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동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1915년 중국 금릉대학 유학을 시작으로, 상하이에서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동아일보 논설위원, 조선공산당 참여 등 언론 및 사회주의 운동에도 참여했으며, 건국동맹 간부로 활동하며 조국 해방을 준비했다. 광복 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장을 역임하고,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했다. 1954년 사망 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릉 대학 동문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금릉 대학 동문 - 김약수
김약수는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 참여, 한국민주당 활동, 국회프락치 사건 연루, 한국전쟁 중 월북,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활동, 김일성 체제 비판 후 숙청이라는 비극적인 삶을 살았다. - 건국동맹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건국동맹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조동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동호 |
한글 | 조동호 |
한자 | 趙東祜 |
가타카나 | チョ・ドンホ |
히라가나 | ちょう とうこ |
![]() | |
인물 정보 | |
출생일 | 1892년 8월 4일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청산현 현내면 백운리 |
사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백운리 |
사망일 | 1954년 9월 11일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정당 | 무소속 |
직업 | 독립운동가, 사회주의운동가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박소동득(朴小東得) |
자녀 | 아들 조윤구(趙潤九) 아들 조준구(趙準九) |
부모 | 아버지 조명하(趙明夏) 어머니 박빈(朴彬) |
경력 | |
경력 |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사료조사편찬부 위원 독립신문 기자 조선건국동맹 최고위원 대한국민당 상임고문 민주국민당 상임고문 |
기타 | |
![]() | |
웹사이트 | 유정 조동호 기념사업회 |
2. 생애
조동호는 1915년 중화민국의 금릉대학(현 난징 대학)에 유학하여 1918년 상하이로 거처를 옮겼다. 거기서 여운형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및 임시의정원을 역임했다. 1921년에는 중국 내 항일 운동 단체인 구국단의 기관지 『구국단』의 기자로 활동하며 중국 각지에서 항일 운동과 조선 독립 운동의 연계를 모색하고, 중한 친선 및 반제국주의 활동 등에 종사했다.
1923년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돌아와 『동아일보』의 논설위원이 되었고,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 설립에도 화요파로서 참여했다. 이후 코민테른의 승인을 얻기 위해 소련으로 파견되었고, 조선공산당 상하이부에서 활동했으나, 1928년 체포되어 조선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출옥 후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 논설위원에 취임했고, 1944년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건국동맹의 간부로 활동했다. 1945년 광복 후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장을 역임하고,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는 등 근로인민당 등에서 활동했다.
2. 1. 생애 초기
2. 1. 1. 출생과 가계
조동호는 본관은 풍양(豊壤)이고, 조명하(趙明夏,1862~1900)와 고령 박씨 박빈(朴彬)(1864~1945)의 3남 2녀 중 3남으로 충청도 청산현 현내면 백운리(지금의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백운리)에서 출생하였다.그의 가계는 조선시대의 서인 노론으로 영조의 장남 효장세자의 처가였다. 효장세자의 장인인 노론 탕평파 풍릉부원군 조문명과 영의정 풍원부원군을 지낸 조현명, 좌의정을 지낸 조재호(趙載浩)가 그의 방계 조상으로, 그는 조문명·조현명 형제의 사촌이자 한성부서윤을 지낸 조철명(趙哲命)의 8대손이었다.
2. 1. 2. 성장과 학창시절
어려서 한학을 공부하다가 1905년 청산에 신명사립학교(현 청산초등학교)가 개교 하면서 신학문에 뜻을 두고 3년을 다니다가 큰형 조동석의 권유로 한성부로 상경하였다.1908년 한성 경성측량학교(京城測量學校)에 입학, 1910년에 수료한 뒤, 측량기사가 되었다. 1907년경 무렵에 국립측량학교에 다닐 때 같은 건물에 있던 국립우편학교 출신인 여운형을 우연히 만나 이때부터 그는 여운형과 일생의 동지가 된다.[2] 이후 여운형의 소개로 이만규를 알게 되었고 이들은 서로 친해지면서 교우를 쌓게 된다.
2. 2. 독립운동에 투신
1912년 조동호는 측량기사로 일하던 중, 신촌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싸움을 목격했다.[2] 이때 일본 순사가 일본인 편만 들고 한국인에게 야단을 치는 것을 보고, 조동호는 부당함을 지적하며 일본 순사 5명과 실랑이를 벌였다.[2] 이 사건으로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경찰서에서 구타를 당하고 약 1개월간 불법 구금되었다가 풀려났는데, 이를 계기로 항일의식과 독립운동에 투신을 결심하게 되었다.[2]1914년 12월 하순 여운형과 함께[3] 중국으로 망명하여 남경 금릉대학(南京金陵大學: 현 난징 대학교) 사범과 중문학부에 입학, 1917년 졸업했다. 1915년 중화민국(中華民国)의 금릉대학(金陵大学)(현 남경대학(南京大学))에 유학하여 1918년 상하이로 거처를 옮겼다. 거기서 여운형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国臨時政府) 국무위원 및 임시의정원을 역임했다. 1921년에는 중국 내 항일 운동 단체인 구국단(救国団)의 기관지 『구국단(救国団)』의 기자로 활동하며 중국 각지에서 항일 운동과 조선 독립 운동(朝鮮独立運動)의 연계를 모색하고, 중한 친선 및 반제국주의 활동 등에 종사했다.
2. 3. 독립운동
1915년 중화민국의 금릉대학(현 남경대학)에 유학하여 1918년 상하이로 거처를 옮겼다. 거기서 여운형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및 임시의정원을 역임했다. 1921년에는 중국 내 항일 운동 단체인 구국단의 기관지 『구국단』의 기자로 활동하며 중국 각지에서 항일 운동과 조선 독립 운동의 연계를 모색하고, 중한 친선 및 반제국주의 활동 등에 종사했다.[3] 1923년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돌아와 『동아일보』의 논설위원에 취임하는 한편,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 설립에도 화요파로서 참여했다. 이후 코민테른의 승인을 얻기 위해 소련으로 파견되었고, 이후 조선공산당 상하이부에서 활동했으나, 1928년 체포되어 조선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출옥 후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 논설위원에 취임했고, 1944년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건국동맹의 간부로 활동했다. 1945년 광복 후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장을 역임하고,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는 등 근로인민당 등에서 활동했다.2. 3. 1. 독립운동 입문
1917년 금릉대학 졸업 후 상하이에서 중국인 황자오(黃覺)가 경영하는 구국일보(救國日報)에 입사하여 기자가 되면서 언론계에 입문했고 박은식, 신규식 등이 조직한 독립운동단체인 동제사(同濟社 :1912년)에 이사로 참여하면서 독립운동에 투신했다.1918년 8월 상하이(上海)에서 여운형(呂運亨), 장덕수(張德秀), 김철(金澈).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鎭敎)등 6인과 함께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을 조직하고, 1919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파리강화회의와 미국 윌슨대통령에게 제출하기 위한 조선독립청원서를 여운형 등과 함께 영문으로 작성하였다.[4]
신한청년당은 처음에는 작은 모임이었으나 이 당의 활약으로 일본에서는 유학생들이 모여 2.8 독립선언이 국내에서는 3.1 만세운동이 발생하게 된다.[4]
2. 3. 2. 상해 임시정부 참여
1919년 4월 10일 상해 프랑스 조계지 김신부로(上海 法界金神父路) 22호에서 신한청년당원들이 주축이 되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동참하였다. 조동호는 임시의정원 충청도 대표의원과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피선되었다. 임시정부에서는 임시정부 기관지로 안창호, 이광수, 차이석, 백성욱 등과 같이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조동호의 노력으로 성경에서 그 글자체를 따서 한글 활자를 제조, 사용하였다.[3]
1921년 이동휘가 주도한 상해파 고려공산당에 입당, 고려공산당 출판부위원이 되었다.[3]
1921년엔 중국인들과 임정요인들인 노백린, 김규식, 여운형, 이유필 등과 함께 중국어에 능통하고 중국인과 친분이 두터운 유정 조동호(榴亭 趙東祜)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여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가 조직되었다.
이르쿠츠크파와 상해파의 사회주의 운동의 주도권을 둘러싼 경쟁을 하다가 이동휘와 결별하고, 이르쿠츠크파와 연대하여 1921년 7월 김만겸·여운형 등과 함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상하이 지부를 조직했다.[3] 1922년 10월 10년내에 1만명의 병력과 10만원의 자금을 모아 독립전쟁을 개시한다는 목적으로 상해 샤페이로(霞飛路) 바오캉리(寶康里) 24호 조상섭의 집에서 여운형, 김구, 이유필 등과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를 창립하는데 참여하였다. 1923년 4월 2일 한국노병회 1차 정기총회에 참석하고 노병회 교육부 부원에 임명되었다. 조동호는 곧 최석순 등과 함께 한국노병회 회계검사원에 임명되었다. 1923년 12월경 귀국하였다.
2. 3. 3. 언론 활동과 정당 활동
귀국 후 조동호는 동아일보한국어에 입사하였다. 이후 동아일보 논설위원과 동아일보 특파원 등 언론인으로 활동하였고[3][5], 1924년 11월 19일 사회주의운동단체인 화요회(火曜會)가 출범하자, 그는 화요회에도 가입, 참여하였다.[3]1925년 4월 17일 김재봉, 김찬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을 창당, 조직하는데 참여하였고[3], 조선공산당 중앙집행위원 겸 조직부 책임자로 선출되었다.[3] 25년 6월 소련에 파견되는 조선공산당 대표로 소련의 모스크바에 건너가 코민테른 위원들과 만나고 코민테른의 정식 승인을 받아왔다.[3]
1928년 2월 상해 일본 영사관 경찰에 체포, 본국으로 강제 송환되었다. 이후 경성 종로경찰서로 압송되어 서울 경성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과 증거인멸죄로 4년형을 받아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한국어 논설위원이 되었다.
2. 3. 4. 1930년대 후반
1931년 12월 만기 출옥 후 조동호는 사촌 동생 조동순의 매제인 충남 논산의 갑부 윤희중 및 그의 지인들과 상의하여 신문 창설 자금을 원조하여 줄 것을 약속받고 중앙일보를 인수했다. 이어 중앙일보는 조선중앙일보로 개칭하고 평생 동지인 여운형을 사장으로 영입하고 조동호는 편집고문, 논설위원, 주필로 활동하였다. 1933년엔 한국인 젊은 청년들을 독립운동가로 양성하기 위하여 중국으로 유학 보내다 일제에 발각되었다.1932년 11월 중국에 있던 김단야는 정태희를 시켜 여운형에게 연락하여 조동호를 상해로 내보내라는 말을 전하였다.[6] 조동호는 여운형의 부탁을 받고 정태희를 영도사 승방(僧房)에 숨겨주었다. 여운형은 조동하와 양하석을 일선에서 활동하게 하면서 조동하와 양하석을 국외로 내보낼 생각이었다.[6]
그러나 정태희가 국외로 출국하려다가 조선총독부 이동경찰에 검거당하여 신의주감옥에 수감되고 조동호도 홍증식과 함께 끌려가게 되었다.[6] 다시 신의주형무소에서 2년 반 동안 옥고를 치렀다. 1936년 3월에는 의열단원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광(朴洸)의 차녀 박소동득(小東得)과 결혼하였다.
1933년, 조동호는 『조선중앙일보』 논설위원에 취임했다.
2. 3. 5. 조선건국동맹 창건
1938년 6년반의 옥중생활과 일제의 예비검속자로 지명되어 활동을 하지 못하다가, 경북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의 사금광(砂金鑛)현장으로 피신하였으며, 대륙광업사에서 근무하였다.1941년 일본의 진주만 폭격 소식을 접하고 일본의 패망을 예견하였다. 이미 국제정세가 일제의 패망을 예고하면서 독립이 가능하다는 희망 하에 1944년 8월 10일 경성부 경운동「삼광한의원」현우현의 집에 조동호, 여운형, 김진우, 현우현, 이수목 등이 모여 비밀 결사단체인 조선건국동맹을 창건하는데 참여, 조국 해방의 준비를 하게 된다. 건국동맹에서는 군사위원회와 농민동맹을 조직했으며 위원장에는 여운형, 조동호는 내무부 담당과 군사위원회를 담당, 비밀히 활동하다가 1945년 7월 24일 부민관 사건으로 총독부 경찰의 검문 검속으로, 그해 8월 4일 이걸소·이석구 등과 함께 경성부 종로의 관철동집회소에서 총독부 경찰에 체포되어 경기도 경찰부에 투옥되었다.
2. 4. 정치 활동
1915년 중화민국(中華民国)의 금릉대학(金陵大学)(현 남경대학(南京大学))에 유학하여 1918년 상하이로 거처를 옮겼다. 거기서 여운형(呂運亨)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国臨時政府) 국무위원 및 임시의정원을 역임했다. 또한 1921년에는 중국 내 항일 운동 단체인 구국단(救国団)의 기관지 『구국단(救国団)』의 기자로 활동하며 중국 각지에서 항일 운동과 조선 독립 운동(朝鮮独立運動)의 연계를 모색하고, 중한 친선 및 반제국주의 활동 등에 종사했다. 1923년 일제강점기(日本統治時代の朝鮮) 조선으로 돌아와 『동아일보(東亜日報)』의 논설위원에 취임하는 한편,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朝鮮共産党) 설립에도 화요파(火曜派)로서 참여했다. 이후 코민테른(コミンテルン)의 승인을 얻기 위해 소련(ロシア・ソビエト連邦社会主義共和国)으로 파견되었고, 이후 조선공산당 상하이부에서 활동했으나, 1928년 체포되어 조선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출옥 후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 논설위원에 취임했고, 1944년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건국동맹(建国同盟)의 간부로 활동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朝鮮建国準備委員会) 선전부장을 역임하고,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에 참여하는 등 근로인민당 등에서 활동했다.1945년 일제가 패망한 다음날인 8월 16일 오후 1시 경기도 경찰부에서 석방, 출옥했다. 해방과 동시에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건국동맹 동지들이 건국준비위원회(위원장 여운형)를 조직했고, 조동호는 선전부장(宣傳部長)을 맡았다. 그러나 조동호는 일제 강점기 잔혹한 고문등에 시달리면서 지냈기 때문에 오랜 지병을 앓아왔었던데다 병세가 악화되어 사실상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때문에 8월 22일에 선전부장직을 사임하고 수원에 있는 누님댁으로 가서 요양생활을 하게 된다. 9월 14일 건준을 중심으로 조선인민공화국이 조직되자, 조동호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중앙위원 겸 내무부장 대리로 선출되었다.[3]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의 중앙위원이 되었고[3], 정치학교의 개교에도 참여하였으며[3], 그 해의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미·소공위는 우익세력의 반발로 무산되고 만다.
1946년 4월 실업자동맹(失業者同盟) 을 조직,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회원수는 곧 회원은 9만 5천명으로 늘어났다. 2월에는 안국동 105번지에 부지를 마련, 유정정치학교(榴亭政治學校)를 설립하여 정치인과 공무원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1947년 4월 여운형 등에 의해 근로인민당(勤勞人民黨)이 조직되자 조동호는 근민당 정치협의회 위원으로 추대되었고,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을때, 미소공위 대책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평생동지인 여운형이 7월 19일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암살 당하자 정계에서 은퇴하고 낙향하였다.
2. 4. 1. 8.15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1945년 일제가 패망한 다음날인 8월 16일 오후 1시 경기도 경찰부에서 석방, 출옥했다. 해방과 동시에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건국동맹 동지들이 건국준비위원회(위원장 여운형)를 조직했고, 조동호는 선전부장(宣傳部長)을 맡았다. 그러나 조동호는 일제 강점기 잔혹한 고문등에 시달리면서 지냈기 때문에 오랜 지병을 앓아왔었던데다 병세가 악화되어 사실상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때문에 8월 22일에 선전부장직을 사임하고 수원에 있는 누님댁으로 가서 요양생활을 하게 된다. 9월 14일 건준을 중심으로 조선인민공화국이 조직되자, 조동호는 조선인민공화국의 중앙위원 겸 내무부장 대리로 선출되었다.[3]2. 4. 2. 정당·사회단체 활동
1946년 2월 민주주의민족전선의 중앙위원이 되었고[3], 정치학교의 개교에도 참여하였으며[3], 그 해의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미·소공위는 우익세력의 반발로 무산되고 만다.1946년 4월 실업자동맹(失業者同盟) 을 조직,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회원수는 곧 회원은 9만 5천명으로 늘어났다. 2월에는 안국동 105번지에 부지를 마련, 유정정치학교(榴亭政治學校)를 설립하여 정치인과 공무원 양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1947년 4월 여운형 등에 의해 근로인민당(勤勞人民黨)이 조직되자 조동호는 근민당 정치협의회 위원으로 추대되었고, 1947년 5월, 제2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을때, 미소공위 대책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평생동지인 여운형이 7월 19일 서울 혜화동 로터리에서 암살 당하자 정계에서 은퇴하고 낙향하였다.
1915년 중화민국(中華民国)의 금릉대학(金陵大学)(현 남경대학(南京大学))에 유학하여 1918년 상하이로 거처를 옮겼다. 거기서 여운형(呂運亨) 등과 함께 신한청년당을 조직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大韓民国臨時政府) 국무위원 및 임시의정원을 역임했다. 또한 1921년에는 중국 내 항일 운동 단체인 구국단(救国団)의 기관지 『구국단(救国団)』의 기자로 활동하며 중국 각지에서 항일 운동과 조선 독립 운동(朝鮮独立運動)의 연계를 모색하고, 중한 친선 및 반제국주의 활동 등에 종사했다. 1923년 일제강점기(日本統治時代の朝鮮) 조선으로 돌아와 『동아일보(東亜日報)』의 논설위원에 취임하는 한편, 1925년에는 조선공산당(朝鮮共産党) 설립에도 화요파(火曜派)로서 참여했다. 이후 코민테른(コミンテルン)의 승인을 얻기 위해 소련(ロシア・ソビエト連邦社会主義共和国)으로 파견되었고, 이후 조선공산당 상하이부에서 활동했으나, 1928년 체포되어 조선으로 압송되어 수감되었다. 출옥 후 1933년에는 『조선중앙일보(朝鮮中央日報)』 논설위원에 취임했고, 1944년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비밀결사 독립운동 단체인 건국동맹(建国同盟)의 간부로 활동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朝鮮建国準備委員会) 선전부장을 역임하고,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에 참여하는 등 근로인민당 등에서 활동했다.
2. 5. 말년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김일성이 남침을 했을 때 조동호는 다음과 같이 예견하면서 한탄을 했다고 한다.[7]한편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에서는 북한에 협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조동호, 박일원, 김재복, 김성숙, 장건상, 조봉암 등을 지목해서 미국의 유급 간첩이라고 낙인찍고 이들은 ‘동요분자들’, ‘비겁자들’이라 했다. 그 후로 경기도 수원 교동 35번지에 살던 누님의 집과 고향을 오가면서 일제강점기 투옥 생활 중 고문으로 얻은 지병으로 투병생활을 하다가 한국 전쟁을 겪고 1954년 9월 11일 오후 1시 추석날, 고향인 옥천군 청산면 백운리에서 사망했다.
3. 사후
조동호는 사후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 해월리 산24번지 언덕에 안장되었다.
여운형과 함께 활동한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에서 좌익계 독립운동가들에 대한 공적 평가가 시작되면서 공적을 인정받았다. 2005년 3월 1일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이 결정에 따라, 경기도 이천군에 모셔져 있던 묘소를 그해 8월 30일 대전 현충원 애국지사 제3묘역으로 이장하였다.
4. 평가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연보
1892년 충청도 청산현 현내면 백운리(지금의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백운리 299번지)에서 출생하였다. 1905년 서당에서 한학을 배우다 청산사립신명학교에 입학하였다. 1908년 서울로 상경하여 경성측량학교에 입학하였다. 1910년 경성측량학교 졸업 후 측량기사로 근무하였다.
1914년 12월 중국으로 망명, 1915년 1월 난징 금릉대학교 사범과 중문학부에 입학하였다. 1916년 교민회성격을 띤 항일단체로 신규식등 동제사 단체 지도자들과 체화동락회를 조직하였다. 1917년 난징 금릉대학교 사범과를 졸업하고, 중국인 황자오가 경영하던 '구국일보(救國日報)'사와 '중화신보'(中華新報)사 기자로 입사하였다.
1918년 신한청년당을 여운형, 선우 혁, 김철, 한진교, 장덕수등 6인과 창당하였다. 1919년 4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가, 29명의 제헌의원으로 참여하여 국무위원으로 피선되었고, 8월에는 임정 기관지 독립신문을 창간하고 성경에서 자모를 따서 한글활자를 제작 사용하였다.
1920년 5월 한중호조사 설립에 한국측 간사로 참여하였고, 이동녕, 이동휘, 노백린, 신규식, 여운형, 김규식, 조완구, 최창식, 신채호 등과 고려공산당에 가입, 출판위원을 역임하였다.
1922년 1월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동민족대회'에 한국측 대표로 참석하여 <한국의 경제, 농민, 노동자의 상태와 노동자, 농민대중의 운동>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고, 10월 여운형, 김구, 이유필, 김인전등과 한국노병회를 창립하였다.
1923년 9월 3일 <전후세계 상업의 추세>라는 논설을 동아일보에 3회에 게재하였고, 12월 국내로 귀국했다가 일경에 체포되었으나 동아일보 도움으로 석방되어 낙향하였다. 1924년 1월 동아일보 논설반 논설위원으로 입사하였다.
1925년 4월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6월에는 소련에 파견되는 조선공산당 대표로 소련의 모스크바에 건너가 코민테른 위원들과 만나고 코민테른의 정식 승인을 받았다.
1928년 2월 3일 상해일본영사관경관에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 4년형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1932년 출옥한 다음해 지인의 도움을 얻어 중앙일보를 인수하였다. 1933년 여운형을 중앙일보 사장으로 추대, 중앙일보는 조선중앙일보로 개칭하고 확장되었으며 조동호는 편집고문으로 활동하였다.
1934년 청년들을 중국으로 보내 독립운동에 참여 시키려던 일이 발각되어 신의주형무소에서 2년 5개월 복역하였다. 1936년 3월 의열단원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광의 차녀 박소동득(朴小東得)과 결혼하였고, 8월 13일 손기정 선수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조선중앙일보는 이듬해 1937년 일제에 의해 영구히 폐간되었다.
1938년 요시찰인 지정으로 활동을 못하고 경북 봉화군 명호면 도천리 사금광 현장으로 은둔, 칩거하였다. 1944년 8월 10일 경성부 삼광한의원에서 여운형을 중심으로 결성한 '조선건국동맹'에 가담, 조동호는 내무부와 군사위원회를 담당하였다.
1945년 8월 4일 부민관 사건으로 관철동집회소에서 일경에 체포, 경기도 경찰부에 투옥되었다가 8월 15일 일제의 항복과 동시에 다음날 8월 16일 낮 12시경 경기도 경찰부에서 출옥하였다. 8월 17일 건국준비위원회 선전부장으로 임명되었으나, 8월 22일 모든 직을 사임하고 수원시 교동 35번지 누님댁에서 신병치료하면서 요양생활을 하였다.
1946년 실업자동맹을 조직, 위원장으로 국민 경제생활에 기여하였고, 유정정치학교를 설립하여 공무원과 정치인 양성, 미소공위 대표로 참가하였으며 좌우합작위원회에도 참여하였다. 1947년 5월 근로인민당 조직에 참가, 중앙위원과 정치협의회대표를 역임하였으나, 7월 19일 여운형이 암살되자 정계에서 은퇴하고 고향으로 낙향하였다.
1954년 9월 11일 일제 강점기 당시 고문 후유증에 시달리다 오후 1시 고향인 옥천군에서 병사하였다. 2005년 3월 1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6. 가족
조동호의 고조부는 조운종으로 조춘영의 양부이다. 생고조부는 조운망이며, 생고조모는 능성 구씨 구제원의 딸이다. 증조부는 조춘영이고, 증조모는 연안 이씨 이상우의 딸이다. 조부는 조병응이며, 조모는 동래 정씨 정기신의 딸이다.
아버지 조명하(1862년~1902년)는 한성부서윤을 지냈으며, 증 이조판서 조철명의 7대손이자 조현명, 조문명의 7대 방손이다. 어머니는 고령 박씨 박빈(1864년~1945년)으로 박영문의 딸이다. 형제로는 조동석(1884년-1943년), 조동우(1887년-1918년)가 있고, 누님 조동소(1890년-1953년)와 누이 조동숙(1897년-1947년)이 있다.
장인은 박광(朴洸, 1882년 6월 16일-1970년 3월 5일)으로, 다른 이름은 박황(朴況) 또는 근호(根浩)이며 본관은 고령이다.[8] 박광은 독립운동가로, 1977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8] 처는 박소동득(1918년-1999년)이다. 슬하에 아들 조윤구(1940년~ )와 조준구(1945년~ )를 두었다.
참조
[1]
본문
[2]
서적
조동호항일투쟁사
청아출판사
1992
[3]
웹사이트
조동호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4]
서적
한국사이야기21. 해방 그 날이 오면
한길사
2004
[5]
웹사이트
독립운동가 유정 조동호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
[6]
서적
여운형 평전
실천문학사
2009
[7]
웹사이트
조동호 기념사업회
http://www.chodongho[...]
[8]
본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