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려대학교 축구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고려대학교의 남자 축구부로, 1923년 11월에 창단되었다.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에서 12회, U리그에서 1회 우승을 차지하는 등, 1948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여러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김용식, 김정남, 남대식 등 유명 축구인들을 배출했으며, 차범근, 홍명보, 박주영 등 여러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축구단 - 연세대학교 축구단
    1916년 창단된 연세대학교 축구단은 오랜 역사와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전조선 축구대회 우승을 비롯한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FIFA 월드컵 출전 선수 및 다수의 국가대표팀 핵심 선수들을 배출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축구단 - 연세대학교 축구단
    1916년 창단된 연세대학교 축구단은 오랜 역사와 뛰어난 실력을 바탕으로 전조선 축구대회 우승을 비롯한 여러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FIFA 월드컵 출전 선수 및 다수의 국가대표팀 핵심 선수들을 배출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고려대학교 스포츠팀 - 고려대학교 농구부
    고려대학교 농구부는 농구대잔치 6회 우승, MBC배 전국대학농구대회 21회 우승 등 압도적인 기록을 보유한 한국 대학 농구의 명문으로, 수많은 국가대표 출신 명선수들을 배출하며 한국 농구 발전에 기여했다.
고려대학교 축구단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체 명칭고려대학교 축구단
원어 명칭Korea University Football Club
이전 명칭보성전문학교 축구단
국가대한민국
도시서울
협회대한축구협회
리그U리그1
창단1922년 또는 1923년 11월 15일
소유고려대학교
운영고려대학교 체육위원회
소유주김동원
감독신연호
경기장고려대학교 녹지운동장
웹사이트www.korea.ac.kr
유니폼 정보
우승 기록
대회 1전국체육대회 축구 대학부
대회 1 우승1946

2. 역사

2. 1. 창단 (1920년대)

고려대학교 체육위원회 홈페이지에는 1923년 11월 창단으로[3] 적시하고 있으나 당시 창단식 관련 문서 혹은 행사 사진 등 명확한 증거자료가 남아있는 것은 아니며 어느 순간부터 학교 문서상 1923년 11월 창단으로 내려오면서 굳어진 것이다.[4]

또한 1936년 동아일보 기사에 의하면 14년 전 봄, 즉 1922년 봄에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축구부가 창단하였다는 기사가 남아있어[5] 더 확실한 조사가 필요하다. 한편 1924년 전조선축구대회에 참가한 기록이 남아있다.[6]

2. 2. 일제강점기 (1920년대 ~ 1945년)

일제강점기 당시 불국함대와 보전군(보성전문학교 축구부)의 경기에서 어느 영국인이 축구 종가에서도 보기 힘든 훌륭한 기술이라며 감탄했다는 일화가 있다.[7]

창단 초기에는 어린 선수들로 구성되어 연전연패를 당했으나, 홍성하 선수의 노력으로 연전과 숭전을 꺾고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강기순, 김용식, 김원겸, 송기우 등 당대 유명 축구 선수들을 배출했으며, 특히 김용식 선수는 불리한 조건에서도 1936년 올림픽 대표 선수로 선발되었다.[7]

2. 3. 광복 이후 (1945년 ~ 현재)

3. 역대 주요 성적


: '''우승 (5)''': 1963, 1971, 1974, 1976, 1985

: '''준우승 (2)''': 1975, 1981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63년, 1971년, 1974년, 1976년, 1985년에 우승하였고, 1975년과 1981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우승 (1)''': 2016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U리그에서 2016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에도 우승하였다.

  •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 '''우승 (12)''': 1948, 1954, 1965, 1967, 1971, 1973, 1976, 1988, 1989, 1997, 1998, 2009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48년, 1954년, 1965년, 1967년, 1971년, 1973년, 1976년, 1988년, 1989년, 1997년, 1998년, 2009년에 우승하여 '''통산 12회 우승'''을 기록했다.
20x20픽셀

  • '''기타 대회'''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48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12번 우승하였다. 춘계연맹전에서는 1967년부터 2014년까지 총 8회 우승, 추계연맹전에서는 1967년부터 2015년까지 총 7회 우승하였다. 전국축구대회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7회 우승하였다.

3. 1. 전국축구선수권대회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63년, 1971년, 1974년, 1976년, 1985년에 우승하였고, 1975년과 1981년에는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3. 2. U리그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U리그에서 2016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2017년에도 우승하였다.

3. 3.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48년, 1954년, 1965년, 1967년, 1971년, 1973년, 1976년, 1988년, 1989년, 1997년, 1998년, 2009년에 우승하여 '''통산 12회 우승'''을 기록했다.

3. 4. 기타 대회

고려대학교 축구단은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에서 1948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12번 우승하였다. 춘계연맹전에서는 1967년부터 2014년까지 총 8회 우승, 추계연맹전에서는 1967년부터 2015년까지 총 7회 우승하였다. 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는 1963년 첫 우승을 포함하여 5번 우승하였다. 전국축구대회에서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총 7회 우승하였다.

4. 시즌별 성적

wikitable

시즌대회참가경기승점순위
1924전국체육대회 축구 청년부5100102-24강


5. 수상 기록

wikitable

시즌대회수상
1946전국체육대회우승
1947전국체육대회준우승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준우승


6. 출신 유명 축구인

1954년 FIFA 월드컵 감독을 맡았던 김용식, 1986년 FIFA 월드컵 감독 김정남,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남북 단일팀의 남측 감독이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장, 그리고 1984년부터 1997년까지 고려대학교 축구부 감독을 역임한 남대식 등이 고려대학교 축구단을 거쳐갔다.

=== 선수 ===

차범근(1972학번)은 198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강조(1979학번)는 1980년 AFC 아시안컵1984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노수진(1983학번)과 정용환(1980학번), 조민국(1982학번)은 1986년 FIFA 월드컵199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종부(1983학번)는 1986년 FIFA 월드컵에, 김판근(1983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홍명보(1987학번)는 1990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서정원(1988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봉수(1988학번)는 1988년 AFC 아시안컵1996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노정윤(1989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임생(1990학번)은 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기형(1992학번)은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였다. 김대의(1993학번)는 2002년 K리그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였다. 최성용(1993학번)은 1998년 FIFA 월드컵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차두리(1999학번)는 2002년 FIFA 월드컵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천수(2000학번)는 2002년 FIFA 월드컵200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정우(2001학번)는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박주영(2004학번)은 2006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 201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용래(2005학번)는 2011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이재성(2011학번)은 2018년 FIFA 월드컵2019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조영욱(2017학번)은 2017년 FIFA U-20 월드컵2019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6. 1. 감독

1954년 FIFA 월드컵 감독을 맡았던 김용식, 1986년 FIFA 월드컵 감독 김정남, 1991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남북 단일팀의 남측 감독이자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장, 그리고 1984년부터 1997년까지 고려대학교 축구부 감독을 역임한 남대식 등이 고려대학교 축구단을 거쳐갔다.

6. 2. 선수

차범근(1972학번)은 198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강조(1979학번)는 1980년 AFC 아시안컵1984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노수진(1983학번)과 정용환(1980학번), 조민국(1982학번)은 1986년 FIFA 월드컵199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종부(1983학번)는 1986년 FIFA 월드컵에, 김판근(1983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홍명보(1987학번)는 1990년 FIFA 월드컵, 1994년 FIFA 월드컵, 1998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서정원(1988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봉수(1988학번)는 1988년 AFC 아시안컵1996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노정윤(1989학번)은 1994년 FIFA 월드컵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임생(1990학번)은 1998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기형(1992학번)은 199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였다. 김대의(1993학번)는 2002년 K리그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하였다. 최성용(1993학번)은 1998년 FIFA 월드컵2002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차두리(1999학번)는 2002년 FIFA 월드컵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천수(2000학번)는 2002년 FIFA 월드컵2006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김정우(2001학번)는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박주영(2004학번)은 2006년 FIFA 월드컵, 2010년 FIFA 월드컵, 201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이용래(2005학번)는 2011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이재성(2011학번)은 2018년 FIFA 월드컵2019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였다. 조영욱(2017학번)은 2017년 FIFA U-20 월드컵2019년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참조

[1] 뉴스 "[2008 U리그] 축구부 전력 분석" http://kusports.kore[...] 고려대학교 체육위원회
[2] 웹인용 고려대학교 총장 약력 https://www.korea.ac[...] 고려대학교
[3] 웹인용 고려대학교 체육위원회 - 축구부 소개 http://kusports.kore[...] 2018-03-23
[4] 웹인용 고려대학교 축구부 블로그 - 고려대 축구부 연혁 http://kufc.tistory.[...] 2018-03-23
[5] 뉴스 올림픽選手(선수)낸 學園(학원)찾어 (3) http://newslibrary.n[...]
[6] 문서 1924년 전조선축구대회 경기결과 http://210.117.202.1[...]
[7] 뉴스 올림픽 선수 낸 학원 찾어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36-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