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지대선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지대선사는 고려 예종의 서자로, 1102년에 태어났다. 9세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1116년 승려 과거에 급제하고, 1119년 법주사 주지가 되었다. 이후 삼중대사, 선사를 거쳐 1147년 대선사가 되었고, 의종으로부터 광지라는 법명을 받았다. 1158년에 사망했으며, 묘지명을 통해 그의 생애를 확인할 수 있다. 드라마 《무인시대》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58년 사망 - 고시라카와 천황
고시라카와 천황은 토바 천황의 아들로 예상 외로 황위에 올라 다섯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펼치며 호겐의 난과 헤이지의 난, 겐페이 전쟁 등 격동의 시대를 관통한 인물이다. - 1158년 사망 - 볼로냐의 그라티아누스
볼로냐의 그라티아누스는 12세기의 교회법학자로, 《불일치하는 교회법령 조화집》을 통해 교회법을 체계화하고 양검론, 정당 전쟁론, 이자 금지론 등의 사상을 제시했다. - 1102년 출생 - 마틸다 (잉글랜드)
잉글랜드 왕 헨리 1세의 딸이자 신성 로마 제국 황후였던 마틸다는 12세기 잉글랜드 왕위 계승 분쟁 시기에 왕위를 주장했으나, 비록 왕위에 오르지 못했지만 아들 헨리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며 플랜태저넷 왕조를 열었다. - 1102년 출생 - 양홍옥
양홍옥은 송나라 시대의 여성으로, 무술에 능하며 남편 한세충과 함께 항금 전쟁에 참여하여 황천탕 전투에서 북을 치며 군대를 지휘해 승리에 기여했고, 빈국부인으로 추증되었다. - 고려 예종 - 숙비 최씨 (예종)
숙비 최씨는 해주 최씨 출신으로 고려 예종의 후궁이 되어 아들 왕각관을 낳았고, 인종 때 숙비에 책봉되었다. - 고려 예종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 광지대선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광지대선사 |
| 작위 | 대선사 |
| 별칭 | 자 각로(覺老) 호 영원수(靈源叟) |
| 휘 | 지인 |
| 왕가 | 고려 |
| 아버지 | 예종 |
| 어머니 | 은씨 |
| 출생일 | 1102년 음력 6월 26일 |
| 출생지 | 고려 |
| 사망지 | 고려 |
| 사망일 | 1158년 음력 8월 12일 |
| 사망 원인 | 병사 |
| 매장지 | 조양산 동쪽 |
| 거주지 | 고려 |
| 국적 | 고려 |
| 종교 | 불교 |
2. 생애
광지대선사는 고려 예종의 서자로 태어나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1116년(예종 11년) 승려 과거에 급제한 후 법주사 주지 등을 역임하고, 삼중대사, 선사를 거쳐 대선사에 올랐다. 1149년(의종 3년)에는 의종으로부터 '광지(廣智)'라는 법명을 받았다.[1] 지방 여러 절에 은거하다가 의종의 요청으로 1157년(의종 11년) 궁에 들어갔으나, 1158년(의종 12년) 다리 병으로 사망하였다.[2]
광지대선사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에서는 찾을 수 없고, 한림원의 임종비가 지은 묘지명인 《지륵사광지대선사묘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2] 이 묘지명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2. 1. 출생과 출가
고려 제16대 예종의 서자로, 어머니는 후궁 은씨이다. 1102년(숙종 7년) 음력 6월 26일 사저에서 태어났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며, 인종의 서형이다. 예종의 모습과 목소리를 많이 닮아 예종이 각별히 아꼈다.[1]1110년(예종 5년) 왕명에 의해 9세의 나이로 출가하여 혜소국사에게 의탁하였다.[1]
2. 2. 승려 생활과 법계
1110년(예종 5년) 왕명에 의해 9세의 나이로 출가하여 혜소국사에게 의탁하였으며, 1116년(예종 11년) 승려의 과거에 급제하였다.[1] 1119년(예종 14년) 법주사의 주지가 되었고, 1127년(인종 5년) 삼중대사, 1132년(인종 10년) 선사를 거쳐 1147년(의종 원년) 대선사에 올랐다.[1] 1149년(의종 3년) 의종으로부터 '''광지'''(廣智)라는 법명을 하사받았다.[1] 승려로 있으면서 법주사 이외에도 덕주사 등의 주지를 지냈다.[1]2. 3. 은거와 입궁
이후 영평(현재의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의 금강사 등 지방의 여러 절에 은거하면서 지냈으며, 의종이 지속적으로 개경으로 오기를 청하였으나 사양하다가 1157년(의종 11년)에야 겨우 궁에 들어갔다.[1]2. 4. 사망
1158년(의종 12년) 음력 7월 다리에 병이 생겼는데, 낫지 않고 계속 심해지다가 결국 음력 8월 12일 향년 57세로 사망하였다.[2] 그 해 음력 11월 28일 조양산 동쪽에 매장되었다.[2]3. 가족 관계
| 아버지 | 어머니 |
|---|---|
| 예종 | 은씨(殷氏) |
4. 기타
광지대선사의 생애는 《고려사》에 기록되지 않았고, 한림원의 임종비가 지은 묘지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2]. 이 묘지명은 《지륵사광지대선사묘지》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3].
4. 1. 등장 작품
KBS 드라마 무인시대 (2003년~2004년)에서 이동신이 광지대선사 역을 연기하였다.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주 왕룡사원 목조아미타여래좌상
https://terms.naver.[...]
[2]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광지대선사지인묘지명
http://gsm.nricp.go.[...]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지륵사광지대선사묘지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