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화탐사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화탐사대는 MBC TV에서 방송되는 실화 탐사 프로그램이다. 2018년 9월 12일 첫 방송을 시작하여, 방송 시간과 진행자를 변경하며 현재까지 방영되고 있다. 프로그램은 다양한 실화 소재를 다루며, 과거 언론 통폐합 관련 방송 에피소드, 프로그램 폐지 및 부활 등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지역별 자체 방송과 수상 내역, 유사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DSP 미디어 제작 - 마이걸 (2005년 드라마)
2005년 SBS에서 방영된 드라마 《마이걸》은 이다해, 이동욱, 이준기, 박시연 주연으로, 사기꾼 주유린이 가짜 손녀 역할을 하며 벌어지는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로 높은 시청률과 해외 인기를 얻고 여러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 DSP 미디어 제작 - 날아라 슛돌이
평범한 어린이들로 축구팀을 만들어가는 KBS 프로그램인 날아라 슛돌이는 2005년부터 여러 시즌 방송되었으며, 각 시즌마다 감독, 코치, 매니저, 어린이 선수들이 출연하여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탐사보도 - 프로퍼블리카
프로퍼블리카는 권력 남용 고발과 공공의 이익 기여를 목표로 200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로, 심층적인 탐사보도를 통해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여러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있다. - 탐사보도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문화방송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MBC 100분 토론
MBC 100분 토론은 1987년 일요토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방송 시간 변경을 거쳐 1999년부터 현재의 이름으로 방송되고 있으며, 대담한 주제 선정과 토론을 지향하는 MBC의 토론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실화탐사대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방송 정보 | |
방송명 | 실화탐사대 |
원제 | True Story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장르 | 교양 |
방송 시간 | 매주 목요일 밤 9시 ~ 10시 |
방송 분량 | 60분 |
방송 기간 | 2018년 9월 12일 ~ 현재 |
방송 횟수 | 291회 (2024년 12월 12일 기준)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MBC TV |
추가 편성 | MBC 드라마넷, MBC ON |
기획 | MBC 시사교양본부 |
제작사 | DSP 미디어, 돌고래 미디어 |
연출 | 박준우, 정호근, 오연선, 김승윤, 이민영 |
조연출 | 심신진, 김수연 |
진행자 | 강다솜, 지진희, 서인, 박지훈 |
언어 | 한국어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관련 프로그램 | 그것이 알고싶다 궁금한 이야기 Y 감성다큐 미지수 과학다큐 비욘드 해피선데이 신발 벗고 돌싱포맨 천일야사 KBS 뉴스특보 MBC 뉴스특보 SBS 뉴스특보 MBN 뉴스특보 채널A 뉴스특보 YTN 뉴스특보 연합뉴스TV 뉴스특보 |
외부 링크 | MBC 실화탐사대 공식 홈페이지 |
비고 | 일부 지역 지체 방송 |
2. 방송 정보
변화무쌍한 세상 속에서 빛의 속도로 쏟아지는 수많은 이야기 중에, 실화여서 더욱 놀라운 ‘진짜 이야기’를 찾는 본격 실화 탐사 프로그램이다.
2. 1. 방송 시간
wikitable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비고 | |
---|---|---|---|---|
MBC TV | ||||
2018년 9월 12일 ~ 2019년 5월 15일 | 매주 수요일 저녁 8:55 ~ 밤 10:00 | 정규 편성 | ||
2019년 5월 22일 ~ 2019년 5월 29일 | 매주 수요일 밤 10:05 ~ 11:05 | |||
2019년 6월 5일 ~ 2020년 6월 24일 | 1부 | 매주 수요일 밤 10:05 ~ 10:35 | 분리 편성 | |
2부 | 매주 수요일 밤 10:35 ~ 11:05 | |||
2020년 7월 4일 ~ 2021년 6월 26일 | 1부 | 매주 토요일 저녁 8:50 ~ 밤 9:20 | ||
2부 | 매주 토요일 밤 9:20 ~ 9:50 | |||
2021년 7월 3일 ~ 2022년 4월 2일 | 매주 토요일 저녁 8:50 ~ 밤 9:50 | 통합 편성[6] | ||
2022년 4월 14일 ~ 2022년 10월 13일 | 매주 목요일 밤 9:00 ~ 10:00 | |||
2023년 1월 5일 ~ 현재 | ||||
2022년 10월 20일 ~ 2022년 12월 22일 | 매주 목요일 밤 9:00 ~ 9:50 |
2. 2. 역대 진행자
- 1대: 강다솜, 신동엽, 김정근, 박지훈 (2018년 9월 12일 ~ 2023년 3월 16일)
- 2대: 강다솜, 신동엽, 서인, 박지훈 (2023년 3월 23일 ~ 2024년 12월 5일)
- 3대: 강다솜, 지진희, 서인, 박지훈 (2024년 12월 12일 ~ '''현재''')
3. 코너 정보
3. 1. 요일별 코너 (일본어 문서 참고)
- 평일에는 퀴즈마트 (당첨자 1명에게 현금 5만 원), 깜짝 넌센스 퀴즈 (당첨자 1명에게 문화상품권), 신청곡에 따른 클로징 곡 (당첨자 1명에게 경품 3종 세트) 코너가 방송된다.
- 토요일에는 제1부 - 서정민 기자의 지구 음악 전설, 제2부 - 물론 그렇다고 (엽서와 신청곡) 코너가 방송된다.
- 일요일에는 제1부 - 김작과 함께 Back To The Chart, 제2부 - 성기철의 세계 음악 여행 코너가 방송된다.
4. 방송 에피소드 및 관련 사건
4. 1. 언론 통폐합과 프로그램
1980년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으로 동양방송(TBC)이 KBS로 이관되기 직전, 텔레비전과 라디오를 통해 마지막으로 진행된 방송이 이 프로그램이었다.[1] 사회는 당시 TBC의 아나운서였던 황인용이었다.[1]방송 종료 5분 전, 황인용 아나운서는 다음과 같은 작별 인사를 남겼다.[1]
5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5분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5분밖에 남지 않은 것이 너무나 무정합니다. 10분이면 좋았을 텐데요. 5분을 10분으로 늘릴 수 없을까요? 여러분께서 소중히 여겨주셨던 동양방송은 사라져도... 여러분의 가슴 속에 오래오래, 동양방송의 기억을 소중히 간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 4분입니다.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가세요. 이곳은 동양방송입니다. 여러분의 방송이었던 동양방송입니다. 다시 만날 때까지 건강하게, 활기차게 지내세요. 모든 일이 뜻대로 되기를 바라며, 하나님의 가호가 항상 TBC 가족이었던 여러분과 함께 하기를 기도하며 물러갑니다. 저도 이제 헤드폰을 벗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이 정이 담긴 제7 스튜디오를, 아니 동양방송을 이제 떠나겠습니다. 동양방송은 이제 3분 남았습니다. 마지막으로, 동양방송의 콜 사인을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곳은… 639… 킬로헤르츠… HLKC… 동양… 방송입니다…[1], [2]
이는 TBC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KBS로 통합[3]된 동아방송, 서해방송, 전일방송에서도 비슷한 아나운스가 진행되었으며, 같은 해 12월 1일 오전 0시에 각 방송국의 민영 방송 면허가 소멸되고 KBS로 방송 면허가 이관된 후 각각 "이곳은 KBS입니다"라는 아나운스가 나왔다고 한다.[1]
이 사건은 군사독재 시절 언론의 자유가 억압받던 한국 현대사의 아픔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민주주의와 표현의 자유를 갈망하는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4. 2. 프로그램 폐지 및 부활
1991년 5월 5일, 청소년 대상 오락 프로그램에서 생활 정보 프로그램으로 전환하려는 KBS의 편성 방침에 따라 폐지되었다.[4] 당시 진행은 손창환이 맡았다. 이후 1992년 KBS 가을 개편으로 같은 해 10월 5일, 노영심의 진행으로 다시 시작되었다.[5]5. 지역별 자체 방송
- 춘천MBC : 여기 이슈 강원
- 목포MBC, 안동MBC, 원주MBC : 다큐M
- 대전MBC, MBC충북 : 인생내컷
- 광주MBC : 시사토론 시사용광로
- 대구MBC : 시민의 품격
- 부산MBC, 울산MBC, 원주MBC : 특집 프로그램
- 포항MBC : 시사 날, 살맛나는 세상
- 전주MBC : 로컬판타지
- 제주MBC : 공감토크 소통의 고수 2
※ 제주, 대구, 울산 등 일부 지역은 다큐 프라임이 방송된다.
※ 강원영동, 여수, 경남 등은 자체방송 없이 그대로 방송된다. (단 특집방송 시에는 결방된다)
6. 수상 내역
- 2022년 MBC 방송연예대상 시사교양 특별상 부문 (박지훈)
7. 유사 프로그램
- KBS 뉴스특보 (KBS 보도본부 제작)
- 해피선데이 (KBS 예능본부 제작)
- 감성다큐 미지수 (KBS 2TV)
- 과학다큐 비욘드, 자이언트 펭TV (EBS 1TV)
- 히어로 써클 (EBS·스튜디오 티앤티 공동 제작)
- MBC 뉴스특보 (MBC 보도본부 제작)
- SBS 뉴스특보, 그것이 알고싶다, 궁금한 이야기 Y, 신발 벗고 돌싱포맨, SBS 뉴스 이슈진단 (SBS TV)
- MBN 뉴스특보 (MBN)
- 이것은 실화다 (TV조선)
- 천일야사, 채널A 뉴스특보 (채널A)
- YTN 뉴스특보 (YTN)
- 연합뉴스TV 뉴스특보 (연합뉴스TV)
- 아르곤 (tvN)
- 진격의 언니들 (채널S)
- 지금은 라디오 시대, 손에 잡히는 경제, 두시만세, 배순탁의 B side, 문화야 놀자, 출발 주말세상 차미연입니다, 모두의 퀴즈생활 서유리입니다, 주말엔 나비인가봐, 마음연구소 (MBC 표준FM)
- 라디오 고해소 비밀번호 1053 (cpbc FM)
참조
[1]
뉴스
iTV、放送中断に先立ち、お別れ放送推進
http://news.naver.co[...]
連合ニュース
2004-12-24
[2]
뉴스
マイク置き自然人になり4年…ファン・イニョン
http://news.donga.co[...]
東亜日報
2008-08-30
[3]
기타
[4]
뉴스
夜を忘れたあなたに、27年目にして終止符
http://dna.naver.com[...]
京郷新聞
1991-04-27
[5]
뉴스
ノ・ヨンシム 夜を忘れたあなたに DJ、復活した番組を受け持ち大きな期待
http://dna.naver.com[...]
京郷新聞
1992-10-08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