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검은 막은 민코프스키 시공간에서 정의되는, 블랙홀과 검은 끈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p+1차원 시공간에 존재하는 물체이다. 검은 막은 끈 이론에서 기본 끈, D-막, NS5-막, M-막 등과 연관되어 있으며, AdS/CFT 대응성을 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검은 끈, 칼루자-클라인 블랙홀, M-막, D-막 등은 검은 막의 구체적인 예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반 상대성이론 - 양자 중력
양자 중력은 양자역학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통합하여 중력이 강한 극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이론적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로, 재규격화 불능성과 시공간 배경 의존성 차이 등의 난제 해결을 위해 끈 이론, 루프 양자 중력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데이터 등을 이용한 실험적 검증이 시도되고 있다. - 일반 상대성이론 - 중력 특이점
중력 특이점은 일반 상대성이론에서 시공간이 정의되지 않고 물리량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지점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론에 따라 존재가 부정되거나 사건 지평선 뒤에 숨겨져 있다고 여겨지기도 하고 블랙홀의 엔트로피와 관련된 호킹 복사 이론과도 관련된다. - 끈 이론 - 중력자
중력자는 중력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가상의 기본 입자로 여겨지지만, 양자화된 일반 상대성 이론의 문제로 인해 완전한 이론이 확립되지 않았으며, 중력파의 존재가 간접적으로 뒷받침하지만 직접적인 검출은 현재 불가능하고 질량에 대한 상한선이 제시되고 있으며 초대칭 파트너인 그라비티노의 존재가 예측된다. - 끈 이론 - 잡종 끈 이론
잡종 끈 이론은 닫힌 끈의 왼쪽 진동 모드는 보손 끈, 오른쪽 진동 모드는 초끈으로 전개하며, 10차원 시공간에서 E8×E8 또는 SO(32) 게이지 군을 갖는 끈 이론이다.
검은 막 | |
---|---|
정의 | |
설명 | 블랙홀의 고차원 일반화 |
관련 개념 | 막 |
상세 내용 | |
설명 | 블랙 브레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의 해로, 블랙홀과 유사하지만 점 대신에 p-차원 공간으로 확장된 사건 지평선을 가진다. 다시 말해, 블랙 브레인은 블랙홀의 일반화된 형태로, 블랙홀의 특이점이 점이 아닌 막 형태로 확장된 것이다. 블랙 브레인의 역학은 AdS/CFT 대응성과 끈 이론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추가 정보 | |
nLab | nLab의 블랙 브레인 항목 |
2. 정의
차원 민코프스키 시공간에서, 차원의 검은 막이 있다고 가정한다. (은 블랙홀, 은 검은 끈이다.) 검은 막의 세계 부피 방향 지표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검은 -막은 다음 좌표로 주어진다.
:
이에 대한 리만 계량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 은 차원 민코프스키 계량이다.
- 는 차원 초구의 계량이다.
- 는 길이 단위를 갖는 상수이다.
3. 성질
질량 중심 틀에서 검은 막의 계량은 다음과 같다.
:
3. 1. 대칭
검은 막은 대칭을 갖는다. 이는 차원 푸앵카레 대칭과 막을 축으로 하는 회전 대칭(직교군)의 직접곱이다.3. 2. 사건 지평선
이 계량은 에서 사건 지평선을 갖는다.4. 곡률
다음과 같은 경우
리치 텐서는 다음과 같다.
그리고 리치 스칼라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 는 계량 의 리치 텐서 및 리치 스칼라이다.
5. 끈 이론에서의 응용
끈 이론에서, 기본 끈, D-막, NS5-막, M-막 등은 낮은 에너지에서 초중력의 검은 막으로 나타난다. 이들은 AdS/CFT 대응성을 유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검은 끈
검은 끈은 사건의 지평선이 과 위상 동치인 고차원 블랙홀의 일반화이다.검은 끈 해의 섭동은 주위의 길이가 어떤 임계값보다 클 때 불안정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임계값을 넘어서는 검은 끈의 완전한 비선형 진화는 검은 끈이 별개의 블랙홀로 분열되어 단일 블랙홀로 합쳐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섭동될 때 검은 끈은 안정적이고 정적인 비균일 검은 끈 상태로 정착될 것이다.
5. 2. 칼루자-클라인 블랙홀
칼루자-클라인 블랙홀은 블랙홀의 일반화된 형태로, 점근 평탄한 칼루자-클라인 공간, 즉 콤팩트한 차원을 가진 고차원 시공간에 존재하는 블랙 브레인이다. '''KK 블랙홀'''이라고도 불린다.[5]5. 3. M-막
11차원 초중력에서 M이론의 M2-막과 M5-막에 해당하는 극대 검은 2-막 및 5-막이 존재한다. 이때 계량 텐서는 다음과 같다.[6]:
여기서
:
이고,
:
:
이다. 또한 게이지장은 다음과 같다.
: (M2-막)
: (M5-막)
여기서 는 11차원의 호지 쌍대이다.
5. 4. D-막
10차원 초중력에서는 D''p''-막에 해당하는 극대 검은 ''p''-막들이 존재한다. 그 계량 텐서는 (끈 틀(string frame영어)에서) 다음과 같다.:
여기서
:
:
이고,
:
이다. 이 경우 딜라톤은
:
이고, 은 에서의 딜라톤 크기다. 라몽-라몽 장세기 는 다음과 같다.
:
여기서 는 ''p''-막의 세계부피 형식이다.
6. AdS/CFT 대응성과의 관계
끈 이론에서 기본 끈, D-막, NS5-막, M-막 등은 낮은 에너지에서 초중력의 검은 막으로 나타난다.[1] 이들은 AdS/CFT 대응성을 유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black brane in nLab
http://ncatlab.org/n[...]
2017-07-18
[2]
서적
The Little Book of String Theor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3]
웹사이트
String theory answers
http://superstringth[...]
2017-07-18
[4]
서적
D-brane : superstrings and new perspective of our world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012
[5]
문서
Obers (2009), p. 212–213
[6]
서적
String Theory and M-Theory: A Moder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