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단 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구간에서 상수값을 가지는 함수이다. 실수 부분 집합의 지시 함수를 사용하여 정의되며, 여러 개의 지시 함수의 실수배의 합으로 표현된다. 계단 함수의 합, 곱, 실수배는 모두 계단 함수이며, 유한 개의 값만을 가질 수 있다.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점을 제외하고 미분 가능하며, 부정적분은 조각별 일차 함수이다. 르베그 적분은 각 구간의 길이와 함수값의 곱의 합으로 계산된다. 상수 함수, 부호 함수,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 사각형 함수 등이 계단 함수의 예시이며, 정수 부분 함수는 무한대의 구간을 가지므로 일반적인 정의의 계단 함수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특수 함수 - 람베르트 W 함수
    람베르트 W 함수는 we^w = z를 만족하는 w를 찾는 람베르트 이름을 딴 역함수 관계를 가지며, 여러 분야에서 지수 함수 방정식을 푸는 데 응용되는 무한히 많은 가지를 가진 함수이다.
  • 특수 함수 - 감마 함수
    감마 함수는 양의 실수부를 갖는 복소수 z에 대해 오일러 적분으로 정의되고 해석적 연속을 통해 복소평면 전체로 확장된 팩토리얼 함수의 일반화로서, 수학,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여러 표현과 성질을 가진다.
계단 함수

2. 정의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구간에서 지시 함수들의 선형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함수이다. 간단히 말해,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구간에서 각각 상수 값을 갖는 함수이다.

함수 f\colon \mathbb{R} \rightarrow \mathbb{R}가 '''계단 함수'''가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f(x) = \sum\limits_{i=0}^n \alpha_i \chi_{A_i}(x) (단, 모든 실수 x에 대해)

위 식에서 n\ge 0이고, \alpha_i는 실수, A_i는 구간이며, \chi_AA지시 함수이다. 지시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hi_A(x) = \begin{cases}

1 & \text{if } x \in A \\

0 & \text{if } x \notin A \\

\end{cases}

위 정의에서 구간 A_i는 다음 두 가지 속성을 갖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 쌍별로 서로소이다. (i \neq j이면 A_i \cap A_j = \emptyset)
  • 합집합은 전체 실수선이다. (\bigcup_{i=0}^n A_i = \mathbb R.)


예를 들어, 계단 함수

:f = 4 \chi_{[-5, 1)} + 3 \chi_{(0, 6)}

는 위 조건을 만족하도록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 = 0\chi_{(-\infty, -5)} +4 \chi_{[-5, 0]} +7 \chi_{(0, 1)} + 3 \chi_{[1, 6)}+0\chi_{[6, \infty)}.

2. 1. 정의의 변형

경우에 따라 구간이 오른쪽으로 열려 있거나[1] 한 점으로만 구성된 집합을 허용하기도 한다.[2] 구간의 개수가 유한해야 한다는 조건은, 특히 학교 수학에서는 종종 생략되기도 하지만,[3][4][5] 이 경우에도 국소 유한성을 만족해야 조각별 상수 함수가 된다.

3. 성질

두 계단 함수의 합과 곱, 그리고 계단 함수와 실수의 곱은 모두 계단 함수이다. 따라서 계단 함수는 실수체 위의 대수를 이룬다.[7]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값만 가질 수 있으며, 유한 개의 점을 제외하고 미분 가능하다. 미분 가능한 모든 점에서의 미분은 0이다. 계단 함수의 정적분은 구간별 선형 함수이다.

3. 1. 르베그 적분

계단 함수 \textstyle f = \sum_{i=0}^n \alpha_i \chi_{A_i}의 르베그 적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7]

:\int f\,dx = \sum_{i=0}^n \alpha_i \ell(A_i)

여기서 \ell(A)는 구간 A의 길이를 나타내며, 모든 구간 A_i는 유한한 길이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등식은 르베그 적분 이론을 구성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다.[7]

4. 예


  • 상수 함수는 가장 단순한 형태의 계단 함수이다. 이 경우 단 하나의 구간만이 존재한다.[6]
  • 부호 함수는 음수에서 -1, 양수에서 1의 값을 가지는 가장 간단한 비상수 계단 함수이다.
  •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는 음수에서 0, 양수에서 1의 값을 가지며, 동적 시스템의 계단 응답과 같은 테스트 신호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6]
  • 사각형 함수는 단위 펄스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되는 함수이다.[6]

사각형 함수

4. 1. 계단 함수가 아닌 예

정수 부분 함수는 이 문서에서 정의하는 계단 함수가 아니다. 왜냐하면 무한 개의 구간을 갖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저자들은[6] 무한 개의 구간을 갖는 계단 함수도 정의한다.[6]

바닥 함수


바닥 함수나 천장 함수무한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이 문서의 문맥에서는 계단 함수가 아니다.

5. 활용


  • 두 계단 함수의 합과 곱, 그리고 계단 함수와 숫자의 곱은 모두 계단 함수이다. 따라서 계단 함수는 실수에 대한 대수를 형성한다.
  • 계단 함수는 유한 개의 값만 가진다.
  • 계단 함수의 정적분은 구간별 선형 함수이다.
  • 계단 함수의 르베그 적분\textstyle \int f\,dx = \sum_{i=0}^n \alpha_i \ell(A_i),이다. 여기서 \ell(A)는 구간 A의 길이를 나타내며, 모든 구간 A_i는 유한한 길이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등식은 르베그 적분을 구성하는 첫 번째 단계가 될 수 있다.[7]
  • 이산 확률 변수는 확률 변수누적 분포 함수가 구간별로 상수인 경우로 정의되기도 한다.[8] 이 경우, 국소적으로 계단 함수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산 개의 가능한 값만 갖는 임의의 확률 변수를 이산 확률 변수라고 부르며, 이 경우 누적 분포 함수는 무한히 많은 간격이 유한한 영역에 축적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국소적으로 계단 함수는 아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tep Function http://mathworld.wol[...]
[2] 웹사이트 Step Functions - Mathonline http://mathonline.wi[...]
[3] 웹사이트 Mathwords: Step Function https://www.mathword[...]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study.com/ac[...] 2024-12-16
[5] 웹사이트 Step Function https://www.varsityt[...]
[6] 서적 Fourier and Wavelet Analysis Springer, New York, 2000 2002-04-05
[7] 서적 Lebesgue integration and meas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3 1973-05-10
[8] 서적 Introduction to Probability Athena Scientific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