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아지 공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아지 공장은 영리 목적으로 개를 대량 번식시키는 시설을 의미하며, 열악한 환경과 동물 학대 문제로 비판받고 있다. 개를 상품으로 취급하며 생산성을 중시하여 위생 관리 미흡, 발정 유도제 과다 사용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환경은 유기견 발생 증가와 안락사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화 부족으로 인한 행동 문제도 야기한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법적 규제를 통해 강아지 공장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인식 개선과 생명 존중 문화 확산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물 학대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동물 학대 - 전류 전쟁
    전류 전쟁은 19세기 후반 전기 보급 초기에 토머스 에디슨의 직류 방식과 조지 웨스팅하우스와 니콜라 테슬라의 교류 방식이 전력 시스템 표준을 놓고 경쟁한 사건으로, 기술적 우위, 특허, 금융, 선전전 양상으로 전개되어 결국 교류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 동물권 - 비폭력
    비폭력은 폭력에 반대하며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기원하며, 항의, 비협조, 개입 등 여러 형태를 띠며 사회 변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 동물권 - 채식주의
    채식주의는 동물성 식품 섭취를 제한하는 식습관 및 철학으로, 비폭력의 원칙에서 시작되어 건강, 윤리, 환경 등의 이유로 선택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지만, 영양 불균형의 문제가 있어 균형 잡힌 식단 구성이 중요하다.
  • 애완동물 - 인공수정
    인공수정은 정자를 인위적으로 자궁에 주입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난임 치료에 사용되며 윤리적, 사회적 문제 및 법적 제한과 관련이 있고, 동물 인공수정은 가축 개량 등에 활용된다.
  • 애완동물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강아지 공장
기본 정보
강아지 공장의 강아지
강아지 공장의 강아지
유형상업적 개 번식 시설
다른 이름개 농장
강아지 농장
특징
주요 특징비위생적인 환경
과밀 사육
유전적 결함
사회화 부족
건강 문제
목적이익 극대화
동물 복지무시 또는 경시
모견잦은 임신과 출산 강요
건강 악화
조기 폐기
강아지조기 어미젖 이탈
질병 감염 위험 증가
유전적 질환 가능성 높음
행동 문제 발생 가능성 높음
소비자건강하지 못한 강아지 구매 위험
잠재적인 높은 치료 비용 부담
강아지 공장 운영 지속에 기여
법적 규제
국가별 규제미국: 동물복지법(Animal Welfare Act) 존재하나 허점 많음
대한민국: 동물보호법 일부 개정으로 처벌 강화 (미흡한 수준)
동물 단체 활동강아지 공장 근절 캠페인
입법 촉구
구조 및 보호 활동
윤리적 문제
동물 학대비윤리적인 사육 환경
동물 존엄성 침해
소비자 기만건강한 강아지로 속여 판매
출생 정보 은폐
사회적 인식
인식 개선 필요성강아지 공장의 실태에 대한 대중의 인식 부족
책임감 있는 반려동물 입양 문화 확산 필요
해결책강아지 공장 생산 강아지 구매 자제
동물 보호 단체 후원 및 봉사
유기견 입양 고려
정부의 강력한 규제 촉구
추가 정보
관련 질병유전 질환
전염병
기생충 감염
행동 문제분리 불안
공격성
사회성 결여
참고 자료동물 학대
펫샵
유기 동물
관련 용어 (일본어)
일본어 명칭パピーミル (파피미루)
설명강아지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시설을 가리키는 용어
관련 법률 (한국)
개 식용 금지법개 식용 금지법 국회 통과…식용 목적 도살·사육 모두 징역형

2. 배경

강아지 공장은 애완동물을 영리 목적으로 악질적으로 번식하는 브리더를 일컫는다.[56][57]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개체는 제품, 성견은 제품 제조 설비로 간주되어 생물로서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생산성을 중시하여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아사히 신문의 '지혜창 mini영어'[57]에 따르면, 열악한 번식 환경으로 인한 선천적 또는 후천적 건강 문제가 있는 개체도 드물지 않다. 불법 유기 사건이나 개체 과다 사육 붕괴로 발각되는 경우도 있으며,[57] 생체 소매업으로서의 방식이나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58]

2. 1. 강아지 공장의 정의

강아지 공장은 영리적인 목적을 위해 개를 대량으로 번식시키는 시설을 지칭한다. 번식업자들은 '켄넬'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합법적인 켄넬과 불법적인 강아지 공장이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개를 대량 생산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오해이다.

불법 강아지 공장은 소모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이 요구하는 기준을 지키지 않아 동물의 복지권을 침해한다. 위생 관리가 미흡하여 사육견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는 단순한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상동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더 많은 수익을 얻기 위해 발정유도제를 과다하게 사용하기도 하며, 사육견의 효용 가치가 다하면 폐기하기도 한다.[60] 예를 들어 암컷이 더 이상 임신하기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면 개소주 제조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61]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에 따르면 일부 강아지 공장에는 최대 1,000마리의 개가 한 지붕 아래에 있을 수 있다. 동물의 수가 많기 때문에 공장 운영자는 종종 철망 케이지에 개들을 가둔다. 이로 인해 동물들은 보행 능력이 떨어진다.[8] 개를 철망 케이지에 보관하면 부상을 입거나 개의 발과 다리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케이지를 기둥 형태로 쌓아두는 것도 흔하다.[9]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개는 상품, 성견은 상품 제조 설비로 간주되어 생물로서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미 개의 부담보다는 생산성을 중시하며,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도 최소한으로 줄인다.

2. 2. 사회화 문제

강아지의 사회화 시기는 생후 4주에서 14주까지이다. 이 시기는 거의 모든 성견의 능력이 이 단계에서 학습되기 때문에 성견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강아지 공장은 본질적으로 사회화 과정을 건너뛰기 때문에, 그 결과 강아지가 성견으로 성장했을 때 사회성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7]

3. 강아지 공장의 실태

강아지 공장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중서부 농부들이 작물 실패를 겪으면서 대체 작물로 강아지 농장을 시작하며 시작되었다.[22][23][37] 가정용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상업적 강아지 사업"이 발전하게 되었다.[37][3]

강아지 공장의 열악한 환경은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3][24] 이에 미국 동물 보호 협회와 같은 단체들이 번식장을 조사하기 시작했고, 1966년 8월 24일 동물 복지법이 통과되었다.[37][25] 휴메인 소사이어티 오브 더 유나이티드 스테이츠에 따르면, 미국 내 10,000개의 강아지 공장 중 약 3,000개만이 미국 농무부의 감시를 받고 있다. 이는 공장 운영자들이 연방법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펜실베이니아, 아칸소, 캔자스, 미주리 주에서 강아지 공장과 브리더가 고도로 집중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특히 펜실베이니아 랭커스터 카운티는 "동부의 강아지 공장 수도", 미주리는 "미국의 강아지 공장 수도"로 불리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랭커스터 카운티와 오하이오주 홈스 카운티에서 강아지 공장이 많이 밀집된 이유는 대규모 아미쉬 인구와 관련이 있다. 미국 BBB의 연구에 따르면, 미주리 남서쪽 모퉁이는 전국 강아지 공장 산업의 중심지이며, "강아지 산업의 전국 핫스팟"으로 명명되었다. 2018년 기준으로 미주리 주에는 약 1,600개의 강아지 공장이 있다.

호주에서는 개 번식이 개별 주에서 규제되고 있으며, 강아지 공장의 만연에 대한 데이터는 아직 없다.[35] 2010년 호주 RSPCA는 퀸즐랜드 주에서 12개의 강아지 공장을 확인했으며, 다른 호주 주에서도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했다.[36]

일본에서 강아지 공장(パピーミル일본어)은 애완동물을 영리 목적으로 악질적으로 번식하는 브리더를 의미한다.[56][57] 강아지 공장에서는 생산성을 중시하며,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열악한 번식 환경으로 인해 선천적 또는 후천적 건강 문제가 있는 개체도 드물지 않으며, 불법 유기나 개체 과다 사육 붕괴로 문제가 드러나기도 한다.[57] 이는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58]

3. 1. 사육 환경

불법 강아지 공장은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기준을 지키지 않아 동물의 복지권 침해 문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위생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사육견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육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상동증을 유발하기도 한다.[60]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에 따르면 일부 강아지 공장에는 최대 1,000마리의 개가 있을 수 있다. 많은 수의 동물을 철망 케이지에 수용하면 보행 능력이 떨어지고,[8] 발과 다리가 손상될 수 있다. 케이지를 기둥 형태로 쌓아두는 것도 흔하다.[9] 공장 환경은 매우 비위생적이라 동물들은 자신의 배설물로 뒤덮여 털이 엉키고, 내부 기생충에 감염되기도 한다.[10] 난방이 되지 않아 추위로, 더운 날씨에는 고체온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11]

영양실조와 치료받지 않은 부상도 흔하게 발생한다.[11] 열악한 번식 환경으로 인해[12] 강아지들은 건강 및 개 행동 문제로 고통받는다. 강아지들은 보통 토끼장이나 닭장과 비슷한 작은 철망 케이지에 갇혀 있다.[13][3]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개체는 제품, 성견은 제품 제조 설비로 간주되어 생물로서 적절하게 취급되지 않는다. 생산성을 중시하여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3. 2. 번식 과정

불법 강아지 공장에서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기준을 지키지 않아 동물의 복지권 침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위생 관리가 미흡하여 사육견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는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상동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더 많은 수익을 위해 발정유도제를 과다하게 사용하며, 사육견의 효용 가치가 떨어지면 폐기하기도 한다.[60] 예를 들어, 번식 능력이 떨어진 암컷은 개소주 제조용으로 팔거나,[61] 동물 안락사를 시키는 경우도 있다.[17]

무분별한 번식 관행으로 인해 근친 교배가 일어나기도 한다.[16] 이로 인해 고관절 이형성증과 같은 유전적 결함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14]

3. 3. 건강 및 행동 문제

불법 강아지 공장은 비용 절감을 위해 법적 기준을 무시하여 동물의 복지를 심각하게 침해한다. 위생 관리가 미흡하여 사육견의 육체적, 정신적 건강이 악화되고, 상동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수익 증대를 위해 발정유도제를 과다 사용하고, 더 이상 번식 능력이 없는 암컷은 개소주 제조용으로 팔기도 한다.[61] 이러한 환경에서 태어난 새끼들은 애견샵이나 온라인으로 판매되지만, 파보장염 등 질병에 걸리거나 일찍 죽는 경우가 많아 분쟁의 원인이 된다.[62][60]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에 따르면 일부 강아지 공장에는 최대 1,000마리의 개가 철망 케이지에 수용되어 보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8] 철망 케이지는 개의 발과 다리에 부상을 입힐 수 있으며, 케이지를 쌓아 올리는 사육 방식도 흔하다.[9] 비위생적인 환경으로 인해 강아지들은 내부 기생충에 감염되거나,[10] 추위나 더위로 인해 고체온증을 겪기도 한다.[8][11] 영양실조와 치료받지 못한 부상도 흔하게 발생한다.[11]

열악한 번식 환경은 강아지의 건강과 개 행동 문제의 원인이 된다.[12] 좁은 철망 케이지에서 자란 강아지들은 사회성이 부족하고, 장거리 이동으로 스트레스를 받거나 죽기도 한다. 살아남더라도 호흡기 질환, 폐렴, 고관절 이형성증과 같은 유전적 질환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14] 또한, 사회화 부족, 긍정적 인간 접촉 부족으로 인해 성격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무분별한 번식으로 인해 순종견으로 판매되지만 실제로는 순종이 아닐 수도 있으며,[15] 근친 교배 문제도 심각하다.[16]

강아지 공장의 개들은 대부분 "딜러"나 "브로커"를 통해 애완동물 가게에 판매되며, 일부는 번식가로 위장한 딜러에 의해 판매된다. 번식 암컷은 평생 시설에서 지내며, 더 이상 번식할 수 없을 때 동물 안락사되는 경우가 많다.[17] 번식 암컷 한 마리당 연간 강아지 수는 약 9.4마리이다.[18] 대부분의 강아지 공장에서 개들은 법적 최소 크기 케이지에서 생활한다.[19] 매년 200만 마리의 강아지가 공장에서 번식되고, 120만 마리의 개가 보호소에서 안락사된다.[20]

강아지 공장의 환경은 질병과 세균이 만연한 작고 더러운 공간에 개들을 가두기 때문에 비인도적이다. 열악한 생활 환경으로 인해 개들은 아프고 영양실조에 걸리기 쉽다. 음식에는 벌레가 많고 배설물이 널려있다. 강아지 공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건강 문제로는 지알디아증, 옴, 심장 사상충, 호흡기 감염 등이 있다.[21]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강아지는 제품, 성견은 제품 제조 설비로 취급되어 생물로서 적절하게 다루어지지 않는다. 생산성을 중시하여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한다. 열악한 번식 환경으로 인해 선천적 또는 후천적 건강 문제를 가진 개체도 드물지 않으며, 불법 유기나 개체 과다 사육 붕괴로 문제가 드러나기도 한다.[57]

4. 지역별 현황

미국에서는 연방 동물복지법으로 강아지 공장을 규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주마다 자체적인 법률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 법 위반 시 최대 5천 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66]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에 따르면 일부 강아지 공장에는 최대 1,000마리의 개가 있을 수 있다. 동물의 수가 많기 때문에 공장 운영자는 종종 철망 케이지에 수용하며, 이는 동물들의 보행 능력을 떨어뜨린다.[8] 또한 케이지를 기둥 형태로 쌓아 올리는 것도 흔하다.[9] 이러한 환경은 매우 비위생적이며, 강아지들은 종종 내부 기생충에 감염된다.[10] 난방 시설 부족으로 추위로 인한 사망과 더운 날씨에는 고체온증을 유발하기도 한다.[8][11]

펜실베이니아, 아칸소, 캔자스, 미주리 주 등에서 강아지 공장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펜실베이니아 주 랭커스터 카운티는 "동부의 강아지 공장 수도"로 불리며, 미주리 주는 "미국의 강아지 공장 수도"로 불린다. 펜실베이니아 랭커스터 카운티와 오하이오주 홈스 카운티에서 강아지 공장의 높은 밀집도는 대규모 아미쉬 인구와 관련이 있다. 미국 BBB의 연구에 따르면, 미주리 남서쪽 모퉁이는 전국 강아지 공장 산업의 중심지이며, "강아지 산업의 전국 핫스팟"으로 명명되었다. 2018년 기준으로 미주리 주에는 약 1,600개의 강아지 공장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주 의회는 강아지 공장에서의 학대를 근절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여기에는 번식 암컷의 수 제한, 시설 허가 및 검사 요건, 적절한 수의학적 치료 제공 등이 포함된다. 2009년에는 10개 주에서 강아지 공장 단속 법률을 통과시켰다. 2010년, 미주리 유권자들은 "강아지 공장 학대 방지법"인 명제 B를 통과시켜 인도적인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번식업자를 50마리의 온전한 개로 제한했다.[39] 제이 닉슨 미주리 주지사는 "미주리 해결책"이라고 불리는 타협안에 서명했다.[40] 이 법은 명제 B의 일부 조항을 유지하고 검사를 위한 주정부 자금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미주리 동물보호협회 회장 캐시 워닉은 동물 복지를 위한 긍정적인 한 걸음으로 평가했다.[40]

호주에서는 각 주에서 개 번식을 규제하고 있다. 2010년 호주 RSPCA는 퀸즐랜드 주에서 12개의 강아지 공장을 확인했다.[36] 시드니 시장 클로버 무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강아지 공장 문제에 대응하여 동물 판매 규제 법안을 제안했다. 이 법안은 애완동물 가게, 인터넷 또는 신문을 통한 개 판매를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충동 구매를 근절하고 등록되지 않은 사육장을 폐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최근 강아지 공장에 맞서기 위한 RSPCA(동물 학대 방지 협회)의 전략[43], 오스카 법[44], 빅토리아 노동당의 노력[45] 등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 오스카 법은 빅토리아주 중부의 강아지 공장에서 구조된 오스카라는 개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44]

영국은 1996년 개 번식 및 판매법을 통과시켜, 1년에 5번 이상 출산하는 모든 번식업자에게 매년 수의사 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번식 암컷은 1년에 한 번, 평생 4번으로 출산 횟수가 제한된다.[46] 영국 케넬 클럽에 등록된 번식업자는 순종 강아지를 판매하기 위해 강아지가 자란 환경을 인증해야 한다.[47] 이러한 기준을 허위로 표시하여 강아지를 판매하는 번식업자는 1979년 상품 판매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영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동물이 자란 환경을 알지 못한 채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매하고 있으며, 블루 크로스는 매년 4만에서 8만 마리의 강아지가 이러한 방식으로 판매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를 막기 위해 잉글랜드에서는 허가된 번식업자와 재입양 센터를 제외하고는 6개월 미만의 강아지와 고양이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이 계획되었다. 도그 트러스트의 폴라 보이든은 이 금지 조치를 지지하면서도, "잠재적인 허점"을 해결해야 하며 재입양 기관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8] 2020년 4월, 루시의 법이 시행되어 펫샵과 같은 제3자 판매를 금지함으로써 강아지(및 고양이) 공장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49][50]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 민법상 동물은 물건으로 취급되어, 동물보호법 위반 시 처벌 수위가 낮다. 2016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188개의 동물 생산업체가 신고되었으며, 불법 운영 중인 곳은 800~3000여 곳으로 추산된다.

불법 강아지 공장은 소모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법적 기준을 지키지 않아 동물의 복지권 침해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난다. 위생 관리 미흡으로 인한 사육견의 건강 악화가 대표적이며, 이는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상동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수익 창출을 위해 발정유도제를 과다 사용하며, 효용 가치가 다하면 폐기하기도 한다.[60] 더 이상 임신이 불가능한 암컷은 개소주 제조용으로 판매되기도 한다.[61] 이렇게 태어난 새끼들은 애견샵이나 온라인 매장을 통해 판매되지만, 열악한 환경에서 자라 파보장염 등에 걸리거나 얼마 못 가 죽는 경우가 있어 분쟁이 발생한다.[62][60]

이러한 강아지 공장은 강아지 과잉 공급의 주된 원인이 되어 고급 사료, 동물병원, 용품, 훈련소, 호텔, 미용, 동물 방송 등 애견 산업을 성장시키는 한편,[63] 유기견 발생을 증가시켜 유기견 안락사 증가를 유발하는 나비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64]

MBC 실화탐사대 131회, 202회에서 강아지 공장의 실태가 방송되어 대한민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동물자유연대의 '강아지 공장 철폐 서명운동'에는 5일 동안 30만 명이 참여하였고, 송혜교, 윤계상, 효린, 보아 등 유명 연예인들도 동참했다. 2016년 6월 7일 MBC 100분 토론 726회의 주제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불법 번식장 전수조사를 계획하고 있으며, 불법 번식장에 대한 근본적인 예방 수단이 없는 법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65]

4. 2. 미국

미국에서는 연방 동물복지법으로 강아지 공장을 규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주마다 자체적인 법률을 통해 규제하고 있다. 법 위반 시 최대 5천 달러의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66]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에 따르면 일부 강아지 공장에는 최대 1,000마리의 개가 있을 수 있다. 동물의 수가 많기 때문에 공장 운영자는 종종 철망 케이지에 수용하며, 이는 동물들의 보행 능력을 떨어뜨린다.[8] 또한 케이지를 기둥 형태로 쌓아 올리는 것도 흔하다.[9] 이러한 환경은 매우 비위생적이며, 강아지들은 종종 내부 기생충에 감염된다.[10] 난방 시설 부족으로 추위로 인한 사망과 더운 날씨에는 고체온증을 유발하기도 한다.[8][11]

펜실베이니아, 아칸소, 캔자스, 미주리 주 등에서 강아지 공장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펜실베이니아 주 랭커스터 카운티는 "동부의 강아지 공장 수도"로 불리며, 미주리 주는 "미국의 강아지 공장 수도"로 불린다. 펜실베이니아 랭커스터 카운티와 오하이오주 홈스 카운티에서 강아지 공장의 높은 밀집도는 대규모 아미쉬 인구와 관련이 있다.

미국 BBB의 연구에 따르면, 미주리 남서쪽 모퉁이는 전국 강아지 공장 산업의 중심지이며, "강아지 산업의 전국 핫스팟"으로 명명되었다. 2018년 기준으로 미주리 주에는 약 1,600개의 강아지 공장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주 의회는 강아지 공장에서의 학대를 근절하기 위한 새로운 법률을 통과시켰다. 여기에는 번식 암컷의 수 제한, 시설 허가 및 검사 요건, 적절한 수의학적 치료 제공 등이 포함된다. 2009년에는 10개 주에서 강아지 공장 단속 법률을 통과시켰다.

2010년, 미주리 유권자들은 "강아지 공장 학대 방지법"인 명제 B를 통과시켜 인도적인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번식업자를 50마리의 온전한 개로 제한했다.[39]

제이 닉슨 미주리 주지사는 "미주리 해결책"이라고 불리는 타협안에 서명했다.[40] 이 법은 명제 B의 일부 조항을 유지하고 검사를 위한 주정부 자금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미주리 동물보호협회 회장 캐시 워닉은 동물 복지를 위한 긍정적인 한 걸음으로 평가했다.[40]

4. 3. 호주

호주에서는 각 주에서 개 번식을 규제하고 있다. 2010년 호주 RSPCA는 퀸즐랜드 주에서 12개의 강아지 공장을 확인했다.[36]

시드니 시장 클로버 무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강아지 공장 문제에 대응하여 동물 판매 규제 법안을 제안했다. 이 법안은 애완동물 가게, 인터넷 또는 신문을 통한 개 판매를 금지하는 것을 골자로 하며, 충동 구매를 근절하고 등록되지 않은 사육장을 폐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2]

최근 강아지 공장에 맞서기 위한 RSPCA(동물 학대 방지 협회)의 전략[43], 오스카 법[44], 빅토리아 노동당의 노력[45] 등 몇 가지 시도가 있었다. 오스카 법은 빅토리아주 중부의 강아지 공장에서 구조된 오스카라는 개의 이야기에서 유래했다.[44]

4. 4. 영국

영국은 1996년 개 번식 및 판매법을 통과시켜, 1년에 5번 이상 출산하는 모든 번식업자에게 매년 수의사 검사를 받도록 하고 있다. 번식 암컷은 1년에 한 번, 평생 4번으로 출산 횟수가 제한된다.[46]

영국 케넬 클럽에 등록된 번식업자는 순종 강아지를 판매하기 위해 강아지가 자란 환경을 인증해야 한다.[47] 이러한 기준을 허위로 표시하여 강아지를 판매하는 번식업자는 1979년 상품 판매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영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동물이 자란 환경을 알지 못한 채 강아지와 고양이를 구매하고 있으며, 블루 크로스는 매년 4만에서 8만 마리의 강아지가 이러한 방식으로 판매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이를 막기 위해 잉글랜드에서는 허가된 번식업자와 재입양 센터를 제외하고는 6개월 미만의 강아지와 고양이 판매를 금지하는 법안이 계획되었다. 도그 트러스트의 폴라 보이든은 이 금지 조치를 지지하면서도, "잠재적인 허점"을 해결해야 하며 재입양 기관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48]

2020년 4월, 루시의 법이 시행되어 펫샵과 같은 제3자 판매를 금지함으로써 강아지(및 고양이) 공장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다.[49][50]

5. 법적 대응

대한민국에서는 동물보호법을 통해 강아지 공장의 미신고 영업 등을 규제하고 있지만, 미신고 영업 적발 시 100만원 이하의 벌금만 부과되어 처벌 수위가 낮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60]

미국에서는 연방 동물복지법 외에도 각 주별로 번식업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바닥이 철망으로 된 케이지에 를 기르거나 케이지를 쌓아 올려 사육하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66]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와 미국 동물보호협회는 미국 농무부(USDA)를 상대로 각각 동물 복지법(AWA) 시행 책임 포기와 정보 공개법에 따른 정보 미공개 혐의로 소송을 제기했다.[52][53]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각 주에서 개 번식을 규제하고 있으며, 시드니 시장은 동물 판매 규제 법안을 제안하여 애완동물 가게, 인터넷, 신문을 통한 개 판매 금지를 추진했다.[42]

영국은 1996년 개 번식 및 판매법을 통해 1년에 5번 이상 출산하는 모든 사람에게 연간 수의사 검사를 요구하고, 번식 암컷의 출산 횟수를 제한하고 있다.[46] 2020년 4월부터 루시의 법이 시행되어 펫샵과 같은 제3자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49][50] 동물변호기금은 2014년 바크웍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2018년 합의를 통해 매장 내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지판 제거 및 일부 소매점 폐쇄 결과를 얻었다.[51]

5. 1. 법률 및 규제

대한민국에서는 동물보호법을 통해 강아지 공장의 미신고 영업 등을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미신고 영업이 적발되어도 100만원 이하의 벌금만 부과되어 처벌 수위가 낮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60] 2016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신고된 동물 생산업체는 188곳이며, 약 800~1000여 곳은 불법 운영 중인 것으로 추산된다. 보호단체는 불법 운영 시설이 3000여 곳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연방 동물복지법 외에도 각 주별로 번식업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법률들은 바닥이 철망으로 된 케이지에 를 기르거나 케이지를 쌓아 올려 사육하는 행위를 금지하며, 위반 시 최대 5천 달러의 벌금을 부과한다.[66] 2010년 미주리 주에서는 "강아지 공장 학대 방지법"인 명제 B가 통과되어 인도적인 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번식업자 당 개체 수를 50마리로 제한했다.[39] 그러나 제이 닉슨 주지사가 "미주리 해결책"이라는 타협안에 서명하면서 명제 B의 일부 조항이 유지되고 검사를 위한 주정부 자금이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40]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각 주에서 개 번식을 규제하고 있다. 시드니 시장 클로버 무어는 동물 판매 규제 법안을 제안하여 애완동물 가게, 인터넷, 신문을 통한 개 판매 금지를 추진했다.[42] 이는 충동 구매를 막고 미등록 사육장을 폐쇄하기 위함이다. RSPCA(동물 학대 방지 협회)의 전략,[43] 오스카 법,[44] 빅토리아 노동당의 노력 등도 강아지 공장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들이다.[45]

영국은 1996년 개 번식 및 판매법을 통해 1년에 5번 이상 출산하는 모든 사람에게 연간 수의사 검사를 요구하고, 번식 암컷의 출산 횟수를 1년에 한 번, 평생 4번으로 제한한다.[46] 케넬 클럽 회원은 순종 강아지 판매를 위해 등록하고 사육 환경을 인증해야 한다.[47] 2020년 4월부터 시행된 루시의 법은 펫샵과 같은 제3자 판매를 금지하여 강아지 공장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49][50]

5. 2. 법적 소송

동물변호기금(Animal Legal Defense Fund)은 2014년 남부 캘리포니아에 6개 지점을 가진 애완견 가게 체인 바크웍스(Barkworks)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바크웍스는 많은 강아지 구매자들을 속여 아픈 강아지를 구매하게 했으며, 불법 번식 면허를 만들고 번식 증명서를 위조하고 수의학적 관리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거짓말을 했다.[51] 2015년에는 집단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는 소송을 제기했으나, 법원은 집단 소송 진행을 막았다. 2018년 당사자들은 합의했는데, 바크웍스는 매장 내 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지판을 제거하고 6개 소매점 중 4개를 폐쇄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 의회는 상업적인 번식업자로부터 개를 판매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51]

미국 동물보호협회(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는 2018년 3월 21일, 정보 공개법에 따라 요청한 동물 복지법 기록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은 혐의로 미국 농무부(USDA)를 고소했다. 다음 날 의회는 농무부의 2018년 지출 법안에 포함된 보고서의 일부로 해당 기록을 복원할 것을 농무부에 촉구했으나, 2018년 4월 20일 현재 농무부는 기록을 복원하지 않았다.[52]

미국 동물 학대 방지 협회(ASPCA)는 2021년에 동물 복지법(AWA)의 시행 책임을 포기한 혐의로 USDA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53] 1966년 8월 24일에 시행된 이 법은 상업적으로 번식된 개에 대한 인도적인 대우를 규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AWA는 USDA가 시설을 검사하여 위반자에게 벌금 및 면허 취소와 같은 처벌을 부과하는 최소 관리 요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도록 요구한다. 소송은 USDA가 고의적으로 위반 사항을 무시하여 보고되지 않고 처벌받지 않아 2017년 이후 상업적인 개 판매자에 대해 단 한 건의 처벌도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이는 심각한 학대에 대한 압도적인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USDA가 기록에 보고된 위반 사항에도 불구하고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54] 2024년 현재, USDA는 1,000건이 넘는 위반 사항 중 상업적인 개 판매자에게 4건의 처벌만 기록했으며, 이들은 여전히 영업을 계속하도록 허용되었다.[55]

6. 비판 및 논란

강아지 공장은 영리 목적으로 애완동물을 악질적으로 번식하는 브리더를 일컫는다.[56][57]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강아지는 제품, 성견은 제품을 만드는 기계처럼 취급되어 생물로서 존중받지 못한다. 생산성을 중시하여 어미 개의 부담은 고려하지 않으며, 개체당 바닥 면적, 환경 유지 비용, 식비 등도 최소한으로 줄인다. 아사히 신문의 '지혜창 mini영어'[57]에 따르면, 열악한 번식 환경 때문에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건강 문제가 있는 강아지도 드물지 않다. 불법 유기 사건이나 개체 과다 사육 붕괴로 드러나는 경우도 있으며,[57] 생체 소매업 방식이나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58]

6. 1. '강아지 공장' 용어 논란

'강아지 공장'이라는 용어는 동물 보호 단체들이 열악한 번식 환경에서 개를 번식시키는 브리더에 항의하기 위해 널리 사용해 왔다. 그러나 브리더 커뮤니티의 비평가들은 감정적인 수사, 선정주의 등이 강아지 공장 문제 해결을 위한 초기 목표를 넘어 추가적인 법률 제정이나 제한적인 면허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고 주장한다.[37] 이들은 강아지에 대한 기존의 레몬법이 개와 예비 구매자 모두에게 충분한 보호를 제공한다고 언급한다.[26]

미국 강아지 공장의 소형견들

6. 2. 취미 브리더(Hobby breeders)의 입장

동물 보호 단체들은 열악한 번식 환경에서 개를 번식시키는 브리더에 항의하기 위해 "강아지 공장"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해 왔다. 브리더 커뮤니티의 비평가들은 감정적인 수사, 선정주의 및 더러운 개집 사진이 진정으로 처참한 환경에서 개를 제거하려는 초기 목표를 훨씬 넘어선 추가 법률 또는 추가 제한적인 면허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고 주장한다.[37] 이들은 강아지 공장에 대한 입법 시도가 자신들의 사업을 중단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시설을 업데이트하고 유지 관리하는 데 추가 비용을 요구하는 법률과 면허가 그들이 돌보는 개에게 해로울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강아지에 대한 기존의 레몬법이 개와 예비 구매자 모두에게 충분한 보호를 제공한다고 언급한다.[26]

7. 결론 및 향후 과제

강아지 공장은 애완동물을 영리 목적으로 악질적으로 번식하는 곳을 말한다.[56][57] 강아지 공장에서는 어린 강아지는 제품, 성견은 제품을 만드는 기계처럼 취급되어 생물로서 존중받지 못한다. 생산성을 중시하여 좁은 공간에서 적은 비용으로 사육되며, 이로 인해 선천적 또는 후천적 건강 문제를 가진 강아지들이 많다.[57] 불법 유기나 개체 과다 사육 붕괴로 문제가 드러나기도 하며,[57] 동물 복지 측면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58]

강아지 공장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강화, 동물보호단체의 감시 활동, 시민들의 인식 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동물권 보호를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동물 복지 향상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강아지 공장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인식 변화와 함께, 생명 존중 문화를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PUPPY MILL https://www.merriam-[...] 2020-02-14
[2] 법원인용 https://scholar.goog[...] 1984-01-17
[3] 뉴스 Inhumane 'Puppy Mills' a Growing Blight https://www.nytimes.[...] 2023-05-12
[4] 웹사이트 Humane Society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https://www.hsvma.or[...] 2013-05
[5] 웹사이트 FAQs http://www.humanesoc[...] 2012-10-07
[6] 웹사이트 Puppy Mills: The Scientific Evidence of Harm They Cause To Dogs – Center for Shelter Dogs https://centerforshe[...] 2023-03-06
[7] 학술지 Improper Puppy Socialization and Subsequent Behavior 1976
[8] 뉴스 United States: A dog's life; "Puppy mills" http://www.economist[...] 2016-11-24
[9] 뉴스 Puppy Mills https://www.aspca.or[...] 2018-09-17
[10] 학술지 Prevalence of Blood parasites in stray and pet Dogs in Hyderabad Area : Comparative sensitivity of different Diagnostic techniques for the detection of microfilaria http://veterinarywor[...]
[11] 서적 Veterinary Forensics: Animal Cruelty Investigations John Wiley & Sons, Inc. 2012-01-01
[12] 웹사이트 The Real Cost of Buying a Puppy https://charitypaws.[...] 2017-10-13
[13]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Puppy Mills https://www.aspca.or[...] American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ruelty to Animals
[14] 웹사이트 Buy or adopt? Where you get your pet is a big decision—and a big controversy http://docs.newsbank[...] Chicago Tribune RedEye Edition 2007-11-19
[15] 웹사이트 Where NOT to buy a puppy or a dog http://www.thekennel[...] 2007-12-14
[16] 웹사이트 Puppy Mills http://newanimalcont[...] 2016-11-24
[17]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Puppy Mills http://www.aspca.org[...] 2016-05-22
[18] 웹사이트 Puppy Mills: Millions of Dogs Suffer Needlessly to Create Pets https://sentientmedi[...] 2020-09-18
[19] 웹사이트 What Is a Puppy Mill? https://resources.be[...] 2018-08-02
[20] 웹사이트 The Puppy Mill Project – About Puppy Mills https://www.thepuppy[...] 2019-05-06
[21] 웹사이트 Puppy Mills http://www.peta.org/[...] 2017-05-14
[22] 웹사이트 Puppy Mills Report https://www.humaneso[...] 2023-05-12
[2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uppy Mills And Why You Should Care https://faunalytics.[...] 2023-05-12
[24] 잡지 The Dog Factory: Inside the Sickening World of Puppy Mills https://www.rollings[...] 2023-05-12
[25] 웹사이트 Animal Welfare Act http://www.nal.usda.[...] 2007-12-26
[26] 뉴스 Curbing the Puppy Trade: Dog lovers are divided over new efforts to ensure that all breeders treat their pooches humanely http://www.time.com/[...] Time 2005-12-04
[27] 뉴스 New Pa. Law Putting Puppy Mills out of Business https://www.cbsnews.[...] 2012-10-07
[28] 뉴스 Critics: Pa. failing to enforce puppy mill law https://www.foxnews.[...] 2012-10-07
[29] 뉴스 Is Pennsylvania regaining reputation for puppy mills? http://readingeagle.[...] 2012-10-07
[30] 웹사이트 ASPCA Urges Vermont Governor to Sign Puppy Mill Bill https://www.aspca.or[...] ASPCA 2012-10-07
[31] 웹사이트 HSUS Undercover Investigation Exposes the Suffering Behind New York Pet Stores http://www.humanesoc[...]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012-10-07
[32] 웹사이트 The Puppy Mill Industry In Missouri http://stlouis.bbb.o[...] Better Business Bureau 2012-10-07
[33] 웹사이트 FACT CHECK: Does the Amish Community Own 20 Percent of American Puppy Mills? https://www.snopes.c[...] 2024-07-30
[34] 웹사이트 Missouri is the 'horrible' puppy mills capital, report says. Many are listed by name https://www.kansasci[...] 2019-05-06
[35] 학술지 Defining the Puppy Farm Problem: An examination of the regulation of dog breeding, rearing and sale in Australia https://www.animalla[...] 2011
[36] 웹사이트 RSPCA Discussion Paper: Puppy Farms https://web.archive.[...] 2010-01
[37] 웹사이트 Just what is a puppy mill? http://www.canismajo[...] 2007
[38] 웹사이트 Animal Welfare Act and Regulations https://web.archive.[...] 2003-08-21
[39] 웹사이트 Iowa Gov. Culver Signs Bill to Combat Puppy Mills http://www.humanesoc[...] 2010-03-09
[40] 웹사이트 State Officials Outline New Dog Breeding Law http://www.stltoday.[...] 2011-06-14
[41] 웹사이트 SB161 – Modifies provisions relating to agriculture http://www.senate.mo[...] 2019-05-07
[42] 웹사이트 One Small Step for Dog's Rights as Puppy Farm Shut Down in Australia {{!}} Greener Ideal https://greenerideal[...] 2014-10
[4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RSPCA {{!}} Animal Legal & Historical Center https://www.animalla[...]
[44] 웹사이트 Who Is Oscar? – the problem with puppies for sale online, avoiding puppy mills https://www.oscarsla[...]
[45] 웹사이트 Victoria's puppy farms and pet shop laws a world first – but questions about 'ethical' breeding remain http://theconversati[...] 2018-07-02
[46] 웹사이트 Licensing of dog breeding establishments https://web.archive.[...]
[47] 웹사이트 Litter registration form https://web.archive.[...]
[48] 뉴스 Puppy and kitten sales at pet shops set to be banned https://www.bbc.co.u[...] BBC
[49] 웹사이트 Gove delivers 'Lucy's Law' to protect puppies and kittens https://www.gov.uk/g[...]
[50] 웹사이트 'Lucy's Law' puppy farm ban set to be confirmed https://news.sky.com[...]
[51] 웹사이트 Challenging the Sale of Puppy Mill Dogs – Barkworks Class Action https://aldf.org/cas[...]
[52] 웹사이트 The Horrible Hundred 2018 https://blog.humanes[...]
[53] 웹사이트 ASPCA Sues USDA for its Non-Enforcement Policy on the Animal Welfare Act {{!}} ASPCA https://www.aspca.or[...] 2024-06-18
[54] 뉴스 ASPCA v. USDA https://www.aspca.or[...]
[55] 웹사이트 New ASPCA Report Shows USDA Failed to Act in Response to 90 Percent of Animal Welfare Violations in FY23 {{!}} ASPCA https://www.aspca.or[...] 2024-06-18
[56] 웹사이트 パピーミル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2-24
[57] 웹사이트 パピーミル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7-12-24
[58] 웹사이트 犬の大量遺棄事件から考える生体小売業というビジネス 規制強化は待ったなし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7-12-24
[59] 웹인용 '개식용금지법' 국회 통과…식용 목적 도살·사육 모두 징역형 https://www.yna.co.k[...] 2024-05-14
[60] 뉴스 7년간 14번 출산...말티즈의 비참한 최후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4-01-12
[61] 뉴스 귀여운 강아지 어디에서 왔나 했더니…어미개 학대 '공장형 번식장' http://news.naver.co[...] MBC 2014-08-10
[62] Youtube tbs 집중리포트, 반려동물 번식장의 참혹한 현실 https://www.youtube.[...] tbs 2015-04-09
[63] 서적 당신은 개를 키우면 안된다 동아일보사 2014
[64] 뉴스 이슈를 보는 눈 2, 버려지는 애완견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1-10-07
[65] 뉴스 이브닝 이슈. 끔찍한 '강아지 공장', 분노 확산 http://imnews.imbc.c[...] MBC 이브닝 뉴스 2016-05-23
[66] 뉴스 강아지 공장 처벌수위 미국과 비교해 보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6-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