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2016년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월정-판교선, 성남-여주선, 여주-원주선, 원주-강릉선 등 4개 노선 계획이 통합되어 명명되었다. 1997년부터 계획되어 2016년 판교-여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7년 원주-강릉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4년에는 여주-원주 구간이 착공되었다. 노선은 성남 ~ 여주 구간과 원주 ~ 강릉 구간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KTX-이음이 원주-강릉 구간을 운행한다. 시흥-성남 구간은 월곶-판교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강선 - 강릉선 KTX
강릉선 KTX는 서울과 강릉을 잇는 총 연장 223.2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기여, KTX-이음으로의 교체, 동해역 연장, 복합열차 운행 등 운행 확대를 통해 강원 영동 지역의 교통 편의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경강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총 57.0km의 노선으로, 12개의 역을 가지고 있으며, 2016년 성남~여주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4년 성남역이 개통되었으며, 4량 편성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2029년부터 월곶-판교선과 직결 운행될 예정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강릉시의 교통 - 옥계 나들목
옥계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옥계로와 현내시장길 등을 통해 강릉 시내 및 옥계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경강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 | |
노선명 | 경강선 |
로마자 표기 | Gyeonggang Line |
종류 | 간선철도경강선 월곶-판교 구간은 광역철도 구간이 아님 |
운영 체계 | 수도권 전철 (판교 - 여주), 고속철도 |
노선 상태 | 영업 중 (판교 - 여주, 서원주 - 강릉), 공사 중 (송도 - 판교), 계획 중 (여주 - 만종) |
기점 | 판교역 (경기도 성남시), 서원주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
종점 | 여주역 (경기도 여주시), 강릉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
역 수 | 9개 역 (서원주 ~ 강릉), 10개 역 (판교 ~ 여주) |
개통일 | 2017년 12월 22일 (서원주 ~ 강릉), 2016년 9월 24일 (판교 ~ 여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차량 기지 | 부발차량사업소, 강릉차량사업소 |
실거리 | 120.7km (원주 ~ 강릉), 57.0 km (판교 ~ 여주) |
궤간 | 1,435 mm |
궤도 | 표준궤 |
선로 | 복선 (판교 ~ 여주, 서원주 ~ 남강릉), 단선 (남강릉 ~ 강릉) |
전철화 | 가공강체가선, 교류 25,000V, 60Hz |
신호 | ATP/ATC/ATS(판교~여주) [수동운전] |
영업최고속도 | ATP/ATC 구간 80km/h, ATS/ATP 구간 110km/h |
설계최고속도 | 250km/h |
노선도 | |
노선도 | [[File:Korail Gyeonggang Line.png|300px]] |
상세 노선 (판교 - 여주) | |
기점 | 판교 |
종점 | 여주 |
역 수 | 10 |
노선 길이 | 53.8 km 또는 54.8 km |
복선 구간 | 판교 - 여주 |
사용 차량 |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12개 편성) |
상세 노선 (서원주 - 강릉) | |
기점 | 서원주 |
종점 | 강릉 |
노선 길이 | 120.7 km |
복선 구간 | 서원주 - 남강릉 |
사용 차량 | KTX-Eum |
기타 |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V 60Hz |
차량기지 | 부발 차량사업소, 강릉 차량사업소 |
2. 연혁
경강선은 1997년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에 포함된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다. 2000년대 초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고, 2007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경강선은 초기에는 월곶-판교선, 성남-여주선, 여주-원주선, 원주-강릉선의 4개 노선으로 나뉘어 별도로 계획이 진행되었으나, 2016년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경강선'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 1997년 6월 4일: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에 포함.
- 1999년 12월 18일: 국토교통부(당시 건설교통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포함.
- 2000년 12월 22일: 교통개발연구원의 "수도권 광역교통망계획"에 포함.
- 200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예산 반영.
- 2002년 2월 7일 ~ 12월 13일: 타당성 조사 착수.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광역전철 구간(가칭: 성남여주선)의 역명, 노선명, 영업거리를 고시하였다.[6]
2018년 11월 5일에는 월곶~판교 구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27] 2024년 3월 19일에는 안성 연장이 발표되었다.[33]
2. 1. 건설 및 개통
경강선은 여러 단계의 건설 과정을 거쳐 개통되었다.구간 | 날짜 | 내용 |
---|---|---|
판교 ~ 여주 | 2007년 11월 25일 | 성남시 구간 착공[19] |
판교 ~ 여주 | 2008년 12월 17일 | 광주시 구간 착공[19] |
판교 ~ 여주 | 2009년 3월 12일 | 이천시 구간 착공[19] |
판교 ~ 여주 | 2009년 6월 4일 | 여주군 구간 착공[19] |
판교 ~ 여주 | 2016년 4월 29일 | 철도거리표 고시, 경강선(성남 ~ 여주)으로 명명[19] |
판교 ~ 여주 | 2016년 6월 13일 ~ 7월 28일 | 영업시운전 실시[19] |
서원주 ~ 만종 | 2016년 8월 25일 | 공사 완료[20] |
판교 ~ 여주 | 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 | 추석 연휴 기간 임시 무료시승 및 영업 시운전[19] |
판교 ~ 여주 | 2016년 9월 24일 | 개통,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행 개시[19] |
판교 ~ 여주 | 2016년 9월 26일 | 세종대왕릉역으로 역명 변경, 노선 연장 57.0km[21] |
원주 ~ 강릉 | 2012년 6월 1일 | 착공[19] |
원주 ~ 강릉 | 2013년 9월 12일 | 한국철도공사 운영 확정[19] |
원주 ~ 강릉 | 2014년 9월 15일 ~ 2017년 12월 21일 | 강릉역 반지하화 공사, 강릉역 영업중단[19] |
원주 ~ 강릉 | 2015년 11월 25일 | 대관령터널 관통[19] |
원주 ~ 강릉 | 2016년 10월 6일 | 강릉시내 지하화 구간 관통[19] |
원주 ~ 강릉 | 2017년 1월 21일 | 노반공사 완료[22] |
원주 ~ 강릉 | 2017년 3월 29일 | 레일 연결 완료[23] |
서원주 ~ 강릉 | 2017년 6월 29일 | 철도거리표 고시, 경강선(원주 ~ 강릉)으로 명명[24] |
원주 ~ 강릉 | 2017년 8월 3일 | 시설물 검증 시운전 실시[19] |
원주 ~ 강릉 | 2017년 10월 31일 | 영업시운전 실시[19] |
서원주 ~ 강릉 | 2017년 12월 22일 | 개통 및 강릉역 영업재개[25] |
여주 ~ 서원주 | 2018년 3월 29일 | 기본계획 고시[26] |
월곶~판교 | 2018년 11월 5일 | 월곶~판교 구간 기본계획 고시[27] |
원주 ~ 강릉 |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 (원주 ~ 강릉: 201, 성남 ~ 여주: 323)[28] |
2019년 11월 5일 | 강릉삼각선 추가[29] | |
2020년 3월 2일 | 강릉삼각선 개통[19] | |
신둔도예촌역 ~ 여주역 | 2020년 8월 2일 ~ 8월 4일 | 폭우로 인한 선로 유실 우려, 운행중지[30] |
2021년 8월 1일 | 강릉선 KTX 운행열차 변경 (KTX-산천 → KTX-이음)[31] | |
여주 ~ 서원주 | 2024년 1월 12일 | 착공[32] |
2024년 3월 19일 | 안성 연장 발표[33] | |
2024년 3월 30일 | 성남역 개통[19] |
- 2016년 9월 24일, 판교에서 여주 구간이 먼저 개통되어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행이 시작되었다.[19]
- 2017년 12월 22일, 서원주에서 강릉 구간이 개통되면서 강릉역 영업이 재개되었다.[25]
2. 2. 노선 및 역명 변경
2016년 4월 29일 : 국토교통부가 판교 ~ 여주 구간을 '''경강선(성남 ~ 여주)'''으로 명명하고 철도거리표를 고시했다.[19]2016년 9월 26일 : 영릉역이 세종대왕릉역으로 변경되고, 노선 연장이 57.0km로 변경 고시되었다.[21]
2017년 6월 29일 : 국토교통부가 서원주 ~ 강릉 구간을 '''경강선(원주 ~ 강릉)'''으로 명명하고 철도거리표를 고시했다.[24]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원주 ~ 강릉 구간은 '''201'''번, 성남 ~ 여주 구간은 '''323'''번으로 분할 변경되었다.[28]
2019년 11월 5일 : 사업용 철도노선 변경 고시를 통해 강릉삼각선이 지선으로 추가되었다.[29]
2. 3. 시운전 및 기타
경강선한국어은 여러 차례의 시운전과 임시 운행을 거쳤다. 2016년 6월 13일부터 7월 28일까지 판교~여주 구간에서 영업 시운전이 실시되었고,[19]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같은 구간에서 임시 무료 시승 및 영업 시운전이 이루어졌다.[21] 서원주~강릉 구간은 2017년 8월 3일부터 시설물 검증 시운전을 시작하여, 2017년 10월 31일부터 영업 시운전에 들어갔다.[25]2020년 8월 2일부터 8월 4일까지는 폭우로 인한 선로 유실 우려로 신둔도예촌역~여주역 구간의 운행이 중지되기도 했다.[30]
3. 노선 정보
경강선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노선명 | 경강선 |
노선 번호 | 201 (원주 ~ 강릉), 323 (성남 ~ 여주) |
노선 거리 | 120.7km (원주 ~ 강릉), 57.0km (성남 ~ 여주)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궤간 | 1.435mm (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통행 |
역 수 | 6개 (원주 ~ 강릉), 11개 (성남 ~ 여주) |
보안 장치 | ATP, ATS |
운행 열차 |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성남 ~ 여주), KTX-이음 (원주 ~ 강릉) |
경강선은 인천에서 원주까지 운행될 예정이며, 판교 서쪽으로는 기존 수인선의 월곶역까지, 여주 동쪽으로는 서원주까지 연장될 계획이다.
4. 역 목록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에 따라 성남-여주 구간 역명이 결정되었으며, 세종대왕릉역 역명과 영업거리는 2016년 9월 26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에 따라 변경되었다.[3] 원주-강릉 구간 역명은 2017년 6월 29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에 따른 것이다.
경강선은 현재 일부 구간만 개통되었으며, 전체 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예정이다.
4. 1. 성남-여주 구간 (수도권 전철 경강선)
거리거리
중부내륙선
(ICT폴리텍대학)
(동원대)
(한국관광대)
(여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