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기천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기천은 1927년 전라남도 영암 출생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다. 1946년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해병대사령관,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해병대 대장 계급을 받았다.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법제사법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검도인 - 장웨이궈
    장웨이궈는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장제스의 양자이자 다이 지타오의 친아들이라는 설이 있으며, 독일 육군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한 후 중화민국에서 고위직을 역임하며 국가안전회의 사무총장을 지내고 리덩후이의 대만화 운동에 반대하며 정치적 활동을 했다.
  • 금산초등학교 (전남) 동문 - 신원식 (1921년)
    신원식은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고, 광복 후에는 교육계에 헌신했으며, 평화민주당 등에서 고문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 대한민국 해병 대장 - 대장 (군사)
    대한민국 국군에서 대장은 육군, 해군, 공군의 4성 장성으로, 엄격한 진급 조건과 절차를 거쳐 임명되며, 높은 혜택과 사회적 지위를 보장받지만 해병대에는 해당 계급이 존재하지 않는다.
  • 대한민국 해병 대장 - 이병문 (군인)
    이병문은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신으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해병대에서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해병대사령관을 역임했으며, 해병 대장으로 예편 후 국방부 차관보를 지냈다.
강기천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강기천
이름강기천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27년 11월 11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면 망호리
사망일2019년 11월 19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호 (이름)유청(裕靑)
본관진주(晉州)
종교개신교
배우자추희정(秋希姃)
자녀1남 3녀(장녀 강인선, 아들 강승필, 차녀 강혜선, 삼녀 강승연)
친인척이석영(첫째사위), 홍준(둘째사위), 김한수(셋째사위)
웹사이트헌정회
정치 경력
직책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임기1961년 5월 31일 ~ 1962년 1월 31일
대통령윤보선
수상장도영(내각수반), 송요찬(내각수반)
의장장도영(최고회의), 박정희(최고회의)
정당무소속
군사 경력
군복무대한민국 해병대
복무 기간1946년~1969년
지휘해병대사령관
근무해군본부, 해병대사령부
참전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서훈보국훈장 통일장, 을지무공훈장
기타 경력
경력영남화학 사장, 대한석탄공사 사장, 대한석탄공사 회장, 대한석탄공사 총재

2. 이력

1927년 11월 11일 전라남도 영암에서 태어났다. 1946년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 생활을 시작하였다. 1966년 제7대 해병대사령관에 취임하였고, 1969년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최초로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 계급을 받았다.

2. 1. 학력

연도학교학과학위
1946년경상남도 울산고등농림학교졸업
1952년서울 국학대학교철학과학사
1953년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위탁교육과정 수료
1954년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위탁교육과정 수료
1955년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위탁교육과정 수료
1955년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졸업
1956년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졸업
1958년대한민국 육군대학교학사
1960년대한민국 국방대학교행정학학사
1963년마산대학교법정학과학사
1967년대한민국 국방대학원행정학석사
1972년고려대학교 대학원물리학과이학석사 수료
1974년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경제학석사 수료
1976년연세대학교 대학원정치학과정치학 석사 수료
1978년서울대학교 대학원외교학과외교학 석사 수료
1983년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경영학석사


2. 2. 군 경력

1946년 대한민국 해군 소위로 임관하여 군 생활을 시작하였다. 1947년 해군 중위로 진급하였고, 1949년에는 해군본부 신병교육대 교육대장을 맡았다. 같은 해 해병대사령부 신병교육대 교육대장으로 보직을 옮기면서 대한민국 해병대 대위로 재임관하였다.[1]

1950년 해병대사령부 신병교육대 교육대장 재직 중 대한민국 해병대 소령으로 진급하였다. 1952년에는 해군 해병 제1연대 예하 제5대대장으로 보임됨과 동시에 대한민국 해병대 중령으로 진급하였다. 1955년에는 해군 해병 제1사단 예하 제2연대장으로 보임됨과 동시에 대한민국 해병대 대령으로 진급하였다.[1]

1957년 해군 해병 제1사단 예하 제2연대장 재직 중 대한민국 해병대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1962년에는 대한민국 해병대 사단장을 역임하였고, 같은 해 대한민국 해병대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1963년에는 대한민국 해병대 군단장으로 보임됨과 동시에 대한민국 해병대 중장으로 진급하였다.[1]

1964년1966년에도 대한민국 해병대 군단장을 역임하였고, 1966년에는 제7대 해병대사령관에 취임하였다. 1968년에는 대한민국 국군 역사상 최초로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으로 진급하는 기록을 세웠다. 1969년 해병대사령관에서 퇴임하면서 대한민국 해병대 대장으로 예편하였다.[1]

2. 3. 정치/사회 활동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이 되었다. 1962년 국가재건최고회의 법제사법위원장을 맡았다. 1963년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제2대 의장 예하 비서실장 직무대리와 대한민국 국방부 행정차관보 직무대리를 역임했다.

이후 영남화학(現 팜한농) 사장, 대한석탄공사 CEO 사장, 회장, 총재를 지냈다.

사회 활동으로는 한국 이스라엘 친선협회 회장, 일본 오사카 국제페리주식회사 상임고문,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고문, 한일협력위원회 상임위원을 역임했다. 인하대학교, 한양대학교 초빙교수와 광운대학교 객원교수를 지냈으며, 해병 소령 이인호 선생 추모회 발기위원장을 맡았다.

3. 저서

강기천은 나의 인생여로한국어를 저술했다.

3. 1. 회고록

나의 인생여로한국어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1년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민주공화당26,708표 (45.87%)2위낙선
1973년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민주공화당93,213표 (55.60%)1위당선초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