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혈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액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액체로, 주요 기능은 영양소 운반, 산소 공급, 노폐물 제거, 호르몬 전달, 체온 조절, 면역 반응 등이다. 혈액은 혈장과 혈구로 구성되며, 혈구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백혈구,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이 있다. 혈액 순환은 심장의 펌프 작용을 통해 혈관을 따라 이루어지며, 폐쇄 혈관계와 개방 혈관계로 나뉜다. 혈액의 색깔은 헤모글로빈, 헤모시아닌 등 혈색소에 의해 결정되며,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에 따라 구분된다. 혈액은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출혈, 백혈병, 빈혈, 혈우병, AIDS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한국 문화에서 혈액은 생명, 가족, 민족 등을 상징하며, 종교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2. 주요 기능

혈액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영양소 운반''': 소장에서 흡수된 포도당, 아미노산, 유리 지방산 등의 영양소를 온몸으로 운반한다.[57][60]
  • '''노폐물 제거''': 세포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 탄소, 요소, 젖산 등의 노폐물을 신장, 등 배설 기관으로 운반한다.[91]
  • '''호르몬 전달''': 내분비계통에서 생성된 호르몬을 목표 기관까지 운반한다.[91]
  • '''체온 조절''': 혈액 순환을 통해 체내 열을 전달하고 조절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한다.[91][57]
  • '''면역 반응''': 백혈구 순환과 항체에 의한 이물질 감지 등 면역 기능을 수행한다.[91]
  • '''기타 기능''': 체내 수소 이온 농도(pH)를 약염기성으로 유지하고,[17][18] 삼투압과 수분 평형, 혈압을 조절하는 등[57] 체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1. 산소 및 이산화탄소 운반 (호흡)

혈액은 허파에서 호흡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91] 건강한 사람이 해수면 기압에서 공기를 호흡할 때 동맥혈 샘플의 약 98.5%의 산소헤모글로빈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약 1.5%는 다른 혈액 액체에 물리적으로 용해되어 헤모글로빈과 연결되지 않는다. 헤모글로빈 분자는 포유류와 다른 많은 종에서 산소의 주요 수송체이다. 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 1g당 1.36~1.40ml O2 사이의 산소 결합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23] 이는 산소가 0.03ml O2/리터 혈액/mmHg 산소 분압(동맥에서 약 100mmHg)의 용해도에 의해서만 운반될 때보다 총 혈액 산소 용량을 70배 증가시킨다.[24]

폐 동맥과 제대 동맥 및 해당 정맥을 제외하고, 동맥은 심장에서 멀리 '''산소화된 혈액'''을 운반하여 세동맥과 모세 혈관을 통해 신체로 전달하며, 여기서 산소가 소비된다. 그 후, 세정맥과 정맥은 '''탈산소화된 혈액'''을 심장으로 다시 운반한다.

휴식 중인 성인에서 정상적인 조건에서 폐를 떠나는 혈액의 헤모글로빈은 약 98~99% 산소 포화되어 신체에 950~1150ml/min 사이의 산소 공급을 달성한다.[25] 휴식 중인 건강한 성인의 경우 산소 소비량은 약 200~250ml/min이며,[25] 폐로 돌아가는 탈산소화된 혈액은 여전히 약 75%[26][27] (70~78%)[25] 포화 상태이다.

태반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 태아는 훨씬 낮은 산소 압력(성인 폐에서 발견되는 수준의 약 21%)에 노출되므로, 태아는 이러한 조건에서 기능하기 위해 산소에 훨씬 더 높은 친화성을 가진 헤모글로빈의 또 다른 형태(태아 헤모글로빈)를 생성한다.[30]

기본적인 헤모글로빈 포화 곡선. 산성도가 높을 때(더 많은 이산화탄소 용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산성도가 낮을 때(이산화탄소 용해 감소)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산화탄소(CO2)는 혈액 내에서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운반된다. (정확한 비율은 동맥혈인지 정맥혈인지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약 70%)은 적혈구 내 탄산 무수화 효소에 의해 중탄산염 이온(HCO3-)으로 전환된다. 약 7%는 혈장에 용해되며, 약 23%는 카르바미노 화합물로 헤모글로빈에 결합된다.[31][32]

적혈구 내 주요 산소 운반 분자인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모두 운반한다. 그러나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CO2는 산소와 같은 부위에 결합하지 않는다. 대신, 네 개의 글로빈 사슬에 있는 N-말단 그룹과 결합한다. 하지만 헤모글로빈 분자에 대한 알로스테릭 효과로 인해, CO2의 결합은 주어진 산소 분압에서 결합되는 산소의 양을 감소시킨다. 산소 수치의 증가로 인해 혈액 내 이산화탄소 결합이 감소하는 현상은 할데인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조직에서 폐로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데 중요하다. CO2의 분압 상승 또는 낮은 pH는 헤모글로빈에서 산소 방출을 유발하며, 이를 보어 효과라고 한다.

보어의 원 논문을 바탕으로 한 설명. 산소가 풍부하고 이산화탄소가 적은 폐(산소 분압 100mmHg, 이산화탄소 분압 5mmHg 정도)에서는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가 거의 100%가 된다. 적혈구는 그대로 산소가 적은 조직(예: 산소 분압 30mmHg, 그림의 빨간 선)으로 가지만, 만약 이산화탄소가 없는 환경이라면 가지고 있는 산소의 18% 정도밖에 방출할 수 없지만, 조직 내에 이산화탄소(40mmHg)가 있으면 약 50%, 이산화탄소(80mmHg)가 있으면 약 70%의 산소를 방출할 수 있다.


; 호흡 (혈액 가스, 즉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운반)[57]

  • 산소

: 혈액은 폐포 (산소 분압 100mmHg 정도)의 모세 혈관을 0.75초 정도 통과하는 동안 거의 평형에 도달하여 동맥혈의 산소 분압도 약 100mmHg가 된다. 폐에서 산소를 흡수한 혈액은 혈액 순환으로 말초 조직으로 순환하지만, 체조직 세포 주위의 산소 분압은 20 - 30mmHg이며 동맥혈과 산소 분압에 차이가 있다는 점과, 조직액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를 적혈구 내로 흡수하여 탄산 탈수 효소가 탄산으로 변환함으로써 보어 효과가 일어남으로써, 산소가 혈액에서 조직액으로 이동한다.[58] 이렇게 산소가 체조직으로 운반된다. 산소를 운반하고 난 정맥혈의 산소 분압은 40mmHg 정도이다.

: 혈액은 일반적인 액체에 비해 같은 산소 분압에서도 훨씬 많은 산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적혈구 내에 고밀도로 존재하는 혈색소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하기 때문이다.

  • 이산화탄소

: 산소와는 별개로 3가지 방법으로 운반된다. 탄산 탈수 효소로 변환된 탄산 수소염 상태가 85%,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카르바미노헤모글로빈 상태가 10-20%, 나머지는 혈장에 용해된 형태로 운반된다.[59]

2. 2. 영양소 운반

소장의 모세 혈관에서 흡수된 포도당, 아미노산, 유리 지방산 등의 영양소는 혈액을 통해 온몸으로 운반된다.[57][60] 이러한 영양소는 체세포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일부 영양소는 혈액에 용해되거나 혈장 단백질과 결합하여 운반되기도 한다.[91]

건강한 사람의 경우, 안정 시 혈액 100 ml 중의 혈당(포도당)은 대략 100 mg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는 췌장의 α 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과 β 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에 의해 조절된다.

식사 후 혈당이 높아지면 β 세포에서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에 저장하고, 지방지방 조직에 저장한다. 반대로 혈당이 낮아지면 α 세포에서 글루카곤이 분비되어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포도당으로 만들고, 지방을 분해하여 유리 지방산으로 만든다.

2. 3. 노폐물 제거

세포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 탄소, 요소, 젖산과 같은 노폐물은 혈액에 의해 신장, 등 배설 기관으로 운반된다.[91]

2. 4. 호르몬 전달

혈액은 내분비계통에서 생성된 호르몬을 목표 기관까지 운반하여[91] 조직 손상 신호를 포함하는 메신저 기능을 수행한다.[57]

2. 5. 체온 조절

혈액 순환은 체내 전체에 열을 전달하며, 이러한 흐름을 조절하는 것은 체온 조절의 중요한 부분이다.[91][57] 따뜻한 날씨나 격렬한 운동 중에는 피부 표면으로의 혈류가 증가하여 피부를 따뜻하게 하고 열 손실을 빠르게 한다. 반대로 외부 온도가 낮을 때는 사지와 피부 표면으로의 혈류가 감소하여 열 손실을 막고, 중요한 신체 기관으로 혈액이 우선적으로 순환한다.[91]

사람의 경우 체온섭씨 34도 이하 또는 43도 이상이 되면 세포가 작동하지 않아 의식을 잃는다. 변동 허용 범위는 겨우 10도 정도이다. 한중수영이나 100도에 가까운 사우나까지 견딜 수 있는 외부 환경과 비교하면, 내부 환경의 온도 변화 허용 범위는 매우 작다.

혈액은 전신을 순환하면서 신체 각 부분의 열을 교환하여 전신의 체온을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2. 6. 면역 반응

백혈구 순환과 항체에 의한 이물질 감지를 포함하여 면역 기능을 수행한다.[91] 혈소판 응집이나 혈액 응고 인자에 의한 피브린 덩어리를 형성하여 외상에 대해 지혈이나 상처를 막는 작용을 일으킨다. 세균에 대한 면역 기능 발현 및 이물질에 대한 항체 생성도 수행한다.[57]

2. 7. 기타 기능

혈액은 완충액으로서 기능을 하며, 체내 수소 이온 농도(pH)를 7.35에서 7.45 사이의 약염기성으로 유지한다.[17][18] 만약 혈액의 pH가 7.35 미만이면 너무 산성이고, 7.45를 초과하면 너무 염기성이 된다.[16] pH가 6.9 미만이거나 7.8을 초과하면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16] 혈액 pH, 산소 분압(pO2), 이산화탄소 분압(pCO2), 탄산 수소염 (HCO3)은 여러 항상성 기전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되며, 주로 호흡계비뇨계를 통해 산-염기 항상성과 호흡을 조절한다.[16] 동맥혈 가스 검사는 이러한 값들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혈액은 삼투압과 수분 평형을 조절하고,[57] 혈압을 조절하는 등[57] 체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3. 구성 성분

동물의 혈액은 혈장혈구로 구성된다. 척추동물의 경우 혈구는 혈액의 약 45%, 혈장은 혈액의 약 55% 정도를 차지한다. 혈장의 90%는 이다.[92]

사람의 혈액 조성[90]
구분구성 성분
혈장, 염류,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중탄산염, 알부민, 피브리노겐, 면역 글로불린
혈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구에는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이 있으나, 무척추동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백혈구만 볼 수 있다.


  •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을 포함하고 있는 혈구로서, 산소 운반을 담당한다. 낙타·라마를 제외한 일반적인 포유류의 적혈구는 한가운데가 들어간 원반 모양이며 핵이 없다. 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주로 혈장에 들어 있다.
  • 백혈구는 혈색소를 갖지 않는 혈액 속의 세포를 통틀어 일컫는 것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혈액을 가진 모든 동물에서 볼 수 있다.
  • 혈소판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으로서, 핵은 없고 혈액 응고 작용에 관여한다.


이러한 혈구, 특히 적혈구를 만드는 기관을 조혈 기관이라고 한다. 양서류 가운데 무미류와 파충류·조류포유류에서는 골수가 대표적인 조혈 기관이다.

3. 1. 혈장

동물의 혈액은 혈장혈구로 구성된다. 척추동물의 경우 혈장은 혈액의 약 55% 정도를 차지한다. 혈장의 90%는 이다.[92] 다음 표는 사람의 혈액 조성을 나타낸다.[90]

혈장조성염류혈장단백질
성분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중탄산염 등알부민, 피브리노겐, 면역 글로불린
기능용매삼투압 평형, pH 조절, 전압 조절 등삼투압 평형, pH 조절, 응고, 면역 반응 등



혈장의 약 91%는 물이고 혈장 단백질은 혈장 가운데 약 7%를 차지한다. 일부 항체와 단백질 형태의 호르몬을 제외한 대부분의 혈장 단백질은 에서 생성된다. 혈장 단백질은 수소 이온을 흡수하거나 배출할 수 있어 혈액의 pH를 7.4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95]

혈장 단백질은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약 80여 종에 이른다.[97] 글로불린은 알파, 베타, 감마의 세 종류가 있으며 이 가운데 알파와 베타는 간에서 합성되고 림프계통에서 합성되는 감마글루블린은 면역 항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96] 알부민은 가용성 단백질 가운데 황산암모늄으로는 침전되지 않는 단순 단백질을 총칭하는 것이고, 글로불린은 물에 녹지 않으며 약한 염기성 또는 중성 염류 용액에 녹는 단순 단백질이다. 한편, 피브리노겐은 수용성 단백질로 혈액 응고에 관여하여 혈소판의 침전 속도와 혈액의 점성에 영향을 미친다.[97]

혈장 단백질은 거대 유기 분자와 결합하여 운반 작용을 하는데, 알부민은 헤모글로빈의 분해 산물인 빌리루빈을 운반하고, 글로불린을 포함하고 있는 지단백질은 콜레스테롤을 운반한다.[95]

혈장은 혈액의 액체 성분으로, 그 90%를 차지하는 물은 물질 운반을 담당한다. 전해질은 세포에 미네랄을 보급하거나 체액의 삼투압 및 완충 작용에 영향을 미친다. 혈장 단백질은 삼투압 및 완충 작용 조절 외에도 아미노산이나 호르몬, 비타민류의 운반, 피브리노겐이 혈액 응고에 작용하거나 항체로서 면역 작용에 관여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76]

3. 2. 혈구

왼쪽부터 적혈구, 혈소판, 백혈구]]

동물의 혈액은 혈장혈구로 구성된다. 척추동물의 경우 혈구는 혈액의 약 45%를 차지한다. 혈구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있다.[90]

혈구조성적혈구백혈구혈소판
1ml당 개수500 - 600 백만5 - 6 25 - 40 만
기능산소와 이산화탄소 수송외래 세포 파괴 및 항체 생산[93]혈액 응고



무척추동물에서는 일반적으로 백혈구만 볼 수 있다.

척추동물에서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을 포함하고 있으며, 낙타라마를 제외한 일반적인 포유류의 적혈구는 핵이 없는 원반 모양이다. 척추동물의 헤모글로빈은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의 헤모글로빈은 주로 혈장에 들어 있다.

백혈구는 세포핵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종류가 있고 혈액을 가진 모든 동물에서 볼 수 있다.

혈소판은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이며, 핵은 없고 혈액 응고에 관여한다.

이러한 혈구, 특히 적혈구를 만드는 기관을 조혈 기관이라고 한다. 양서류 가운데 무미류와 파충류·조류포유류에서는 골수가 대표적인 조혈 기관이다.

사람의 경우 혈액 1마이크로리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척추동물의 적혈구 유형, 측정 단위는 마이크로미터


thumb

thumb

thumb

thumb

사람의 혈액은 포유류의 전형적인 형태를 띠지만, 세포 수, 크기, 단백질 구조 등에 관한 세부 사항은 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그러나 비포유류 척추동물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19]

  • 비포유류 척추동물의 적혈구는 납작하고 타원형이며 세포 핵을 유지한다.
  • 백혈구의 유형과 비율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호산구는 일반적으로 사람보다 더 흔하다.
  • 혈소판은 포유류에게만 존재하며, 다른 척추동물에서는 혈전구라고 불리는 작고 핵이 있는 방추형 세포가 혈액 응고를 담당한다.


3. 2. 1. 적혈구

중앙이 약간 오목한 직경 약 7.5µm, 두께 약 1~2µm의 원반 모양이며[71], 헤모글로빈 양이 부피의 1/3에 해당한다. 산소 운반을 담당하며, 세포핵이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지 않는다[67]. 막은 탄력성이 뛰어나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모세혈관 등 좁은 곳도 통과하기 쉽다[71].

적혈구는 성인 남성의 경우 430만~570만/mm, 여성의 경우 380만~500만/mm이다. 전신 세포의 1/3에 해당한다[72]. 전체 혈액 중 용량에서 적혈구 용량의 비율을 헤마토크리트라고 한다. 정상치는 성인 남성 약 45%, 여성 약 40%이며, 빈혈 시에는 낮아지고,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높아진다[72].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하면 선명한 붉은색이 되고, 분리되면 어두운 붉은색이 된다. 이것이 각각 동맥혈정맥혈의 색을 특징짓는다[71]. 만약 헤모글로빈이 혈장 중에 녹아 있는 상태라면, 혈액은 점도가 매우 높아져 흐르기 어려워진다. 또한, 헤모글로빈 자체도 곧 분해되어 산소를 운반할 수 없게 된다[71].

3. 2. 2. 백혈구

백혈구는 신체의 면역 체계의 일부로,[15] 오래되거나 비정상적인 세포와 세포 잔해를 파괴하고 제거하며 병원체 및 이물질을 공격한다. 백혈구의 암은 백혈병이라고 한다. 혈액 속 백혈구는 5000 - 9000/mm이며, 형태와 염색성에 따라 과립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구, 림프구의 5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73]

세포의 명칭형태의 특징작용
림프구10 - 15µm 정도로, 적혈구보다 약간 큰 사이즈.항체를 만들고, 종양 세포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공격.
호중구12 - 15µm 정도로, 핵이 2개에서 4개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세균의 포식, 살균에 기여.
호산구호중구보다 약간 크다. 과립이 있다.기생충을 공격,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거나 억제한다.
호염기구호중구보다 약간 작다. 과립이 많이 있다.자세한 것은 불분명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고 생각된다.
단구20µm 정도로, 말초 혈액 안에서 최대.세균 등의 이물을 포식. 림프구항체의 특징을 전달. 대식세포단구에서 분화한 것이다.


3. 2. 3. 혈소판

혈소판은 핵이 없고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부정형 세포 조각으로, 혈액 응고 작용에 관여한다.[94] 직경은 2 - 3µm이며, 혈관이 손상되면 콜라겐 섬유에 점착하고 변형되어 세로토닌, 아데노신 이인산 등 과립을 방출한다. 이들은 혈관 수축과 더 많은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여 혈전을 형성하고 출혈을 멈추게 한다.[74][75] 혈소판 수는 혈액 1mm3당 15만 - 40만 개이다.[75]

4. 순환계통

동물의 혈관계는 개방 혈관계와 폐쇄 혈관계로 나뉜다.[101]

인간의 순환계통


인체의 심장을 통한 혈액 순환


혈액은 혈관을 통해 심장의 펌프 작용에 의해 신체 전체로 순환한다. 인체에서 혈액은 심장의 강력한 좌심실에서 동맥을 통해 말초 조직으로 펌핑되어 정맥을 통해 심장의 우측 심방으로 되돌아온다. 그런 다음 우측 심실로 들어가 폐동맥을 통해 폐로 펌핑되어 폐정맥을 통해 좌심방으로 되돌아온다. 그런 다음 혈액은 다시 순환하기 위해 좌심실로 들어간다. 동맥혈은 흡입된 공기에서 신체의 모든 세포로 산소를 운반하고, 정맥혈은 세포의 신진대사의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내쉬기 위해 폐로 운반한다. 그러나 한 가지 예외로, 신체에서 산소가 가장 적은 혈액을 포함하는 폐동맥과 산소화된 혈액을 포함하는 폐정맥이 있다.

추가적인 귀환 흐름은 골격근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정맥을 압박하고 정맥의 밸브를 통해 혈액을 우심방 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혈액 순환은 1628년 윌리엄 하비에 의해 처음으로 묘사되었다.[20] 혈액이 흐르는 신체 부분을 특히 순환계라고 부른다. 순환계는 심장혈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경우 혈관은 폐쇄 회로를 이룬다. 혈액은 심장에 의해 가압되어,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보내진다. 모세 혈관에 도달하면 조직 간질액에 영양분, 산소 등을 방출하고, 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돌아온다.

폐쇄 회로 순환계는 크게 심장과 폐 사이의 폐순환(소순환), 심장과 폐 이외의 전신 사이의 체순환(대순환)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

혈구 성분은 골수 내의 조혈 세포에서 생산된다. 혈구마다 수명은 다르지만, 적혈구는 약 120일의 수명을 가진다. 노폐된 적혈구는 , 비장에서 파괴되어 체외로 배출되지만, 적혈구 속의 헤모글로빈은 재활용된다.

4. 1. 개방 혈관계

절지동물새우는 개방 혈관계를 가진다. 개방 혈관계에서 산소가 포함된 혈액은 심장에서 혈관을 통해 몸의 중요한 부분까지 운반되는데, 혈관은 그다지 길지 않고 단순하다. 모세 혈관이 없으므로, 혈액은 혈관의 말단으로부터 직접 조직 속으로 흘러들어가, 세포 사이에 있는 체강액(체액)과 섞인다. 이렇게 조직 세포에 산소를 공급한 혈액은 정맥에 해당되는 단순한 혈관에 모인 후 아가미를 거치면서 산소를 많이 함유하여 심장으로 다시 돌아온다. 이러한 순환계를 개방 혈관계라고 하며, 무척추동물에서 널리 볼 수 있다.[20]

4. 2. 폐쇄 혈관계

환형동물[102], 원색동물[103]척추동물[104]심장에서 나간 혈액이 허파아가미에서 가스 교환을 하고, 대동맥을 통해 몸의 세부에까지 산소를 운반한다. 동맥정맥은 모세 혈관으로 연결되어 있어, 혈액이 조직 속으로 직접 흘러드는 일이 없다. 가스 교환은 모세 혈관의 얇은 막을 통해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수분, 영양분, 노폐물 등도 모세 혈관의 벽을 통해 조직 세포에 공급되거나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모세 혈관은 정맥으로 이어지고, 혈액은 다시 심장으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순환계를 폐쇄 혈관계라고 한다.

순환계는 심장혈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경우 혈관은 폐쇄 회로를 이룬다. 폐쇄 순환계에는 크게 두 가지 경로가 있다. 심장과 폐 사이의 폐순환(소순환), 심장과 폐 이외의 전신 사이의 체순환(대순환)이다.

  • '''체순환''': 심장 → 동맥 → 폐 이외의 전신 → 말초부 모세 혈관 → 정맥 → 심장 (폐순환으로 이어진다)
  • '''폐순환''': 심장 → 폐동맥 → 폐 → 폐포부 모세 혈관 → 폐정맥 → 심장 (체순환으로 돌아간다)

5. 혈색소

척추동물의 혈액이 붉은색을 띠는 것은 주로 적혈구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 때문이다. 무척추동물 중에도 혈액이 붉은색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혈장 속에 붉은색 혈색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혈액 속에 직접 녹아 있는 산소의 양만으로는 생명 활동에 충분하지 못하므로, 산소와 능동적으로 결합하여 보다 많은 산소를 운반하는 혈색소의 존재가 중요하게 된다.[100]

이러한 혈색소는 모두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단백질로서, 산소 분압이 높은 호흡 기관에서 산소와 결합하며, 분압이 낮은 조직 세포에서는 산소를 해리하여 조직 세포에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혈색소는 산소 분자를 주고받는 일을 하므로 보통 '호흡 색소'라고도 한다. 척추동물의 혈색소는 적혈구 속에 헤모글로빈으로 함유되어 있으나, 무척추동물의 다른 종류의 혈색소는 혈장에 들어 있다.[100]

갑각류 등의 피가 녹색으로 보이는 까닭은 헤모시아닌에 함유된 구리때문이다.[100] 갯지렁이지렁이 등의 환형동물의 혈액도 붉지만, 이는 헤모글로빈과 마찬가지로 철을 포함하지만 에리스로크루오린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다만, 보결 분자족이나 기능 면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것도 헤모글로빈의 일종으로 취급할 수 있다.[64]

출혈하는 손가락에서 나온 모세 혈관 혈액


헤모글로빈은 혈액의 색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일산화탄소 중독 시 혈액은 밝은 붉은색을 띠는데, 이는 일산화탄소가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의 형성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시아나이드 중독 시에는 신체가 산소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정맥혈이 산소화된 상태로 유지되어 붉은색이 증가한다. 헤모글로빈에 존재하는 헴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조건으로 인해 피부가 파랗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청색증이라고 한다. 헴이 산화되면, 산소를 운반할 수 없는 더 갈색을 띠는 메트헤모글로빈이 형성된다. 드문 질환인 설프헤모글로빈혈증의 경우, 동맥 헤모글로빈이 부분적으로 산소화되어 푸른 빛을 띠는 짙은 붉은색을 띤다.[35]

피부 표면에 가까운 정맥이 파랗게 보이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지각 변화에 기여하는 요인은 정맥혈의 실제 색상보다는 피부의 빛 산란 특성과 시각 피질의 시각 정보 처리와 관련이 있다.[36]

''프라시노헤마''(Prasinohaema)속의 스킨크는 폐기물인 빌리베르딘의 축적으로 인해 녹색 혈액을 가지고 있다.[37]

5. 1.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네 개의 햄 색소와 각각 알파와 베타로 불리는 두 개의 단백질 사슬로 이루어져 있다. 철을 포함하여 산소와 가역적인 방법으로 결합하며, 세포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와도 결합하여 세포 조직으로 산소를 해리하고 이산화탄소를 체외로 내보낸다.[105] 이때, 이산화탄소는 산소와 달리 햄 구조의 다른 부분에 결합하여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105]

체내 이산화탄소의 약 8%는 혈장에 녹아들고 20%는 헤모글로빈과 결합하며 나머지 70%는 적혈구의 다른 부분에 스며든다. 이산화탄소가 적혈구로부터 농도가 낮은 혈장으로 녹아드는 것을 막기 위해 적혈구는 물과 효소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변화시키고 이를 다시 중탄산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분리시킨 다음 중탄산이온은 혈장으로 내보내고 수소이온 만을 헤모글로빈과 결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염화물 전환이라고 하며, 그 결과 혈장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고 주변 조직들로부터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105]

산소 포화도 더 보기:

건강한 사람이 해수면 기압에서 공기를 호흡할 때 동맥혈 샘플의 약 98.5%[22]산소헤모글로빈과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약 1.5%는 다른 혈액 액체에 물리적으로 용해되어 헤모글로빈과 연결되지 않는다. 헤모글로빈 분자는 포유류와 다른 많은 종에서 산소의 주요 수송체이다. 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 1g당 1.36ml~ O2 사이의 산소 결합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23] 이는 산소가 0.03ml O2/리터 혈액/mmHg 산소 분압(동맥에서 약 100mmHg)의 용해도에 의해서만 운반될 때보다 총 혈액 산소 용량을 70배 증가시킨다.[24]

태반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는 태아는 훨씬 낮은 산소 압력(성인 폐에서 발견되는 수준의 약 21%)에 노출되므로, 태아는 이러한 조건에서 기능하기 위해 산소에 훨씬 더 높은 친화성을 가진 헤모글로빈의 또 다른 형태(태아 헤모글로빈)를 생성한다.[30]

헤모글로빈은 혈액 색깔('''헤모크롬''')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각 분자는 4개의 헴 그룹을 가지고 있으며, 이 헴 그룹과 다양한 분자의 상호 작용은 정확한 색상을 변화시킨다. 동맥혈과 모세혈관 혈액은 밝은 붉은색을 띠는데, 이는 산소가 헴 그룹에 강한 붉은색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탈산소화된 혈액은 더 어두운 붉은색을 띤다. 이것은 정맥에서 나타나며, 헌혈 과정과 정맥 혈액 샘플을 채취할 때 볼 수 있다. 이는 헤모글로빈이 흡수하는 빛의 스펙트럼이 산소화 상태와 탈산소화 상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35]

일산화탄소 중독 시 혈액은 밝은 붉은색을 띠는데, 이는 일산화탄소가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의 형성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시아나이드 중독 시에는 신체가 산소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정맥혈이 산소화된 상태로 유지되어 붉은색이 증가한다. 헤모글로빈에 존재하는 헴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조건으로 인해 피부가 파랗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청색증이라고 한다. 헴이 산화되면, 산소를 운반할 수 없는 더 갈색을 띠는 메트헤모글로빈이 형성된다. 드문 질환인 설프헤모글로빈혈증의 경우, 동맥 헤모글로빈이 부분적으로 산소화되어 푸른 빛을 띠는 짙은 붉은색을 띤다.

산소 외의 다른 물질도 헤모글로빈에 결합할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이로 인해 신체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산화 탄소는 흡입을 통해 폐를 거쳐 혈액으로 운반될 때 매우 위험하다. 일산화 탄소는 헤모글로빈과 비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을 형성하므로, 산소와 결합할 수 있는 헤모글로빈이 줄어들고, 혈액 전체에 운반될 수 있는 산소 분자도 줄어든다. 이는 서서히 질식을 유발할 수 있다.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방에서 불이 타면 공기 중에 일산화 탄소가 축적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담배를 피울 때도 일부 일산화 탄소가 헤모글로빈에 결합한다.[40]

5. 2. 헤모시아닌

연체동물이나 절지동물의 혈색소는 헤모시아닌으로 이루어져 있다. 헤모시아닌은 두 개의 구리와 산소가 결합하여 체내에 산소를 운반한다. 산소를 얻게 되면 산화구리의 색인 푸르스름한 빛을 지니게 되고 산소를 잃으면 무색이 된다.[106] 두족류, 복족류와 같은 연체동물이나 대다수의 절지동물, 갑각류는 헤모시아닌 때문에 혈액이 푸른빛을 띤다.[65]

5. 3. 기타 혈색소

갯지렁이헤모글로빈과 같이 산소와 결합하는 매개체로 사용하는 클로로크로우린을 혈색소로 사용하는데, 헤모글로빈보다 산소 결합력이 떨어진다. 혈중에 클로로크로우린의 농도가 높을 경우 붉은 색을 띄며 옅으면 녹색을 띈다.[107]

두족류, 연체동물, , 새우무척추동물갑각류구리계 단백질인 헤모시아닌(혈청소) 때문에 푸른빛을 띤다.[65] 멍게 등에서는 바나듐을 포함하는 포르피린 화합물인 헤모바나딘(바나도크롬, 바나도헤모크로모겐, 헤모바나듐[66]) 때문에 녹색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다수의 혈색소가 존재하며, 같은 색이라도 다른 색소 성분에 의한 경우도 많다. 또한, 호흡 색소의 종류에 따라 산소 운반 능력(효율)도 다르다.

6. 조혈과 파괴

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며(조혈), 수명을 다한 혈구는 주로 비장, 등에서 파괴된다.

수명이 다한 적혈구비장에서 세포 내피계 세포에 의해 포식 작용으로 분해된다. 헤모글로빈은 분해되어 황색 색소인 빌리루빈이 되고, 에서 수용성화를 거쳐 담즙 속에 포함된 형태로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빌리루빈은 세균 작용으로 우로빌리노겐으로 변화하며, 대부분은 변에 섞여 배출되고, 일부는 장에서 흡수되어 신장에서 소변에 포함되어 배출된다. 분리된 철은 간이나 비장에서 골수로 보내져 새로운 적혈구 형성에 사용된다[80]백혈구[73]혈소판[75]도 노화하면 비장에서 파괴되지만, 백혈구의 수명은 종류에 따라 다르다. 과립구는 2~14일인 반면, 림프구는 수십 년의 수명을 갖는 경우도 있다[73]

6. 1. 조혈

포유류의 경우, 혈구(혈액 세포)는 모두 골수에서 조혈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및 성숙한다.[67] 건강한 사람의 경우 미숙한 세포는 골수에서 혈액 내로 이동할 수 없으며, 혈액 내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만이 존재한다.[70]

인간은 탄생 이전의 태생 시기에 해당하는 발생 초기에는 난황 낭 조혈 조직(혈도)에서 조혈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체외 조혈에 해당한다.[77] 그 후 간과 비장에서 조혈이 이루어지다가 태생 5개월경에는 조혈 조직이 차례로 위축된다.[77] 이후 탄생할 때까지 조혈은 성인기 조혈 기관인 골수에서만 이루어진다.[77]

발생 생물학적으로 조혈에는 두 단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차 조혈"은 발생 초기에 배체외의 난황 낭 조직에서 일어나 일시적으로 배에 혈액을 공급하고, 평생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2차 조혈"은 배의 AGM (''aorta-gonad-mesonephros'') 조직에서 일어난다. 2차 조혈을 수행하는 세포의 기원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화학연구소 연구 그룹은 난황 낭에 있는 조혈 세포가 2차 조혈에도 관여하고 있음을 밝혀냈다.[78]

어린이 시기에는 경골만이 대부분의 조혈 능력을 담당하지만, 20대 무렵에는 잃어버리고 대퇴골이나 늑골 등의 조혈 비율이 높아진다.[79] 성인에서는 몸통의 흉골, 늑골, 척추, 골반, 림프 조직 등에서 조혈이 이루어진다.[77] 나이가 들면 흉골, 척추, 골반에서의 조혈 비율이 높아진다.[79]

골수 중 조혈을 일으키는 부분은 적색 골수뿐이며, 황색 골수에는 그 능력이 없다.[79] 모든 혈구는 줄기 세포(조혈 줄기 세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조혈 줄기 세포는 조혈 인자를 받으면서 분열, 증식하여 다양한 혈구로 분화·성숙한다. 조혈 줄기 세포는 림프계 줄기 세포 또는 골수계 줄기 세포 중 하나가 된다. 림프계 줄기 세포는 림프 모구를 거쳐 백혈구 중 림프구가 된다. 골수계 줄기 세포는 여러 분화를 거쳐 전적아구・적아구를 거쳐 적혈구, 골수 모구를 거쳐 백혈구(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 단핵구를 거쳐 백혈구(단구), 거핵 모구・거핵구를 거쳐 혈소판이 된다.[79]

6. 2. 파괴

건강한 적혈구는 혈장에서 약 120일 동안 생존하며, 이후 비장과 간의 쿠퍼 세포에 의해 분해된다. 간은 일부 단백질, 지질, 아미노산을 제거하고, 신장은 소변으로 노폐물을 배출한다.[21]

적혈구는 노화하면 유연성이 감소한다. 노화된 적혈구는 비장에서 세포 내피계 세포의 식작용으로 분해된다. 헤모글로빈은 황색 색소인 빌리루빈으로 분해되어 간에서 수용성으로 변환된 후 담즙에 포함되어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빌리루빈은 세균에 의해 우로빌리노겐으로 바뀌고,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되며 일부는 장에서 흡수된 후 신장을 통해 소변으로 배출된다. 분리된 철은 간이나 비장에서 골수로 이동하여 새로운 적혈구 형성에 사용된다.[80] 백혈구[73]와 혈소판[75]도 노화하면 비장에서 파괴된다. 백혈구의 수명은 종류에 따라 다르며, 과립구는 2~14일, 림프구는 수십 년까지 생존할 수 있다.[73]

7. 혈액과 건강

혈액은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혈액은 항상성에 의해 성분, 조성,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이러한 정상성이 무너지면 신체에 다양한 영향과 병증이 나타난다.

드물지만, 사람의 경우 혈액 pH가 7.0 이하로 떨어지면 혼수에 빠지고, 7.7 이상으로 상승하면 경련을 일으키며, 둘 다 심장이 정지될 수 있다.[108] 수액이나 수술 시에는 혈액 pH를 항상 감시하고, pH 유지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정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혈액, 특히 혈장 속에 존재하는 물질이나 효소 등의 존재율에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혈액 검사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진단법이다.

겸형 적혈구 빈혈증은 적혈구의 모양이 변형된 유전성 질환이다.

7. 1. 출혈

외상이나 질병 등으로 인해 혈관이 손상되어 혈액이 손실되는 현상이다. 건강한 성인 남성의 경우 전체 혈액의 약 20%(1L)까지는 신체에 큰 무리가 없지만, 40%(2L) 정도의 혈액을 잃으면 쇼크에 빠질 수 있다.[108][38] 뼈가 부러지는 등의 부상을 입으면 내출혈이 발생할 수도 있다. 혈액에는 혈소판과 같은 응고 인자가 있어 손상된 혈관을 막아 출혈을 멈추게 한다.[108]

혈소판은 혈액 응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내부 장기나 뼈의 외상은 심각한 내부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38] 혈관이 파괴되면 노출된 콜라겐과 반응하여 혈소판이 점착하고, 변형되어 세로토닌 등을 방출한다. 이는 혈관 수축과 더 많은 혈소판 응집을 촉진하여 혈전을 형성하고 출혈을 멈추게 한다.[75]

탈수는 혈액의 수분 함량을 줄여 혈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심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쇼크를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기립성 저혈압실신을 유발할 수 있다.[38]

외관상 출혈량이 많지 않더라도 외상성 쇼크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심한 타박상으로 모세 혈관에서 수분이 누출되면 부종이 발생한다. 부종이 넓은 범위에서 발생하면 혈관 내 혈액의 수분량이 감소하여 혈압이 저하되고, 저혈량성 쇼크(출혈성 쇼크)가 된다. 심한 화상의 경우 화상성 쇼크, 심한 설사로 인한 탈수 쇼크도 저혈량성 쇼크의 하나이다.

의학에서는 순환 혈액량 감소성 쇼크라고 불리며, 외상 외에도 수분 부족, 소화기 이상 등으로 발생한다. 총 순환 혈액량은 인간 체중의 약 7%이며, 그 중 30% 이상이 손실되면 생명에 위협이 되는 3단계(30–40%), 4단계(40% 이상)로 분류된다. 사지의 동맥이 손상된 경우 약 1분 만에 사망률이 50%가 되며, 적절한 지혈을 하면 90%의 확률로 쇼크사를 피할 수 있다.

7. 2. 혈액 관련 질병


  • 백혈병 - 백혈구가 이상 증식하는 질병이다.[73] 백혈구 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빈혈, 발열, 감염, 혈소판 감소 등을 일으킨다.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RNA 바이러스 감염이나 피폭 등이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83]
  • 당뇨병 - 인슐린 작용이 부족하여 혈액 내에 당분이 과도하게 분포하는 것이 주요 원인인 질병이다.[81] 혈당 조절에 문제가 생겨 여러 합병증을 유발한다.
  • 빈혈 - 혈액 내에 헤모글로빈 농도가 부족한 질병이다.[82] 철 결핍성 빈혈, 재생 불량성 빈혈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 혈우병 - 혈액 응고 인자가 부족하여 출혈이 멈추지 않는 유전 질환이다.[83] 작은 상처에도 근육이나 관절 내부에 출혈이 발생하여 운동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 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AIDS) -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의해 백혈구가 감염되어 면역 체계가 손상되는 감염성 질환이다.

8. 혈액형

혈액형적혈구 표면에 있는 항원의 종류에 따라 혈액을 구분한 것이다. 1901년 오스트리아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한 ABO식 혈액형이 대표적이지만, 사람에게는 RH식, MNSs, Lewis Duffy, Kidd 등 500여 가지의 다른 혈액형 항원도 존재한다.[109] 이 가운데 ABO식과 RH식이 중요한 이유는 수혈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서로 다른 혈액형의 적혈구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ABO식 혈액형에는 여러 돌연변이가 존재하여, 약(弱)A형이나 약B형은 O형으로 오진될 수 있다. 또한, AB인자가 결합하여 O형 부모에게서 AB형 자녀가 태어나는 시스-AB형, A인자와 B인자가 모두 있는 키메라 혈액 등도 나타날 수 있다.[109] 와 같은 다른 동물에게도 여러 혈액형이 존재하는데, 개의 경우 11가지 혈액형이 알려져 있다.[109]

일본대한민국 등에서는 ABO식 혈액형에 따라 성격을 구분하는 것이 유행하지만, 이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사이비과학이다.[110] 2006년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김범준은 혈액형과 성격 사이에 아무런 연관이 없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111]

수혈에 사용되는 혈액은 헌혈을 통해 얻어지며, 혈액 은행에 보관된다. 사람에게는 다양한 혈액형이 존재하는데, ABO식 혈액형과 Rh 혈액형이 가장 중요하다. 호환되지 않는 혈액형을 수혈하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교차 반응 검사를 통해 호환 가능한 혈액을 수혈해야 한다.

190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ABO식 혈액형을 발견하였고, 1907년 얀 얀스키는 현재 사용되는 A, B, AB, O형의 4가지 혈액형으로 분류하였다. 같은 해 ABO식 혈액형을 이용한 최초의 수혈이 이루어졌다.[47] 1914년 3월 27일에는 최초의 간접 수혈이 시행되었고, 1937년에는 Rh 혈액형이 발견되었다.

다른 사람의 혈액을 섞으면 적혈구가 엉겨 붙는 응집 반응이 일어나고, 이는 적혈구 파괴로 이어져 용혈을 일으킬 수 있다. 체내에서 이러한 반응이 발생하면 혈관 폐쇄, 쇼크, 구역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항원-항체 반응의 일종이다. 이러한 응집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혈액 그룹을 혈액형이라고 한다.[85]

ABO식 혈액형카를 란트슈타이너1901년에 발견하였으며, 적혈구 막의 항원(응집원) A, B와 혈장 속 항체(응집소) α, β에 따라 4가지로 분류된다. A형, B형, AB형, O형은 멘델의 법칙에 따라 유전되며, A형 혈장에는 β, B형에는 α, O형에는 α와 β 항체가 있고, AB형은 항체를 가지지 않는다. A와 α 또는 B와 β가 만나면 응집과 용혈이 발생한다.[85]

Rh 혈액형은 적혈구 막의 Rh 인자를 항원으로 하는 응집 반응으로, 마카크 원숭이(rhesus monkey)에게서 처음 발견되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ABO식 혈액형과 달리 Rh 혈액형은 보통 혈액 속에 항체가 없지만, Rh 음성(Rh-)인 사람이 Rh 양성(Rh+) 혈액을 수혈받거나 Rh- 여성이 Rh+ 태아를 임신하면 항 Rh 항체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다시 Rh+ 혈액을 수혈받거나 Rh+ 아이를 임신하면 항체가 반응하여 적혈구 응집을 유발할 수 있다.[85]

9. 한국 문화와 혈액

한국 문화에서 혈액은 생명, 가족, 민족 등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 "혈연 관계"는 혈통이나 계통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혈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라는 속담은 혈액을 통한 가족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87]

"혈액"이라는 용어는 족보학에서 개인의 선조, 기원, 민족적 배경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혈통"이라는 단어에서도 나타난다. 가족 역사적 의미로 혈액이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는 "명문 혈통", "왕족의 혈통", "혼혈", "혈족" 등이 있다.

"피"는 부모와 자식 관계, 친족 관계, 유전과 연결되어 "혈통", "혈맥", "혈족", "피의 연결", "혈연"과 같은 표현으로 사용된다. 또한, 혈액은 전쟁이나 폭력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87] 예를 들어, "피의 일요일", "피의 발렌타인데이"와 같은 표현이 있다.[87]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BLOOD http://www.merriam-w[...] 2017-03-04
[2] 웹사이트 Blood – The Human Heart http://www.fi.edu/le[...] 2009-03-19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red blood cell https://www.cancer.g[...] 2022-04-28
[4] 웹사이트 Blood cells and its types with functions https://microbiology[...] 2017-01-03
[5] 웹사이트 Low Hemoglobin: Causes & Symptoms https://my.cleveland[...] 2022-04-28
[6]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Not All Blood is Red? • The Blood Project https://www.theblood[...] 2022-01-08
[7] 웹사이트 Is blood blue? 7 facts about blood https://www.medicaln[...] 2018-04-10
[8] 서적 Krause's Essential Human Histology for Medical Students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2022-06-21
[9] 웹사이트 Table 22-1 Blood Cells https://www.ncbi.nlm[...] NCBI Bookshelf 2012-11-01
[10] 웹사이트 Volume of Blood in a Human http://hypertextbook[...] 2012-11-01
[11] 웹사이트 Density of Blood http://hypertextbook[...] 2006-10-04
[12] 웹사이트 Composition of the Blood {{!}} SEER Training https://training.see[...] 2020-12-30
[13] 웹사이트 Medical Encyclopedia: RBC count https://www.nlm.nih.[...] 2007-11-18
[14] 서적 Human anatomy Pearson/Benjamin Cummings
[15] 서적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Lange Medical Books/McGraw-Hill
[16] 서적 Medical-surgical nursing : concepts for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care Elsevier 2018
[17] 서적 Anatomy and Physiology in Health and Illness Churchill Livingstone Elsevier
[18] 간행물 Acid–Base Regulation and Disorders
[19] 서적 The Vertebrate Body https://archive.org/[...] Holt-Saunders International
[20] 웹사이트 Exercitatio Anatomica de Motu Cordis et Sanguinis in Animalibus http://www.rarebookr[...]
[21] 서적 Gray's anatomy https://archive.org/[...] C. Livingstone
[22] 서적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Pearson/Benjamin Cummings 2009
[23] 논문 Equality of the in vivo and in vitro oxygen-binding capacity of haemoglobin in patients with severe respiratory disease 1981-12
[24] 서적 Physiology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5] 웹사이트 Edwards Lifesciences LLC – Normal Hemodynamic Parameters – Adult http://www.edwards.c[...] 2009
[26] 웹사이트 Ventilatory Physiology and Endurance http://home.hia.no/~[...] 2010-03-23
[27] 웹사이트 Transplant Support- Lung, Heart/Lung, Heart https://web.archive.[...]
[28] 논문 Limitations to systemic and locomotor limb muscle oxygen delivery and uptake during maximal exercise in humans 2005-07
[29] 웹사이트 Blood gas and Saturation measurements http://manbit.com/PA[...] 2010-09-25
[30] 웹사이트 Lecture Notes-20 http://members.aol.c[...] 1999-05-02
[31] 서적 Anatomy and Physiology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32] 서적 Vander's Human Phys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2003
[33] 서적 Guyton and Hall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34] 간행물 Spiders: circulatory system https://www.britanni[...] 2007-11-25
[35] 웹사이트 Optical Absorption of Hemoglobin http://omlc.ogi.edu/[...] 2012-12-30
[36] 논문 Why do veins appear blue? A new look at an old question http://www.imt.liu.s[...] 1996-03
[37] 논문 Parasites in a biodiversity hotspot: a survey of hematozoa and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Plasmodium in New Guinea skinks https://digitalcommo[...] 2021-11-16
[38] 웹사이트 Blood – The Human heart http://www.fi.edu/le[...] The Franklin Institute 2009-03-19
[39] 웹사이트 The Role of Red Blood Cells in Anemia http://www.hematolog[...] 2017-05-22
[40] 논문 Carbon monoxide poisoning 2001-06
[41] 웹사이트 blood
[42] 논문 Descriptions of blood and blood disorders before the advent of laboratory studies http://www.bloodmed.[...] 2001-12
[43] 문서 "Irrigating Blood: Plato on the Circulatory System, the Cosmos, and Elemental Motion" https://philpapers.o[...] Douglas R. Campbell 2024
[44] 문서 "Irrigating Blood: Plato on the Circulatory System, the Cosmos, and Elemental Motion" https://philpapers.o[...] Douglas R. Campbell 2024
[45] 문서 Replen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Human Body https://philpapers.o[...] Lea Aurelia Schroeder 2021
[46] 문서 Parts of Animals
[47] 웹사이트 History of Blood Transfusion | American Red Cross https://www.redcross[...] 2021-03-21
[48] 서적 Voices of the first day: awakening in the Aboriginal dreamtime Inner Traditions International
[49] 논문 Cruentation: In Legal Medicine and in Literature 1965
[50] 웹사이트 Koshering Meat. http://www.chabad.or[...] Chabad.org 2013-12-16
[51] 웹사이트 Removing the Blood. http://www.chabad.or[...] Chabad.org 2013-12-16
[52] 웹사이트 All About Kosher Fish. http://www.chabad.or[...] Chabad.org 2013-12-16
[53] 문서 Igrot Kodesh
[54] 간행물 Be Guided by the Living God The Watchtower 2004-06-15
[55] 논문 Molluscan hemocyanin: structure, evolution, and physiology 2018-04
[56] Artwork Nostalgia http://artscad.com/A[...] 2009-01-08
[57] 문서 血液
[58] 서적 三輪血液病学
[59] 서적 ワークブックで学ぶ生物学の基礎第2版
[60] 웹사이트 栄養を運ぶ血液 https://www2.nhk.or.[...] NHK for School
[61] 문서
[62] 문서 血液
[63] 문서 ヘモグロビン
[64] 문서 エリスロクルオン
[65] 문서 ヘモシアニン
[66] 문서 バナドクロム
[67] 문서 血液細胞
[68] 서적 三輪血液病学 文光堂
[69] 서적 実験動物の血液学 ソフトサイエンス社
[70] 문서 血液細胞ノート 文光堂
[71] 서적 佐藤・佐伯(2009)、p.24-25、第2章 血液 2.赤血球 (1)形状と機能
[72] 서적 佐藤・佐伯(2009)、p.25-26、第2章 血液 2.赤血球 (2)ヘモグロビン(血色素)
[73] 서적 佐藤・佐伯(2009)、p.29-30、第2章 血液 3.白血球 (1)形状と機能
[74]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430 【血小板】
[75] 서적 佐藤・佐伯(2009)、p.30-31、第2章 血液 4.血小板 (1)形状と機能
[76] 서적 佐藤・佐伯(2009)、p.32、第2章 血液 5.血漿 (1)血漿の成分と機能
[77]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760 【造血器官】
[78] 웹사이트 血液は体の外からやってきた http://www.cdb.riken[...]
[79] 서적 佐藤・佐伯(2009)、p.23、第2章 血液 1.血液bloodの成分と機能 (4)血液blood cellの産出と幹細胞stem call
[80] 서적 佐藤・佐伯(2009)、p.27-28、第2章 血液 2.赤血球 (3)生成と破壊
[81]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915 【糖尿病】
[82]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1092 【貧血】
[83]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433 【血友病】
[84] 서적 生化学辞典第2版、p.1007 【白血病】
[85] 서적 佐藤・佐伯(2009)、p.39-40、第2章 血液 7.血液型
[86] 논문 食用に供する豚血液の加工と細菌汚染 https://doi.org/10.1[...] 1987
[87] 문서 「[[鳩]]」は「平和」を[[象徴]]し、「血」は「暴力」を象徴する。
[88] 간행물 Be Guided by the Living God The Watchtower 2004-06-15
[89] 서적 Flindt、p.72
[90] 서적 생명 생물의 과학 교보문고 2006
[91] 서적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92] 웹사이트 Blood – The Human Heart http://www.fi.edu/le[...] 2009-03-05
[93] 문서 과민반응을 일으킬 경우 [[알레르기]]가 생길 수 있다.
[94] 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95] 서적 인체생물학 아카데미서적
[96] 서적 수의임상병리 기전연구사 2000
[97] 서적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06
[98] 서적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99] 서적 동물해부생리학 유한문화사 2006
[100] 서적 생명과학사전 아카데미서적 2003
[101] 문서 이하 별도의 출처가 없는 것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102] 문서 대표적인 환형동물로는 [[지렁이]]가 있다
[103] 문서 . 대표적인 원색동물로는 [[히드라 (생물)|히드라]], [[해파리]] 등이 있다
[104] 문서 척추동물로는 [[어류]], [[양서류]], [[파충류]], [[새|조류]], [[포유류]] 등이 있다.
[105] 서적 생명 과학 동화기술 2007
[106] 서적 "Chapter 11: A blue blood: the circulatory system" http://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4
[107] 서적 달과 팽이 지성사 2005
[108] 웹사이트 Blood - The Human heart http://www.fi.edu/le[...] 2009-03-05
[109] 서적 인체의 신비 살림 2003
[110] 뉴스 혈액형이 성격 결정? 새빨간 거짓말 https://news.naver.c[...] 한겨레신문 2008-05-26
[111] 간행물 복잡계로서의 사회와 사회물리학 삼성경제연구소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