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법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명은 불교 신자가 받는 불교적 이름으로,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 특별한 의식을 통해 받을 수 있다. 불교적 가르침을 따르는 삶을 상징하며, 새로운 시작과 변화를 의미한다. 법명은 불교 종파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출가 시, 또는 수계 의식이나 장례 의식 등에서 받는다. 한국 불교에서는 출가 시 법명을 받으며, 재가 신자는 수계 의식을 통해 법명을 받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고인이 된 사람에게 계명을 수여하는 풍습이 있으며, 이는 고인의 사후 안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법명과 계명은 그 구성 요소와 부여 방식,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해 논란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와 죽음 - 즉신성불
    즉신성불은 일본 수험도에서 비롯된 불교 수행법으로, 승려들이 엄격한 식이요법과 고행을 통해 미라 상태로 몸을 만들어 단 한 번의 생애에서 깨달음을 얻고자 했던 수행 방식이다.
  • 불교와 죽음 - 바르도 (불교)
    바르도는 불교에서 현생과 내세 사이의 중간 상태로, 죽은 자가 다음 생을 얻기 전까지 머무는 중간계를 의미하며, 티베트 불교에서는 여섯 중간계로 세분화하여 설명하고, 다양한 불교 학파의 견해와 동아시아 및 한국 불교 의례에 영향을 미쳤다.
  • 불교의 역사 - 일본의 불교
    일본의 불교는 6세기 백제에서 전래되어 중국과 한국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스카 시대부터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종파가 등장하고 발전하여 사회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불교의 역사 - 룸비니
    룸비니는 네팔에 위치한 석가모니 부처의 탄생지로, 아쇼카 왕의 기둥 비문과 마야데비 사원 발굴 조사로 역사적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불교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지만, 탄생지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법명
일반 정보
이름법명
한자 표기法名, 法號, 戒名, 法諱
로마자 표기ming
hao
광둥어 표기ming
hou
일본어 표기戒名 (かいみょう, kaimyō)
한국어 표기법명 (法名)
문화어 표기법명 (法名)
몽골어 표기номын нэр
태국어 표기ฉายา
버마어 표기ဘွဲ့ (bwɛ̰)
베트남어 표기pháp danh
쭟놈 표기法名
정의
설명불교 입문 및 수계 의식 중에 받는 새로운 이름이다.

2. 불교 전통에서의 법명

불교에서는 출가 수행자뿐만 아니라 재가 신자도 특별한 의식을 통해 법명을 받을 수 있다. 법명은 불교적 가르침을 따르고 수행하는 삶을 상징하며, 새로운 시작과 변화를 의미한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남전 불전에 남아있는 아라한의 이름을 따서 법명을 짓기 때문에 "'''법명'''(Dharma name)"이라고 부른다. 사미계(십계)를 받을 때 스승에게서 계명을 받으며 이전의 속명을 버린다.

불교가 중국에 전해질 때, 산스크리트어팔리어로 된 인도의 계명을 중국어로 번역하면서 축법호진제와 같은 중국풍의 계명이 생겨났다. 이는 시호도호 등의 호 제도를 원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는 불교와 함께 계명이 전해졌다. 헤이안 시대 말기에는 사후에 성불한다는 사상에 따라 고인에게 계명을 주어 사후 안녕을 기원하는 풍습이 생겼는데, 이는 일본만의 독특한 불교 문화이다.[18] 정토진종에서는 계명 대신 '''법명'''을, 일련종 등 법화계 불교 종파에서는 '''법호'''(반드시 "일호"가 붙는다)를 사용한다. 현대에는 장례식에서 법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계회나 오중상전회 같은 법회나 강습회에 참가한 재가 신도에게 생전에 법명을 주기도 한다.

2. 1. 법명의 의미와 중요성

법명은 불교에서 새로 태어남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름이다. 이는 세속적인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겠다는 다짐을 나타낸다.[17]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산스크리트어팔리어로 된 인도의 계명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중국풍의 법명이 생겨났다. 이는 호를 사용하는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17]

중국에서는 불제자로서 새롭게 갖는 참된 이름이라는 의미에서 법명을 '법휘'라고도 불렀다. 현대 중국 문화권의 승려들은 '석(釋) + ○○' 형식의 법명을 사용하는데, 이는 석가모니의 제자임을 나타내는 '석(釋)'을 성으로 삼는 것에서 유래한다.[17]

일본에서는 불교 전래와 함께 계명이 전해졌고, 헤이안 시대 말기에는 죽은 사람에게 계명을 주어 사후의 안녕을 기원하는 풍습이 생겨났다. 이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이다.[18]

현대에는 장례식에서 법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생전에 수계회 등의 법회에 참가하여 법명을 받는 경우도 있다. 법명은 기본적으로 두 글자로, 부처의 세계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법명 외에도 원호, 도호, 위호 등 다양한 호칭이 있는데, 이는 생전의 업적이나 사찰에 대한 공헌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거사'나 '대자'는 독실한 신자에게, '신사'나 '신녀'는 불교 신자로서 계율을 지키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호칭이다.

원호는 원래 황족이 사찰 건립 등의 시주를 했을 때 주어졌으며, 원전호는 다이묘무사가 사찰에 토지나 건물을 기증했을 때 주어졌다. 메이지 유신 이후에는 전쟁에서 전사한 사람들에게 국가에 대한 공헌을 기리는 의미로 원호가 부여되기도 했다.[19],[20]

도호는 진언종, 천태종, 정토종 등에서 사용되는 호칭으로, 중국에서 유래하여 일본에 전해졌다.

2. 2. 다양한 전통과 명명 관습

불교에서는 출가 득도하여 를 받으면 스승으로부터 불제자가 되었음을 뜻하는 새로운 이름을 받는데, 이를 '''법명'''(法名)이라고 한다. 법명은 불교의 다양한 종파와 지역적 전통에 따라 다르게 부여된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남전 불전에 남아있는 아라한의 이름을 따서 법명을 짓는다. 계율 규정에서는 처음 사미계(십계)를 받을 때 스승으로부터 계명을 받으며 이전의 속명을 버린다.

중국에 불교가 전해질 때, 산스크리트어팔리어였던 인도의 계명을 중국어로 번역할 필요가 생겨, 축법호진제와 같은 중국풍의 계명이 만들어졌다. 일설에는 시호도호 등의 호 제도를 원용했다는 설도 있다. 중국에서는 불제자로서 새롭게 갖는 참된 이름이라는 의미에서 "법휘"(법휘, 법기)[17]라고도 한다. 현재 중국 문화권 승려의 법명은 "釋+○○"인데, 이는 석도안이 석가모니의 제자로서의 모습을 중시하여 '''석씨'''를 칭한 것에서 유래한다. 일부 승려는 자칭할 때 일시적으로 생전의 성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 진현장, 마조도일, 노지심)

일본에는 불교 전래와 함께 계명이 전해졌다. 헤이안 시대 말기 사생관 변화에 따라, 사후에 성불한다는 사상 아래 고인에게 계명을 수여하고 사후 안녕을 기원하는 풍습이 생겨났다. 이는 불교 국가 중 일본에만 있는 독특한 것이다[18]정토진종에서는 계명이라 하지 않고 '''법명'''이라 하며, 일련종 등 법화계 불교 종파에서는 '''법호'''라 하며 반드시 "일호"가 붙는다. 현대에는 장례식에서 법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수계회나 오중상전회 등 법요나 강습회에 참가한 재가 신도에게 생전에 법명을 수여하기도 한다.

법명은 기본적으로 두 글자로 표현된다. 신분 고하나 불교에 대한 열심, 공헌도에 관계없이 부처의 세계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시 1 「OO院△△'''XX'''거사」

:예시 2 「○○院ΔΔ'''××'''대자」

위 예시에서 「OO」,「○○」는 원호, 「△△」,「ΔΔ」는 도호, 「'''XX'''」,「'''××'''」는 법명, 「거사」,「대자」는 위호이다. 위패·묘지·과거장·법명축 등에는 법명 앞뒤에 원호·도호·위호 등의 호를 붙이기 때문에, 그 전부를 '법명'으로 보기도 한다. 정토진종은 '법명'을 사용하지만, 석가모니의 제자가 된다는 의미로 '석XX(남성)''석니XX(여성)'와 같이 법명 앞에 '석'(釋)자를 더한다. (예: 가츠라 우타마루→釋歌丸) 다이묘 가문이나 명문가에서는 법명에 통자가 사용되기도 한다.

계명에는 "신사"(信士)(신녀(信女))나 "거사"(居士)(대자(大姉)), "원호"(院号) 등의 위호(位号)가 붙는데, 이는 고인의 생전 사회에서의 업적, 혹은 사찰에의 공헌도에 따라 달라진다. 율종(律宗)이나 정토진종(浄土真宗)에서는 위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거사・대자''': 인도장자를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독실한 신자에게 수여되며, 특히 열심인 신자에게는 "대거사", "청대자"가 수여된다.
  • '''신사신녀''': 우바새・우바이라는 불교 신자로서, 오계십선계를 지키는 성인 남녀에게 붙여진다. 성인의 나이는 여러 설이 있지만, 18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파에 따라 "청사", "청녀", "청정사", "청정녀", "선사", "선녀"라고도 한다.
  • '''동자・동녀''': 미성년에 사망하고 삭발, 득도하지 않은 사람에게 붙여진다. 미성년 나이는 여러 설이 있지만, 18세 미만, 4~17세에 붙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파에 따라 "대동자", "대동녀", "청동자", "청동녀", "선동자", "선동녀" 등으로 불린다.
  • '''해자・해녀''': 2~3세에 사망한 유아에게 붙여진다.
  • '''영자・영녀''': 0~1세에 사망한 유아에게 붙여진다.
  • '''수자''': 사산이나 유아기에 사망한 사람에게 붙여진다. 정식으로는 "스이시" 또는 "스이지"라고 읽지만, 최근에는 "미즈코"라고 읽는 경우가 많다.


「원호(院号)」「원전호(院殿号)」는 생전에 사찰이나 종파에 많은 공헌을 하거나, 사회적으로 높은 공헌을 한 자에게 수여되는 현창 목적 호칭이다. 「원호」는 원래 황족이 사찰 건립 등 불교적 시주를 했을 때 그 덕을 칭송하여 수여했다. 「원전호」는 다이묘 가문이나 무사가 사찰에 토지나 건물을 기증했을 때 수여되었다. 쇼군 가문이나 다이묘 가문에서는 사후 고문서·고기록에서 계명으로 불리지만, 이는 귀인의 실명을 호칭하는 것을 꺼리는 습속(피휘) 때문이다. 원래 원전호보다 원호가 격이 높다고 여겨졌지만, 2019년 현재에는 글자 수나 외관 등으로 원전호 쪽이 더 높게 여겨진다.

메이지 유신 이후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등에서 전사한 사람들에게는 국가 공헌 증거로 "충렬원(忠烈院)", "순국원(殉國院)", "보국원(報國院)"[19], "창국원(彰国院)"[20] 등의 원호가 부여되는 경우가 많다.

킨지인 소덴처럼 생전부터 계명 위에 원호를 붙여 칭하는 사람도 있다. 이는 사찰명·원호가 원래 승려 주방 이름·개기(開基)가 된 사원 이름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원방 이름인 경우와, 법화종 고승(불성원 니치오)이나 진종 본사 주지(신락원 케뇨)와 같이 칭호나 사후 시호인 경우가 있다. 율종에서는 원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원호 정도는 아니지만, 사찰이나 종파에 기여한 사람, 사회에 공헌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호로는 암호(庵号)와 헌호(軒号)가 있다. "암호"는 비교적 소규모 사찰을 의미하는 암(庵)에서 유래하며, 다이묘 부인이나 딸이 화장지나 건물을 기증한 데에서 유래한다. "헌호"는 대사찰 주지(住職)가 은퇴한 노승이 은거할 때 거처하는 요사(寮舍, '''헌(軒)''') 명칭에서 유래한다. 주로 선종(禅宗)(임제종(臨済宗)과 조동종(曹洞宗)) 신도에게 주어지며, 원래는 대사찰 부지 내에 건물을 한 채 기증한 신자에게 주어졌다.

계명 위에 붙는 두 글자 호칭으로, 진언종, 천태종, 정토종, 임제종, 조동종, 닛렌종 등에서 도호(道號)가 사용된다. 중국에서 생겨, 자에 해당한다는 설 등이 있으며, 그것이 선승에 의해 일본에 전해졌다. 잇큐 소준처럼 생전부터 계명 위에 도호를 붙여 칭하는 자도 많다. 율종과 정토진종 (고전파 제외)에서는 도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각 종파별 법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지역, 사찰 등의 관습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종파특징
율종계명 아래에 "보살" 2글자가 붙는다.
천태종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인다. 여성 계명에는 "묘"호가 많이 사용된다. (예) 청추원천화묘령대사 등
진언종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인다.
정토종(진서파)誉号는 오중상전을 받은 자에게 붙인다. 계명은 원호, 誉号 또는 공호, 도호, 계명, 위호 순, 원호, 誉号 또는 공호, 계명, 위호 순,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의 3가지가 있다.
정토종 서산파공호는 오중상전을 받은 자에게 붙인다. 계명은 원호, 誉号 또는 공호, 도호, 계명, 위호 순, 원호, 誉号 또는 공호, 계명, 위호 순,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의 3가지가 있다.
린자이종"계명" 명칭을 사용한다.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이지만, 원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원호 대신 건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정토진종"법명"을 사용하며 "계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법명 (정토진종)" 참조.
조동종"계명" 또는 "안명" 명칭을 사용한다.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이지만, 원호가 없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도호・계명) 4글자 또는 □□(계명) 2글자, 여기에 위호(신사・신녀, 재가 신자 뜻, 선(禪) 수행 신도로서 거사・대사를 붙이는 예도 있음)가 붙은 것이 주어진다. 승려는 "도호, 계명"과 같이 표시되는 경우가 많고, 대화상・화상(역생), 수좌(좌원), 상좌 등 위계는 스스로 칭하지 않는다.
시종과거 "아미타불" 호를 붙였다. 관아미, 세아미는 그 흔적이다. 현재는 남성에게 "아" 호, 여성에게 "일(弌)" 호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아미타불호는 중겐이 "나무아미타불"이라 자칭한 것을 기원으로 하며, 성불했음을 의미한다. 여성도 당초 아미타불호였지만, 일편은 "일방"호나 "불방"호를 주었다. "일불승"에서 따왔다고 한다.
일련종법화경 신자는 영취산 정토에 태어난다고 여겨 "계명"이 아닌 "법호"라 부른다. 남성은 "법" 호, 여성은 "묘" 호 등이 사용된다. 일련정종에서는 "법호"와 "계명" 모두 사용된다.



일본 중세에는 출가자는 속세를 버렸으므로 속성을 사용하지 않고, 중국이나 인도 선례에 따라 (「석씨」를 생략하고) 계명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불문에 들어 "기엔"이라는 계명을 사용했다. 이후 6대 쇼군 취임에 즈음하여 환속하여 "아시카가 요시노부"(후에 요시노리로 개명)라는 속명을 사용했다.

전국 시대(무로마치 시대 후기)에는 다케다 신겐, 우에스기 겐신 등 출가하면서 속세에 관여하는 인물들이 법황 외에도 나타났고, 이들은 성씨+법명을 사용했다. 승려가 무장화된 경우에는 안코쿠지 에케이처럼 사찰명+법명, 또는 원호+법명으로 칭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평민도 성씨 사용이 의무화되면서 승려도 성씨 + 법명으로 호적에 등록해야 했고, 촌명을 성씨로 삼거나(예: 타키야 타쿠소), 불교 용어에서 성씨를 따오거나(예: 후겐 ○○), 자신이나 종조의 옛 성을 따르는 경우(예: 쿠가 칸케이)가 나타났다.

2. 2. 1.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불교

미얀마에서는 출가 시 주지 스님이 팔리어 법명을 부여하며, 출생 요일에 따라 이름의 첫 글자를 정하는 미얀마 이름 체계를 따른다.[1] 스리랑카에서는 상좌부 불교 전통에 따라 요일이 법명의 첫 글자를 결정하는 경우가 있다.[2]

2. 2. 2. 동아시아 불교

중국에서는 출가 시 석가모니를 의미하는 '석(釋)'을 성씨로 사용하며, 법명은 스승과 제자 간의 계보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7] 소림사에서는 각 세대가 설정부유가 지은 70자 시의 첫 글자를 법명의 첫 부분으로 사용한다.[8] 예를 들어 32번째 글자인 '행(行)'을 사용하는 세대의 모든 승려는 'Shi Xing'으로 시작하는 법명을 사용한다. 일부 중국 정토종에서는 스승에게 법명을 받지 못하는 경우 'Miao-Yin'이라는 법명을 사용하기도 한다.[9][10]

일본에서는 승려와 재가자를 위한 법명 외에, 고인이 된 사람이 승려에게 받는 계명(戒名, kaimyō)이라는 특별한 법명이 있다. 이 이름은 고인의 덕망이나 절에 기부한 금액에 따라 달라지며, 높은 가격 때문에 논란이 되기도 한다.

베트남에서는 중국과 유사하게 'Thích'을 성씨로 사용하며, 법명은 스승과 제자 간의 계보를 반영한다.

2. 2. 3. 티베트 불교

티베트에서는 삼귀의례, 보살 서원, 탄트라 의식 등 특별한 의식을 거칠 때마다 새로운 법명을 받는다.[14] 가르마 까규 전통에서는 종종 '가르마'를 첫 번째 이름으로 사용하고,[15] 드릭쿵 까규 종파에서는 '곤촉'을 첫 번째 이름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해당 신자의 법맥을 쉽게 식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3. 한국 불교의 법명과 계명

한국 불교에서는 출가 시 받는 법명 외에도 재가 신자가 받는 법명, 사후에 받는 계명(戒名) 등이 있다.

일본에는 불교 전래와 함께 계명이 전해졌으며, 사후에 성불한다는 사상 아래 고인에게 계명을 수여하고 사후의 안녕을 기원하는 풍습이 생겨났다.[18] 이는 불교 국가 중에서도 일본에만 있는 독특한 것이다.[18]

현대에는 장례식에서 법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각 종파에서 수계회나 오중상전회 등의 법요나 강습회에 참가한 재가 신도에게 생전에 법명을 수여하는 경우도 있다. 기본적으로 법명은 두 글자로 표현되는데, 이는 부처의 세계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위패·묘지·과거장·법명축 등에는 법명의 앞뒤에 원호·도호·위호 등의 호를 붙이기 때문에, 그 전부를 '법명'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정토진종의 경우 '법명'을 사용하지만, 석가모니의 제자가 된다는 의미로 '석XX(남성)''석니XX(여성)'와 같이 법명의 앞에 '석'(釋)의 문자를 더한다. (예: 가츠라 우타마루→釋歌丸) 일련종 등 법화계 불교 종파에서는 법명을 '법호'라고 부르며, 반드시 "일호"를 붙인다.

다이묘 가문이나 명문가에서는 법명에도 통자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계명에는 "신사"(信士)(신녀(信女))나 "거사"(居士)(대자(大姉)), "원호"(院号) 등의 위호(位号)가 붙는데, 이는 고인의 생전 사회에서의 업적, 혹은 사찰에의 공헌도에 따라 달라진다. 율종(律宗)이나 정토진종(浄土真宗)에서는 위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거사・대자''': 인도장자를 중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독실한 신자에게 수여된다. 특히 열심한 신자에게는 "대거사", "청대자"가 수여된다.
  • '''신사신녀''': 우바새・우바이라는 불교 신자로서, 오계십선계를 지키는 성인 남녀에게 붙여진다. 성인으로 하는 나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8세 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파에 따라 "청사", "청녀", "청정사", "청정녀", "선사", "선녀"라고도 한다.
  • '''동자・동녀''': 미성년의 나이에 사망하고, 삭발이나 득도하지 않은 사람에게 붙여진다. 미성년으로 하는 나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8세 미만, 4, 5세부터 17세에 붙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파에 따라 "대동자", "대동녀", "청동자", "청동녀", "선동자", "선동녀" 등으로 되어 있다.
  • '''해자・해녀''': 2, 3세의 나이에 사망한 유아에게 붙여진다.
  • '''영자・영녀''': 0, 1세의 나이에 사망한 유아에게 붙여진다.
  • '''수자''': 사산이나 유아기에 사망한 사람에게 붙여진다. 정식으로는 "스이시" 또는 "스이지"라고 읽지만, 최근에는 "미즈코"라고 읽는 경우가 많다.


「원호(院号)」「원전호(院殿号)」는 생전에 사찰이나 종파에 대해 많은 공헌을 한 자, 또는 사회적으로 높은 공헌을 한 자에게 수여되는 현창 목적의 호칭이다. 「원호」는 원래 황족이 사찰 건립 등의 불교적 시주를 했을 경우, 그 덕을 칭송하여 수여되는 것이다. 「원전호」는 다이묘 가문이나 무사가 사찰에 토지나 건물을 기증했을 경우에 수여되었다. 원래 원전호보다 원호가 격이 더 높다고 여겨졌지만, 2019년 현재에는 글자 수나 외관 등으로 인해 원전호 쪽이 격이 더 높게 여겨지고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등에서 현지에서 전사한 사람들에게는 일본 정부의 지시에 따라 국가에 공헌한 증거로서 "충렬원(忠烈院)", "순국원(殉國院)", "보국원(報國院)"[19], "창국원(彰国院)"[20] 등의 원호가 부여되는 경우가 많다.

킨지인 소덴과 같이 생전부터 계명 위에 원호를 붙여 칭하는 사람도 있다. 이는 사찰명·원호가 원래 승려의 주방 이름·개기(開基)가 된 사원 이름에서 유래했기 때문이다.

율종에서는 원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3. 1. 출가 시 받는 법명

한국 불교에서 출가자는 삭발하고 승복을 입으며 스승으로부터 새로운 법명을 받는다. 이는 세속과의 인연을 끊고 불교 수행에 전념하겠다는 의지를 상징한다.[1] 법명은 스승이 제자의 근기와 특징을 고려하여 짓는 경우가 많으며, 불교 경전이나 조사(祖師)의 이름에서 따오는 경우도 있다.[1]

법명은 보통 두 글자로 표현되는데, 이는 부처의 세계가 평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1] 법명 앞뒤에 원호, 도호, 위호 등의 호칭을 붙이기도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이 모두를 '법명'으로 보기도 한다.[1]

몇몇 종파에서는 법명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정토진종에서는 석가모니의 제자가 된다는 의미로 법명 앞에 '석(釋)' 자를 붙인다.[1] (예: 가츠라 우타마루→釋歌丸)[1] 일련종 등 법화계 불교 종파에서는 법명을 '법호'라고 부르며, 반드시 "일호"를 붙인다.[1]

3. 2. 재가 신자가 받는 법명

재가 신자도 수계 의식을 통해 법명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불교 신자로서 계율을 지키고 신앙생활에 정진하겠다는 다짐을 의미한다. 재가 신자의 법명은 오계(五戒)나 보살계 등 받은 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스승이 지어주거나 본인이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1]

일부 종파인 정토진종에서는 법명이라고 하며, 일련종 등의 법화계 불교 종파에서는 법호라고 부르며 반드시 "일호"가 붙는다.[1] 현대에는 장례식에서 법명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각 종파에서 수계회나 오중상전회 등의 법요나 강습회에 참가한 재가 신도에게 생전에 법명을 수여하는 경우도 있다.[1]

다음은 각 종파별 법명의 특징이다. (지역, 사찰 등의 관습에 따라 다를 수 있다.)[1]

종파법명 특징
율종계명 아래에 "보살" 두 글자가 붙는다.[1]
천태종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인다. 여성의 계명에는 "묘"호가 많이 사용된다. (예: 청추원천화묘령대사)[1]
진언종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인다.[1]
정토종(진서파)誉号는 오중상전을 받은 자에게 붙인다. 계명은 원호, 誉号 또는 공호, 도호, 계명, 위호 순, 원호, 誉号 또는 공호, 계명, 위호 순,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의 세 가지가 있다.[1]
정토종 서산파공호는 오중상전을 받은 자에게 붙인다. 계명은 원호, 誉号 또는 공호, 도호, 계명, 위호 순, 원호, 誉号 또는 공호, 계명, 위호 순,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의 세 가지가 있다.[1]
린자이종"계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이지만, 원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시카가 쇼군가(足利将軍家)를 비롯해 무로마치 시대 이래의 다이묘 가문의 신도도 많고, 그 경우 원호에 원전호를 사용한다. 원호 대신 건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정토진종"법명"을 사용한다. "계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법명 (정토진종)"을 참조한다.[1]
조동종"계명" 또는 "안명"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원호, 도호, 계명, 위호 순으로 붙이지만, 원호가 없는 경우도 있다. 원호, 위호는 시명이며, 사후에 붙이는 것이 통상이다. 단순히 △△□□(도호・계명)의 네 글자 또는 □□(계명)의 두 글자 또는 여기에 위호의 신사・신녀(재가 신자를 뜻하며, 선(禪)을 행하는 신도로서 거사・대사를 붙이는 예도 있다)가 붙은 것이 주어진다.[1] 지방의 수호 다이묘 가문에 신자가 많아, 원전호・사전호, 원호・재호・사호가 부여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그 유력 가신에게는 원호・건호를 사용하는 예가 있었다. 이들은 사찰의 건립이나 존속에 크게 공헌한 것에 대한 사찰로부터 일종의 예(礼)로서 붙여졌고, 일반 서민은 호상・호농의 예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이지 않았다. 서민까지 널리 퍼진 것은 메이지 시대 이후 사찰이 궁핍할 시기에 독지가와 영령에게 부여한 것에서 시작한다. 현재는 독지가가 받는다.[1] 승려의 경우에는 "도호, 계명"과 같이 표시되는 경우가 많고, 대화상・화상(역생), 수좌(좌원), 상좌 등 위계라고 불리는 것은 스스로는 칭하지 않는다. 시적(示寂) 이후에 주지라면 "○○사 ○○세 △△□□대화상"(주지 사찰에서는 ○○사가 아닌 당산 또는 당사로 바꿔 부름)과 같이, 그 외의 경우에는 도호 계명에 각 위계가 시호되는 형태를 취한다(드물게 고화상이라는 시호가 붙을 수 있다). 덧붙여 사족(조동종의 경우에는 주지의 부인 또는 미망인을 통상 가리킴)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계명의 법칙과 거의 동일하지만, 통상 마지막 위호 부분은 "선니(禪尼)"가 된다.[1]
시종옛날에는 "아미타불" 호를 붙였다. 간아미, 세아미는 그 흔적이다. 현재에는 남성에게 그 약자인 "아" 호, 여성에게는 "일(弌)" 호를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아미타불호는 중겐이 "나무아미타불"이라고 자칭한 것을 기원으로 하며, 성불했음을 의미한다. 여성도 당초에는 아미타불호였지만, 일편은 "일방"호나 "불방"호를 주었다. "일불승"에서 따왔다고 한다. 일(弌)호는 그 흔적이다.[1]
일련종일련종 계통에서는 법화경 신자는 영취산의 정토에 태어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계명"이 아닌 "법호"라고 부른다. 남성에게는 "법" 호, 여성에게는 "묘" 호 등이 사용된다.[1] 일련정종에서는 "법호"라는 말도 "계명"이라는 말도 사용되고 있다.[1]


3. 3. 사후에 받는 계명(戒名)

한국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 절에서 계명을 받는 풍습이 널리 퍼져 있다. 이는 고인을 기리고 불교적 가르침에 따라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18] 계명은 원호, 당호, 법명, 위호 등으로 구성되며, 고인의 생전 사회적 지위나 업적, 유족의 기부 금액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계명 부여와 관련된 비용 문제가 논란이 되기도 한다.

3. 3. 1. 계명의 구성 요소

계명은 일반적으로 원호, 당호, 법명, 위호 등으로 구성된다.

  • '''원호(院號)''': 사찰이나 종단에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주어지는 호칭이다.
  • '''당호(堂號)''': 원호보다는 조금 낮은 단계의 호칭으로, 사찰에 기여한 사람에게 주어진다.
  • '''법명(法名)''': 계명의 핵심 부분으로, 두 글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불교 경전이나 조사(祖師)의 이름에서 따오는 경우가 많다.
  • '''위호(位號)''': 고인의 성별, 나이, 신앙심 등을 나타내는 호칭이다. 거사(居士), 대자(大姉), 신사(信士), 신녀(信女) 등이 있다.

3. 3. 2. 차별 계명 문제

과거 한국 사회에서는 피차별 부락 출신자에게 차별적인 글자를 포함한 법명을 부여하는 풍습이 있었다. 법명에는 '박(ト)', '축', '혁' 등의 글자가 사용되었다. 때로는 '축' 자를 '현'과 '전'으로 나누거나, '혁'을 비슷한 글자인 '초'로 바꾸는 등 교묘한 수법도 사용되었다. 부락해방동맹을 중심으로 차별 법명 조사 및 시정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재일 한국·조선인이나 통명으로 귀화한 '박' 씨 성을 가진 사람들 중에서는 현재도 법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차별 법명 및 그 건수로 취급되는 조사 자체에 항의하는 목소리도 있다.[1]

3. 3. 3. 현대 사회의 논란

현대 한국 사회에서는 계명 부여와 관련된 비용 문제가 논란이 되기도 한다. 일부 사찰에서 고액의 계명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불교계 내부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에서는 이온이 이온 카드 소유자를 위한 장례 서비스에서 "부시 가격의 기준"을 제시하자, 전일본불교회가 "부시에는 정가가 없다. 기업에 의한 종교 행위에 대한 개입이다"라고 반발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8개 종파 약 600개의 사찰이 이온의 장례 서비스에 협력하였다.[21][22][23]

산케이 신문에는 "기준이라고는 하지만, 대기업이 발표하면 그것이 '정가'로 굳어질 우려가 있다"(일본 템플 밴(JT-VAN) 사장 이노우에 후미오)는 우려 섞인 논평과 "소비자 입장에서 보면, 부시 가격의 명시는 고마울 것이다"(제일생명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원 코타니 미도리)라는 긍정적인 논평이 함께 게재되었다.[21][22][23]

원래 계명 수여에 대한 부시와, 통야(밤샘 장례)나 장례 의례의 법요 시행에 대한 부시(도사 공양료)는 각각 별도로 납부하는 것이지만, 시행 시기가 가깝고 당일의 수고를 덜기 위해 함께 납부하는 경우가 많아 결과적으로 비용이 비싸게 느껴질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harma Names http://www.khandro.n[...] 2010-06-22
[2] 웹사이트 Becoming a Buddhist Nun, by Ani Rinchen http://www.buddhanet[...] 2023-12-28
[3] 웹사이트 Receiving the Dharma Name http://www.wonbuddhi[...] 2012-02-10
[4] 서적 Bodies Built for Game: The Prairie Schooner Anthology of Contemporary Sports Writing https://books.google[...] U of Nebraska Press
[5] 웹사이트 Shinran | Japanese Buddhist philosopher https://www.britanni[...] 2024-04-08
[6] 웹사이트 Hokusai | Japanese artist https://www.britanni[...] 2023-10-31
[7] 웹사이트 Shaolin Lineage https://usashaolinte[...] 2010-09-15
[8] 웹사이트 少林寺史会 Shaolin Monastery Historical Society: Shaolin Generational Dharma Names http://shaolin-monas[...] 2017-11-12
[9] 웹사이트 Pure Land Buddhism https://www.pure-lan[...] 2024-08-01
[10] 웹사이트 Pure Land Buddhism https://www.pureland[...]
[11] 웹사이트 Dharma Name Homyo http://www.sfvhbt.or[...] 2017-03-01
[12] 웹사이트 Primer for Selecting Dharma Names https://static1.squa[...]
[13] 웹사이트 What is the meaning of the Makura-gyo? https://mbtchicago.o[...] 2016-11-26
[14] 웹사이트 Dharma Names http://www.khandro.n[...]
[15] 웹사이트 Lama Kathy's Dharma Blog: Refuge Names https://www.columbus[...] 2017-09-30
[16] 웹사이트 Dharma Names given by H.H. Karmapa Trinley Thaye Dorje http://www.diamondwa[...] 2010-10-27
[17]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件名標目表 「法名」・同義語 https://id.ndl.go.jp[...]
[18] 서적 日本人のしきたり正月行事、豆まき、大安吉日、厄年...に込められた知恵と心 青春出版社
[19] 웹사이트 大谷派門徒:父の戦死、美化させない 「院号」返上 軍神扱い、苦い記憶 https://mainichi.jp/[...] 2018-08-17
[20] 웹사이트 法名・戒名 https://sogenji.org/[...] 2021-10-21
[21] 뉴스 「宗教介入だ」仏教界困った イオンの葬儀サービスが「お布施」に目安 (1/2ページ) - MSN産経ニュース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0-07-02
[22] 뉴스 「葬儀に料金透明化の動き イオンがひつぎ代など明文化 (1/2ページ) - MSN産経ニュース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0-01-24
[23] 웹사이트 産経新聞にコメントが掲載されました。 JT-VAN新着情報-2010年- http://www.jtvan.co.[...] 日本テンプルヴァン 2010-07-05
[24] 뉴스 毛筆の29文字に込めた執念、来春定年の捜査一課刑事 八王子3人射殺から26年 https://www.tokyo-np[...] 2021-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