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강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2016년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월정-판교선, 성남-여주선, 여주-원주선, 원주-강릉선 등 4개 노선 계획이 통합되어 명명되었다. 1997년부터 계획되어 2016년 판교-여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7년 원주-강릉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24년에는 여주-원주 구간이 착공되었다. 노선은 성남 ~ 여주 구간과 원주 ~ 강릉 구간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KTX-이음이 원주-강릉 구간을 운행한다. 시흥-성남 구간은 월곶-판교선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강선 - 강릉선 KTX
    강릉선 KTX는 서울과 강릉을 잇는 총 연장 223.2km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기여, KTX-이음으로의 교체, 동해역 연장, 복합열차 운행 등 운행 확대를 통해 강원 영동 지역의 교통 편의와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경강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총 57.0km의 노선으로, 12개의 역을 가지고 있으며, 2016년 성남~여주 구간이 개통되었고, 2024년 성남역이 개통되었으며, 4량 편성의 전동차가 운행되고, 2029년부터 월곶-판교선과 직결 운행될 예정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철도 - 태백선
    태백선은 제천에서 백산까지 104.1km를 잇는 한국철도공사 운영 노선으로, 복선 전철과 단선 전철 구간으로 나뉘며, 무궁화호 열차 등이 운행되고, 과거 석탄 수송에서 현재 시멘트 수송과 여객 수송을 담당한다.
  • 강릉시의 교통 - 강릉 나들목
    강릉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성산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33번 교차로로, 국도 제35호선과 연결되며 2001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고 2017년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강릉시의 교통 - 옥계 나들목
    옥계 나들목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옥계면에 위치한 동해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옥계로와 현내시장길 등을 통해 강릉 시내 및 옥계면으로 진출할 수 있다.
경강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경강선 노선도
경강선 노선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경강선을 달리는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노선명경강선
로마자 표기Gyeonggang Line
종류간선철도경강선 월곶-판교 구간은 광역철도 구간이 아님
운영 체계수도권 전철 (판교 - 여주), 고속철도
노선 상태영업 중 (판교 - 여주, 서원주 - 강릉), 공사 중 (송도 - 판교), 계획 중 (여주 - 만종)
기점판교역 (경기도 성남시), 서원주역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종점여주역 (경기도 여주시), 강릉역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역 수9개 역 (서원주 ~ 강릉), 10개 역 (판교 ~ 여주)
개통일2017년 12월 22일 (서원주 ~ 강릉), 2016년 9월 24일 (판교 ~ 여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차량 기지부발차량사업소, 강릉차량사업소
실거리120.7km (원주 ~ 강릉), 57.0 km (판교 ~ 여주)
궤간1,435 mm
궤도표준궤
선로복선 (판교 ~ 여주, 서원주 ~ 남강릉), 단선 (남강릉 ~ 강릉)
전철화가공강체가선, 교류 25,000V, 60Hz
신호ATP/ATC/ATS(판교~여주) [수동운전]
영업최고속도ATP/ATC 구간 80km/h, ATS/ATP 구간 110km/h
설계최고속도250km/h
노선도
노선도[[File:Korail Gyeonggang Line.png|300px]]
상세 노선 (판교 - 여주)
기점판교
종점여주
역 수10
노선 길이53.8 km 또는 54.8 km
복선 구간판교 - 여주
사용 차량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12개 편성)
상세 노선 (서원주 - 강릉)
기점서원주
종점강릉
노선 길이120.7 km
복선 구간서원주 - 남강릉
사용 차량KTX-Eum
기타
전철화 방식교류 25,000V 60Hz
차량기지부발 차량사업소, 강릉 차량사업소

2. 연혁

경강선은 1997년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에 포함된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다. 2000년대 초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고, 2007년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경강선은 초기에는 월곶-판교선, 성남-여주선, 여주-원주선, 원주-강릉선의 4개 노선으로 나뉘어 별도로 계획이 진행되었으나, 2016년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경강선'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 1997년 6월 4일: "제2차 수도권정비계획"에 포함.
  • 1999년 12월 18일: 국토교통부(당시 건설교통부)의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 포함.
  • 2000년 12월 22일: 교통개발연구원의 "수도권 광역교통망계획"에 포함.
  • 2001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예산 반영.
  • 2002년 2월 7일 ~ 12월 13일: 타당성 조사 착수.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는 광역전철 구간(가칭: 성남여주선)의 역명, 노선명, 영업거리를 고시하였다.[6]

2018년 11월 5일에는 월곶~판교 구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고,[27] 2024년 3월 19일에는 안성 연장이 발표되었다.[33]

2. 1. 건설 및 개통

경강선은 여러 단계의 건설 과정을 거쳐 개통되었다.

구간날짜내용
판교 ~ 여주2007년 11월 25일성남시 구간 착공[19]
판교 ~ 여주2008년 12월 17일광주시 구간 착공[19]
판교 ~ 여주2009년 3월 12일이천시 구간 착공[19]
판교 ~ 여주2009년 6월 4일여주군 구간 착공[19]
판교 ~ 여주2016년 4월 29일철도거리표 고시, 경강선(성남 ~ 여주)으로 명명[19]
판교 ~ 여주2016년 6월 13일 ~ 7월 28일영업시운전 실시[19]
서원주 ~ 만종2016년 8월 25일공사 완료[20]
판교 ~ 여주2016년 9월 13일 ~ 9월 18일추석 연휴 기간 임시 무료시승 및 영업 시운전[19]
판교 ~ 여주2016년 9월 24일개통,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행 개시[19]
판교 ~ 여주2016년 9월 26일세종대왕릉역으로 역명 변경, 노선 연장 57.0km[21]
원주 ~ 강릉2012년 6월 1일착공[19]
원주 ~ 강릉2013년 9월 12일한국철도공사 운영 확정[19]
원주 ~ 강릉2014년 9월 15일 ~ 2017년 12월 21일강릉역 반지하화 공사, 강릉역 영업중단[19]
원주 ~ 강릉2015년 11월 25일대관령터널 관통[19]
원주 ~ 강릉2016년 10월 6일강릉시내 지하화 구간 관통[19]
원주 ~ 강릉2017년 1월 21일노반공사 완료[22]
원주 ~ 강릉2017년 3월 29일레일 연결 완료[23]
서원주 ~ 강릉2017년 6월 29일철도거리표 고시, 경강선(원주 ~ 강릉)으로 명명[24]
원주 ~ 강릉2017년 8월 3일시설물 검증 시운전 실시[19]
원주 ~ 강릉2017년 10월 31일영업시운전 실시[19]
서원주 ~ 강릉2017년 12월 22일개통 및 강릉역 영업재개[25]
여주 ~ 서원주2018년 3월 29일기본계획 고시[26]
월곶~판교2018년 11월 5일월곶~판교 구간 기본계획 고시[27]
원주 ~ 강릉2019년 4월 17일철도 노선번호 변경 (원주 ~ 강릉: 201, 성남 ~ 여주: 323)[28]
2019년 11월 5일강릉삼각선 추가[29]
2020년 3월 2일강릉삼각선 개통[19]
신둔도예촌역 ~ 여주역2020년 8월 2일 ~ 8월 4일폭우로 인한 선로 유실 우려, 운행중지[30]
2021년 8월 1일강릉선 KTX 운행열차 변경 (KTX-산천KTX-이음)[31]
여주 ~ 서원주2024년 1월 12일착공[32]
2024년 3월 19일안성 연장 발표[33]
2024년 3월 30일성남역 개통[19]

2. 2. 노선 및 역명 변경

2016년 4월 29일 : 국토교통부가 판교 ~ 여주 구간을 '''경강선(성남 ~ 여주)'''으로 명명하고 철도거리표를 고시했다.[19]

2016년 9월 26일 : 영릉역이 세종대왕릉역으로 변경되고, 노선 연장이 57.0km로 변경 고시되었다.[21]

2017년 6월 29일 : 국토교통부가 서원주 ~ 강릉 구간을 '''경강선(원주 ~ 강릉)'''으로 명명하고 철도거리표를 고시했다.[24]

2019년 4월 17일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원주 ~ 강릉 구간은 '''201'''번, 성남 ~ 여주 구간은 '''323'''번으로 분할 변경되었다.[28]

2019년 11월 5일 : 사업용 철도노선 변경 고시를 통해 강릉삼각선이 지선으로 추가되었다.[29]

2. 3. 시운전 및 기타

경강선한국어은 여러 차례의 시운전과 임시 운행을 거쳤다. 2016년 6월 13일부터 7월 28일까지 판교~여주 구간에서 영업 시운전이 실시되었고,[19] 2016년 9월 13일부터 9월 18일까지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같은 구간에서 임시 무료 시승 및 영업 시운전이 이루어졌다.[21] 서원주~강릉 구간은 2017년 8월 3일부터 시설물 검증 시운전을 시작하여, 2017년 10월 31일부터 영업 시운전에 들어갔다.[25]

2020년 8월 2일부터 8월 4일까지는 폭우로 인한 선로 유실 우려로 신둔도예촌역~여주역 구간의 운행이 중지되기도 했다.[30]

3. 노선 정보

경강선의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노선명경강선
노선 번호201 (원주 ~ 강릉), 323 (성남 ~ 여주)
노선 거리120.7km (원주 ~ 강릉), 57.0km (성남 ~ 여주)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궤간1.435mm (표준궤)
통행 방식좌측 통행
역 수6개 (원주 ~ 강릉), 11개 (성남 ~ 여주)
보안 장치ATP, ATS
운행 열차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 (성남 ~ 여주), KTX-이음 (원주 ~ 강릉)



경강선은 인천에서 원주까지 운행될 예정이며, 판교 서쪽으로는 기존 수인선의 월곶역까지, 여주 동쪽으로는 서원주까지 연장될 계획이다.

4. 역 목록

2016년 4월 29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에 따라 성남-여주 구간 역명이 결정되었으며, 세종대왕릉역 역명과 영업거리는 2016년 9월 26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에 따라 변경되었다.[3] 원주-강릉 구간 역명은 2017년 6월 29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에 따른 것이다.

경강선은 현재 일부 구간만 개통되었으며, 전체 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예정이다.

경강선 역 목록
구간내용
시흥-성남 구간미개통
성남-여주 구간운행 중
여주-원주 구간공사 중
원주-강릉 구간운행 중


4. 1. 성남-여주 구간 (수도권 전철 경강선)

거리영업
거리소재지K409판교Pangyo板橋신분당선
중부내륙선0.50.5성남시K410성남Seongnam城南0.71.2K411이매Imae二梅분당선1.52.0K412삼동Samdong三洞6.98.9광주시K413경기광주
(ICT폴리텍대학)Gyeonggi Gwangju京畿廣州4.913.8K414초월Chowol草月5.018.8K415곤지암
(동원대)Gonjiam昆池岩4.923.7K416신둔도예촌
(한국관광대)Sindundoyechon新屯陶藝村6.830.5이천시K417이천Icheon利川7.838.3K418부발Bubal夫鉢중부내륙선4.542.8K419세종대왕릉Sejongdaewangneung世宗大王陵8.351.1여주시K420여주
(여주대)Yeoju驪州5.456.5



판교역에서 여주역까지 11개 역, 57km 구간으로 수도권 전철의 일부이다. 한국철도공사 37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판교역에서 신분당선, 이매역에서 분당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설계 최고 속도는 120km/h, 설계 축중은 18t이다. 이탈리아 안살도 사의 ATP(자동열차방호장치)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서광주선이 직결되어도 고속열차나 일반열차는 수도권 광역전철 전동차와 같은 속도로 운행해야 하고, 기관차 견인 화물열차는 운행하지 못한다.[35]

치안 서비스는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산하 철도특별사법경찰대가 담당하며, 관할 사무소는 수서역에 있다. 판교역이매역 사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수서평택고속선)과 교차하는 지점에 성남역환승역으로 신설되었다.

2023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강선 운행 정기열차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고속열차일반여객전동차화물열차운행총계
판교 - 여주2614060064


4. 2. 원주-강릉 구간 (강릉선 KTX)

2017년 12월 22일에 개통된 원주-강릉 구간은 KTX가 운행되며, 통상적으로 '''강릉선'''으로도 불린다. 이 구간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개통되었으며, KTX-산천 열차가 운행된다. 서울(청량리역)과 강릉역 간의 이동 거리 및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였다.

전 구간이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해 있으며, KTX만 운행한다. 정차역은 열차에 따라 다르다.

원주 ~ 강릉 KTX 정차역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KTX 정차소재지
만종Manjong萬鍾원주시
횡성Hoengseong橫城횡성군
둔내Dunnae屯內
평창Pyeongchang平昌평창군
진부(오대산)Jinbu(Odaesan)珍富(五臺山)
강릉Gangneung江陵강릉시



진부역-남강릉신호장 간에는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긴 터널인 대관령터널(길이 21.7km)이 있으며, 터널 내에 대관령신호장이 설치되어 있다.[12]

차량기지는 강릉차량사업소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구정면 금광리, 강남동에 위치해 있다.

4. 3. 시흥-성남 구간 (월곶-판교선)

경강선(시흥~성남)경기도 시흥시 월곶역부터 성남시 판교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36] 수도권 전철 경강선판교역에서 이 구간과 직결 운행[37]하며, 일반열차로는 KTX-이음이 운행될 예정이다.[38] 시흥시청역 - 광명역 구간은 신안산선과 공용할 예정이다. 이 구간은 2029년 말 이전에 개통되지 않을 예정이다.[3]

역 번호역 이름환승거리 (km)위치
로마자한국어한자역간 거리누적 거리
월곶월곶|월곶한국어0.0시흥시
장곡장곡|장곡한국어
시흥시청시흥시청|시흥시청한국어, 신안산선 (2024년 예정)
매화매화|매화한국어신안산선 (2024년 예정)
광명광명|광명한국어(광명셔틀), 신안산선 (2024년 예정), KTX 경부고속선, 경부선, 호남선, 호남고속선, 경전선, 전라선광명시
만안만안|만안한국어안양시
안양안양|안양한국어
안양운동장안양운동장|안양운동장한국어
인덕원인덕원|인덕원한국어
청계청계|청계한국어의왕시
서판교서판교|서판교한국어성남시

4. 4. 여주-원주 구간

여주역만종역을 잇는 21.95㎞ 복선 전철이다. 당초 단선 전철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나 강원도민의 반발로 복선 전철 사업으로 추진 확정되었다. 여주역에서 여주시 강천면원주시 지정면의 산악 지대를 터널로 통과하여 서원주역까지 이어진다. 서원주역에서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과 연결된다.[39]

2015년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으며, 2018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 여주시에서 추진 중인 강천역 신설이 자체 타당성 조사 결과 경제성이 B/C 분석 결과 1.03으로 나와 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에 강천역 신설을 정식으로 건의한 상태이다.[40] 2024년 1월 12일에 착공했으며, 2027년 말 준공 후 이듬 해(2028년) 개통한다.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소재지
K420여주Yeoju驪州경기도 여주시
서원주Seowonju西原州중앙선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5. 지선 노선

경강선에는 총 1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20101강릉삼각선(경강선)(영동선)1.9


5. 1. 강릉삼각선

남강릉신호장 동측에서 분기해 영동선 안인역 서측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건설된 경강선이 강릉역 방향으로만 합류되고 있어 기존 영동선동해선 연계 등을 위해 설치된 삼각선이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101이다.[1] 2020년 3월 2일에 개통되었으며, 이 삼각선을 통해 동해강릉선 KTX 및 강릉 - 정동진 - 동해 셔틀 무궁화호/누리로가 운행하고 기존 강릉 - 청량리/동대구/부산방면 무궁화호는 동해역으로 단축됐다.[1]

역명역간 거리영업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삼각선 (경강선)0.00.0경강선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경강선 서원주기점 115.314km
삼각선 (영동선)1.91.9영동선영동선 영주기점 187.319km
영동선 안인역 방면


6. 논란

=== 단선 전철화 추진 논란 ===

2009년 12월 17일 기획재정부가 예산 절감을 이유로 경강선을 단선 전철로 추진하자, 강원도 도민들이 반발하였다.[41] 이에 이명박 정부는 기획재정부가 추진 중인 사업을 복선 전철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지시해 결국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확정되었다.

=== 종착역 강릉역 이전에 대한 논란과 지하화 논란 ===

당초 강릉역구정면으로 이설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강릉시에서는 현 위치 유지를 검토하였으며, 2011년 10월 28일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는 현 위치 유지를 확정하였다. 그러나 기획재정부는 막대한 예산 소요 등을 이유로 강릉역까지 노선을 신설하는 것에 대해 타당성 조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다시 불투명해졌으나, 강릉 도심 구간은 지하화와 함께 강릉역을 반지하화하는 것으로 확정하였다.

=== 횡성군 구간 노선 변경과 횡성역 위치 논란 ===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수송 계획 발표가 나온 핵심 노선인 원주-강릉선은 예산 우선 순위가 적용돼 2017년 말까지 반드시 개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순시 이후 강원도의 풍경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횡성군 구간을 터널 대신 50m 높이의 고가 노선으로 재설계하였다. 그러나 수천억 원의 추가 예산이 소요되고 마을이 두 동강 날 것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로 한 공구의 착공이 지연되었다. 횡성군횡성역이 읍내에서 가깝고 원주공항과 연계되는 청용리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결국 생운리에 역을 건설하는 방안을 수용하였다.[42]

6. 1. 단선 전철화 추진 논란

2009년 12월 17일 기획재정부가 예산 절감을 이유로 경강선을 단선 전철로 추진하자, 강원도 도민들이 반발하여 논란이 되었다.[41] 이에 이명박 정부는 기획재정부가 추진 중인 사업을 복선 전철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지시해 결국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확정되었다.

6. 2. 종착역 강릉역 이전에 대한 논란과 지하화 논란

당초 강릉역구정면으로 이설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강릉시에서는 현 위치 유지를 검토하였으며, 2011년 10월 28일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는 현 위치 유지를 확정하여 신강릉역 계획지를 지나 강릉역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확정하였다. 그러나 강릉역까지 노선을 신설하는 것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막대한 예산 소요 등을 이유로 타당성 조사를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다시 불투명해졌으나, 강릉 도심 구간은 지하화와 함께 강릉역을 반지하화하는 것으로 확정하였다.

6. 3. 횡성군 구간 노선 변경과 횡성역 위치 논란

2018년 동계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수송 계획 발표가 나온 핵심 노선인 원주-강릉선은 예산 우선 순위가 적용돼 2017년 말까지 반드시 개통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순시 이후 강원도의 풍경을 볼 수 있도록 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따라 한국철도시설공단횡성군 구간을 터널 대신 50m 높이의 고가 노선으로 재설계하였다. 그러나 수천억 원의 추가 예산이 소요되고 마을이 두 동강 날 것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로 한 공구의 착공이 지연되었다.

횡성군횡성역이 읍내에서 가깝고 원주공항과 연계되는 청용리로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나, 결국 생운리에 역을 건설하는 방안을 수용하였다.[42]

참조

[1] 웹사이트 판교 여주를 잇는 경강선, 가능성과 한계 http://news.joins.co[...] Korea JoongAng Daily 2017-01-13
[2] 웹사이트 판교~여주 간 경강선 복선전철 개통행사...24일 개통 http://www.yonhapnew[...] Yonhap News Agency 2017-01-16
[3] 웹사이트 '월곶~판교선' 부실설계 논란 https://news.naver.c[...]
[4] 간행물 国土交通部による駅名・距離修正告示(2016-623号)官報第18550号2016年9月26日 http://gwanbo.moi.go[...]
[5] 뉴스 ‘경강선’ 성남~여주 복선전철 24일 개통 http://www.hani.co.k[...] 한겨레 2016-09-22
[6] 간행물 KORAIL社規2016.8.4改正 http://info.korail.c[...]
[7] 뉴스 철도시설공단, 서원주~만종 간 6.8km구간 개통 http://www.asiatoday[...]
[8] 뉴스 [미리보는 평창올림픽] KTX, 고속도로...평창향해 속속 뚫린다.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2017-11-20
[9] 뉴스 원주∼강릉 철도 고속열차 정비시설 강릉 차량사업소 운영 시작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2-18
[10] 뉴스 원주~강릉 철도, 12.22(금) 개통 http://m.molit.go.kr[...] 국토교통부 2017-11-27
[11] 웹사이트 철도공단, 원주∼강릉 철도 등 개통 대비 공정 점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11-15
[12] 웹사이트 원주~강릉 120.7km 전 구간 레일 연결 완료 https://news.joins.c[...] 뉴시스 2019-11-15
[13] 웹사이트 "강릉선KTX로 불러주세요"…서울∼강릉KTX 경강선에서 명칭 변경 http://m.news.naver.[...] 연합뉴스 2018-05-05
[1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 http://gwanbo.moi.go[...] 2017-06-19
[15] 문서 경강선 월곶-판교 구간은 광역철도 구간이 아님
[16] 문서 미개통
[17] 문서 2021년 1월 5일 폐역
[18] 문서 영동선의 신호소로 취급
[1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23호 http://www.molit.go.[...] 2016-04-29
[20] 웹인용 철도공단 강원본부, 원주~강릉철도건설구간 일부 신선 건설 완료 https://web.archive.[...] 2016-08-26
[2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623호 http://gwanbo.mois.g[...] 2016-09-26
[22] 웹사이트 철도공단, 원주~강릉 전체 노반 공사 완료... 120.7km 하나로 연결 http://kr.or.kr/boar[...]
[23] 웹사이트 철도공단, 원주~강릉 120.7km 전 구간 레일 연결 완료 http://kr.or.kr/boar[...]
[2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428호 http://gwanbo.mois.g[...] 2017-06-29
[25] 웹인용 보도자료 국토교통부 http://www.molit.go.[...] 2017-11-27
[26]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8-180호 http://gwanbo.mois.g[...] 2018-03-29
[27] 웹사이트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http://www.molit.go.[...] 2018-11-05
[2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2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602호 http://gwanbo.mois.g[...] 2019-11-05
[30] 뉴스 '선로 유실 우려' 경강선 신둔도예촌∼여주역 열차 중단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8-02
[31] 웹인용 공지사항 https://www.letskora[...] 2021-07-11
[32] 뉴스 “중부내륙 교통 중심시대 열린다”…원주~여주 복선전철 착공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24-01-11
[33] 뉴스 “경강선 안성'까지 연장발표! http://www.sisaanseo[...] 시사안성 2024-03-20
[34] 문서 중앙선 기점 87.072km에서 분기한다.
[35] 서적 거대도시 서울 철도 워크룸 프레스 2020
[36] 뉴스 월곶~판교 고속전동차 사업 2019년 착공 http://go.seoul.co.k[...] 2017-07-20
[37] 뉴스 월곶~판교 복선전철 본격 추진…2025년 개통 http://www.kyeonggi.[...] 2019-02-17
[38] 뉴스 경강선, ‘송도~강릉’ KTX이음 ‘연수~여주’ 전동열차 운행 http://www.incheonto[...] 2021-03-03
[39] 뉴스 인천역-강릉 2시간 … 철길 잇는다 http://www.incheonil[...] 2015-12-02
[40] 뉴스 경기 여주 ‘강천역’ 신설 가시화…수도권 전철 연장 ‘청신호’ https://news.kbs.co.[...] 2022-12-14
[41] 뉴스 원주-강릉 철도, 단선으로? 도민 '반발' http://news.sbs.co.k[...] 2009-12-17
[42] 뉴스 원주∼강릉 복선전철 횡성역사 생운리로 마무리 http://www.hsgnews.n[...] 2013-04-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