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크로피우니츠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크로피우니츠키는 우크라이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1754년 성 엘리자베스 요새 건설로 시작되어 1784년 옐리자베트그라드로 명명되었다. 이후 지노비옙스크, 키로보를 거쳐 1939년 키로보그라드가 되었으며, 2016년 우크라이나 극작가 마르코 크로피우니츠키를 기려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미사일 공격을 받았으며, 많은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이 도시는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잉훌 강이 도시를 관통한다. 크로피우니츠키는 행정 구역상 크로피우니츠키 구의 중심지이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로보흐라드주의 도시 - 포미치나
    포미치나는 우크라이나 키로보흐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자포로자 코자크의 영토였으며, 1868년 기차역으로 설립되어 1967년 시로 승격되었고, 2020년 행정 개혁으로 노보우크라인카 구에 통합되었다.
  • 키로보흐라드주의 도시 - 올렉산드리야
    올렉산드리야는 우크라이나 키로보흐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자포로자 코자크에 의해 설립되어 코사크 헤트만국, 러시아 제국, 소련을 거쳐 우크라이나 독립 후 현재에 이르렀으며, 2022년 러시아의 침공 당시 미사일 공격을 받기도 했다.
  • 우크라이나의 주도 - 키이우
    키이우는 우크라이나의 수도이자 동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키예프 루스의 중심지였으나 몽골 침략 후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중심지로서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재건 노력을 하고 있으며, 'Kyiv' 표기가 국제적으로 사용된다.
  • 우크라이나의 주도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크로피우니츠키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크로피우니츠키 문장
문장
키로보흐라드 깃발
깃발
로마자 표기Kropyvnytskyi
별칭작은 파리 (역사적 맥락에서 사용됨)
표어평화와 선으로
키로보흐라드주
라욘크로피우니츠키 라욘
흐로마다크로피우니츠키 도시 흐로마다
설립1754년
시 지위 획득1765년, 1782년
시장안드리 라이코비치
시장 소속 정당제안 (정당)
면적103 제곱킬로미터
해발 고도124 미터
우편 번호25000-490
지역 번호+380 522
자매 도시도브리치 (불가리아)
웹사이트크로피우니츠키 시의회 웹사이트
인구
2022년219,676명
광역 도시권233,820명
역사적 명칭
옛 이름(옐리사베트그라드)
(지노비예우스크)
(키로보)
(키로보흐라드)

2. 역사

크로피우니츠키의 역사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영토였던 시기부터 시작된다.[52] 1754년 러시아 제국옐리자베타 여제의 명으로 성 엘리자베스 요새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1784년 옐리자베트그라드(Елизаветградru)라는 이름으로 도시 지위를 얻었다.

소련-우크라이나 전쟁 (1917~1921) 동안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나, 1920년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소련 시대에는 도시 이름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 1924년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이름을 따 '''지노비옙스크'''(Зиновьевскru)로, 1934년 세르게이 키로프의 이름을 따 '''키로보'''(Кирово)로, 1939년 '''키로보그라드'''(Кировоград)로 변경되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기도 했다.[23]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후, 도시 이름은 우크라이나어 발음에 따라 '''키로보흐라드'''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러시아어식 표기인 키로보그라드 역시 널리 사용되었다. 독립 이후 도시 명칭을 원래 이름인 옐리자베트그라드(우크라이나어: Єлизаветград)로 되돌리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탈공산화 정책의 일환으로 2016년 7월 14일, 도시 이름을 최초의 우크라이나 극장 창립자 중 한 명인 마르코 크로피우니츠키를 기리는 '''크로피우니츠키'''로 변경하였다.[23][10][1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크로피우니츠키는 러시아군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으며, 수많은 난민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2. 1. 도시 건설 이전

자포로자 코자크의 여러 정착지가 있었으며, 이 정착지들은 나중에 도시 지역으로 변모하였다.[15][16][17]

위에서 본 오래된 요새의 전망


도시가 설립되기 이전인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이 지역은 우크라이나 코사크의 영토였다.[52]

2. 2. 18세기 ~ 19세기: 군사 정착지에서 무역 중심지로

1754년 러시아 제국의 황제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의 명으로 엘리자베타 요새가 건설되었고, 1784년 '''옐리자베트그라드'''(Елизаветградru)라는 이름의 도시가 되었다.

"옐리자베트그라드"(영어 출판물에서는 보통 '''엘리자베트그라드''' 또는 '''엘리자베스그라드'''로 표기)라는 이름은 요새 이름과 동 슬라브어 요소 "-그라드" (고대/교회 슬라브어 "градъ", "벽으로 둘러싸인 정착지")의 융합에서 유래되었다. 이 이름은 1764년 옐리자베트그라드 주가 옐리자베트그라드 창기병 연대와 함께 조직되었을 때 처음 문서에 등장한다.

성 엘리자베스 요새의 벽


도시의 기원은 1754년, 옛 자포로지 시치 영토인 인훌강, 수호클레야강, 비얀카강 상류에 성 엘리자베스 요새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다. 1752년 1월 9일, 세르비아 대령 요반 호르바트의 청원에 따라 상원은 노보세르비아를 창설하고 그 보호를 위해 성 엘리자베스 요새를 건설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8] 1752년 1월 11일, 노보세르비아 정착지를 조직한 요반 호르바트 소장에게 수여된 허가서를 통해 엘리자베스 여제는 "흙 요새를 세우고 성 엘리자베스 요새라고 명명하라"고 명령했다. 이 칙령은 엘리자베타 여제가 서명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반 호르바트에게 감사 편지와 이반 글레보프에게 지시가 내려졌다.[19] 요새 건설 장소는 이반 글레보프의 명령에 따라 선택되었다.[20]

가디아치-미르고로드 우크라이나 코사크 연대(남성 1390명)가 요새 건설을 위해 도착하여 1754년 6월부터 10월까지 4개월 만에 주요 공사를 완료했다. 공사 중 자포로지 코사크 72명이 사망하고 233명이 병에 걸렸으며 855명이 시치로 도망갔다.[21] 이 요새는 1739년 벨그라드 조약으로 러시아에 편입된 새로운 영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764년에는 엘리자베스 지방의 중심지 지위를 얻었다. 1775년 5월 말에는 장군 표트르 테켈리가 이끄는 10만 명의 군대가 이 요새에서 출발하여 6월 15일 자포로지 시치를 파괴했다.[22]

토공의 잔해


성 엘리자베스 요새는 교역로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었고,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 이 도시는 연 4회 정기적인 박람회를 개최했다. 러시아 제국 전역의 상인들이 이 박람회를 방문했고, 그리스를 비롯한 많은 외국 상인들도 있었다. 19세기 중반 도시의 주요 건축가는 도스토옙스키의 형제인 안드레이 도스토옙스키였다. 작가 미노다브 슈폴랸스키(돈 아미나도), 유리 다라간, 아르세니 타르코프스키가 이곳에서 태어났다. 군사 정착지 주변에 발달한 이 도시는 19세기에 중요한 무역 중심지가 되었고, 1882년 중앙 또는 동부 우크라이나 최초의 전문 극장 단체인 코리파이 극장이 이곳에 설립되면서 우크라이나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23] 이 극장은 마르크 크로피우니츠키,[23] 토빌레비치 형제, 마리야 잔코베츠카에 의해 설립되었다.[23]

2. 3. 20세기 초: 기근과 포그롬

소비에트-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1924년에 이 지역 출신인 그리고리 지노비예프를 기념하여 지노비옙스크(Зиновьевскru)로 개칭되었으나, 1934년 지노비예프가 실각함에 따라 지노비예프에 의해 암살되었다고 여겨지던 세르게이 키로프를 기념하여 키로보(Кировоru)로 개칭되었다. 이후 1939년에는 소련과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의회의 동의에 따라 키로보흐라드(Кировоградru)로 개명되었다.[52]

2. 4. 우크라이나 독립 전쟁과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소련-우크라이나 전쟁 (1917~1921) 동안 크로피우니츠키는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1920년 소련군은 세 번째로 엘리자베트그라드를 점령했다.[52]

2. 5. 소련 통치 시기

소련-우크라이나 전쟁(1917~1921) 동안 도시는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의 지배를 받았다. 1920년 소련군은 세 번째로 엘리자베트그라드를 점령했다. 1924년 소련볼셰비키 정치인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이름을 따 '''지노비옙스크'''(Зиновьевскru)로 변경되었다. 1934년에는 소련 공산당 지도자 세르게이 키로프의 이름을 따 '''키로보'''(Кирово)로, 1939년에는 '''키로보그라드'''(Кировоград)로 변경되었다. 1941년 8월 5일부터 1944년 1월 8일까지는 나치 독일에 점령당했다.[23]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건국되면서, 1924년 이 도시는 그리고리 지노비예프의 이름을 따서 '''지노비예프스크'''로 개명되었다. 지노비예프는 소련의 정치인이자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그는 1883년 9월 20일(구력 9월 8일) 예리자베트그라드에서 태어났다. 당시 이 이름으로 명예를 얻었을 때, 그는 정치국 위원이었고 코민테른 집행위원회의 의장이었다.

1934년 12월 27일, 세르게이 키로프 암살 사건 이후, 지노비예프스크와 다른 소련 도시들은 다시 개명되었다. 이번에는 '''키로보'''로, 그 다음에는 '''키로보흐라드'''로 변경되었다.[23] 후자의 이름은 1939년 1월 10일 키로보흐라드주가 창설됨과 동시에 나타났으며[23], 현재 러시아에 있는 키로프주와 지역을 차별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홀로도모르대숙청 기간 동안, 도시 주민 2,238명이 사망했다.[32][33]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 도시는 1941년 8월 5일부터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다. 1941년 10월부터 점령군은 독일 점령 하 폴란드의 제슈프에서 이전된 Stalag 305 포로 수용소를 도시에서 운영했다.[34] 처참한 환경과 부족한 식량 배급은 심지어 식인 행위로 이어졌고, 유대인과 공산주의자들은 처형되었다.[34] 이후 1944년 1월 8일 소련군에 의해 탈환되었다.

소련 통치 기간 동안 도시 경제는 Chervona Zirka Agricultural Machinery Plant(현재 이름 Elvorti; 한때 소련 트랙터 파종기의 50% 이상을 공급), Hydrosila 유압 장치 공장, [https://web.archive.org/web/20071009065649/http://www.radiy.kr.ua/ Radiy 라디오 부품 공장], Pishmash 타자기 공장(현재는 사실상 폐쇄) 등과 같은 기업이 주도했다.

비얀카 강을 따라 발카 지역에 새로운 거리가 형성되었다. 쿠체브카와 노보-알렉세예프카와 같은 새로운 구역이 마을에 생겨났다. 이전의 발라쇼프카 마을은 도시와 합쳐져 도시 계획 구조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었다. 1930년에는 도시 개발을 위한 총괄 계획이 수립되었다. 이 계획에 따라 구 시청 앞 광장 부지에 키로프 기념비가 중심에 있는 도시의 주요 광장이 형성되었다. 50년대에는 루나차르스코고 거리와 미라 거리 지역에 2층 건물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또한 40년대 후반에서 50년대 초반에 마르크사 거리에는 3층, 5층짜리 주택이 건설되었다. 60년대부터는 대규모 주택 단지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도시 남서부에 위치한 체르요무슈키가 건축가 A.A. 시도렌코의 계획에 따라 설계된 최초의 단지였다. 이러한 주택 단지는 노보-니콜라예프카 구역에도 건설되었다. 도시의 새로운 마스터 플랜은 하르키우 Ukrgorstroyproekt 연구소에서 개발되었으며, 남서부의 새로운 지역에 주거용 고층 건물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했다. 새로운 주거 지역은 헤로이우 우크라이니 거리(구 볼코바 거리)를 따라 건설되었다. 60년대에는 발라쇼프스키 구역을 따라 산업 단지가 개발되었다.[38]

2. 6. 독립 우크라이나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을 되찾은 후, 도시 이름을 두고 큰 논쟁이 벌어졌다. 일부는 러시아 제국의 황제였던 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에서 유래된 엘리자베트그라드의 귀환을 원했지만, 러시아 황후의 이름을 우크라이나 도시에 붙이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지 2년 후인 2016년 7월 14일, 도시는 최초의 우크라이나 극장 창립자 중 한 명인 마르코 크로피우니츠키를 기리기 위해 크로피우니츠키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3][10][11]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도시 이름은 우크라이나어 발음에 따라 '''키로보흐라드'''로 표기되기 시작했다. 이전의 러시아어식 표기는 이 지역에서 러시아어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었다. 1991년부터 도시 이름에 대해 수많은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많은 활동가들은 도시의 원래 이름인 예리자베트그라드(우크라이나어 표기법에 따라 '''옐리자베스흐라드''')로의 복귀를 지지했다.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015년 5월 15일, 공산주의와 관련된 장소의 이름을 6개월 이내에 변경하도록 요구하는 공산주의 상징 금지 법안에 서명했다.[5] 2015년 10월 25일 지방 선거 기간 키로보흐라드 유권자의 76.6%가 도시 이름을 예리자베트그라드로 변경하는 데 찬성했다.[6] 그러나 당시 우크라이나 의회에 제출된 법안 초안은 14세기 이후 러시아 역사와 관련된 모든 이름을 금지하려 했고, 이로 인해 예리자베트그라드라는 이름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7]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위원회는 2015년 12월 23일 인근의 인훌 강을 가리키는 인훌스크라는 이름을 선택했다.[8] 2016년 3월 31일, 최고 라다의 주 건설, 지역 정책 및 지방 지원 위원회는 키로보흐라드를 크로피우니츠키로 개명할 것을 의회에 권고했다.[9]

2. 6. 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대규모 침공이 시작되면서 크로피우니츠키시는 러시아군의 로켓 공격을 받기 시작했다.[36] 2022년 3월 1일 아침, 러시아군은 크로피우니츠키 인근 카나토베 비행장을 공격하여 기반 시설을 파괴하려 했다. 2022년 3월 12일, 러시아군은 카나토베 기차역 근처의 비행장을 공격하여 7명의 군인이 사망했다. 2022년 7월 23일 아침, 13발의 미사일(8발의 칼리브 해상 발사 미사일과 TU-22M3 항공기에서 발사된 5발의 Kh-22 미사일)이 발사되었다. 러시아군은 군 비행장과 철도 시설을 공격하여 19명이 부상을 입고 3명이 사망했다. 크로피우니츠키에서는 거의 매일 공습 경보가 울렸다.

2022년 5월 24일 기준, 격렬한 전투가 벌어진 지역에서 4만 명 이상의 강제 이주민이 크로피우니츠키 시와 그 지역에 있었다. 2022년 8월 29일 자료에 따르면 이 수치는 8만 5천 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전쟁 기간 동안 마리우폴 (원래 도네츠크)에서 도네츠크 국립 내무부 대학교, 하르키우 보철 연구소, 크라마토르스크 (원래 도네츠크)에서 도네츠크 국립 의과 대학교, 헤르손 국립 농업 경제 대학교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과 기업들이 크로피우니츠키로 이전했다.

3. 지리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의 중앙에 위치하며, 드니프로 고지 내에 있다. 잉훌 강이 크로피우니츠키를 관통하여 흐르며, 도시 내에서 잉훌 강으로 유입되는 수호클리아 강과 비얀카 강을 포함한 여러 개의 작은 강과 시내가 흐른다.

크로피우니츠키는 "옐리자베타 요새"를 중심으로 건설된 정착지에서 시작되었다. 1757년 말, 요새의 토루는 거의 완공되었고, 내부 레이아웃만 변경되었다. 옐리자베타 요새 북쪽에는 요새 사령관 표트르 비코프 대위의 이름을 딴 비코보라는 병사 정착지가 생겨났다.[38] 요새 동쪽에는 페름스코예 교외가 나타났는데, 1754년에 노동자 보호와 가이다마크 근절을 위해 소환된 페름(카라비네리) 연대의 야영지에서 이름을 따왔다. 페름스코예는 강과 에스플러네이드 구역 사이에 위치한 작은 주거 지역이었다.[38]

잉훌 강 건너편에는 포딜이라는 정착지가 나타났으며, 오늘날 도시 중심부를 형성하고 있다. 1762년의 그림은 이곳이 큰 주거 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 포딜은 빠르게 성장하는 마을의 핵심이 되었다.[38] 비코보와 페름스키 구역은 병사 및 장교들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포딜에서는 상인과 장인의 집이 점유했다. 코발레프카와 발카 정착지는 코사크족이 세운 것으로 보이며, 교외에 인접해 있었다.[38]

이러한 정착지들은 처음에는 자유로운 형태의 거리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발카는 부분적으로 규제되었고, 코발레프카는 원래 레이아웃의 작은 조각만 남게 되었다.[38] 정착지 중심부의 건축적 구성은 주요 거리와 광장, 저층 건물의 계층적 종속으로 이루어졌다. 공공 주택과 상점, 교회 등이 주요 건물이었다. 주요 거리는 전체 구성의 중심축 역할을 했으며, 교외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요새 안의 교회는 경계 밖에 위치했지만, 거리의 주요 지배자가 되었다.

도시 요새는 2.3 제곱 킬로미터(1.8 x 1.5 km)의 면적을 차지했다. 도시 형성 기간 동안 옐리자베타 요새는 도시 계획의 핵심이었으며, 중앙 행정 기능, 종교 센터, 중앙 무역 기능이 집중된 곳이었다.[39][38]

3. 1. 기후

크로피우니츠키는 우크라이나의 중앙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겨울은 춥고 눈이 많이 오며, 여름은 덥다. 계절별 평균 기온은 겨울에 -4.8°C이고, 여름에 20.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534mm이며, 6월과 7월에 가장 많다.[58]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49][5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1°C0.6°C6.8°C15.7°C21.9°C25.5°C28°C27.7°C21.5°C13.9°C5.8°C0.7°C13.9°C
평균 최저 기온 (°C)-6.2°C-5.6°C-1.6°C4.3°C9.7°C13.7°C15.4°C14.5°C9.6°C4.5°C-0.1°C-4.2°C4.5°C
평균 강수량 (mm)29.4mm29.7mm31.1mm33.8mm43.8mm74.2mm66.5mm48.7mm47.6mm35.3mm36.1mm32.2mm508.4mm
평균 상대 습도 (%)85.988.378.166.561.967.466.463.469.677.386.587.874.5


4. 행정 구역

크로피우니츠키는 크로피우니츠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크로피우니츠키 도시 hromada의 행정부를 두고 있다.[12]

2020년 7월 18일까지 크로피우니츠키는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지정되어 크로피우니츠키 시(Kropyvnytskyi Municipality)에 속했으며, 구의 중심지였음에도 크로피우니츠키 구에는 속하지 않았다. 포르테치니 구와 포딜스키 구, 두 개의 구로 나뉘었다. 노베 도시형 정착촌은 포르테치니 구의 일부였다. 키로보흐라드주의 구 수를 4개로 줄이는 우크라이나의 행정 개혁에 따라 크로피우니츠키 시는 크로피우니츠키 구로 병합되었다.[13][14]

5. 인구

크로피우니츠키uk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40]

연도인구
1897년61,488명
1926년64,502명
1939년100,392명
1959년128,207명
1970년188,795명
1979년236,652명
1989년269,803명
2001년254,103명
2011년235,490명
2022년219,676명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모국어에 따른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41]

언어인구비율
우크라이나어199,066명79.43%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49,907명19.91%
기타 또는 미결정1,656명0.66%
합계250,629명100.00%



국제 공화 연구소가 2023년 4월~5월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도시 인구의 77%가 집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20%가 러시아어를 사용했다.[42]

인구 조사에 따른 인구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1897년[43]1926년[44]1939년[45]1959년[46]1989년[47]2001년[47]
우크라이나인23.6%44.6%72.0%75.0%76.9%85.8%
러시아인34.6%25.0%10.9%18.6%19.5%12.0%
벨라루스인0.1%0.2%0.4%0.8%0.8%0.5%
몰도바인0.03%0.2%0.7%0.4%0.5%0.3%
유대인37.8%27.7%14.6%4.4%1.9%0.1%


6. 상징

요새 중앙에 교차된 세 개의 파란색 줄무늬는 인훌강, 수후클레야강, 비얀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자포로지 코사크가 선호하는 진홍색은 이 요새가 자포로지 코사크의 영토에 위치해 있음을 의미한다. 방패의 금빛 이삭과 금빛 들판은 이 지역의 비옥한 토지와 농업적 부를 상징한다.

방패는 행복, 다산, 고향에 대한 사랑을 상징하는 황새가 받치고 있다. 왕관 모양의 금색 탑은 이 도시가 지역 중심지임을 나타낸다. 청색 줄무늬에 새겨진 "평화와 선의"라는 모토는 같은 생각을 강조한다. 깃발의 모든 특징은 도시 문장의 주요 요소와 관련이 있다.

7. 문화

크로피우니츠키는 옐리자베타 요새를 중심으로 건설된 정착지에서 시작되었다.[38] 도시 형성 기간 동안 옐리자베타 요새는 도시 계획의 핵심이었으며, 행정, 종교, 무역 기능이 집중되었다.[38]

1878년부터 1905년까지 올렉산드르 파슈틴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교육, 의료, 상수도 시스템, 공공 건물, 트램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크로피우니츠키는 유럽 스타일의 조각과 앤티크 창문을 갖춘 건축물로 유명하며, 고딕, 로코코, 르네상스, 무어, 바로크 양식 등 다양한 건축 양식이 남아있다.

7. 1. 건축

크로피우니츠키는 "옐리자베타 요새"를 중심으로 건설된 정착지에서 시작되었다.[38] 요새 북쪽, 잉굴 강둑의 작은 협곡 뒤에는 사령관 표트르 비코프 대위의 이름을 딴 비코보라는 병사 정착지가 생겨났다.[38] 요새 동쪽에는 1754년에 노동자 보호와 가이다마크 근절을 위해 소환된 페름 연대의 야영지에서 이름을 따온 페름스코예 교외가 나타났다.[38]

잉굴 강 건너편에는 포딜이라는 정착지가 형성되었는데, 이곳은 오늘날 도시 중심부의 일부이다. 1762년 그림에 따르면, 이곳은 사각형과 직사각형 구역으로 잘린 큰 주거 지역이었다.[38] 비코보와 페름스키 구역은 병사 및 장교들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포딜은 상인과 장인들이 주로 거주했다.[38] 코발레프카와 발카 정착지는 코사크족이 세운 것으로 보이며, 교외에 인접해 있었다.[38]

교외가 생겨나면서 도시 시장, 나무로 된 성모 승천 교회, 블라디미르스카야 교회, 즈나멘스카야 교회, 분열주의 기도 집 등이 건설되었다.[38] 이러한 건물들은 초기 도시의 모습을 결정했다. 정착지 중심부의 건축적 구성은 주요 거리와 광장, 저층 건물의 계층적 종속으로 이루어졌다. 성모 승천 교회와 블라디미르 교회는 도시 구성의 중심 역할을 했다.

도시 요새는 2.3km2 (1.8 x 1.5 km)의 면적을 차지했다.[39] 도시 형성 기간 동안 옐리자베타 요새는 도시 계획의 핵심이었으며, 행정, 종교, 무역 기능이 집중되었다.[38]

1878년부터 1905년까지 올렉산드르 파슈틴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교육, 의료, 상수도 시스템, 공공 건물, 트램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크로피우니츠키는 유럽 스타일의 조각과 앤티크 창문을 갖춘 건축물로 유명하며, 고딕, 로코코, 르네상스, 무어, 바로크 양식 등 다양한 건축 양식이 남아있다.

7. 2. 갤러리

극장 건물

8. 저명한 출신 인물

크로피우니츠키의 역사는 유명 인사들의 생애와 그들의 기억에 남는 사건들로 빛난다. 이 지역 출신들은 뛰어난 슬라브학자 Григорович Віктор Іванович|V. 흐리호로비치uk의 강의를 듣고, 민족학자, 역사학자이자 고고학자인 Ястребов Володимир Миколайович|V. 야스트레보프uk로부터 이 땅의 지식을 물려받았다.[1]

이 지역의 역사는 다양한 시대에 걸쳐 유명한 우크라이나 작가, 극작가, 언론인이자 정치가인 볼로디미르 빈니첸코, 시인이자 문학 및 문화 평론가인 예우헨 말라ню크, 물리학자이자 이론가, 노벨상 수상자인 이고르 탐, 과학자이자 발명가로 전설적인 "카튜샤"의 창시자 중 한 명인 G. 랑게만, 작곡가 율리 메이투스, 피아니스트이자 교육자인 겐리흐 네이가우스, 예술가이자 화가인 알렉산드르 오스묘르킨, 시인이자 번역가인 아르세니 타르코프스키, 공공 및 문화계 인사, 회고록 작가, 예술 후원자인 예우헨 치칼렌코, 작곡가, 피아니스트, 교육자, 음악가 및 언론인 카롤 시마노프스키, 그리고 우크라이나 작가, 극작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유리 야노우스키의 이름과 관련이 있었다.[1]

이스라엘 피사노비치, 1943
[1]

  • 이리나 벨로텔킨 (1913–2009) 러시아계 미국인 예술가이자 패션 디자이너.[1]
  • 펠릭스 블루멘펠트 (1863–1931) 러시아 및 소련 작곡가, 지휘자 및 피아니스트[1]
  • 아론 보단스키 (1887–1960) 러시아 출생 미국 생화학자[1]
  • 이스라엘 피사노비치 (1914–1944) 소련 해군 잠수함 사령관[1]
  • 모세스 곰버그 (1866–1947) 미시간 대학교 화학 교수.[1]
  • 보리스 헤센 (1893–1936) 소련 물리학자, 철학자 및 과학 역사가[1]
  • 올레 코로스텔료프 (1949년 출생) 우크라이나 엔지니어 및 과학자.[1]
  • 보리스 코틀랴로프 (1913-1982) 소련 민족음악학자 및 바이올리니스트[1]
  • 제불룬 "자벨" 콰르틴 (1874–1952) 유대교 칸토르이자 작곡가[1]
  • 하인리히 노이하우스 (1888–1964) 독일폴란드 출신 러시아 피아니스트[1]
  • 유리 올레샤 (1899–1960) 러시아 및 소련 작가 및 소설가.[1]
  • 이반 올린스키 (1878–1962) 유대계 우크라이나 및 미국 화가이자 뉴욕 및 코네티컷의 미술 강사[1]
  • 빅토르 올리 (1962년 출생) 현대 프랑스 화가[1]
  • 플라톤 포레츠키 (1846–1907) 러시아 제국 천문학자, 수학자 및 논리학자[1]
  • 이사카르 베르 리바크 (1897–1935) 유대계 우크라이나-프랑스 화가 및 조각가[1]
  • 아프리칸 스피르 (1837–1890) 독일계 그리스계 러시아 신 칸트 철학자[1]
  • 아르세니 타르코프스키 (1907–1989) 러시아 시인[1]
  • 알렉산더 잘도스타노프 (1963년 출생) 나이트 울프스의 리더; 러시아 최대의 오토바이 클럽[1]
  •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1883–1936) 볼셰비키 혁명가이자 소련 공산당의 저명한 멤버[1]
  • 그리고리 지노비예프 - 혁명가, 정치가[1]
  • 겐리흐 네이가우스 - 피아니스트[1]
  • 안드레이 칸첼스키스 - 축구 선수[1]
  • 아프리칸 슈필 - 철학자[1]
  • 올렉산드르 시모넨코 - 사이클 선수[1]

9. 자매 도시

불가리아 도브리치는 크로피우니츠키의 자매 도시이다.[1]

참조

[1] 뉴스 Sausage tycoon who pleased everyone: who is Andriy Raykovych https://vybory.24tv.[...] 2020-11-30
[2] 서적 Hanshchyna (Ганьщина Україна) https://books.google[...] 1874
[3] 뉴스 Goodbye, Lenin: Ukraine moves to ban communist symbols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4-14
[4] 웹사이트 Ukraine https://www.cia.gov/[...]
[5] 웹사이트 Poroshenko signs laws on denouncing Communist, Nazi regimes http://en.interfax.c[...] 2016-07-20
[6] 웹사이트 77% of Kirovograd residents favor return of city's name of Yelisavetgrad - media http://en.interfax.c[...] 2016-07-20
[7] 웹사이트 Ukrainian Parliament introduced a bill to ban all Russian geographic names starting from the XIV century https://web.archive.[...] 2016-07-20
[8] 웹사이트 Комитет Рады предлагает переименовать Кировоград в Ингульск, - Вятрович http://censor.net.ua[...] Censor 2015-12-23
[9] 뉴스 Profile Committee of the Council decided on a new name for Kirovohrad Ukrayinska Pravda 2016-03-31
[10] 뉴스 Verkhovna Rada renamed Kirovograd http://www.pravda.co[...] Ukrayinska Pravda 2016-07-14
[11] 웹사이트 Офіційний портал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http://w1.c1.rada.go[...] 2016-07-20
[12] 웹사이트 Кропивниц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13]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14]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15] 서적 Поселення задніпрських місць до утворення Нової Сербії в документах середини XVIII століття 2003
[16] 서적 Місто на сивому Інгулі. ТОВ «Діаграма» 2004
[17] 웹사이트 Козацьке коріння нашого міста https://web.archive.[...] 2024-05-03
[18] 문서 на доповіді Сената «Генваря 4 дня 1752 года подписано Ея императорского Величества рукою тако: быть по сему, а данную генерал майору Глебову инструкцию велено оной крепости учинить наперед план и для рассмотрения прислать в военную коллегию». Центральний державний військово-історичний архів Росії Ф.349, інв.№ 9, спр.1445, стор.2-4
[19] 간행물 ДІДИК С. С. НОВОСЛОБІДСЬКИЙ КОЗАЦЬКИЙ ПОЛК (1753—1764 рр.): дис. я. канд. іст. наук: 07.00.01 / Дідик Сергій Сергійович; Запоріз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т. Запоріжжя, 2009. http://library.kr.ua[...]
[20] 웹사이트 ІСТОРИЧНЕ ЗНАЧЕННЯ ІМЕНІ ЄЛИСАВЕТИ ДЛЯ НАШОГО МІСТА https://old.library.[...]
[21] 웹사이트 Фортеця Святої Єлисавети http://librarychl.kr[...]
[22] 서적 Исторія Малой Россіи, со временъ присоединенія оной къ Россійскому государству при царѣ Алексѣѣ Михайловичѣ, съ краткимъ обозрѣніемъ первобытнаго состоянія сего края. Часть четвертая. Въ Типографіи Семена Селивановскаго 1822
[23] 뉴스 Sweeping out Soviet past: Kirovohrad renamed Kropyvnytsky http://www.unian.inf[...] UNIAN 2016-07-14
[24] 뉴스 Famine and Disease in South Russia Province https://timesmachine[...] New York Times 1901-08-05
[25] 웹사이트 Yelisavetgrad:Elisavetgrad http://www.jewishenc[...] 2009-06-20
[26] 뉴스 Russian City Burning; Jews Being Massacred https://timesmachine[...] NY Times 1905-12-12
[27] 문서 Том 11. Кіровоградська область. 1972. Історія міст УРСР — ст 97
[28] 웹사이트 Народне повстання в Єлісаветграді 1918 року https://web.archive.[...]
[29] 서적 Le cimetière de l'espérance. Essais sur l'histoire de l'Union soviétique (1914-1991) Perrin 2019
[30] 웹사이트 Микола Правда — Отаман Григор'єв, яким він був насправді — «Молодіжне перехрестя», 23.10.2008 https://web.archive.[...] 2015-11-20
[31] 문서 Сергій Шевченко, Єлисаветградськими волами за українським паровозом, Вечірня газета, 7 травня 1993 р.
[32] 웹사이트 Загальноукраїнський том Національної книги пам'яті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у 1932–1933 років в Україні https://holodomormus[...]
[33] 웹사이트 Національна книга пам'яті жертв Голодомору 1932–1933 років в Україні. Кіровоградська область http://history.org.u[...]
[34]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2022
[35] 웹사이트 КИУ: В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е и Кировограде – серьезные нарушения https://vn.20minut.u[...] 20 Minutes
[36] 웹사이트 Кіровоград перейменовано в Кропивницький | Українські Новини http://ukranews.com/[...] 2016-07-18
[37] 웹사이트 Ukraine is more than just Kyiv, Lviv & Odesa - been to Kropyvnytskyi? https://www.thewonde[...]
[38] 웹사이트 Историко-градостро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развития г.Кировограда http://www.abc.net.a[...] Oblast University Library null
[39] 웹사이트 Церкви, соборы - Кировограда http://elisavetgrad.[...] elisavetgrad.ho.ua null
[40] 웹사이트 Cities & Towns of Ukraine http://pop-stat.mash[...]
[41]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42] 웹사이트 Municipal Survey May 2023 https://ratinggroup.[...]
[43]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6-07-20
[44] 문서 Population census, 1926 year
[45]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demoscope.ru/[...] 2016-07-20
[46] 웹사이트 Кабузан В. М. — https://www.scribd.c[...]
[47] 웹사이트 Всеукраїнський перепис населення 2001 - Результати - Основні підсумки - Національний склад населення http://2001.ukrcensu[...] 2016-07-20
[48] 웹사이트 YIVO - Sport: Jews in Sport in the USSR http://www.yivoencyc[...] 2016-07-20
[49] 웹사이트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Погода и климат) 2021-10-29
[50]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51] 웹사이트 Number of Present Population of Ukraine http://database.ukrc[...] State Statistics Service of Ukraine 2022-07-03
[52] 서적 "Поселення задніпрських місць до утворення Нової Сербії в документах середини XVIII століття / А. В. Пивовар.  – К.: Академперіодика, 2003.  – 336 с."
[53] 웹사이트 Ukrainian Parliament introduced a bill to ban all Russian geographic names starting from the XIV century http://fortruss.blog[...]
[54] 웹사이트 Комитет Рады предлагает переименовать Кировоград в Ингульск, - Вятрович http://censor.net.ua[...] Censor 2015-05-21
[55] 뉴스 Profile Committee of the Council decided on a new name for Kirovohrad http://pda.pravda.co[...] Ukrayinska Pravda 2016-03-31
[56] 뉴스 Verkhovna Rada renamed Kirovograd http://www.pravda.co[...] Ukrayinska Pravda 2016-07-14
[57] 웹사이트 Офіційний портал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http://w1.c1.rada.go[...] 2016-07-20
[58] 웹인용 Climatological Normals for Kropyvnytskyi, Ukraine (1949-2011) http://climatebase.r[...] Climatebase 2013-04-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