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살(Voluntary manslaughter)은 살인 의도가 있었지만, 정서적 또는 정신적 동요 상태에서 충동적으로 행동하여 발생한 살인으로, 살인의 하위 범죄로 분류될 수 있다. 자발적 과실치사는 유발에 의해 발생하며, 조력 자살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목숨을 끊는 행위로, 일부 국가에서는 과실치사로 처벌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합법화되기도 한다.

비자발적 과실치사는 고의 없이 사람을 살해하는 행위로, 구성적 과실치사와 형사적 과실치사로 구분된다. 구성적 과실치사는 불법 행위 과정에서 고의 없이 살해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형사적 과실치사는 중대한 과실 또는 무모함으로 인해 사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국가별로 과실치사에 대한 기준이 다르며,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고살과 과실치사는 역사적으로 살인과 구분되어 왔으며, 법적 구분은 고대 아테네 법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인 - 시역
    시역은 다양한 국가에서 발생한 국왕 또는 황제 암살 시도 및 사건을 다루는 주제로, 왕위 계승 규칙 확립, 사회·정치적 상황, 주요 사건, 왕권신수설, 시민혁명 시대 변화, 아시아 지역 사례 등 시대와 지역에 따른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 살인 - 우발적 살인
    우발적 살인은 도발 행위나 사건으로 인해 발생하며, 대한민국 형법상 자발적 살인과 일반 살인을 구별하는 기준이 되고, 미국의 격정, 정서적 혼란, 불완전한 정당방위 등의 요소와 함께 살인 혐의가 과실치사로 감경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 범죄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범죄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 법에 관한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법에 관한 - 검사
    검사는 검찰권을 행사하는 단독관청으로, 수사기관이자 소추기관이며, 법원에 기소하여 법의 정당한 작용을 보장하며, 기소독점주의와 기소편의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고살
개요
분류살인의 한 종류
정의과실 또는 격정에 의한 살인, 또는 고의성이 없는 살인
법적 위치살인죄보다는 가볍고, 정당방위보다는 무거운 범죄
처벌국가 및 관할 구역에 따라 다름 (징역형, 집행유예, 사회봉사 등)
유형
과실치사부주의 또는 과실로 인한 사망
우발적 살인고의 없이 발생한 살인
격정 살인격렬한 감정 상태에서 발생한 살인
상세 내용
과실치사 (Negligent Manslaughter)피고가 합리적인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자발적 살인 (Voluntary Manslaughter)피고가 격렬한 감정(분노, 공포, 절망)으로 인해 이성을 잃고 살인을 저지른 경우.
피고가 피해자로부터 심각한 도발을 받아 격분하여 살인을 저지른 경우.
비자발적 살인 (Involuntary Manslaughter)피고가 범죄 행위(경범죄)를 저지르던 중 의도치 않게 피해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법률
영국법형사 사법법 1967
미국법주마다 상이
관련 용어
영어Manslaughter
일본어故殺 (こさつ, Kosatsu)
중국어过失杀人 (Guòshī shārén) / 誤殺 (Wù shā)

2. 유형

고살은 크게 자발적 과실치사와 비자발적 과실치사로 나뉜다.

자발적 과실치사는 살해 또는 심각한 해를 가하려는 의도는 있었지만, 합리적인 사람이 정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동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우를 말한다.[2] 격정 범죄가 이에 해당한다.[4]

비자발적 과실치사는 고의 없이 사람을 죽이는 경우로, 구성적 과실치사와 형사적 과실치사로 나뉜다.[9] 구성적 과실치사는 불법 행위 과정에서 사망이 발생한 경우,[10] 형사적 과실치사는 중대한 과실 또는 무모함으로 인해 사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32]

일부 국가에서는 차량 또는 중독 과실치사라는 특정 범죄를 규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 일부 주에서는 이러한 범죄 유형을 규정하고 있으며,[16][17][18][19] 캐나다에서는 형사 과실로 인한 사망에 해당하며 최대 종신형까지 처벌받을 수 있다.[20] 대한민국에서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위험운전치사상 등으로 처벌된다.

2. 1. 자발적 과실치사

고살은 살해 또는 심각한 해를 가하려는 의도는 있었지만, 합리적인 사람이 정서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동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경우이다.[2] 피고인이 심각한 신체적 상해를 가하려는 의도만으로 살해한 경우처럼, 책임감을 줄여주는 정황이 있다면 고살에 해당할 수 있다.[3]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고살을 살인의 하위 범죄로 간주한다. 전통적으로 감경 요인은 유발이었지만, 여러 관할 구역에서 다른 요인들이 추가되었다.

고살의 가장 흔한 유형은 피고인이 살인을 저지를 때 유발되는 경우로, 격정 범죄라고도 한다.[4] 대부분 유발은 피고인에게 분노나 격노를 유발해야 하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공포, 테러 또는 절망도 충분하다고 판결했다.[5]

2. 1. 1. 조력 자살

조력 자살은 다른 사람, 때로는 의사의 도움을 받아 자살하는 행위이다.

스위스[7], 캐나다[8], 미국의 일부 주[6]에서는 법적 안전 장치가 준수되는 한 조력 자살이 합법이다. 그러나 미국 일부 지역을 포함한 몇몇 지역에서는[6] 조력 자살이 과실 치사로 처벌받는다.

2. 2. 비자발적 과실치사

고의 없이 사람을 죽이는 과실치사는 고의가 없다는 점에서 고의적 과실치사와 구별된다. 과실치사는 구성적 과실치사와 형사적 과실치사로 나뉜다. 구성적 과실치사는 불법 행위 과정에서, 형사적 과실치사는 중대한 과실 또는 무모함으로 인해 사망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2. 2. 1. 구성적 과실치사

불법 행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실치사는 구성적 악의 교리에 기반한다. 이 교리는 범죄를 저지를 때 내재된 악의적 의도가 해당 범죄의 결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즉, 누군가가 불법 행위를 저지르는 과정에서 고의 없이 사람을 죽이는 경우, 범죄에 포함된 악의가 살해로 이전되어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된다.[9]

예를 들어, 무면허 운전을 하다가 빨간 신호등을 무시하고 길을 건너는 사람을 쳐서 사망하게 한 경우, 살해 의도는 없었지만 과실치사로 간주된다.[10] 이처럼 사망을 야기한 피고인의 책임은 경미한 범죄 행위에서 비롯된 과실로부터 구성된다. 무모한 운전이나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무기의 무모한 취급 또한 과실치사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조심스럽게 운전하다가 갑자기 길로 튀어나온 아이를 친 경우에는 과실치사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우발적인 사망으로, 과실치사와 구별된다.

호주에서는 과실치사가 법률로 정의되지 않아 판례를 통해 판단한다. 불법적이고 위험한 행위로 인한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으려면, 피고가 형법을 위반하는 불법 행위를 저질렀고, 피고인의 입장에 있는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자신의 행위가 피해자에게 심각한 부상의 위험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았어야 한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한다.[12][13]

2. 2. 2. 형사적 과실치사

형사적 과실치사는 미국에서는 여러 가지로 형사적 과실 살인으로, 잉글랜드웨일스에서는 중과실 과실치사로 불린다. 스코틀랜드와 일부 영연방 관할 구역에서는 과실 치사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32]

이는 중대한 형사 과실 또는 일부 관할 구역에서 중대한 무모함으로 인해 사망이 발생한 경우에 발생한다. 형사 책임을 지우려면 고도의 과실이 필요하다.[32]

형사적 과실 과실치사는 의무가 있을 때 행위를 하지 않거나, 져야 할 의무를 다하지 않아 사망에 이르는 경우에 발생한다. 의무의 존재는 필수적인데, 왜냐하면 법은 피해자에게 특정 의무가 없는 한 행위 부작위에 대해 형사 책임을 부과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직무 수행 과정에서 중대한 과실을 저지르는 전문가의 경우에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의사가 환자의 산소 공급이 연결 해제된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14] 또 다른 예로는 더운 날씨에 아이를 차 안에 가둬두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15]

일부 관할 구역, 예를 들어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16][17][18][19] '''차량''' 또는 '''중독 과실 치사'''라는 특정 범죄가 존재한다. 캐나다에서는 형법에 따라 형사 과실로 인한 사망이 이에 해당하며, 최대 처벌은 종신형이다.[20]

2. 2. 3. 차량 및 중독 과실치사

일부 국가에서는 '''차량''' 또는 '''중독 과실 치사'''라는 특정 범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일부 주에서 이러한 범죄 유형을 규정하고 있다.[16][17][18][19] 캐나다에서는 형법에 따라 형사 과실로 인한 사망이 이에 해당하며, 최대 처벌은 종신형이다.[20] 대한민국에서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위험운전치사상 등으로 처벌된다.

3. 국가별 기준

대한민국에서는 과실치사가 형법 제267조에 규정되어 있다. 과실로 인하여 사람을 사망에 이르게 한 자는 2년 이하의 금고 또는 700만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1]

3. 1. 호주

호주, 특히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는 과실치사가 《1900년 범죄법》(뉴사우스웨일스)에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다.[28] 따라서 판례를 통해 과실치사 여부를 판단한다.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과실치사는 자발적 과실치사와 비자발적 과실치사로 나뉜다. 자발적 과실치사는 살인에 대한 고의와 행위가 모두 입증되지만, 피고인이 극심한 도발이나 책임 능력 감퇴와 같은 부분적인 변호 사유를 가질 때 성립한다.[29][11] 비자발적 과실치사는 살인 행위는 존재하지만, 살인 혐의를 성립시킬 만한 충분한 고의가 없을 때 발생한다.

일반법상 비자발적 과실치사는 다시 불법적이고 위험한 행위에 의한 과실치사와 형사 과실에 의한 과실치사로 분류된다.

  • 불법적이고 위험한 행위에 의한 과실치사: 호주 고등법원 사건인 *Wilson v R*[30]에 따르면, 사망을 야기한 행위가 형법을 위반해야 하고, 심각한 부상의 상당한 위험을 수반해야 한다. 또한, 피고인이 불법 행위를 저지를 의도가 있었고, 피고인의 입장에 있는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그 행위가 심각한 부상의 상당한 위험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라는 점이 입증되어야 한다.

  • 형사 과실에 의한 과실치사: *Nydam v R*[31] 사건에서 확립되었으며, *R v Lavender*[32] 및 *Burns v R*[33] 사건에서 호주 고등법원에 의해 확인되었다. 검찰은 피고의 행위가 의식적이고 자발적이었으며, 사망이나 심각한 신체적 상해를 야기하려는 의도는 없었지만, 합리적인 사람이라면 주의 의무를 크게 위반하고 사망 또는 심각한 신체적 상해의 높은 위험을 초래하여 형사 처벌을 받을 만하다고 판단할 정도였음을 입증해야 한다.[31]

3. 2. 캐나다

캐나다 법은 정당방위, 우발적 살인, 과실치사를 구분한다. 과실치사는 사망을 야기할 의도는 없었지만, 해를 가할 의도가 있었을 수 있는 살인으로 정의된다. 과실치사는 크게 불법 행위와 형사 과실의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34]

불법 행위는 사람이 다른 사람의 죽음을 의도치 않게 초래하는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이다.[35]

형사 과실은 타인의 생명에 대한 무모하거나 무자비한 무시를 보여주는 행위의 결과로 살인이 발생한 경우이다.[36]

캐나다에서는 형법에 따라 형사 과실로 인한 사망이 차량 또는 중독 과실치사에 해당하며, 최대 처벌은 종신형이다.[20]

3. 3. 영국 (잉글랜드 및 웨일스)

영국법에서 과실치사는 살인보다 덜 심각한 범죄이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는 살인 혐의를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며, 판사 또는 변호인은 과실치사를 선택 사항으로 제시할 수 있다 ( 하위 포함 범죄 참조). 그러면 배심원은 피고인이 살인 또는 과실치사에 대해 유죄인지 무죄인지 결정한다. 과실치사는 피고인이 살인에 필요한 고의|mens reala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일 수 있다.[24]

과실 치사는 일반적으로 ''자발적 과실 치사''와 ''비자발적 과실 치사''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21] 자발적 과실치사는 피고인이 살인법 1957에 명시된 두 가지 법적 방어 수단(심신 미약과 자살 합의)을 이용할 때 발생한다. 비자발적 과실치사는 가해자가 살인할 의도(고의|mens reala)가 없지만 무모함 또는 형사 과실로 인해 타인의 죽음을 초래했을 때 발생하며, 건설적 과실치사와 중과실 과실치사로 세분될 수 있다.

관련된 법률로는 살인법 1957과 검시관 및 정의법 2009이 있다.

3. 4. 미국

미국에서 과실치사는 살인보다 덜 비난받을 만한 방식으로 타인의 죽음을 초래하는 범죄이다. 주마다 정의가 다를 수 있지만, 자발적 과실치사와 비자발적 과실치사 사이의 구분을 따르는 일반적인 원칙을 따른다.

3. 5. 일본

일본에서 과실치사는 "사망에 이르게 하는 상해"라는 명칭으로 범죄로 규정된다. 이는 "타인에게 사망에 이르게 하는 상해를 입히는 것"으로 정의된다. 과실치사의 최소 형량은 3년이며, 최대 형량은 명시되어 있지 않아 사실상 종신형이다.[37]

4. 시민법

일부 시민법 국가, 예를 들어 프랑스이탈리아에서는 살인(고의적 살인), 초과고의 살인(과실치사), 과실치사를 구분한다.[1] 이탈리아 형법은 제575조에서 살인(고의적 살인), 제584조에서 초과고의 살인(과실치사), 제589조에서 과실치사를 규정한다.[1]

5. 역사적 구분 (살인과의 비교)

고의적인 살인과 과실치사에 대한 법적 구분은 기원전 409년 드라콘의 법전에서 비롯되었다. 드라콘 법전은 고의적인 살인(''hekousios phonos'' 또는 ''phonos ek pronoias'')은 사형에 처한다고 명시하면서 아테네 법에 이 구분을 도입하였다.[55] 과실치사(''akousios phonos'')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추방형에 처해졌을 수 있다.[56][57] 그러나 학자 데이비드 D. 필립스는 아테네 법에서 고의적인 살인이 살인과 자발적 살인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이러한 범주가 "원래 의미나 현재 정의에서 살인 및 과실치사의 일반 법률 범주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57]

1200년대 후반, 중세 잉글랜드에서 정당방위에서 불가피하게 저지른 살인(유죄는 아니지만 사면)과 사고로 저지른 살인(사면되지만 도덕적 비난을 받음) 사이의 구분이 형성되면서 "과실치사"가 살인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었다.[58] 1390년부터 정당방위나 불운에 의한 살인은 "당연한 사면"이 되었는데, 이는 재판소가 기본적으로 사면을 발행한다는 의미였다.[58] 이후 정당방위에서 불가피하게 저지른 살인은 사면 대신 무죄로 판결되었다.[58] 1547년 법령에서 살인이 아닌 살인에 "과실치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나타났다.[58] 에드워드 코크는 ''영국 법률 연구소 제3부''에서 이러한 구분을 확인했으며, 이는 영국 및 기타 관습법 국가에서 "살인법에 대한 모든 검토의 권위 있는 출발점"으로 남아있다.[59]

참조

[1] 서적 From Solon to Socrates: Greek History and Civilization During the 6th and 5th Centuries B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73
[2] 논문 Some Provoking Aspects of Voluntary Manslaughter Law 1981-07-01
[3] 서적 Textbook on Criminal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 논문 Rethinking heat of passion: A defense in search of a rationale http://scholarlycomm[...] 1982-Summer
[5] 서적 Myths and Realities of Crime and Justice: What Every American Should Know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Publishers 2009
[6] 웹사이트 Patients Rights Council http://www.patientsr[...] 2017-01-06
[7] 뉴스 Tourism to Switzerland for assisted suicide is growing, often for nonfatal diseases https://www.washingt[...] 2014-09-22
[8] 웹사이트 Assisted Suicide http://eol.law.dal.c[...] Health Law Institute, Dalhousie University
[9] 웹사이트 Involuntary Manslaughter https://ipsaloquitur[...] 2019-08-15
[10] 문서 AC 500 1977
[11] AustLII null
[12] AustLII null
[13] AustLII null
[14] BAILII
[15] 뉴스 Alabama grandfather is charged in hot car death of toddler, drove vehicle 3 times that day, prosecutor says https://www.nbcnews.[...] 2022-09-22
[16] 웹사이트 New York Penal Code, Sec. 125.13. Vehicular manslaughter in the first degree. https://www.nysenate[...]
[17] 웹사이트 California Penal Code, Sec. 192(c) https://leginfo.legi[...] California Legislature
[18] 웹사이트 Wisconsin Statutes, Sec. 940.09. Homicide by intoxicated use of vehicle or firearm. https://docs.legis.w[...]
[19] 웹사이트 Texas Penal Code, Sec. 49.08. Intoxication Manslaughter http://www.statutes.[...]
[20] 웹사이트 Criminal Code (R.S.C., 1985, c. C-46), Sec. 220, Causing Death by Criminal Negligence http://laws-lois.jus[...] Government of Canada
[21] 웹사이트 Manslaughter https://www.law.corn[...] Cornell Law School 2009-07
[22] 웹사이트 Florida Statutes, Sec. 782.07. Manslaughter http://www.leg.state[...] State of Florida
[23] 웹사이트 Provocation as a Partial Justification and Partial Excuse http://scholarship.l[...] University of Pennsylvania Law School 2011
[24] 웹사이트 Loss Of Control And Diminished Responsibility https://www.oxbridge[...]
[25] 웹사이트 CED, an Overview of the Law — Criminal Law – Defences: Provocation http://www.westlawne[...] Thomson Reuters 2015-04-14
[26] 뉴스 Supreme Court dismisses 'provoked' defence claim in murder cases https://beta.theglob[...] Globe and Mail 2013-10-25
[27] 웹사이트 Provocation as a Defence to Murder https://www.ncjrs.go[...] Government of Australia "1979"
[28] Legislation Murder and manslaughter defined.
[29] Legislation null
[30] AustLII null
[31] AustLII 1976-12-17
[32] AustLII 2005-08-04
[33] AustLII 2012-09-14
[34] 웹사이트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Criminal Code https://laws-lois.ju[...] 2021-08-27
[35] 뉴스 Murder vs. manslaughter https://www.cbc.ca/n[...] 2012-02-24
[36] 웹사이트 Murder vs. Manslaughter http://www.cbc.ca/ne[...] 2017-09-10
[37] 웹사이트 PENAL CODE (Japan) https://www.cas.go.j[...] 2023-05-04
[38] 서적 Droit pénal spécial - Infractions du Code pénal. 8e éd. - Infractions du Code pénal https://books.google[...] Editis - Interforum 2018-05-23
[39] 웹사이트 Article 221-1 - Code pénal - Légifrance https://www.legifran[...] 2024-02-19
[40] 서적 French Criminal Justice: A Comparative Account of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of Crime in Franc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05-11-08
[41] 서적 Criminal Law of France https://books.google[...] Independently Published 2017-06-26
[42] 웹사이트 Article 221-6 - Code pénal - Légifrance https://www.legifran[...] 2024-02-19
[43] 서적 Public Health Crisis Management and Criminal Liability of Governmen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VID-19 Pandemic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3-06-15
[44] 서적 French Criminal Law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1-05
[45] 서적 Droit pénal général 2024 15ed https://books.google[...] Groupe Lefebvre Dalloz 2023-10-12
[46] 웹사이트 Article 222-7 - Code pénal https://www.legifran[...] 2024-02-19
[47] 웹사이트 Strict-Liability como forma de imputación jurídico https://indret.com/w[...] 2024-02-19
[48] 서적 Criminal Law in Italy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B.V. 2020-10-20
[49] 웹사이트 Codice Penale-art. 575 https://www.gazzetta[...] 2024-02-19
[50] 서적 I delitti di omicidio https://books.google[...] Giappichelli 2016-11-25
[51] 웹사이트 Codice Penale-art. 584 https://www.gazzetta[...] 2024-02-19
[52] 서적 Mens rea https://books.google[...] Utet 1992
[53] 웹사이트 Codice Penale-art. 589 https://www.gazzetta[...] 2024-02-19
[54] 서적 The Handbook of Comparative Criminal Law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12-01
[55] 간행물 "Apagoge" in Homicide Cases http://www.ledonline[...] 2000
[56] 서적 Drakon and early Athenian homicide law https://archive.org/[...] Yale U.P. 1981
[57] 웹사이트 Phonos as a Term of Athenian Law: "Homicide" or "Killing," Not "Murder/Manslaughter" https://camws.org/me[...]
[58] 웹사이트 Brown, Bernard --- "The Emergence Of The Psychical Test Of Guilt In Homicide, 1200-1550" [1959] UTasLawRw 4; (1959) 1(2) University of Tasmania Law Review 231 http://classic.austl[...] 2018-12-04
[59] 웹사이트 Waller, Louis --- "The Tracy Maund Memorial Lecture: Any Reasonable Creature in Being" [1987] MonashULawRw 2; (1987) 13(1) Monash University Law Review 37 http://classic.austl[...] 2018-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