겐리흐 네이가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겐리흐 네이가우스는 1888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난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피아노를 독학으로 공부했으며,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영향을 받았다. 1912년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지만, 이후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교편을 잡고, 모스크바 중앙 음악 학교 설립에 기여하며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 그의 제자로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에밀 길렐스 등이 있으며, 1958년 저서 《피아노 연주법론》을 출판했다. 네이가우스는 1964년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계 소련인 - 알프레트 시닛케
알프레트 시닛케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의 영향을 받아 다원주의 작곡 기법을 발전시켜 포스트모더니즘 음악의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받는 러시아 태생의 소련, 독일 작곡가이다. - 독일계 소련인 - 로만 노이슈테터
독일 태생의 축구 선수 로만 노이슈테터는 중앙 수비수 또는 수비형 미드필더로 활동하며 독일과 러시아 국적을 모두 보유, 독일 청소년 대표팀을 거쳐 러시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고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샬케 04, FC 디나모 모스크바, 페네르바흐체 SK 등에서 뛰었으며, 2016-17 시즌에는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소속으로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우승을 경험했다. - 크로피우니츠키 출신 - 레프 트로츠키
레프 트로츠키는 러시아 혁명과 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붉은 군대를 창설한 혁명가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망명 중 암살당했으며, 그의 영구혁명론은 사회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크로피우니츠키 출신 -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는 러시아의 볼셰비키 혁명가이자 소련의 정치인으로, 레닌의 측근으로서 코민테른 의장을 역임하며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탈린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숙청 및 처형 후 명예 회복되었다. - 소련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스타니슬라프 부닌
스타니슬라프 부닌은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후 일본에서 활동하며 센조쿠 학원 음악대학에서 강의했고, 1988년 서독으로 망명하여 2023년 음악 활동을 재개했다. - 소련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
20세기 러시아의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블라디미르 소프로니츠키는 스크랴빈 음악 해석에 영향을 받았으며 소련 내에서 최고의 피아니스트로 칭송받았고, 스크랴빈과 쇼팽 연주로 특히 유명하며 후대 거장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겐리흐 네이가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헨리히 구스타프 네이가우스 |
출생 | 1888년 4월 12일 |
출생지 | 옐리사벳그라드, 러시아 제국 |
사망 | 1964년 10월 10일 |
사망지 |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직업 |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가 |
폴란드어 이름 | 헨리크 (헨리) 네이하우스 |
러시아어 이름 | Ге́нрих Густа́вович Нейга́уз (겐리흐 구스타보비치 네이가우스) |
음악 경력 | |
악기 | 피아노 |
장르 | 클래식 음악 |
관련 인물 |
2. 생애와 경력
겐리흐 네이가우스는 옐리자베트그라드(현재의 크로피우니츠키)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는 모두 피아노 교사였다. 그는 주로 독학으로 피아노를 공부했다. 초기에는 카롤 시마노프스키와 그의 삼촌 펠릭스 블루멘펠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3] 11세 때 처음으로 대중 앞에서 연주를 시작했고,[5] 1902년 미샤 엘만과 함께 리사이틀을 열었다.[3] 1904년에는 독일 여러 도시에서 연주회를 가졌다.[3] 이후 레오폴트 고도프스키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빈 국립음대에서 그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했다.[3]
1912년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시마노프스키의 피아노 소나타 2번을 초연하는 콘서트를 본 후, 네이가우스는 자신의 음악적 한계를 느끼고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6]
1914년부터 옐리자베트그라드, 트빌리시, 키예프 등에서 피아노를 가르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와 친구가 되었다. 일시적인 마비로 연주 활동을 중단하고 교육에 전념하게 된 그는 1922년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가 되었고, 1932년 재능 있는 어린이를 위한 모스크바 중앙 음악 학교 설립에 기여했다. 1934년부터 1937년까지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을 역임했다.[5] 1941년 독일 스파이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등의 도움으로 8개월 만에 석방되었다.[5]
그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에밀 길렐스 등 수많은 제자를 양성했으며, 1956년 러시아 인민 예술가로 선정되었다. 네이가우스는 1964년 10월 10일 모스크바에서 생을 마감했다.[5] 그의 저서 《피아노 연주법론[8]》(1958년)은 피아노 연주에 관한 중요한 책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2. 1. 초기 생애
1888년 4월 12일 옐리자베트그라드(현재의 크로피우니츠키)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모두 피아노 교사였으며, 네이가우스는 주로 독학으로 피아노를 공부했다.[3] 그의 초기 예술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은 다음과 같다.- 그의 이웃이자 어머니 올가("마르타"로 알려짐)의 사촌인 카롤 시마노프스키.[3] 시마노프스키는 하인리히의 아버지 구스타프 네이가우스에게 지도를 받았다.
- 그의 삼촌 펠릭스 블루멘펠트.[3]
그는 또한 알렉산데르 미하워프스키에게 레슨을 받았다.[4] 11세 때 네이가우스는 즉흥곡과 프레데리크 쇼팽의 왈츠를 연주하며 처음으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5] 1902년 그는 11세의 미샤 엘만과 함께 옐리자베트그라드에서 리사이틀을 열었고, 1904년에는 도르트문트, 본, 쾰른, 베를린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그 후 그는 베를린에서 레오폴트 고도프스키에게 사사했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인 1909년부터 빈 국립음대에서 그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했다.
2. 2. 초기 활동
1902년, 11세의 미샤 엘만과 함께 옐리자베트그라드(현재의 크로피우니츠키)에서 리사이틀을 열었다.[3] 1904년에는 도르트문트, 본, 쾰른, 베를린에서 콘서트를 열었다.[3] 그 후 베를린에서 레오폴트 고도프스키에게 사사했고,[3] 1909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빈 국립음대에서 고도프스키의 마스터 클래스에 참여했다.[3]2. 3. 자살 시도
1912년, 겐리흐 네이가우스는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이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피아노 소나타 2번을 초연하는 베를린 콘서트에 참석했다. 이 콘서트는 그에게 작곡가나 피아니스트로서 성공할 수 없다는 절망감을 안겨주었고, 그는 자살을 결심했다.[6] 그는 이탈리아 피렌체로 가서 자살을 시도했으나, 시마노프스키와 루빈스타인에게 발견되어 목숨을 건졌다.[6]2. 4. 교육 활동
1914년 옐리자베트그라드(현재의 크로피우니츠키)에서 피아노를 가르치기 시작했다.[5] 이후 트빌리시와 키예프에서도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이 시기에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와 친구가 되었다. 일시적인 마비 증세로 연주 활동을 중단하고 교육에 전념했다.[5] 1922년 모스크바 음악원의 교수가 되었고, 1932년에는 재능 있는 어린이를 위한 모스크바 중앙 음악 학교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5] 1934년부터 1937년까지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을 역임했다.[5] 1941년 나치 독일이 모스크바에 접근했을 때 독일 스파이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에밀 길렐스 등의 압력으로 8개월 만에 석방되었다.그의 제자로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흐테르, 에밀 길렐스, 야코프 자크, 레프 나우모프, 베라 고르노스타예바, 엘리소 비르살라제, 라두 루푸, 마르가리타 표도로바, 빅토르 에레스코, 아나톨리 베드니코프, 티혼 흐렌니코프, 갈리나 멜리호바, 예브게니 말리닌, 알렉산더 에델만, 타마라 구세바, 리샤르트 박스트, 테오도르 구트만, 알렉산더 슬로보디아니크, 나단 페렐만, 레오니드 브룸베르크, 이고르 주코프, 올레그 보쉬냐코비치, 안톤 긴즈버그, 발레리 카스텔스키, 제라르 프레미, 즈데네크 흐나트, 알렉세이 류비모프, 알렉세이 나세킨, 블라디미르 크라네프, 베르타 마란츠, 예브게니 모길레프스키, 아말리아 바이부르탄, 발렌티나 카메니코바, 빅토르 데레비안코, 베라 라주모프스카야, 니나 스베틀라노바, 보리스 페트루샨스키, 유리 크레치코프스키 등이 있다.
2. 5. 투옥과 석방
1941년, 나치 독일이 모스크바에 접근하면서, 겐리흐 네이가우스는 독일 스파이라는 혐의로 투옥되었다.[5]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에밀 길렐스 등의 압력으로 8개월 만에 석방되었다.[5] 1956년 러시아 인민 예술가로 선정되었다.2. 6. 사망
1964년 10월 10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했다.[5]3. 주요 제자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에밀 길렐스, 야코프 자크, 레프 나우모프, 베라 고르노스타예바, 엘리소 비르살라제, 라두 루푸, 마르가리타 표도로바, 빅토르 에레스코, 아나톨리 베데르니코프, 티혼 흐렌니코프, 갈리나 멜리호바, 예브게니 말리닌, 알렉산더 에델만, 타마라 구세바, 리샤르트 박스트, 테오도르 구트만, 알렉산더 슬로보댜니크, 나단 페렐만, 레오니드 브룸베르크, 이고르 주코프, 올레그 보쉬냐코비치, 안톤 긴즈부르크, 발레리 카스텔스키, 제라르 프레미, 즈데네크 흐나트, 알렉세이 류비모프, 알렉세이 나세트킨, 블라디미르 크라네프, 마리아 카르다스, 베르타 마란츠, 예브게니 모길레프스키, 아말리아 바이부르탄, 발렌티나 카메니코바, 빅토르 데레뱐코, 베라 라주몹스카야, 니나 스베틀라노바, 보리스 페트루샨스키, 유리 크레치콥스키 등이 네이가우스의 제자였다.[5]
4. 유산
네이가우스는 그의 연주가 지닌 시적인 매력과 예술적인 세련됨으로 유명했다.[3] 그는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와 평생 친구였으며, 오시프 만델슈탐은 시를 통해 네이가우스의 연주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 그의 저서 《피아노 연주 예술》(1958)은 피아노 연주법에 관한 가장 중요하고 널리 읽히는 책 중 하나로 간주된다.[8]
5. 가족
Нейгауз,_Густав_Вильгельмович|구스타프 네이가우스ru는 겐리흐 네이가우스의 아버지로,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스승이었다.[3] 마리아 네이가우스는 겐리흐 네이가우스의 어머니로, 카롤 시마노프스키의 아버지 스타니스와프 시마노프스키의 사촌이었다. 겐리흐 네이가우스의 아들은 스타니슬라프 네이가우스이며, 손자는 스타니슬라프 부닌이다.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Russian Music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
[2]
웹사이트
Prof. Henryk (Harry) Neuhaus - nauczyciel mistrzów
http://www.chopin.in[...]
2018-12-12
[3]
웹사이트
Potomkowie Sejmu Wielkiego
http://www.sejm-wiel[...]
Marek Jerzy Minakowski
2018-12-12
[4]
서적
Chopin Playing from the Composer to the Present Day
Gollancz
1981
[5]
서적
The Art of Piano Playing (translated by KA Leibovitch)
Kahn & Averill
[6]
서적
My Young Years
https://archive.org/[...]
Knopf
1973
[7]
문서
독일系の氏名ハインリヒ・ノイハウス(Heinrich Neuhaus)をウクライナ語のキリル文字に綴り換えて文字通りに読むと、ヘンリフ・ネイハウスとなり、これをロシア語読みするとゲンリフ・ネイガウスとなる。英語圏ではHenry Neighausと表記される場合もある。
[8]
웹사이트
The Art of Piano Playing
https://web.archive.[...]
pictures.abebooks.com
2019-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