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황룡사지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중요한 장소였다. 553년 진흥왕 때 창건이 시작되어 90여 년에 걸쳐 장륙삼존불상, 금당, 9층 목탑 등 주요 건축물이 조성되었다. 특히 9층 목탑은 신라의 삼국통일 의지를 담아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목조 건축물로 꼽혔다. 고려 시대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으나, 현재는 절터가 남아 있으며, 1972년부터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유물이 출토되었다. 황룡사지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되살리기 위한 복원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9층 목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경주타워가 건립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발굴 - 호야 데 세렌
호야 데 세렌은 로마 칼데라 화산 폭발로 파괴된 마야 농경 마을 유적지로, 화산재에 묻혀 당시 생활 모습과 농경 방식 등을 엿볼 수 있으며, 특히 오래된 카사바 경작지가 발견되어 고고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경주 황룡사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황룡사 |
한자 | 皇龍寺 |
로마자 표기 | Hwangnyongsa |
위치 | |
위치 |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320-1 |
상세 정보 | |
종류 | 사적 |
지정 번호 | 6 |
지정 날짜 | 1963년 1월 21일 |
소유 | 국유, 사유 |
면적 | 380,087m² |
시대 | 신라 |
문화재청 지정 번호 | 13,00060000,37 |
역사 | |
건립 | 진흥왕 14년 (553년) |
창건 배경 | 왕이 월성 동쪽에 새 궁궐을 지으려 할 때 황룡이 나타난 것을 이상하게 여겨 절로 변경 |
특징 | |
주요 건축물 | 9층 목탑 (몽골 침입 때 소실) |
관련 시설 | 황룡원 |
추가 정보 | 현재는 사찰 터만 남아 있음. |
2. 역사
진흥왕 14년(553)에 창건이 시작되어 진흥왕 27년(566)에 일차 공사가 완료되었다.[13] 진흥왕 30년(569)에 주위장우(周圍墻宇)가 완성되었고, 진흥왕 35년(574)에는 장륙삼존불상이 조성되었다.[13] 진평왕 6년(584)에는 금당이 조성되었으며, 선덕여왕 14년(645)에는 9층탑이 조성되었다.[13] 이로써 진흥왕 창건 이래 9층탑의 완성까지는 90년의 시간이 걸렸다.[13]
황룡사는 국가적 대찰로서 진평왕의 천사옥대(天賜玉帶)와 더불어 황룡사의 9층 목탑과 장륙삼존불상은 신라의 3보로 숭앙받았다.[13] 국가적인 행사나 우환이 있을 때는 황룡사에서 고승을 청하여 백고좌(百高座)를 설치하였고 왕이 친행예불한 장소로는 황룡사 이외의 곳에서 예불을 했다는 기록이 없다.[13]
고려조에 이르러서도 광종 5년(954)때에 벼락으로 목탑이 소멸하자 60여년이 지난 1012년 다시 재건을 시작하여 9년만에 완공했고 정종 2년(1035), 현종 1년(1095)에 보수공사를 하고, 3년(1012)에 조유궁(朝遊宮)을 헐어서 9층탑을 수리하는 등 보호에 힘썼으나, 고종 25년(1238) 몽골의 난으로 말미암아 불타 없어졌다.[13]
남겨진 절터에 의하여 황룡사의 규모를 추정할 때, 경내는 약 2만 평으로 추정되며 남에서부터 중문(中門), 탑, 금당, 강당(講堂)이 남북선상에 서고, 구당과 중문을 연결하여 동서로 회랑을 돌려 내정에 금당과 구당을 두는 일탑식(一塔式) 가람제도(伽藍制度)로서 황룡사지(皇龍寺址)는 그 절터 흔적이 가장 뚜렷하게 남아 있는 절터이다.[13]
회랑으로 형성되는 내정(內庭)에는 금당 좌우와 중문 좌우에 각각 건물자리가 있고 탑의 기단 4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1976년 이래 계속되고 있는 발굴 조사의 결과 전면 10간, 측면 4간의 큰 강당자리가 비로소 밝혀졌다.[13] 주위에는 많은 부속건물이 있었으리라고 추측되며 발굴에 따라 속속 밝혀지고 있는데, 국가적 대찰에 부끄럽지 않는 대황룡사의 모습이 차차 드러나고 있다.[13]
"철반이상(鐵盤已上)"이라는 표현을 보면 상륜(相輪)은 금속제이었을 것이다.[13] 탑지 북쪽에는 금당지가 있어 정면 9간, 측면 4간의 대건물이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앙에는 거대한 석조 불대좌(佛臺座) 3기가 있어 장륙삼존불상이 이곳에 안치되었으리라고 생각된다.[13] 또 솔거(率居)의 노송도도 이곳에 있었을 것이라 여겨진다.[13] 그 북방에는 정면 10간, 측면 4간의 대구당이 있었으니 지금도 2
2. 1. 창건과 번영 (신라 시대)
553년 신라 진흥왕은 새로운 궁궐을 짓고자 했던 자리에 용이 나타나자, 사찰을 건립하도록 명하였다.[5] 황룡사는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고, 외국 사절에게 깊은 인상을 주기 위한 장소로 설계되었다.[5] 진흥왕 대부터 선덕여왕 대까지 90여 년에 걸쳐 장륙삼존불상, 금당, 9층 목탑 등 주요 건축물이 차례로 조성되었다.643년, 자장 율사가 당에서 귀국하여 황룡사에 탑을 세울 뜻을 선덕여왕에게 아뢰었고, 선덕여왕은 백제의 장인 아비지와 200명의 기술자를 초청하여 황룡사 9층 목탑을 완성했다.[17] 김용춘이 이 공사를 주관하였다.[17] 9층 목탑은 신라의 삼국통일 의지를 담은 상징적인 건축물이었다.[6][17] 9층은 신라가 미래에 정복할 9개의 동아시아 국가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6] 황룡사 9층 목탑의 규모는 매우 컸는데, 당척으로 따지면 약 53.45m, 상륜부까지 합하면 약 66.70m였고, 동위척으로 따지면 80m가 넘는 초대형 건축물이었다.[17]
황룡사는 반월성의 왕궁 단지 근처, 토함산 근처 경주 국립공원 내 계곡에 위치해 있었으며, 분황사에서 약 150yd 떨어진 곳에 위치했다.[5][8] 황룡사는 왕실의 후원을 받는 국가적 대찰로서,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다양한 불교 행사가 거행되었다.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7]
1972년에 황룡사지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져 사찰의 배치와 4만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5][8]
2. 2. 쇠퇴와 소실 (고려 시대)
고려 시대에도 황룡사는 중요한 사찰로 여겨졌다.[6] 황룡사 9층 목탑은 몽골의 침입 이전까지 여러 차례 보수 공사를 거치며 유지되었다.[6] 9층 목탑은 9개의 동아시아 국가, 즉 신라가 미래에 정복할 국가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6] 그러나 1238년 몽골의 침입으로 인해 황룡사와 9층 목탑을 비롯한 대부분의 건축물이 소실되었다.[6][7]2. 3. 발굴과 복원 노력
3. 구조와 배치
황룡사는 '1탑 3금당식'의 전형적인 신라 가람 배치 양식을 따르고 있었으며, 이는 탑을 중심으로 동, 서, 북쪽에 각각 금당을 배치하는 방식이다.[10]
사찰은 원래 "3개의 전각-1개의 탑" 스타일로 배치되었는데, 이는 탑이 단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 탑의 왼쪽, 오른쪽, 뒤편에 3개의 주요 전각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10]
3. 1. 주요 건축물
황룡사의 주요 건축물로는 9층 목탑, 금당, 강당, 회랑, 중문 등이 있었다.
9층 목탑은 황룡사의 중심 건축물로, 신라의 삼국통일 염원을 담아 9개 층으로 설계되었다.[17] 높이는 약 80m에 달하는 거대한 목탑이었다.[17] 각 층은 신라가 정복할 9개 국가를 상징했다. 선덕여왕 때인 643년, 자장 율사가 당에서 귀국하여 건립을 제안했고, 백제의 공장 아비지가 초빙되어 김용춘의 지휘 하에 완공되었다.[17] 고려 때 몽골의 침입으로 불타버렸고 현재는 초석만이 남아 있다.[17] 1972년에는 도난당했던 금동사리함(金銅舍利函)이 공개되었는데, 신라 경문왕 11년(871)에 탑을 중수하면서 탑의 조성과 중수 사연을 적은 기록이 새겨져 있었다.[17] 이 목탑의 모습을 음각으로 디자인한 경주타워가 2007년에 완공되었고, 중도타워가 2016년에 완공되었다. 9층 목탑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자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조 구조물이었다. 탑은 60개의 기초석이 있었으며 기초 면적은 매우 컷다.[5]
금당은 장륙삼존불상이 안치되었던 곳으로, 정면 9칸, 측면 4칸의 대규모 건물이었다. 석가모니불의 한 조각상은 높이가 5미터였다.[8][11]
강당은 정면 10칸, 측면 4칸의 건물로, 승려들이 모여 불경을 공부하고 설법을 듣던 장소였다.
회랑은 강당과 중문을 연결하는 복도 형태의 건축물로, 사찰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했다. 사찰의 가장 긴 외벽은 길이가 288m였으며, 외벽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약 80,000제곱미터였다.[10]
중문은 사찰의 정문으로, 회랑과 연결되어 있었다.
황룡사는 원래 "3개의 전각-1개의 탑" 스타일로 배치되었는데, 이는 탑이 단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 탑의 왼쪽, 오른쪽, 뒤편에 3개의 주요 전각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10]
3. 2. 규모
황룡사는 전체 면적이 약 8만 제곱미터에 달했다.[10] 본당은 길이 약 47m, 너비 약 17m였다.[5] 사찰 유적에는 석가모니불의 받침돌이 있는데, 이 불상의 높이는 5m였다.[8][11]사찰은 원래 "3개의 전각-1개의 탑" 스타일로 배치되었는데, 이는 탑이 단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중앙 탑의 왼쪽, 오른쪽, 뒤편에 3개의 주요 전각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10] 선덕여왕이 의뢰한 9층 목탑은 한국에서 가장 큰 탑이었으며, 완공 당시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이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조 구조물이었다. 높이는 약 80m였고 몸체는 나무로 만들어졌다.[5] 현재는 기초석만 남아 있지만, 탑의 기초 면적은 약 560제곱미터였고, 각 면에 8개의 기둥과 60개의 기초석이 있었다.[5]
4. 전설과 설화
불교는 왕이 직접 새로운 종교를 지지하는 동안 신라 귀족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다. 왕의 시랑이었던 이차돈은 왕의 어새를 위조하여 백성들에게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이도록 명령할 것을 제안했다. 귀족들이 위조를 발견하자 이차돈은 자신이 희생양이 되어 그의 죽음을 통해 부처의 힘을 드러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왕은 그 계획에 동의했다. 귀족들은 예상대로 이차돈의 위조를 발견하고 격분했고 왕은 그의 처형을 명령했다. 전설에 따르면 이차돈이 처형될 때 불교의 힘과 진실성을 증명하는 일련의 기적이 일어났고, 귀족들은 새로운 국교로 개종했다. 이차돈의 희생은 황룡사 창건의 계기가 되었다.[5]
또 다른 전설은 황룡사가 소유했던 거대한 황금 불상에 관한 것이다. 이 불상은 진흥왕 시대에 사찰의 중심 조형물로 주조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불상의 금은 인도의 아쇼카왕에게서 왔다고 한다.[9] 아쇼카왕은 황금 삼존불을 주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보살의 모형과 함께 금을 배에 실었다. 배를 받은 각 나라는 조각상을 주조할 수 없었고, 배가 신라에 도착해서야 비로소 조각상을 주조할 수 있었다.
4. 1. 이차돈의 순교
신라의 불교 공인 과정에서 신라 귀족들은 불교를 강력하게 반대하였다. 왕의 시랑이었던 이차돈은 왕의 어새를 위조하여 백성들에게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이도록 명령할 것을 제안했다.[5] 귀족들이 위조를 발견하자 이차돈은 자신이 희생양이 되어 그의 죽음을 통해 부처의 힘을 드러내야 한다고 제안했고 왕은 그 계획에 동의했다.[5] 귀족들은 예상대로 이차돈의 위조를 발견하고 격분했고 왕은 그의 처형을 명령했다.[5] 전설에 따르면 이차돈이 처형될 때 불교의 힘과 진실성을 증명하는 일련의 기적이 일어났고, 귀족들은 새로운 국교로 개종했다.[5] 이차돈의 희생은 황룡사 창건의 계기가 되었다.[5]4. 2. 아쇼카왕의 황금 불상
불교는 왕이 직접 새로운 종교를 지지하는 동안 신라 귀족들의 강력한 반대에 직면했다. 왕의 시랑이었던 이차돈은 왕의 어새를 위조하여 백성들에게 새로운 종교를 받아들이도록 명령할 것을 제안했다. 귀족들이 위조를 발견하자 이차돈은 자신이 희생양이 되어 그의 죽음을 통해 부처의 힘을 드러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왕은 그 계획에 동의했다. 귀족들은 예상대로 이차돈의 위조를 발견하고 격분했고 왕은 그의 처형을 명령했다. 전설에 따르면 이차돈이 처형될 때 불교의 힘과 진실성을 증명하는 일련의 기적이 일어났고, 귀족들은 새로운 국교로 개종했다. 이차돈의 희생은 황룡사 창건의 계기가 되었다.[5]또 다른 전설은 황룡사가 소유했던 거대한 황금 불상에 관한 것이다. 이 불상은 진흥왕 시대에 사찰의 중심 조형물로 주조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 불상의 금은 인도의 아쇼카왕에게서 왔다고 한다.[9] 아쇼카왕은 황금 삼존불을 주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그는 보살의 모형과 함께 금을 배에 실었다. 배를 받은 각 나라는 조각상을 주조할 수 없었고, 배가 신라에 도착해서야 비로소 조각상을 주조할 수 있었다.
5. 현대의 황룡사
5. 1. 황룡사지

경주 황룡사지에는 9층 목탑 터, 금당 터, 강당 터 등 주요 건축물의 흔적이 남아있다. 발굴된 유물들은 경주국립박물관 등에 전시되어 있으며, 신라 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5. 2. 복원 노력
황룡사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되살리기 위한 복원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황룡사 9층 목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건축물로 경주타워가 건립되기도 했다.6. 관련 작품
6. 1. 만화
참조
[1]
서적
Silla : Korea's golden kingdom
[2]
서적
Syncretism: The Religious Context of Christian Beginnings in Korea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1-04-19
[3]
웹사이트
Hwangnyongwon
https://k-mice.visit[...]
2023-09-10
[4]
웹사이트
황룡원
http://www.hwangnyon[...]
2023-09-10
[5]
웹사이트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A Photographic Survey
http://www.orientala[...]
[6]
웹사이트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a Photographic Survey
http://www.orientala[...]
2016-05-14
[7]
서적
Sir Banister Fletcher's a History of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Architectural Press
1996-01-01
[8]
웹사이트
Korea - Three Kingdoms Period
http://www.asianinfo[...]
[9]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10]
웹사이트
Korea - Three Kingdoms Period
http://www.asianinfo[...]
2016-05-14
[11]
웹사이트
Korea - Shilla Period Sculpture (57 B.C.- A.D. 668)
http://www.asianinfo[...]
2016-05-14
[12]
문서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3]
문서
한국미술 > 한국미술의 흐름 > 고신라의 미술 > 고신라의 건축 > 황룡사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4]
서적
삼국사기
[15]
웹사이트
문화재청
http://www.cha.go.kr[...]
[16]
문서
(황룡사지 → 경주 황룡사지)으로 명칭변경되었다.(2011.07.28 고시)
[17]
문서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문화 > 황룡사 9층탑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