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성 (과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객관성 (과학)은 과학적 지식과 연구에서 편견, 감정, 가치관 등의 주관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사실에 입각한 정보를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적 방법론의 발전과 함께 객관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는데, 18세기에는 '진실-자연'을 추구하며 자연의 이상적인 묘사를 시도했다. 19세기 후반에는 '기계적 객관성'이 등장하여 자연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고, 20세기에는 '훈련된 판단'이 기계적 객관성을 보완하여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측정 과정에서의 편향을 줄이고, 과학 공동체의 동료 검토 및 토론 등을 통해 객관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토머스 쿤과 도나 해러웨이 등은 과학적 객관성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며,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과 관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객관성 (과학) | |
---|---|
객관성 (과학) | |
정의 | 객관성은 일반적으로 개인적인 편견, 감정, 해석 없이 사실과 증거에 기반하여 진실을 밝히려는 시도를 의미함. |
관련 개념 | 가치 중립성 공정성 신뢰성 타당성 |
과학에서의 중요성 | |
역할 | 과학적 연구 및 지식 생산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짐. |
목표 | 개인의 주관이나 편견을 최소화하고, 관찰 가능한 증거와 논리적 추론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것. |
객관성 확보 노력 | |
방법 | 연구 설계의 엄격성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과정의 표준화 동료 평가 (peer review) 결과 발표 시 투명성 유지 |
한계 | 완전한 객관성은 불가능하다는 비판 존재 연구자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맥락이 연구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객관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 | |
철학적 논의 | 객관성의 본질, 가능성, 필요성에 대한 다양한 철학적 논의가 존재함. |
사회학적 논의 | 과학 지식의 사회적 구성 과정에서 객관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사회학적 논의가 존재함. |
같이 보기 | |
관련 문서 | 과학 철학 사회 인식론 가치 중립성 탈진실 |
참고 문헌 | |
서적 정보 | 제목: Objectivity 저자: Lorraine Daston, Peter Galison 출판사: Zone Books 출판 연도: 2010 ISBN: 9781890951795 접근 날짜: 2015년 7월 23일 보관 URL: Objectivity 보관 날짜: 2017년 5월 22일 |
2. 역사
과학적 방법은 계몽주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주창하였으며, 아이작 뉴턴과 그의 추종자들의 발견과 함께 인기를 얻어 후대로 이어졌다. 18세기 초 과학에는 '진실-자연(truth-to-nature)'이라 불리는 인식론적 덕목이 존재했다.[1] 19세기 후반에는 '기계적 객관성'이라는 새로운 실천이 나타나면서 과학에서의 객관성이 탄생했다.[1] "자연이 스스로 말하게 하라"는 것이 새로운 형태의 과학적 객관성의 좌우명이 되었다.[2] 20세기에는 '훈련된 판단'[1]이 기계적 객관성을 보완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 이후, 객관성은 훈련된 판단과 기계적 객관성의 조합을 포함하게 되었다.
2. 1. 계몽주의 시대
과학적 방법은 계몽주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주창하였으며, 아이작 뉴턴과 그의 추종자들의 발견과 함께 인기를 얻어 후대로 이어졌다. 18세기 초에는 과학에서 '진실-자연(truth-to-nature)'이라고 불리는 인식론적 덕목이 존재했다.[1] 이 이상은 계몽주의 박물학자들과 과학 아틀라스 제작자들에 의해 실천되었으며, "진정으로 존재하는 것"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자연에 대한 묘사에서 어떤 특이성도 제거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를 포함했다.[1][2] 판단력과 기술은 "전형적인", "특징적인", "이상적인", 또는 "평균적인" 것을 결정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겨졌다.[2] 진실-자연을 실천하면서 박물학자들은 정확히 보이는 것을 묘사하기보다는, 합리적인 이미지를 추구했다.[1]2. 2.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과학적 방법은 계몽주의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주창했으며, 아이작 뉴턴과 그 추종자들의 발견과 함께 인기를 얻어 후대로 이어졌다. 19세기 후반에는 '기계적 객관성'이라는 새로운 실천이 나타나면서 과학에서의 객관성이 탄생했다.[1] 이 시기에 이전에는 미덕으로 여겨졌던 자연의 이상화된 묘사가 이제는 악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 과학자들은 자신의 투영을 자연에 강요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2] 그 목표는 주관적인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자연의 묘사를 해방시키는 것이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자동 기록 장치, 카메라, 왁스 몰드 및 기타 기술 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20세기에는 '훈련된 판단'[1]이 기계적 객관성을 보완하게 되었는데, 과학자들은 이미지나 데이터가 유용하려면 과학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즉, 이미지를 해석하거나 데이터를 식별하고, 단지 기계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전문 교육에 따라 그룹화해야 했다.[1] 19세기 후반 이후, 객관성은 훈련된 판단과 기계적 객관성의 조합을 포함하게 되었다.
2. 3. 20세기 이후
19세기 후반, '기계적 객관성'이라는 새로운 실천이 나타나면서 과학에서의 객관성이 탄생했다.[1] "자연이 스스로 말하게 하라"는 것이 새로운 형태의 과학적 객관성의 좌우명이 되었다.[2] 이 시기에 이전에는 미덕으로 여겨졌던 자연의 이상화된 묘사는 이제는 악덕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 과학자들은 자신의 투영을 자연에 강요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하기 시작했다.[2] 그 목표는 주관적인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자연의 묘사를 해방시키는 것이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자동 기록 장치, 카메라, 왁스 몰드 및 기타 기술 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20세기에는 '훈련된 판단'[1]이 기계적 객관성을 보완하게 되었는데, 과학자들은 이미지나 데이터가 유용하려면 과학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즉, 이미지를 해석하거나 데이터를 식별하고, 단지 기계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전문 교육에 따라 그룹화해야 했다.[1] 19세기 후반 이후, 객관성은 훈련된 판단과 기계적 객관성의 조합을 포함하게 되었다.
3. 측정에서의 객관성
측정에서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인지 편향, 문화적 편향, 표본 편향과 같은 편향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3] 이러한 편향을 피하거나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무작위 표본 추출과 이중 맹검 시험 등이 있다.[3] 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측정의 객관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경제학과 같이 가장 정량적인 사회 과학조차도 피에르 뒤엠이 만든 용어인 구성 요소(관례)인 척도를 사용한다.
4. 과학 공동체의 역할
동료 검토, 학술 회의 등 과학적 결과가 발표되는 여러 회의에서의 토론은 과학적 방법의 객관적인 측면을 강화하는 사회적 과정의 일부이다.
이익, 명성, 이념적 동기 등으로 인해 과학적 결과를 의도적으로 잘못 표현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 그러한 과학 사기 사건은 학문적 스캔들을 일으키지만, 얼마나 많은 사기가 발견되지 않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중요한 결과의 경우, 다른 그룹이 실험을 반복하려고 시도하며, 일관적으로 실패할 경우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가 과학적 논쟁에 포함된다.
5. 과학적 객관성에 대한 비판
과학적 객관성과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은 모든 과학이 어느 정도의 해석주의를 가진다는 것이다.[4] 1920년대 퍼시 브리지먼의 ''현대 물리학의 논리''와 조작주의가 이러한 인식을 중심으로 제시되었다.[4]
5. 1. 토머스 쿤의 비판
토머스 쿤은 그의 저서 ''과학 혁명의 구조''에서 과학적 이해가 진정으로 객관적일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몇 가지 철학적 이의를 제기했다.[5] 쿤의 분석에 따르면, 서로 다른 분야의 과학자들은 과학 연구가 수행되고, 젊은 과학자들이 교육을 받으며, 과학적 문제가 결정되는 사실상의 패러다임 내에서 스스로를 조직한다.[5]관찰 데이터가 주어진 과학적 패러다임과 모순되거나 반증하는 것처럼 보일 때, 역사적으로 해당 패러다임 내의 과학자들은 칼 포퍼의 반증주의 철학 이론이 요구하는 것처럼 즉시 이를 거부하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패러다임을 거부하지 않고 명백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론에 대한 임시변통적 변형과 데이터에 대한 동정적인 해석을 통해, 이를 지지하는 과학자들은 명백한 수수께끼를 해결하려 할 것이다. 극단적인 경우, 그들은 데이터를 완전히 무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과학적 패러다임의 실패는 해당 분야에서 활동하는 과학자들의 상당 부분이 그것에 대한 신뢰를 잃을 때 위기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관찰의 귀결은 패러다임이 그것이 우위를 점할 당시의 과학자들 사이의 사회 질서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5]
쿤의 이론은 리처드 도킨스와 앨런 소칼과 같은 과학자들로부터 과학적 진보에 대한 상대주의적 관점을 제시한다는 비판을 받았다.[6][7]
5. 2. 도나 해러웨이의 비판
도나 해러웨이는 1988년에 발표한 논문 ''상황적 지식: 페미니즘에서의 과학적 질문과 부분적 관점의 특권''(Situated Knowledges: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and the Privilege of Partial Perspective)에서 과학과 철학에서의 객관성은 전통적으로 일종의 비신체적이고 초월적인 "무(無)에서 비롯된 정복의 시선"으로 이해된다고 주장한다.[8] 그녀는 주체가 분리되어 대상과 거리를 두는 이러한 종류의 객관성은 불가능한 "환상, 신의 속임수"라고 주장한다.[8] 그녀는 여전히 "현실 세계에 대한 충실한 설명"을 추구하면서[8] 동시에 세상 속에서 우리의 관점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객관성을 재고할 것을 요구한다. 그녀는 이러한 새로운 종류의 지식 생산을 "상황적 지식"이라고 부른다. 그녀는 객관성이 "특정하고 구체적인 구체성에 관한 것이며... 모든 한계와 책임의 초월을 약속하는 거짓된 비전에 관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새로운 객관성은 "우리가 어떻게 보는지 배우는 것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게 해준다."[8]6. 한국 사회와 객관성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국 사회와 객관성' 섹션 내용을 작성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서적
Objectivity
http://www.zonebooks[...]
Zone Books
2015-07-23
[2]
간행물
The Image of Objectivity
http://www.nyu.edu/c[...]
1992
[3]
서적
The Essential Guide to Doing Research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4-06-09
[4]
서적
History of Psychiatry and Medical Psychology: With an Epilogue on Psychiatry and the Mind-Body Rel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5]
서적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http://projektinteg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11-14
[6]
뉴스
Hall Of Mirrors
https://www.richardd[...]
2000
[7]
서적
Fashionable Nonsense: Postmodern Intellectuals' Abuse of Science
Picador USA
[8]
간행물
Situated Knowledges: The Science Question in Feminism and the Privilege of Partial Perspective
http://www.staff.amu[...]
2015-07-23
[9]
서적
Objectivity
http://www.zonebooks[...]
Zone Books
2015-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