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강 단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강 단층은 팔당호에서 청평면까지 북한강의 경로와 일치하며, 경춘선 대성리역에서 가평역까지 경춘선 철도와 거의 일치하는 단층이다. 화천, 춘천, 가평 지역에 걸쳐 있으며, 지역에 따라 단층의 형태와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가평 지역에서는 스러스트 단층으로 보고되었으며, 중앙선 북한강교 건설 시 전기 비저항 탐사를 통해 단층의 위치를 파악하여 교각 위치를 변경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팔당호 부근에서도 단층의 존재가 확인되었으며, 인접 지역의 단층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천군의 지리 - 반암산
  • 화천군의 지리 - 파로호
    파로호는 화천군과 양구군에 걸쳐 있는 인공호수로, 6.25 전쟁 중 파로호 전투 승리를 기념하여 이승만 대통령이 명명했으며, 다양한 생물 서식, 통일 안보 관광지 기능, 구석기 유적 발견 등 역사적 가치를 지니지만, 외래 어종 유입과 수몰 유적 보존 문제가 남아있다.
  • 춘천시의 지리 - 남이섬
    남이섬은 청평댐 건설로 생긴 북한강의 내륙 섬으로, 남이 장군의 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드라마 겨울연가 성공 후 아시아권 관광객이 급증하여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춘천시의 지리 - 소양호
    소양호는 1973년 소양강댐 건설로 형성된 대한민국 최대의 댐 호수로,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에 걸쳐 있으며 "내륙의 바다"라고도 불리고, 청평사 등의 명승지와 유람선, 낚시, 빙어 낚시로 유명하지만, 수질 관리, 쓰레기 섬, 가뭄, 녹조 등의 환경 문제와 사고도 발생했다.
  • 양평군의 지리 - 인제 단층
    인제 단층은 경기 육괴의 남향 이동 중 형성된 역단층으로, 강원도 인제군을 비롯한 일대에 분포하며 87 Ma 이후 재활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단층경면, 단층점토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선형 구조이다.
  • 양평군의 지리 - 중미산
경강 단층
개요
경기 지괴 내 발달하는 경강 단층
경기 지괴 내 발달하는 경강 단층
이름경강 단층
영문명Gyeong-gang Fault
명명 유래불명
명명자불명
명명 연도불명
위치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 육괴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화천군, 춘천시, 가평군, 양평군
좌표불명
해발고도불명
깊이불명
지질학적 정보
범위불명
부분불명
분절불명
길이175 km
불명
깊이불명
주향북북동-남남서
경사불명
경사각불명
변위불명
유라시아판, 아무르판
상태비활성 단층
지진없음
유형충상단층, 연성전단대
운동불명
암석 단위선캄브리아기 암석
연령선캄브리아기 이후
조산 운동불명
화산호/대불명

2. 경강 단층의 자취

경강 단층은 팔당호에서 청평면까지 북한강의 경로와 일치하며, 경춘선 대성리역에서 가평역까지 경춘선 철도와 거의 일치한다. 1:5만 지질도에 표기된 단층의 통과 지역은 다음과 같다.[1]

지역
팔당호
가평군 청평면 대성리
청평면 청평리
청평면 상천리
빛고개
가평읍 읍내리
가평읍 마장리
북면 소법리
화악리
춘천시 사북면 지암리
사북면 신포리
화천군 화천읍 중리
화천읍 풍산리



{참고: 가독성을 위해 목록 대신 표를 사용했습니다.}

2. 1. 화천군

화천 지질도폭(1997)에 의하면 경강 단층은 화천군 화천읍 풍산리에서 화천읍 중리와 춘천시 사북면 신포리를 잇는 북한강을 따라 발달하여 가평군, 청평 지역으로 연장된다. 화천도폭 지역에서 주향(走向)이 북동 방향에서 남북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발달 방향이 변한다. 이는 풍산리의 하천을 따라 발달하고, 화천군 하남면 용암리와 거례리 사이에도 형성되어 있다. 북동 40° 방향으로 발달하는 경강 단층은 화천읍 중리와 풍산리 사이에서 확인되고, 거례리에서 춘천시 원평리 사이로 연장되어 춘천 도폭으로 연장된다. 단층은 동측 내지 남동측으로 60 내지 70°의 경사를 가진다. 단층의 폭은 10 m에 이른다.[4]

2. 2. 춘천시

춘천 지질도폭(1974)에 의하면 경강 단층은 그 방향과 지질 분포 상태로 보아 지괴 운동의 산물로 볼 수 있으며 외관상 서측 지괴는 남서쪽으로 동측 지괴는 북동쪽으로 이동한 것과 같이 변위를 보인다.[5]

2. 3. 가평군

청평 지질도폭(1981)에서 경강 단층은 스러스트 단층으로 보고되었다. 이 지역에서 경강 단층은 경춘선 철도와 거의 일치하게 발달하며 이 단층을 경계로 지층의 분포가 달라진다. 북서쪽에는 선캄브리아기 청평 변성암류 하부 호상 편마암(PCElbgn)이, 남동쪽에는 규암 및 편암류(PCEqs)와 흑운모호상 편마암(PCEubgn)이 분포한다. 청평 변성암류 하부 호상 편마암은 경강 스러스트의 하반에 해당하므로 규암 및 편암류의 하부에 놓여 있다. 경강 스러스트 단층은 일종의 압쇄대의 성격을 가지며, 이 스러스트 단층대를 따라 압쇄암(Mylonitic)이 발달하고 있는데 이들의 두께는 수 m에서 수십 m에 이르며 이의 암상은 압쇄암 녹니석편암→안구상 편마암(augen gneiss)→흑운모 호상편마암으로 점이한다. 압쇄암의 엽리는 편마암류의 엽리 방향과 평행하다. 청평읍 청평리 부근의 도로변에서는 본 스러스트 단층이 습곡 형태의 계단상 구조를 보여주다가 청평면 하천리 경춘선 철도변에서는 다시 수평적인 양상을 보여준다. 특히 하천리 철도변 부근에서는 석회암층과 편마암류가 역단층에 의해 서로 반복되어 나타남으로서 인편상구조(Imbricate structure)를 보여준다. 경강 단층은 곳에 따라서 스러스트 단층과 연성 전단대(ductile shear zone)의 형태를 보여준다.[6]

2. 4. 중앙선 북한강교

중앙선 철도는 팔당호 북쪽,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 부근에서 북한강을 건넌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운길산역-양수역 구간) 이 지역은 북한강을 따라 경강 단층이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지나갈 철도교량 건설 예정 부지에서 강 하부 지반에 위치한 단층대의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 전기 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 결과, 교량 설계 시 전기 비저항 이상대 위치에 교각을 건설하는 것은 부적합한 위치로 판정되어, 경강 단층의 주 단층이 지날 것으로 예상되는 저비저항 이상대를 피해 경간(徑間)을 넓혀 교각의 위치를 변경하였다.[1]

2. 5. 팔당호

양수리 지질도폭(1981)에서는 단층이 보고되지 않았고 다만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북한강-남양주시 화도읍 구암리로 이어지는 북북동-남남서 주향의 현저한 선상구조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 선의 연변에는 뚜렷한 변위가 없으며 파열구조(fracture)의 방향성도 이 선이 단층선이라는 것을 입증해 주지 못한다.[7] 그러나 나중에 전기 비저항 탐사에 의해 경강 단층이 이곳을 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팔당호 남쪽에서는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에서 경강선 경기광주역 부근까지 이어지는 단층이 있으며 이는 경강 단층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이 단층은 양평 지질도폭(1981)에서 경안 단층(京安 斷層)으로 명명되었으며 단층선에 따라 크고 작은 단층 계곡이 발달하고 추가령 구조곡과 평행한 것으로 보아 그와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으리라 여겨진다. 이 단층은 광주산맥을 비스듬하게 자른다.[8]

참조

[1] 저널 장대교량 기초 공사를 위한 수륙혼합 전기비저항탐사 사례 (Case history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t the river for bridge design) https://www.koreasci[...] 2002
[2] 웹인용 가평군, 제1편 자연환경, 제3장 지질각론 https://memory.libra[...]
[3]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 웹인용 화천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5] 웹인용 春川 地質圖幅說明書 (춘천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4
[6] 웹인용 淸平地質圖幅說明書 (청평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7] 웹인용 兩水里 地質圖幅說明書 (양수리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1
[8] 웹인용 楊平 地質圖幅說明書 (양평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