전력이고, P_2는 이 케이블의 반대쪽 끝에서 출력되는 전력이다.[14]

동축 케이블의 감쇠는 재료와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6. 2. 방사선 촬영

X선 빔은 조직을 통과할 때 광자가 흡수되면서 감쇠된다. 물질과의 상호 작용은 고에너지 광자와 저에너지 광자 사이에서 다르다. 고에너지 광자는 물질과 상호 작용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조직 표본을 더 잘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주로 광전 효과 때문인데, 광전 효과는 "광전 흡수의 확률은 대략 (Z/E)3에 비례하며, 여기서 Z는 조직 원자의 원자 번호이고 E는 광자 에너지이다."[15]라고 한다. 따라서 광자 에너지(E)가 증가하면 물질과의 상호 작용이 급격히 감소한다.

6. 3. 광학

광섬유에서 감쇠(전송 손실)는 빛의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산란과 흡수가 주요 원인이다.[26] 광섬유는 투명도가 높아 감쇠 계수는 보통 dB/km 단위로 측정된다. 감쇠는 장거리 디지털 신호 전송을 제한하므로, 이를 줄이고 신호 증폭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6]

광섬유의 감쇠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27]

:\text{감쇠 (dB)} = 10\times\log_{10}\left(\frac{\text{입력 강도 (W)}}{\text{출력 강도 (W)}}\right)

6. 3. 1. 광 산란

광섬유 코어에서 빛은 전반사를 통해 전파된다. 유리 분자 수준에서도 거칠고 불규칙한 표면은 빛을 무작위 방향으로 반사(확산 반사)할 수 있는데, 이를 광 산란이라고도 한다.[16]

빛 산란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가시광선은 파장 척도가 1 마이크로미터 정도이므로 산란 중심은 유사한 공간적 척도를 갖는다.

산란 중심의 크기가 빛 파장보다 작으면 산란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데, 이 현상을 이용하여 투명 세라믹 재료를 생산한다.[17] 광학 품질 유리 섬유에서 빛 산란은 유리 구조의 분자 수준 불규칙성에 의해 발생한다.[17] Diffuse reflection|확산 반사영어는 영어 표현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6. 3. 2. UV-Vis-IR 흡수

감쇠는 특정 파장의 선택적 흡수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색상의 출현과 유사한 방식이다. 재료의 전자 및 분자 수준에서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전자 수준: 전자 궤도가 자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의 특정 파장 또는 주파수의 광자를 흡수할 수 있는 간격(양자화)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이것이 의 원인이다.
  • 원자 또는 분자 수준: 원자 및 분자, 화학 결합의 진동 주파수, 원자나 분자의 밀집도, 그리고 원자나 분자가 장거리 질서를 나타내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요소는 물질의 적외선, 원적외선, 마이크로파, 전파 등 장파장 전자기파 전달 능력에 영향을 준다.


특정 물질에 의한 적외선의 선택적 흡광은 해당 물질의 진동 주파수(또는 그 정수배)와 광파의 주파수가 일치할 때 발생한다. 원자와 분자는 서로 다른 고유 주파수를 가지므로, 물질은 각각 다른 주파수(또는 스펙트럼 영역)의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한다.

7. 응용

광섬유에서 감쇠는 신호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속도이다. 이러한 이유로 장거리 광케이블에는 감쇠가 낮은 유리 섬유가 사용되며, 플라스틱 섬유는 감쇠가 더 높으므로 거리가 짧다. 또한 광섬유 케이블에서 의도적으로 신호를 감소시키는 광 감쇠기가 존재한다.

빛의 감쇠는 해양 물리학에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동일한 효과는 기상 레이더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으로, 빗방울은 사용된 파장에 따라 어느 정도 상당한 방출 빔의 일부를 흡수한다.

고에너지 광자는 생체 조직에 대한 손상 효과를 가지므로, 의료 진단 중에 그러한 방사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정도를 알아야 한다. 또한 감마 방사선은 암 치료에 사용되며 건강한 조직과 종양 조직에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축적되는지를 알 필요가 있다.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감쇠는 광원 및 힘장의 지역적 또는 전역적 영향을 정의한다.

CT 촬영에서 감쇠는 이미지의 밀도 또는 어두움을 나타낸다.

현대 무선 통신에서도 감쇠는 중요하다. 무선 신호의 도달 범위는 감쇠에 의해 결정되며, 감쇠는 신호가 전파되는 매질(공기, 목재, 콘크리트, 빗방울 등)의 영향을 받는다.

참조

[1] 서적 Essentials of Ultrasound Physics Mosby Inc. 1996
[2] 서적 Diagnostic Ultrasound Mosby Inc. 1991
[3] 표준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cles by acoustic methods
[4] 논문 On a Fractional Zener Elastic Wave Equation https://arxiv.org/ab[...] 2013
[5] 논문 On the theories of the internal friction in fluids in motion, and of the equilibrium and motion of elastic solids 1845
[6] 논문 Ueber den Einfluss der Wärmeleitung in einem Gase auf die Schallbewegung https://doi.org/10.1[...] 1868
[7] 논문 On the dispersion relation for 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https://hal.archives[...]
[8] 논문 A Review of Tissue Substitutes for Ultrasound Imaging http://www.umbjourna[...] 2013-04-16
[9] 논문 Ultrasound attenuation dependence on air temperature in closed chambers https://www.ndt.net/[...] 2008
[10] 서적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Light by Small Particles Wiley 1983
[11] 서적 Ultrasound for characterizing colloids Elsevier 2002
[12] 논문 Seismic wave attenuation and dispersion resulting from wave-induced flow in porous rocks — A review 2010-09
[13] 서적 Attenuation and Dispersion of Elastic Waves in Porous Rocks: Mechanisms and models https://library.seg.[...] Society of Exploration Geophysicists 2023-02-26
[14] 웹사이트 Technical Information – Coaxial Transmission Lines http://www2.rfsworld[...]
[15] 웹사이트 X-Ray Physics: X-Ray Interaction with Matter, X-Ray Contrast, and Dose – XRayPhysics http://xrayphysics.c[...] 2018-09-21
[16] 논문 Light Scattering by Inhomogeneous Media 1926
[17] 논문 Scattering from infrared missile domes 1978
[18] 서적 Essentials of Ultrasound Physics Mosby Inc. 1996
[19] 서적 Diagnostic Ultrasound Mosby Inc. 1991
[20] 표준 Measurement and characterization of particles by acoustic methods
[21] 논문 On a Fractional Zener Elastic Wave Equation
[22] 논문 A Review of Tissue Substitutes for Ultrasound Imaging 2010
[23] 논문 Ultrasound attenuation dependence on air temperature in closed chambers http://www.ndt.net/a[...]
[24] 서적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Light by Small Particles Wiley 1983
[25] 서적 Ultrasound for characterizing colloids Elsevier 2002
[26] 논문 Telecommunications: A Boost for Fibre Optics 2002
[27] 뉴스 Fibre Optics http://floti.bell.ac[...] Bell College
[28] 논문 The Scattering of Light Academic, New York 1909
[29] 논문 Light Scattering by Inhomogeneous Media 1926
[30] 논문 Scattering from infrared missile domes
[31]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32] 웹사이트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
[33] 웹사이트 한국물리학회 물리학용어집 https://www.kps.or.k[...]
[34] 웹사이트 대한화학회 화학술어집 https://new.kcsne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