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공산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공산당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시작된 공산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1921년 상하이와 이르쿠츠크에서 각각 결성된 두 개의 공산당을 통칭한다. 상하이파는 이동휘를 중심으로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중시하며 민족 혁명을 우선 과제로 삼았고, 이르쿠츠크파는 김철훈 등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혁명을 통한 소비에트 건설을 목표로 했다. 두 파벌은 소련 정부와 코민테른의 지원을 얻기 위해 경쟁하며 갈등을 겪었고, 한인 무장 부대의 통수권을 둘러싼 대립으로 자유시 참변을 겪기도 했다. 코민테른은 1922년 두 파벌을 해체하고 꼬르뷰로를 설치하여 통합된 공산당을 조직했으나, 고려공산당의 활동은 한국 사회주의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고 항일 무장 투쟁과 민족 해방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공산당 - 고려공산당 (상하이)
고려공산당 (상하이)은 일제강점기 중국 상하이에 결성되어 한국의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한반도의 독립과 사회 개혁을 목표로 활동한 한인 공산주의 단체이다. - 고려공산당 - 전로고려공산당
- 홍범도 - 자유시 참변
자유시 참변은 1921년 러시아 자유시에서 대한독립군단이 소련 붉은 군대에 공격받아 와해된 비극적인 사건으로, 독립군 내부 갈등과 소련의 정책적 판단이 작용한 결과이며 한국 독립운동사에 큰 상흔을 남겼다. - 홍범도 - 고려공산당 (상하이)
고려공산당 (상하이)은 일제강점기 중국 상하이에 결성되어 한국의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한반도의 독립과 사회 개혁을 목표로 활동한 한인 공산주의 단체이다. - 한국의 공산주의 정당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한국의 공산주의 정당 - 조선공산당
조선공산당은 1919년 사회주의 사상을 접한 조선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일제강점기 동안 탄압받았으며, 광복 후 남북으로 분열되어 남조선로동당과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되었다.
고려공산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려공산당 |
원어 이름 | 高麗共産黨 |
로마자 표기 | Goreyo gongsandang |
창당 | 1920년 1월 |
해산 | 1922년 4월 17일 |
후계 정당 | 조선 공산당 |
국제 조직 | 코민테른 |
상징색 | 빨강 |
표어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지도부 | |
서기장 | 이동휘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이념 | 공산주의 레닌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조선 독립 친러파 |
정치 스펙트럼 | 좌익 ~ 극좌 |
기타 |
2. 고려공산당 성립 이전의 상황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고, 한국의 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 공산주의 운동은 러시아 혁명 이후 시베리아에서 시작되었다. 1918년 5월 하바롭스크에서 이동휘를 중심으로 한인사회당이 조직되었고, 1920년 1월 22일 이르쿠츠크에서는 김철훈을 중심으로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한국 지부인 '이르쿠츠크 한국 공산당 지부'가 조직되었다.[1][2][3] 두 조직은 모두 독립운동을 위한 단체였지만, 서시베리아 출신 귀화인들로 구성된 한인사회당은 시베리아 한인들의 반일 운동 결집을, 동시베리아 출신 귀화인들로 구성된 이르쿠츠크 한국 공산당 지부는 서시베리아 한인들의 볼셰비키 전선 동원을 목표로 했다는 차이가 있었다.[1][2][3]
2. 1. 한인사회당 (1918.5)
1918년 5월 하바롭스크에서 이동휘, 박애, 전일 등이 중심이 되어 볼셰비키당에서 파견된 원동인민위원회 의장 크라스토체코프의 지원을 받아 한인사회당이 창당되었다.[1]한인사회당은 코민테른의 인정을 받은 최초의 한인 사회주의 정당이었다.[1]
초기에는 민족 해방을 위한 공산주의 단체의 성격을 띠었으나, 이후 임시정부와의 노선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된다.[1]
2. 2. 전로한인공산당 (1919.9)
1919년 9월 5일 이르쿠츠크에서 김철훈, 오하묵 등은 보리스 스미야스키의 지원을 받아 전로한인공산당을 조직하였다.[1][2][3] 1920년 1월 22일, 이 단체는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한인지부인 '이르쿠츠크 공산당 고려부'로 공식화되었다.[1][2][3] 이에 따라 한인 사회주의운동을 관할하는 기능이 옴스크에서 이르쿠츠크로 이전되면서 이르쿠츠크가 중심지가 되었다. 이르쿠츠크 공산당 고려부 지도부는 고문 보리스 스미야스키, 위원장 김철훈, 비서장 이재복(李載馥, 일명 李檉), 정치부장 한안드레이, 선전부장 최고려(崔高麗), 군정부장 오하묵, 교통부장 박이노겐치, 중앙위원 26명으로 구성되었다.3. 상해파 고려공산당 (1921.5)
1918년 5월, 이동휘를 중심으로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이 창당되었다. 한인사회당은 코민테른의 인정을 받은 유일한 조선 사회주의(공산주의) 정당이었다.[4] 초기에는 민족 해방을 위한 편의적인 공산주의 단체 성격을 띠었으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성원들과의 노선 차이로 인해 임시정부를 탈퇴하고 1921년 5월 고려공산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19년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후, 이동휘는 1920년 8월 말 상하이에 도착하여 초대 국무총리로 취임했다. 그러나 1920년 12월, 김립이 모스크바 자금을 임시정부에 전달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보관하면서 이동휘의 명예가 실추되고, 임시정부 관계자들이 고려공산당에서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했다.[4][5]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이동휘는 1921년 5월 10일 회의를 통해 모스크바 자금을 공산주의 운동에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공산주의 단체의 명칭을 고려공산당으로 변경했다. 같은 달 23일에는 당규정 개정안 12개, 당규 개정안 5개, 당 정책 5개 조항을 채택했다.[4][5]
1921년 5월, 상하이에서 한국, 만주, 블라디보스토크 대표들이 모여 한국 고려공산당 대표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선거 선언과 강령 규정이 채택되었고, 중앙위원으로 이철휘, 김립, 이한영, 김만겸, 안병찬, 번역 부위원 여운형, 출판 부위원 조동호 등이 선출되었다. 이들을 상해파 고려공산당이라 부른다.[4][5]
1921년 5월 20일부터 4일간 상하이에서 ‘전조선 공산당 대회’가 개최되었다. 한국, 중국, 만주, 일본 등지의 한국 공산주의 단체 대표 약 30명이 참가하여 ‘한국 고려공산당’을 결성했다. 이동휘, 김립, 박진선, 김철수, 장덕수가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6][5][7]
3. 1. 상해파의 노선과 활동
상해파 고려공산당은 민족 혁명을 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대를 중요하게 생각했다.[6][1][3][5] 이들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앞서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했다.[6]이러한 노선에 따라 상해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하며 독립운동의 통일전선을 구축하려 노력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하이에 수립되자, 상해파 지도자 이동휘는 초대 국무총리로 취임했다.[4][2][5] 1920년 봄, 이동휘는 소련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하이에서 공산주의 단체를 조직했다. 이 조직은 한국 사회당 간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4][2][5]
1921년 5월, 상해파는 고려공산당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만주, 블라디보스토크 등지의 대표들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서 중앙위원으로 이철휘, 김립, 이한영, 김만겸, 안병찬 등이 선출되었고, 번역 부위원으로 여운형, 출판 부위원으로 조동호가 선출되었다.[4][5]
상해파는 무장 투쟁에도 힘을 기울였다. 박일야가 이끄는 니항군(사할린 의용군)과 최니콜라이가 이끄는 다반군이 상해파의 대표적인 무장 부대였다.[8][9]
4.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1921.5)
1919년 9월 5일 이르쿠츠크에서 김철훈, 오하묵 등은 보리스 슈먄츠키의 지원을 받아 전로한인공산당을 조직하였다. 이 단체는 1920년 1월 22일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한인지부인 '이르쿠츠크 공산당 고려부'로 공식화되었다. 이에 따라 한인 사회주의운동 관할 기능이 옴스크에서 이르쿠츠크로 이전되었다.
1920년 7월, 이르쿠츠크에서 러시아 안의 고려공산단체 제1차 대표회의가 소집되고, 전로고려공산당으로 당명이 개칭되었다. 이후 1921년 5월 4∼17일에 한인공산주의자대회가 개최되고, 이동휘의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대립하는 또 하나의 고려공산당이 결성되었다. 이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이라고 한다.
4. 1. 이르쿠츠크파의 노선과 활동
이르쿠츠크파는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소비에트 건설을 목표로 했다.[6] 이들은 민족주의 세력과의 협력에 소극적이었고,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6]1919년 9월 5일, 이르쿠츠크에서 김철훈, 오하묵 등은 보리스 슈먄츠키(Boris Shumyatsky)의 지원을 받아 전로한인공산당을 조직했다.[4] 1920년 1월 22일, 이 단체는 러시아 볼셰비키당의 한인지부인 '이르쿠츠크 공산당 고려부'로 공식화되었다.[4] 이에 따라 한인 사회주의운동을 관할하는 기능이 옴스크에서 이르쿠츠크로 이전되면서 이르쿠츠크가 중심지가 되었다.[4]
이르쿠츠크 공산당 고려부 지도부는 고문 보리스 슈먄츠키, 위원장 김철훈, 비서장 이재복, 정치부장 한안드레이, 선전부장 최고려, 군정부장 오하묵, 교통부장 박이노겐치, 중앙위원 26명으로 구성되었다.[4] 이 당은 코민테른 동방 사무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경세종'이라는 기관을 통해 당원과 일반 대중에게 정치 이념 교육을 실시하고 볼셰비키 정책을 침투시키려는 노력을 했다.[4]
1920년 7월, 이르쿠츠크에서 러시아 안의 고려공산단체 제1차 대표회의를 소집하고 전로고려공산당으로 당명을 개칭하였다.[4] 1921년 5월 4∼17일에 한인공산주의자대회를 개최하고 이동휘의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대립하는 또 하나의 고려공산당을 결성하였는데, 이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이라고 한다.[4]
이르쿠츠크파는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달리 민족 통일 전선에 소극적이었고 민족주의 세력과의 연합에 대해 부정적이었다.[6]
이르쿠츠크파의 무장 부대는 다음과 같다.
5. 두 파벌의 갈등과 코민테른의 개입
1918년 5월 하바로프스크에서 이동휘를 중심으로 한인사회당이 조직되었고, 1919년 9월에는 이르쿠츠크에서 김철훈, 오하묵 등이 전로한인공산당을 조직했다.[2] 이들은 1921년 5월 각각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으로 발전했다.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서로 코민테른의 승인을 얻기 위해 경쟁하면서 갈등을 빚었다. 특히, 무장 독립군 부대의 지휘권을 둘러싼 갈등은 1921년 자유시 참변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졌다.[3]
코민테른은 양 파벌의 갈등이 심해지자 화해와 통합을 권유했으나 실패했고, 1922년 12월 양 파벌을 모두 해체시킨 후 극동총국 산하 꼬르뷰로를 설치하여 통일된 공산당을 조직하게 했다.[3]
5. 1. 자유시 참변 (1921.6)
자유시 참변은 이르쿠츠크파 소속의 한인 무장 부대가 상해파 소속의 무장 부대를 공격하면서 발생한 사건이다.[2][5] 이 사건으로 많은 한인 독립운동가들이 희생되었고, 독립운동 진영에 큰 상처를 남겼다.상하이파와 이르쿠츠크파는 고려공산당 내에서 각각 유일한 정통성을 주장하며 소련과의 접근을 두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 상하이파는 중국 및 일본 공산당과의 연합, 국내 활동, 그리고 국내 무장 단체 지원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반면 이르쿠츠크파는 상하이 지부 설립, 상하이 고려공산당 조직, 러시아 내 한국 군사 조직 장악, 그리고 러시아 내 한국인들을 볼셰비키로 끌어들이는 활동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했다.[2][5]
5. 2. 코민테른의 개입과 고려공산당 해체 (1922.12)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소련 정부와 코민테른으로부터 정통성을 인정받고 지원을 얻고자 경쟁하며 반목했다. 또한 한인 무장 부대의 통수권을 둘러싸고 대립하여 자유시 참변이라는 비극을 낳기도 했다.[3]코민테른은 두 파벌 간의 당파 싸움이 심화되자 화해와 통합을 권고했지만 실패했다. 양측은 한국 독립군 지휘권을 놓고 다투었다. 1921년 6월 28일, 상하이 파벌의 지원을 받은 사할린 의용대는 수라세흐카에서 러시아 적군에 합류한 이르쿠츠크 파벌과 전투를 벌였으나, 러시아 적군 제29연대에 포위되어 공격받아 144명이 사망 또는 실종되고 864명이 생존했다. 1922년 12월, 소련과 극동총국은 코민테른 지휘하에 꼬르뷰로를 조직하기 위해 모든 파벌을 해산시켰다.[3] 꼬르뷰로는 상하이 파벌의 이동휘와 윤자영, 이르쿠츠크 파벌의 한명서, 장건상, 김만겸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코민테른이 두 한국 공산당 파벌을 강제로 통합하여 하나의 공산당으로 합병한 것과 같다.[1][3]
상하이 파벌과 이르쿠츠크 파벌 간의 원칙 없는 당파 싸움은 초기 공산주의 운동뿐만 아니라 한국 독립 운동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2][3]
6. 주요 인물
상해파 고려공산당 |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
---|---|
참조
[1]
웹사이트
사회주의와의 첫 번째 만남
http://contents.hist[...]
[2]
웹사이트
Let's Learn about the Communist Party
https://brunch.co.kr[...]
2023-09-17
[3]
웹사이트
[고려인 강제이주 80년] ⑨ 독립운동사의 빈칸 고려공산당
https://www.yna.co.k[...]
2023-09-17
[4]
웹사이트
고려공산당 (高麗共産黨)
https://encykorea.ak[...]
2023-09-17
[5]
웹사이트
한인사회당 에서 이르쿠츠크파 의 길로
http://www.redian.or[...]
2023-09-17
[6]
웹사이트
고려 공산당
http://contents.hist[...]
2023-09-17
[7]
웹사이트
Study on the Koryo Communist Party (1921-1922)
https://blog.naver.c[...]
2023-09-17
[8]
웹사이트
상해파 고려공산당
http://www.okpedia.k[...]
2023-09-17
[9]
웹사이트
자유시사변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3-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