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이 앤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 앤섬은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노래들을 지칭하며, 시대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1920년대 "Das Lila Lied"와 같은 초기 곡들은 억압 속에서 희망을 주었으며, 1980년대 에이즈 위기 시기에는 저항과 연대의 메시지를 담았다. 2000년대 이후에는 자기 수용과 자긍심을 강조하는 곡들이 등장했다. 게이 앤섬은 영향력 있는 디바, 사랑의 역경 극복, 연대, 자부심, 자유로운 성, 수용, 토치송, 사랑의 승리, 자기 긍정 등의 테마를 다루며, 마돈나, 셰어, 엘튼 존, 프레디 머큐리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게이 아이콘으로 숭배받고 있다.

2. 시대별 주요 게이 앤섬

게이 앤섬은 주디 갈랜드의 「오버 더 레인보우」를 가장 초기 기원으로 한다.[1] 음악 저널 『포퓰러 뮤직』에 따르면, 게이 앤섬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곡은 글로리아 게이너의 「사랑의 서바이벌」이다.[1] 다이아나 로스의 「I'm Coming Out」[2]도 잘 알려져 있다.

영국의 LGBT 권리 자선 단체 스톤월은 LGBT 사람들을 위한 200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노래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뷰티풀」을 꼽았으며[3], 엘튼 존도 이 곡이 「사랑의 서바이벌」을 대신할 뛰어난 게이 앤섬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4]

이 외에도 빌리지 피플의 「YMCA」, 「마초 맨」, 「인 더 네이비」, 「고 웨스트」, 실베스터의 「두 유 워나 펑크」, ABBA의 「댄싱 퀸」, 마돈나의 「보그」, 레이디 가가의 「본 디스 웨이」 등이 유명하다. 덜 유명한 게이 앤섬으로는 패닉! 앳 더 디스코의 「걸스/걸스/보이즈」, 헤일리 키요코의 「Girls Like Girls영어」, 맥클모어의 「Same Love영어」, 케이티 페리의 「파이어워크」 등이 있다.[4][5]

2. 1. 1920년대 ~ 1970년대

192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태동하던 시기로, 초기 게이 앤섬들은 사회적 억압과 차별 속에서도 희망과 위로를 주는 곡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 시기에는 LGBT 문화가 점차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관련된 노래들이 등장하여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1920년 Kurt Schwabach가 작사한 The Lavender Song (Das Lila Lied)영어은 동성애를 상징하는 라벤더색을 제목에 사용하여 성소수자의 자긍심을 표현한 초기 곡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1] 1939년 주디 갈랜드가 부른 "Over the Rainbow"는 초창기 게이 앤섬 중 하나로 꼽힌다.[12][13]

1954년에는 주디 갈랜드가 "The Man that Got Away"를,[14] 1955년에는 리틀 리처드가 "Tutti Frutti" (투티 프루티)를 발표했다.[15] 1957년에는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Somewhere (There's a Place for Us)"가 발표되었다.[6][13]

1960년 셜리 배시의 As Long as He Needs Me,[6][13] 1966년 더스티 스프링필드의 You Don't Have to Say You Love Me가 발표되었다.[6]

1970년에는 다이아나 로스의 Ain't No Mountain High Enough영어,[6] 1972년에는 라이자 미넬리의 Maybe This Time영어이 발표되었다.[6] 1975년에는 South Shore Commission영어의 Free Man영어이 발표되었다.[16] 1976년에는 ABBA의 Dancing Queen영어 (댄싱 퀸)과[6][13] Vicki Sue Robinson영어의 Turn the Beat Around영어 (요정의 멜로디)이 발표되었다.[6]

1977년에는 도나 섬머의 I Feel Love영어[17] 빌리지 피플의 "샌프란시스코"가 발표되었다.[18] 1978년에는 Tom Robinson Band영어의 Glad to Be Gay영어 (글래드 투 비 게이),[19] Gloria Gaynor영어의 I Will Survive영어 (사랑의 서바이벌),[20][21][13] 빌리지 피플의 Y.M.C.A.영어 (YMCA),[22] Sylvester영어의 You Make Me Feel (Mighty Real)영어이 발표되었다.[13]

1979년에는 데이비드 보위의 Boys Keep Swinging영어,[13] 의 Don't Stop Me Now영어 (돈 스톱 미 나우),[13] ABBA의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영어 (기미! 기미! 기미!),[13] 빌리지 피플의 Go West영어 (고 웨스트),[13] 도나 섬머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No More Tears (Enough Is Enough)영어,[6] 빌리지 피플의 "인 더 네이비" 등이 발표되었다.[23]

2. 1. 1. 1920년대

1920년대에는 LGBT 문화가 점차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이와 관련된 노래들이 등장했다.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출처
1920The Lavender Song (Das Lila Lied)영어작사 Kurt Schwabach[11]



1920년에 발표된 "The Lavender Song (Das Lila Lied)"은 동성애를 상징하는 라벤더색을 제목에 사용하여 성소수자의 자긍심을 표현한 초기 곡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11]

2. 1. 2. 1930년대

1939년 주디 갈랜드가 부른 "Over the Rainbow"는 초창기 게이 앤섬 중 하나로 꼽힌다.[12][13]

2. 1. 3. 1950년대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출처
1954"The Man that Got Away"주디 갈랜드[14]
1955"Tutti Frutti" (투티 프루티)리틀 리처드[15]
1957"Somewhere (There's a Place for Us)"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6][13]


2. 1. 4. 1960년대

1960년대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시작된 시기로, 여러 노래가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출처
1960As Long as He Needs Me셜리 배시[6][13]
1966You Don't Have to Say You Love Me더스티 스프링필드[6]


2. 1. 5. 1970년대

다음은 1970년대에 발표되어 게이 앤섬으로 여겨지는 곡들이다.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1970Ain't No Mountain High Enough영어다이아나 로스[6]
1972Maybe This Time영어라이자 미넬리[6]
1975Free Man영어South Shore Commission영어[16]
1976Dancing Queen영어 (댄싱 퀸)ABBA[6][13]
Turn the Beat Around영어 (요정의 멜로디)Vicki Sue Robinson영어[6]
1977I Feel Love영어도나 섬머[17]
샌프란시스코빌리지 피플[18]
1978Glad to Be Gay영어 (글래드 투 비 게이)Tom Robinson Band영어[19]
I Will Survive영어 (사랑의 서바이벌)Gloria Gaynor영어[20][21][13]
Y.M.C.A.영어 (YMCA)빌리지 피플[22]
You Make Me Feel (Mighty Real)영어Sylvester영어[13]
1979Boys Keep Swinging영어데이비드 보위[13]
Don't Stop Me Now영어 (돈 스톱 미 나우)[13]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영어
(기미! 기미! 기미!)
ABBA[13]
Go West영어 (고 웨스트)빌리지 피플[13]
No More Tears (Enough Is Enough)영어도나 섬머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6]
인 더 네이비빌리지 피플[23]


2. 2.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와 1990년대는 에이즈 위기와 함께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더욱 활발해진 시기였다. 게이 앤섬은 저항과 연대의 메시지를 담은 곡들이 많아졌으며, 팝 음악의 주류 장르에서도 성소수자 아티스트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1980년대에는 다이아나 로스의 "I'm Coming Out"(1980), 웨더 걸스의 "It's Raining Men"(1982), 마돈나의 "Like a Virgin"(1984)과 "Express Yourself"(1989) 등이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에는 마돈나의 "Vogue"(1990)와 "Justify My Love"(1990), 펫 샵 보이즈가 커버한 "Go West"(1993), 셰어의 "Believe"(1999) 등이 게이 앤섬으로 사랑받았다. 엘튼 존의 "캔들 인 더 윈드 97"(1997)과 조지 마이클의 "Outside"(1998)도 주목할 만하다.

2. 2. 1. 1980년대

1980년대에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게이 앤섬으로 인기를 얻었다.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1980I'm Coming Out|아임 커밍 아웃영어다이아나 로스[27],[13]
1982And I Am Telling You I'm Not Going|앤드 아이 엠 텔링 유 아임 낫 고잉영어제니퍼 할리데이[6]
Do You Really Want to Hurt Me|두 유 리얼리 원트 투 허트 미영어컬처 클럽[13]
It's Raining Men|이츠 레이닝 멘영어 (할렐루야 허리케인)웨더 걸스[6],[13]
Tainted Love|테인티드 러브영어 (더러워진 사랑)소프트 셀[28]
1983Hand in Glove|핸드 인 글로브영어더 스미스[29]
Holiday|홀리데이영어 (홀리데이)마돈나[6]
I Am What I Am|아이 엠 왓 아이 엠영어 (있는 그대로의 나)뮤지컬 라 카즈 오 폴[30],[13]
So Many Men, So Little Time미켈 브라운[6],[13]
Where Is My Man|웨어 이즈 마이 맨영어에르타 키트[31]
1984Like a Virgin|라이크 어 버진영어 (라이크 어 버진)마돈나[6],[13]
1985Sisters Are Doin' It for Themselves|시스터즈 아 두인 잇 포 뎀셀브즈영어유리스믹스 & 아레사 프랭클린[6]
Into the Groove|인투 더 그루브영어 (인트 투 더 그루브)마돈나[13]
1986¿A quién le importa?|아 키엔 레 임포르타es알래스카 이 디나라마[32],[33],[34],[35]
Greatest Love of All|그레이티스트 러브 오브 올영어휘트니 휴스턴[6]
So Macho|소 마치오영어시니타[13]
True Colors (트루 컬러즈)신디 로퍼[36],[37]
1988A Little Respect|어 리틀 리스펙트영어이지어[6]
1989Express Yourself|익스프레스 유어셀프영어 (익스프레스 유어셀프)마돈나[13]


2. 2. 2. 1990년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마돈나는 1990년에 발표한 Vogue|보그영어와 Justify My Love|저스티파이 마이 러브영어[38]를 통해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했다.[13] 이후 Deeper and Deeper|디퍼 앤 디퍼영어(1992), Secret|시크릿영어(1994), Human Nature|휴먼 네이처영어(1995) 등 그녀의 여러 곡들이 게이 앤섬으로 인기를 얻었다.[39]

펫 샵 보이즈는 1993년에 빌리지 피플의 Go West|고 웨스트영어를 커버하여 또 다른 게이 앤섬을 탄생시켰다.[13] 셰어는 1999년에 Believe|빌리브영어와 Strong Enough|스트롱 이너프영어를 발표하며 성소수자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41] 엘튼 존은 1997년 "캔들 인 더 윈드 97"을 발표했고,[40] 조지 마이클은 1998년 Outside|아웃사이드영어를 발표했다.[13]

다음은 1990년대 주요 게이 앤섬 목록이다.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출처
1990Justify My Love|저스티파이 마이 러브영어마돈나[38]
1990Vogue|보그영어[13]
1992Deeper and Deeper|디퍼 앤 디퍼영어[13]
1991Finally|파이널리영어CeCe Peniston|CeCe Peniston영어[6]
1993Go West|고 웨스트영어펫 샵 보이즈[13]
1994Secret|시크릿영어마돈나[13]
1995Human Nature|휴먼 네이처영어[39]
1997Free|프리영어울트라 나테[6]
캔들 인 더 윈드 97엘튼 존[40]
1998Outside|아웃사이드영어조지 마이클[13]
1999Believe|빌리브영어셰어[41]
Strong Enough|스트롱 이너프영어


2. 3.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면서, 게이 앤섬은 더욱 다양하고 포용적인 메시지를 담게 되었다. 특히, 자기 수용과 자긍심을 강조하는 곡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2000년대와 2010년대에 발표된 여러 곡들이 게이 앤섬으로 불리고 있다. 카일리 미노그의 "Can't Get You Out of My Head",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Beautiful", 케이티 페리의 "Firework", 레이디 가가의 "Born This Way" 등이 대표적이다.

2. 3. 1. 2000년대

2000년대 게이 앤섬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2000"See Ya"리키 마틴[42]
2000"Bag It Up"제리 할리웰[43]
2001"Can't Get You Out of My Head" (열정적으로 가슴을 태우며)카일리 미노그[13]
"I'm Real"제니퍼 로페즈[44]
"Your Disco Needs You"카일리 미노그[45]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 (왓 잇 필즈 라이크 포 어 걸)마돈나[13]
2002"¿A quién le importa?"탈리아[46]
"Beautiful" (뷰티풀)크리스티나 아길레라[47][48][49][50]
"Endangered Species"다이앤 리브스[51]
2003"Defying Gravity"뮤지컬 위키드[52]
2004"Take Your Mama"시저 시스터스[13]
2005"Hung Up" (헝 업)마돈나[13]
2006"Todos Me Miran"글로리아 트레비(Gloria Trevi)[53]
2008"I Kissed a Girl"케이티 페리[54]
2009"She Wolf" / "Loba" (쉬 울프)샤키라[55]


2. 3. 2. 2010년대

년도곡명아티스트각주, 출처
2010"All the Lovers" (올 더 러버스)카일리 미노그[56]
2010"Dancing on My Own"로빈[57]
2010"Firework" (파이어워크)케이티 페리[58]
2010"Raise Your Glass"핑크[59]
2011"Born This Way" (본 디스 웨이)레이디 가가[60]
2013"Let It Go" (렛 잇 고)애니메이션 영화 『겨울왕국[61]


3. 게이 앤섬의 테마

게이 앤섬은 다양한 주제를 다루지만, 시대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인다. ''Queer''라는 서적에서는 모든 게이 앤섬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 열 가지 테마가 가장 일반적인 기준이라고 설명한다.[63]


  • 큰 지지를 받은 디바
  • 사랑의 어려움 극복
  • "당신은 혼자가 아니다"
  • 마음의 고통 버리기
  • 고생해서 쌓아 올린 자기 칭찬
  • 섹슈얼리티 해방의 칭찬
  • 수용의 탐구
  • 인생의 어려움을 그린 토치 송
  • 모든 것을 부수는 사랑
  • 사과하지 않는 강인함


게이 앤섬은 주디 갈랜드의 「오버 더 레인보우」를 가장 초기 기원으로 한다. 음악 저널 『포퓰러 뮤직』에 따르면, 게이 앤섬으로 가장 잘 알려진 곡은 글로리아 게이너의 「사랑의 서바이벌(I Will Survive)」이다.[1] 다이아나 로스의 「아이'm 커밍 아웃」[2]도 잘 알려져 있다. 영국의 LGBT 권리 자선 단체 스톤월은 LGBT 사람들을 위한 200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노래로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뷰티풀」을 꼽았으며,[3] 엘튼 존도 이 곡이 「아이 윌 서바이브」를 대신할 뛰어난 게이 앤섬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4] 그 외 유명한 게이 앤섬으로는 빌리지 피플의 「YMCA」, 「마초 맨」, 「인 더 네이비」, 「고 웨스트」, 실베스터의 「두 유 워나 펑크」, ABBA의 「댄싱 퀸」, 마돈나의 「보그」, 레이디 가가의 「본 디스 웨이」 등이 있다.

3. 1. 영향력 있는 디바

이 테마는 특정 노래보다는 동성애자 남성으로부터 개인 숭배에 가까운 지지를 받는 디바 스타일의 대중음악 가수의 노래를 말하며, 이러한 가수 중에는 여성 게이 아이콘이 대부분이다. 현대의 예로는 마돈나, 셰어,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도나 서머, 머라이어 캐리,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아델, 레이디 가가 등이 있다.[63]

3. 2. 사랑의 역경 극복

주로 잘못된 아픈 사랑을 이겨내고 이전보다 더 강해진 모습으로 돌아오는 이야기를 다룬다.[63]

3. 3. 혼자가 아니야

커뮤니티에서 연대하며 서로 지지하고, "외로움은 당신만이 느끼는 것이 아니다"라며 격려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63]

3. 4. 근심과 걱정을 떨쳐라

가지고 있는 문제는 버려두고 함께 즐기자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63] 괴로움은 일단 잊고 즐겁게 지내자고 가벼움을 권하는 노래이다.[6]

3. 5. 어렵게 얻은 자부심

억압, 암흑과의 싸움, 또는 자유와 아름다움을 얻는 것에 대한 두려움, 자부심을 주제로 하는 노래이다.[63] 고생해서 쌓아 올린 자기 칭찬, 억압이나 악의, 자유에 대한 두려움 등의 극복이나, 아름다움, 자기 평가가 주제인 노래라고 설명한다.[6]

3. 6. 자유로운 성에 대한 찬양

문화적 금기를 넘어 개인의 성생활을 긍정하고 찬양한다.[63]

3. 7. 수용에 대한 탐구

자신을 환영 받을 수 있는 장소에 속하여 살기를 희망하며 꿈꾸는 노래이다.[63] 자신을 받아주는 듯한 세계에 대한 희망이나 거기에 살아가는 모습을 상상하는 노래이다.[6]

3. 8. 세상에 지친 토치송

남에게 이용당하거나 학대받으면서도 살아남는 모습을 비통하게 그리는 노래이다.[63]

3. 9. 사랑은 모든 것을 정복한다

이겨낼 수 없는 역경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포기하지 않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63] 사랑에 있어서, 극복할 수 없는 벽을 포기하지 않고 넘어선 이야기를 그린 노래이다.[6]

3. 10. 사과하지 마라

다른 사람의 기대와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담은 노래이다.[63] 다른 사람의 기대나 비판에 반대하더라도 자신의 삶의 방식을 관철하는 것을 테마로 한 노래이다.[6]

4. 게이 아이콘

성소수자 커뮤니티에서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지는 아티스트들을 게이 아이콘이라고 한다. 주디 갈랜드의 「오버 더 레인보우」가 가장 초기 게이 앤섬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 저널 『포퓰러 뮤직』에 따르면, 글로리아 게이너의 「사랑의 서바이벌(I Will Survive)」[1] 과 다이아나 로스의 「아이'm 커밍 아웃」[2]이 대표적인 게이 앤섬이다.

영국의 LGBT 권리 자선 단체 스톤월은 크리스티나 아길레라의 「뷰티풀」을 200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노래로 꼽았으며[3], 엘튼 존도 이 곡이 「아이 윌 서바이브」를 대신할 훌륭한 게이 앤섬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4]

이 외에도 빌리지 피플의 「YMCA」, 「마초 맨」, 「인 더 네이비」, 「고 웨스트」, 실베스터의 「두 유 워나 펑크」, ABBA의 「댄싱 퀸」, 마돈나의 「보그」, 레이디 가가의 「본 디스 웨이」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4][5]

4. 1. 여성 게이 아이콘

도나 서머, 글로리아 게이너, 다이아나 로스, 그레이스 존스, 멜바 무어, 롤리타 할러웨이, 아만다 레어, 셰어, 마돈나, 신디 로퍼, 제리 할리웰, 비욘세, 카일리 미노그[7], 샤키라, 셜리 배시, 아서 키트 등은 게이 남성과 게이 DJ들이 디바로 숭배하고 지지하는 여성 가수들이다. 이들 중에는 이성애자가 많은 편이다. KD 랭, 멜리사 에서리지, 재니스 이언은 레즈비언임을 공개적으로 밝힌 가수들이다.[8]

4. 2. 남성 게이 아이콘

엘튼 존, 톰 로빈슨, 프레디 머큐리, 실베스터, 빌리지 피플, 데이비드 보위, 보이 조지, 컬처 클럽, 조지 마이클, 웸!, 프랭키 고즈 투 할리우드, 펫 샵 보이즈[9], 데드 오어 얼라이브[10], 브론스키 비트, 리틀 리처드, 에스케리타, 디바인, 루폴 등은 남성 및 중성의 게이 아이콘으로 꼽힌다.

참조

[1] 논문 ‘I Will Survive’: musical mappings of queer social space in a disco anthem 2007-05
[2] 웹사이트 http://hifimagazine.[...]
[3] 웹사이트 Media: Current Releases http://www.stonewall[...] stonewall.org.uk 2013-05-19
[4] 뉴스 Lady Gaga's Born This Way: Gay Anthems And Girl Power http://www.forbes.co[...] Forbes 2014-08-13
[5] 웹사이트 Y.M.C.A. by The Village People Songfacts http://www.songfacts[...] Songfacts.com 2017-02-23
[6] 웹사이트 Queer https://books.google[...] 2009-04-26
[7] 문서 LGBT운동에 열심に取り組んでいる
[8] 문서 ジャニス・イアンは女性と結婚
[9] 웹사이트 Pop Music Could Use Another Decade as 'Gay' as the '80s https://www.huffingt[...] 2021-10-01
[10] 웹사이트 Remembering Dead or Alive's Pete Burns, An Overlooked LGBT Pioneer https://www.billboar[...] 2021-10-01
[11] 웹사이트 Disrupted Values, Erupting Culture: Cabaret and the Sexual Persona in Weimar Berlin http://papers.ssrn.c[...] 2009-04-26
[12] 웹사이트 Judy Garland and Gay Men https://books.google[...] 2009-04-26
[13] 뉴스 The pink hit parade: Sing if you're glad to be gay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09-04-26
[14] 웹사이트 Culture Clash: The Making of Gay Sensibility https://books.google[...] 2009-04-26
[15] 간행물 Tarts, Stars, Jewels, and Faries http://www.jstor.org[...] College Art Association 1999
[16] 웹사이트 “I Want to See All My Friends At Once’’: Arthur Russell and the Queering of Gay Disco http://www.timlawren[...] 2009-04-26
[17] 웹사이트 Exploring the Effects of Disco’s Beat http://www.rozanehma[...] The New York Times 2009-04-26
[18] 문서 サンフランシスコなど西海岸がゲイ人口が多く、同性愛に寛容であるため曲の題材になった
[19] 웹사이트 Not Glad to Be Gay? http://www.petertatc[...]
[20] 웹사이트 We're Not Just Lip-synching Here: Music and Collective Identity in Drag Performances https://books.google[...] 2009-04-26
[21] 웹사이트 ‘I Will Survive’: musical mappings of queer social space in a disco anthem http://journals.camb[...] 2009-04-26
[22] 웹사이트 "Y.M.C.A." (An Oral History) http://www.spin.com/[...] 2009-04-26
[23] 문서 海軍にゲイが多いとの一般の認識から、この歌詞になった。ピンクレディーは「やりたくなったら、やっちゃいな」の歌詞でカバーした
[24] 웹사이트 ゲイアンセム・フォー・プライド・マンス https://thegaystraig[...] 2021-10-02
[25] 웹사이트 Queer Frameworks and Queer Tendencie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Postmodern Transformations of Sexuality http://www.socresonl[...] 2009-04-26
[26] 문서 エディ・フロイドのソウル・ナンバーをディスコに編曲。エイミー・スチュアートもゲイ・アイコンとして、よく知られた存在だった
[27] 웹사이트 The mining community and the ageing body https://books.google[...] 2009-04-26
[28] 문서 マーク・アーモンドはゲイであるとされているが、本人はゲイであるかどうかは、音楽の評価とは関係ないという考えを持っている
[29] 간행물 Black, white and blue: The racial antagonism of The Smiths' record slee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0] 웹사이트 When the Girls Are Men: Negotiating Gender and Sexual Dynamics in a Study of Drag Queens http://www.journals.[...] 2009-04-26
[31] 문서 アーサー・キットは日本でh、ショージョージーぐらいしか知られていないが、本国では「公民権活動家」としても知られている。また公民権だけでなく、LGBTの地位向上に尽力する活動家でもある
[32] 웹사이트 Grandes himnos gay. Great Gay Anthems http://noticias.es.m[...] 2011-04
[33] 웹사이트 ‘A Quien Le Importa Cancion gay http://cancionesgays[...] 2011-04
[34] 웹사이트 Musica Gay http://yosoybear.obo[...] 2011-04
[35] 웹사이트 Best Gay Anthem http://listas.20minu[...] 2011-04
[36] 웹사이트 Gay Men's Chorus of Los Angeles -anti-bullying music video - Performing Arts Live http://www.performin[...]
[37] 웹사이트 Pink, Katy Perry and Ke$ha songs all angle to become gay anthems, but will they? | Gossip, Theater, Sports & Politics About & For Gay, Lesbian & Bisexual Women | AfterEllen.co... https://archive.is/2[...]
[38] 웹사이트 Appropriate the Stereotype: Cultural Appropriations and the Queer, Lesbian, and Gay Spectatorships of Madonna and Martha Stewart http://www.thirdspac[...] 2009-04-26
[39] 웹사이트 ‘A Quien Le Importa Cancion gay http://cancionesgays[...] 2021-10-02
[40] 문서 マリリン・モンローとエルトン・ジョンという、二人のゲイ・アイコンを含んだ大ヒット曲
[41] 문서 シェールはディスコ、クラブヒットも多く、ゲイの間で人気がある。本人はストレートとおもわれるが、娘がLGBTである点も、LGBTの間で共感が広がる所以である
[42] 문서 リッキー・マーティンはプエルトリコのアイドル・グループ「メヌード」の元メンバー。LGBTとみられ、ゲイ・アイコンの一人である
[43] 문서 21世紀のゲイ・アイコンと言えば、元スパイス・ガールズ(UK)のジェリ・ハリウェルであつ。LGBTの間では絶大な人気を誇っている
[44] 뉴스 シャキーラ、ジェニファー・ロペス スーパーボウル・ハーフタイムショウ ゲイが熱狂 https://www.pinknews[...] 2021-10-05
[45] 웹사이트 Reveal your gay anthems to the world http://www.guardian.[...] Guardian 2010-09-1
[46] 논문 An Ethnography of Emerging Latino Music Scen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47] 뉴스 Ke$ha and Katy Perry Sing for Gay Rights http://www.nytimes.c[...] 2010-11-05
[48] 웹사이트 Pink, Katy Perry and Ke$ha songs all angle to become gay anthems, but will they? | Gossip, Theater, Sports & Politics About & For Gay, Lesbian & Bisexual Women | AfterEllen.co... https://archive.is/2[...]
[49] 웹사이트 Christina Aguilera, a ‘Bionic’ Gay Advocate? http://easygaylife.c[...]
[50] 웹사이트 http://jointheimpact[...]
[51] 웹사이트 Rhapsody in Rainbow: Jazz and the Queer Aesthetic http://jazztimes.com[...] Jazz Times 2010-11-27
[52] 웹사이트 Gay Anthems: Singing it loud and proud | Celebrity Features | Bollywood Celebs Features http://www.planetrad[...]
[53] 웹사이트 https://archive.is/2[...]
[54] 뉴스 40ゲイ・アンセム・フォー・プライド https://www.thegayuk[...] 2021-10-05
[55] 문서 コロンビ出身。ヒスパニック系の歌手の中でも、特にゲイ、LGBTに人気のある女性歌手である
[56] 웹사이트 2007 Top 40 Official Albums Chart UK Archive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1-10-01
[57] 웹사이트 Robyn: "Sorry, I'm Straight!" http://thenewgay.net[...] The New Gay 2010-11-11
[58] 웹사이트 Katy Perry’s misfire http://www.starobser[...] Sydney Star Observer 2010-11-27
[59] 웹사이트 http://www.mtv.com/n[...]
[60] 웹사이트 'Born This Way': The New Gay Anthem? http://www.mtv.com/n[...] MTV 2011-11-11
[61] 웹사이트 「アナと雪の女王」同性愛テーマと解釈も… 劇中歌でカミングアウト? https://web.archive.[...] 産経新聞社 2016-01-15
[62] 웹인용 Media: Current Releases http://www.stonewall[...] stonewall.org.uk 2013-05-19
[63] 웹인용 Queer http://books.google.[...] 2009-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